•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복지정책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사회복지정책론"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사회복지정책론

제 7장 복지국가

(2)

목 차

1. 복지국가

2. 복지국가의 유형 1 3. 복지국가의 유형 2

4. 복지국가와 탈상품화 지수 5. 스칸디나비아모델

6. 복지국가와 코포라티즘

(3)

1. 복 지 국 가

복지수준 높은 나라…

정부가 적극 추진하는 나라…

사회주의 자본주의 혼합된 체제…

명확한 정의

는 없다

(4)

1-2. 용어사용은 누가먼저

영국 켄터베리 대주교 William Temple의 저서

나치독일 => 국가(Warfare State), 무력국가 영국 => 국가(Welfare State)

이후 영국[ 보고서]발표로 널리 사용됨.

『Citizen and Churchman』

(5)

1-3. 복지국가가 발전한 이유

1. 로 인한 사회복지 욕구의 증가에 대한 대응 2. 의 기능적 필요성

3. 의 힘의 증대의 결과

4. 들의 정치적 요구에 대한 대응의 결과

5. 국가 구조상의 특성으로서 의 결함을 시정하고 보

완하기 위해 복지국가가 도래하고 발전

(6)

복지국가의 정의:

좁게: 사회서비스를, 넓게: 시민의 복지를 위해 정부가 제공하 는 모든 사회경제적 서비스를 의미.

복지국가는

2차 세계대전 직후

‘요람에서 무덤까 지’의 보장을 지향 하며 탄생.

복지국가의 목적:

최저소득의 보장, 사회적 위험의 감소, 적정수준과 보편주 의적 혜택.

2

1 3

1-4. 복지국가

(7)

2. 복지국가의 유형 1

“15% 이상”

복지선진국

“10~14%”

복지중진국

“5~9%”

복지후진국

1 ) 의 복지국가 유형

(8)

사회복지국가 (Social Welfare

State): 유럽의 강력한 중앙집권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소득,

재산, 권력의 불평등을 제거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국가(스웨덴).

사회보장국가 (Social Security State): 지방분권의 전통 하에서

국민최저만을

보장하는 국가(영국).

Furniss와 Tilton

2. 복지국가의 유형 2

(9)

2. 복지국가의 유형 3

자유주의 복지체제 (the liberal

welfare regime):

국가가 노동시장에서 배제된 사람들을 대상 으로 국민최저수준의 복지급여를 제공. 복 지대상자 선정에서 가 장 중요한 기준은 구 제가치가 있는 빈민과 구제가치가 없는 빈민 (근로유인 강조).

코포라티스트

복지국가(corporati st welfare state):

복지대상자를

직업범주에 따라 구분, 국가는 직무경력을 쌓도록 교육과

직업훈련을 적극 지원, 소득보장은 주로

사회보험을 통해 담보.

소득보장 수준은 국민최저 이상.

사회민주적 복지국가 (the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사회적 평등과 사회연대성의 제고 를 위해 국가가 적극 개입.

조세, 임금 격차 축소 정책, 각종 복지급여,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등을 통해 소득의

평등과 생활수준의 향상 지향.

복지급여는 보편주의적 높은 수준을 유지

Esping-Andersen

(10)

4. 복지국가와 탈상품화 지수

탈상품화지수(de-commodification score):

Esping-Endersen이 복지국가를 유형화하는 데 사용한 점수.

연금, 건강보험, 실업 보험 등 3대 사회보험에 있어서 ①최저급여액의 평균임금에 대한 비율,

②평균급여액의 평균임 금에 대한 비율(소득대 체율), ③급여 수급 자격 요건(가입기간), ④전체 재정 중 수급자 부담의 비중, ⑤전체 인구 중 실 제 수급자의 비율을 점 수화.

오스트리아, 벨기에, 네 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이 가장 높았고, (사회민주적 복지국가)

이탈리아, 일본, 프랑스, 독일, 핀란드, 스위스가 중간(코포라티스트 복지 국가), 호주, 미국, 뉴질랜 드, 캐나다, 아일랜드, 영 국이 가장 낮았음.

(자유주의 복지체제)

(11)

5. 스칸디나비아 모델

스칸디나비아 사회복지정책은 그 진보성과 관대함 때문에 복지국가의 최고 단계로 평가.

스웨덴 모델은 자본과 노동 간의 역사적 대타협인 1938년의 ‘살쯔요바덴 기본 협정’

(생산관련결정은 자본가에게 일임, 정책결정환경은 국가-노조가 강력하게 통제하는 체제)에 기원.

스웨덴 모델은 1951년 ‘렌-메이드네르 모델 (Rehn-Meidner Model)’로 보강.

제한적 재정정책, 동일노동-동일임금정책,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높은 수준의 사회복지정책이 골자.

(12)

6. 복지국가와 코포타리즘

이익단체들이 국가에 종속,

권위주의적 권력(파시즘)에 의해 강제 운영

국가코포타리즘

사회(social)코포라티즘과 국가(state)코포라티즘으로 대별

14.9% → 20

포코타리즘 (corporatism)

%

정부ㆍ노동ㆍ자본이 물가와 복지 등 주요 현안을 상의, 결정하는 삼자협동주의 (tripartism)가 핵심.

복지국가 확대의 주요한 요인.

노동조합의 힘이 강할 때 나타 나고, 코포라티즘이 활성화되면 의회가 무력화된다.

사회코포타리즘

(13)

참조

관련 문서

, 인프라 부문에 적극 투자하여 수익률 제고 및 국내 금융산업발전 기여목적 외에 국가 간의 전략적이고 미래지향적 협력차원에서 국부펀드를 활용하는 방 안이 있을

• 국가가 가정에 대해 일방적인 개입 차원의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가 정의 자율성과 자립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함. 가정이 국가의 지원만을

원화강세가 당분간

[r]

[r]

전 임직원은 고객의 요구(Needs)와 기대(Expectations)를 이해하고 이에 부응하기 위해 인적 · 물적자원등에 대하여

(2) 엇비슷한 정책제언 - 사회적 기업 스스로 경쟁력 제고 요구 대부분의 보고서는 사회적 기업이 인건비나 정부지원금 대비 높은 영 업활동 수입을 거두고

Public Welfare V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