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HB V - bDNA 음성 만성 B 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간조직검사 소견과 임상적 특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HB V - bDNA 음성 만성 B 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간조직검사 소견과 임상적 특징"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2001;38:419 - 426

4 )

국내의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전 인구의 3-4%를 차지하며 30대 남자에서 가장 높다 .1-4 하지만 이중 어느 정도의 환자가 조직학적으로 만성 간염의 소견을 나타 내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는 많지 않다.5-8 특히 국내에서는 HBV-DNA 음성인 젊은 성인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이 드 물지 않게 있으며 이들 중 적지 않은 수에서 aminotransferase

접수: 2001년 6월 14일, 승인 : 2001년 10월 22일 연락처 : 이동후, 133-792,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산 17

한양대학병원 소화기내과

Tel: (02) 2290-8339, Fax: (02) 2298-9 183

가 증가되어 있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 하지만 이들에 대한 간조직 소견에 대한 보고는 찾아보기 어렵다 .

HBV는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세포독성이 없기 때문에 바이러스 역가와 간질환의 중증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 으며, HBV -DNA 수치와 간조직내 염증의 활성도와 비례하 지는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9 특히 수직감염인 경우에 이런 특징이 더 두드러진다 . 간 손상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 포에 대한 숙주의 면역반응의 결과로 나타나며 특히 초기 면역관용기에는 활발한 바이러스의 증식에도 불구하고 간 조직 소견은 정상이거나 거의 정상에 가깝다 .

만성 B형 간염의 항바이러스제치료의 적응증은 HBeAg 양성, 혈청 HBV-DNA 양성(hybridization assay)과 같이 바

H B V - b DN A 음성 만성 B 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간조직검사 소견과 임상적 특징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소화기병연구소

노병주・이숭환・한성희・조승철・손주현・이동후・기춘석

H i s t o l o g i c a n d C l i n i c a l M a n if e s t a t i o n i n H B V -b D N A N e g a t i v e C h r o n i c H B s A g C a r r i e r

B y u n g J o o R o h , M .D ., S o o n g H w a n L e e , M .D ., S u n g H e e H a n , M .D ., S e u n g C h u l C h o , M .D ., J o o H y u n S o h n , M .D ., D o n g H o o L e e , M .D ., a n d C h o o n S u h k K e e , M .D .

D ep artm ent of Internal Medicine, Institute of D ig estive D iseases, Hany ang Univers ity College of M 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Aim s: It is common in Korea that young men carry HBV-bDNA (branched chain DNA) negative

chronic HBsAg, regardless of abnormal aminotransferases. However, histologic findings of these patients were not well-known. The authors studied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hepatitis activity in these patients and assessed the correlations of aminotransferases and the histologic characteristices of hepatitis activity/fibrosis. Methods: Routine biochemical liver function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29 young male HBV-bDNA negative chronic HBsAg carriers. Their histologic hepatitis activity/fibrosis was scored. Results : Ninety percent of the patients showed chronic inflammation at liver biopsy, whereas 80 % of the parents who had normal aminotransferase showed chronic inflammatory feature in spite of their HBV-bDNA negativity.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s of aminotransferases and histologic hepatitis activity (lobular activity and portoperiportal activity). The patients with abnormal aminotransferase revealed the higher grade activity than the patients with normal aminotransferase in lobular activity and portoperiportal activity. Conclusions: Most of young male HBV-bDNA negative chronic HBsAg carriers show the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chronic hepatitis. Some patients could be recovered, but others may show viral replication during their clinical course. (Korean J Gastroenterol 2001;38: 419 - 426)

K ey W ords: Chronic viral hepatitis B, HBV-DNA, Histology

(2)

4 2 0 대한소화기학회지: 제38권 제6호 2001

이러스 증식이 있고 비정상적인 ALT 수치를 보이는 간질 환의 증거가 있는 경우이다.9 따라서 HBV-DNA 음성인 만 성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치료의 적응 대상에서 제외 되고 있으며 간조직 소견의 특징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 지 않다 .

본 연구에서는 HBV-bDNA (branched chain DNA)음성 인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인 젊은 성인 남자의 간 조직 검사 소견 특징을 알아 보고, 이들 환자의 조직학적

간염의 정도(간염활성 등급과 섬유화 등급)와 혈청

aminotransferase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대상 및 방법

1. 대 상

간조직검사를 시행받은 20대 전후의 만성 B형 간염 바 이러스 보유자인 성인 남성 중 조직검사 후 HBV -bDNA를 측정하였다. HBV-bDNA 음성인 2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 며, 인터페론이나 라미부딘 등의 항바이러스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해 이 들의 가족내 간질환 유무, 입원치료 횟수, 모체감염 유무, 만성 간염 급성 악화의 과거력 등을 조사하였다 .

2 . 방 법

혈청 ALT와 AST를 간조직검사시 측정하였으며 간염 표 지자검사와 HBV-bDNA (QUANTIPLEXTM HBV DNA assay, Chiron , Em eryville, CA, USA)를 시행하였다 . 조직검 사 소견은 대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가 제안한 방법10 에 따라 간염활성 등급과 섬유화 등급으로 판독하였으며 간염활성 등급은 다시 소엽내 활성 및 문맥/문맥 주변부 활 성의 정도로 나누어 각각 5단계로 나누었다. 만성 간염의 조직 소견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의 비교를 위해 종 전의 분류 방법인 만성 지속성 간염과 만성 활동성 간염으 로도 다시 판독하였다.

3 . 통 계

결과 수치는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Student's t test,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분 석으로 검증하였다 . 통계 처리는 Windows용 SPSS version 7 .5를 이용하였다.

1. 환 자 군 의 특 성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2 1.1 ± 1.5세(평균 ± 표준편 차)였고, B형 간염에 의한 만성 간질환의 가족력을 가진 경 우가 72.4%이었고, 가족력이 있는 환자 중 45.5 %에서 모체 감염이 있었다 . 가족 중 간질환자는 평균 2.0 ± 1.0명(평균

± 표준편차)이었다 . 대상 환자의 48.3%에서 과거나 현재 에 만성 간염의 급성 악화가 있었다. HBsAg은 전 대상자에 서 양성이었고, HBeAg은 17 .9 %에서 양성이었으며, anti-HBe는 82.8%에서 양성이었다 . IgM anti-HBc가 양성인 예는 없었다(Table 1).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29 Patients Age (yr)

Sex

Familial history of liver disease Mother HBsAg (+)

No . of liver disease in fam ily

History of exacerbation of liver disease HBsAg (+)

HBeAg (+) Anti-HBe (+) IgM anti-HBc (+)

2 1. 1 ± 1.5 all male

72.4 % 45.5 % 2 .0 ± 1.0

48.3%

100 % 17.9 % 82.8%

0 %

2 . A L T 및 A S T 수 치

조직검사시 ALT는 평균 16 1 ± 36 IU/L, AST는 86 ± 18 IU/L이었다.

3 . 조 직 소 견

간염에 대한 종전의 전통적인 분류 방법에 의하면 최소 간염이 6.9 %, 만성 지속성 간염이 20.7 %, 만성 활동성 간염 이 58.6%, 만성 지속성 간염과 지방간 동반이 6.9 %, 만성 활동성간염과 지방간 동반이 3.4 %, 기타 소견이 3.4 %를 차 지하였다(Table 2). 따라서 대상 환자 중 89.6%에서 만성 간질환 소견(최소 간염 제외)이 있었다. 간염활성 등급과 섬유화 등급으로 판독한 결과에서도 섬유화 등급은 stage 0 이 10.7 %, stage 1은 35.7 %, stage 2는 25 %, stage 3은 28.6 %였고, 소엽내 활성 등급은 grade 0이 0 %, grade 1은 7 .1%, grade 2는 60.7 %, grade 3은 28.6 %, grade 4는 3.6%

였다 . 문맥/문맥 주변부 활성 등급은 grade 0이 35.7 %, grade 1은 14.3%, grade 2는 10 .7 %, grade 3은 25 %, grade 4는 14 .3 %로 나타났다(Table 3).

(3)

노병주 외 6인. HBV-bDNA 음성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간조직검사 소견과 임상적 특징 4 2 1

Table 2. Histologic Classification of Hepatitis of the Patients

Histology Frequency ( %) Minim al hepatitis

CPH CAH

CPH + Fatty liver CAH + Fatty liver Others

6.9 20 .7 58.6 6.9 3.4 3.4

CPH,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CAH, chronic active hepatitis.

Table 3 . Histologic Classification of Hepatitis of the Patients by Scoring System

Histology

Grade/Stage Lobular activity Portoperiportal activity Fibrosis 0

1 2 3 4

0 7 .1 60.7 28.6 3.6

35 .7 14 .3 10 .7 25 14 .3

10 .7 35 .7 25 28.6

0

4 . 간 염 의 활 성 등 급 및 섬 유 화 와 A L T , A S T 수 치 와 의 상 관 관 계

간염의 활성 등급과 섬유화와 간조직검사시 ALT와 AST 값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 ALT의 상관계수는 섬유화, 0.462 (p<0.05); 소엽내 활성, 0.763 (p<0 .0 1); 문맥/문맥 주변부 활성, 0 .677 (p <0 .0 1)이었고 AST의 상관계수는 섬유화, 0.429 (p <0 .05) ; 소엽내 활성, 0 .828 (p <0.0 1) ; 문맥/문맥 주변부 활성, 0 .582 (p<0.0 1)로 나 타났다(Table 4).

Table 4 . Correlation between Serum ALT, AST and Histologic Hepatitis Activity

Histology

Lobular activity Portoperiportal activity Fibrosis (stage) ALT

AST

0.763*

0.828*

0 .677*

0 .582*

0 .462 0 .492 Pearson ' s correlation coefficient .

* p <0 .0 1.

p <0 .05.

5 . 간 기 능 정 상 군 과 비 정 상 군 의 조 직 학 적 소 견 비 교 추적검사 기간 동안에 평균 7.5 ± 7.5개월(평균 ± 표준 편차) 동안 경과관찰된 ALT, AST값을 토대로 급성 악화된

과거력도 없고 전 추적기간 동안 간기능이 정상이었던 대 상자는 15명으로 5 1.7 %를 차지하였고, 비정상이었던 환자 는 14명으로 48.3%였으며 각각의 평균 ALT는 37 ± 16 / 258 ± 194 IU/ L였으며 평균 AST는 27 ± 6 / 132 ± 98 IU/L이었다.

이들 두 군 간의 간조직검사 소견을 비교해 보면 비정상 간기능군에서 만성 활동성 간염 소견이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높게 나타났다(Table 5).

Table 5 . Comparison of Hepatitis Classification between the Patients with Normal Liver Function and Abnormal Liver Function

Histology Normal liver function (n = 15)

Abnormal liver function (n = 14) Minimal hepatitis

CPH CAH

CPH + Fatty liver CAH + Fatty liver Others

13.3 % 33.3 % 33.3 % 13.3 % 0 % 6.7 %

0 % 7 .1%

85.7 % 0 % 7 .1%

0 %

CPH ,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CAH, chronic active hepatitis.

Chi-square test, p =0 .042 .

간염활성 등급(소엽내 활성, 문맥/문맥 주변부 활성)과 섬유화 등급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모두 비정상 간기능 군에서 더 심한 grade의 활성 등급을 보여 소엽내 활성 등 급(p<0.0 1), 문맥/문맥 주변부 활성 등급(p<0.0 1) 각각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6, 7). 섬유화 등급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p=0.065), 비정상 간기능군에서 섬유화 정도가 심한 경향을 보였다 (Table 8) .

Table 6 . Comparison of Lobular Activity between the Patients with Normal Liver Function and Abnormal Liver Function

Lobular activity Grade

Normal liver function (n = 15)

Abnormal liver function (n = 14) 0

1 2 3 4

0 % 14 .3 % 85 .7 % 0 % 0 %

0 % 0 % 36.7 % 57 .1%

7 .1%

Chi-square test, p =0.003.

(4)

4 2 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8, No. 6, 2001

Table 7 . Comparison of Portoperiportal Activity between the Patients with Normal Liver Function and Abnorm al Liver Function

Portoperiportal activity Grade

Normal liver function (n = 15)

Abnormal liver function (n = 14) 0

1 2 3 4

64 .3 % 2 1.4 % 0 % 7 .1%

7 .1%

7 .1%

7 .1%

2 1.4 % 42.9 % 2 1.4 % Chi-square test, p =0 .005.

Table 8 . Comparisons of Fibrosis between the Patients with Normal Liver Function and Abnormal Liver Function

Fibrosis stageNormal liver function (N = 15)

Abnormal liver function (N = 14) 0

1 2 3 4

14.3%

57. 1%

14.3%

14.3%

0 %

7. 1%

14 .3 % 35 .7 % 42 .9 % 0 % Chi-square test, p =0.065 .

만성 B형 간염의 자연경과는 매우 다양하여 자연관해, 무증상의 보유 상태, 만성 간염, 간경변, 간세포암종 등 다 양한 결과를 초래한다 . 대부분의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무증상인 경우가 흔하지만, 임상적, 생화학적, 혈 청학적 그리고 조직학적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1 1- 16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간조직검사 소견은 보고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데5 - 8 , 17 - 2 6 이는 대상 환자가 B형 간 염의 자연경과 중 어느 시기에 해당하는 환자가 더 많이 포 함되었느냐에 따라 다르고 B형 간염의 감염 시기에 따라 다를 수 있는 등 대상 환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일부 연 구에서는 대상 환자 수가 많지 않은 데에도 그 원인이 있 다 . 그러나 급성 간염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나 간조직검사 당시의 AST/ALT치가 상승된 경우가 만성 간질환의 빈도 가 높다 . 또한 간기능이 정상인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 유자의 간조직검사 소견도 외국보다는 국내의 보고5 - 8 , 15에 서 만성 간질환의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 만성 B형 간염 바 이러스 만성 보유자의 임상적 특징은 인종 및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성인에서의 B형 간염 바 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만성 간염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서 양과는 달리 우리 나라의 경우 모체를 통한 수직감염이 주

된 만성 B형 간염의 경로를 차지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16 대상 환자군은 모두 20대 초반으로 72.4 %에서 만성 B형 간질환의 가족력이 있으며 이중의 45.5 %에서 모체감염이 있은 것으로 보아 이들 중 상당수는 수직감염에 의한 것으 로 생각된다. 만성 B형 간염의 자연경과에서, 감염 후 20-30년이 지나면서 질환이 활성을 보이기 시작하며 바이 러스 제거기로 접어든다는 점을 고려하면1 1 본 연구 대상 환자의 상당수는 면역제거기에서 바이러스 증식이 활발 히 일어나던 간세포가 대부분 파괴되고 바이러스의 증식이 현저히 감소하는 비복제기에 들어가 HBeAg이 음전되고 anti-HBe가 양성이 되면서 혈청 HBV-DNA 농도가 측정한 계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 대상의 82.8%

에서 anti-HBe 양성인 점, HBeAg/anti-HBe 전환에 의한 것 으로 추정되는 간질환의 급성 악화의 과거력이 48.3%에서 있었던 점도 연구 대상 환자의 대부분이 비복제기 초기에 해당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 비복제기에는 각종 임상적, 생화학적, 조직학적 소견들이 호전되는데,2 7본 연구의 대상 상당수에서 만성 간질환의 소견을 나타낸 것은 나이를 고 려할 때 자연경과 중 비복제기 초기에 해당하여 면역제거 기 동안에 손상된 간이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나타난 현상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조직 검사 당시 HBV-bDNA검사에서 음성으로 나타난 것은 단지 1회의 측 정 결과이므로, 임상경과 중 재측정하거나 조직검사 전에 측정하였을 경우 HBV-bDNA 양성이었을 환자들의 일부가 대상 환자군에 포함되어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 aminotranferase가 증가된 환자군은 정상이 었던 환자군에 비해 간조직검사에서 더 심한 염증 소견을 보였다.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간조직검사 소 견과 혈청학적 검사와 ALT, AST와 같은 생화학적 검사 수 치들과의 연관성을 찾아보려는 연구가 시행되어 왔다 .2 6 ,

2 8 - 3 5 간염 활성은 간조직검사에서 관찰되는 간세포의 괴사

와 염증을 말하며 그 정도를 대변할 수 있는 것이 혈청 ALT와 AST치이며, 간소엽의 괴사 정도를 반영하지만 조 각괴사 정도와의 상관성은 아주 적다 .10 , 3 6 간손상시 증가하 는 기전은 손상된 간세포들로부터의 유출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간 이외 조직의 손상에서도 증가될 수 있 는 AST에 비해 간에 대해 특이성을 갖는 ALT가 간염의 활 성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보다 민감한 지표로 사용되어 왔 다 .3 7 본 연구에서는 간조직검사시 ALT와 AST치 모두 간 염의 활성도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근래에는 ALT는 소엽내 염증활성도를 반영하지 못하며 오히려 AST 가 간염활성도의 더 민감한 예측지표라는 보고도 있다 .3 2 , 3 3 HBV-DNA는 간의 염증과 관계 있고 질환의 활성 및 만 성 간염의 진행과 관계가 있으며 지역이나 인종, 연령과도 관계가 있다.2 8 - 3 0 , 3 8 - 4 3

HBV-DNA는 간세포내 HBcAg 및 혈

(5)

Roh, et al. Histologic and Clinical Manifestation in HBV-bDNA Negative Chronic HBsAg Carrier 4 2 3

청 DNA polymerase, HBeAg 등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바이 러스의 증식 상태를 가장 잘 반영하면서 염증의 활성도와 도 관계가 있다는 보고도 있으나4 4 일반적으로 소엽 및 문 맥 염증활성도와 혈청 HBV-DNA 유무와는 상관관계가 없 다 .3 3 본 연구에서도 grade 3 이상의 중증의 조직학적 간 염활성 등급을 보이는 경우가 소엽내 활성 등급에서 32.2 %, 문맥/문맥 주변부 활성 등급에서 39 .3 %가 관찰되어 HBV-DNA 음성임에도 상당수의 환자에서 중등도의 조직 학적 간염 소견이 있었다 . 따라서 조직학적 간염의 중증도 를 결정하는 것은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도보다는 숙주 자 체의 면역반응이 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본 연구 에서는 조직검사 당시의 ALT, AST로 대별되는 숙주의 반 응 정도와 조직학적 간염의 중증도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항바이러스제치료의 적응증에서 바이러스 증식의 증거가 있는 경우로 HBeAg 양성, 혈청 HBV-DNA양성을 기준 으로 하고 있다. 이 때 HBV-DNA검출 방법은 hybridization assay를 의미하지만, 현재 개발되어 있는 정량적인 방법들 인 b-DNA나 PCR assay들에 비해 민감도가 매우 낮다. 바 이러스의 증식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hybridization assay는 낮은 정도의 증식에 민감하지 못하며, 반대로 PCR assay는 HBsAg 양성인 대부분의 경우에서 양성으로 나타날 정도로 민감한 경향이 있다 . 항바이러스치료의 경과관찰을 위한 바이러스 증식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의 하나로 HBV-DNA 검출 방법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bDNA가 임상 적으로 가장 적절한 민감도와 검사 신뢰도를 보였다 .4 5

본 연구에서 HBV-bDNA 음성이고 HBeAg 양성인 경우 가 17.9%에서 있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hybridization assay, bDNA assay, PCR assay를 상호 비교한 바4 6에 의하면 HBV-bDNA 음성인 경우 8.7 %에서 HBeAg 양성이었다 . 이 중 PCR assay 양성인 경우는 13%에서 HBeAg 양성이었고, PCR assay 음성인 경우는 4 %에서 양성이었다 . 본 연구 대 상 환자에서는 HBeAg 양성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PCR assay로 HBV-DNA를 측정할 경우 상당수에서 양성으 로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혈청 HBV-DNA치가 hybridization assay에서 측정 하한치 이하로 음성으로 나타나고 PCR assay에서는 양성을 보이는 중간 정도의 HBV-DNA치를 보이는 환자들에게 항바이러스 제 치료의 대상을 확대하여 치료 적응증에 포함시킬 지의 여부는 아직까지 결정되지 않았다.9 본 연구에서는 bDNA 음성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에서 만성 간염의 조직학 적 소견을 나타냈다. HBV-bDNA음성인 경우 hybridization assay에서는 HBV-DNA가 검출되지 않고 PCR assay로 검사 할 경우에 상당수에서 HBV-DNA가 양성으로 나타난다.

PCR assay로 HBV-DNA를 검출하는 것은 anti-HBe로 혈청

전환 후 추적관찰시 큰 의미가 없으며9 ,4 7 - 4 9

, 또한 HBV-bDNA 음성이고 PCR assay에서 HBV-DNA가 양성인 경우 임상적 으로 바이러스 활성화라고 생각하기 어렵다 . 따라서 조직학 적으로 간염 소견을 보이는 젊은 성인 만성 B형 간염 바이 러스 보유자가 HBV-bDNA 음성이고 anti-HBe 양성인 경우 에는 비복제기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되므로 항바이러스제 보다는 간세포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면역조절치료 (immunologic modulation)가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그러나 이들 환자 중 일부는 임상경과 중 HBV-DNA가 다시 검출되어 바이러스 재활성화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치료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결론적으로 젊은 성인 남성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 유자에 있어 HBV-bDNA 음성인 경우에도 대부분의 환자 에서 간조직검사상 만성 간질환의 소견이 있었고, 조직검 사시의 ALT, AST치와 만성 간염의 활성 등급 간에는 정상 관 관계가 있었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 ALT와 A ST치가 상 승됐던 군이 정상이었던 군에 비해 높은 염증 활성도를 보 였으며 ALT와 AST치가 정상이었던 군에서도, 염증의 활 성도는 심하지는 않았지만, 종전의 분류 방법에 의하면 79 .9 %에서 만성 간질환(최소 간염 제외)의 소견이 있었다.

이들 HBV-bDNA 음성인 젊은 성인 환자들의 대부분은 anti-HBe 양성으로, B형 간염의 자연경과 중 혈청 전환이 일어난 비복제기의 초기로 추정해 볼 수 있으며 상당수 관 찰되는 만성 간질환의 조직 소견은 혈청 전환 후의 B형 간 염의 자연경과상 자연회복될 가능성도 있지만5 0 이에 대해 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목 적 : HBV-DNA 음성인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 자는 드물지 않고 이들의 간조직검사 소견은 잘 알려져 있 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젊은 성인 남자로 HBV-bDNA 음 성인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간조직검사 소견을 알아보고 또한 조직 소견과 검사실 소견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 상 및 방 법 : 젊은 성인 남자 만성 B 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로 간조직검사를 받고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없는 HBV-bDNA 음성인 29명을 대 상으로 하였다 . 조직검사 소견은 간염활성 등급과 섬유화 등급으로 판독하였다 . 결 과 : 가족력이 있는 환자 중 45.5%

에서 모체감염이 있었다. 대상환자의 48.3%에서 만성 간염 의 급성 악화가 있었다 . anti-HBe는 82.8%에서 양성이었다.

만성 지속성 간염이 27.6%, 만성 활동성 간염은 62.0 %에서 나타났다 . 소엽내 활성 등급은 grade 0이 0 %, grade 1은 7 .1%, grade 2는 60.7 %, grade 3은 28.6 %, grade 4는 3.6%

(6)

4 2 4 대한소화기학회지: 제38권 제6호 2001

였고, 문맥/문맥 주변부 활성 등급은 grade 0이 35.7 %, grade 1은 14 .3 %, grade 2는 10 .7 %, grade 3은 25 %, grade 4는 14 .3 %로 나타났다. 섬유화 등급은 stage 0이 10 .7 %, stage 1은 35 .7 %, stage 2는 25 %, stage 3은 28.6 %였다 . 간 염의 활성 등급과 섬유화와 간조직검사시 ALT와 AST값과 는 유의한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 ALT 와 AST치가 정상이었던 환자에 비해 비정상 간기능군에서 소엽내 활성 등급과 문맥/문맥 주변부 활성 등급에서 유의 하게 높은 염증활성도를 보여 더 심한 조직학적 간염 소견 을 보였다. 결 론 : HBV-bDNA 음성인 젊은 성인 환자들의 대부분은 anti-HBe 양성으로 만성 간질환의 조직 소견이 상 당수 관찰되었다. 이들은 혈청 전환 후의 B형 간염의 자연 경과상 자연회복될 가능성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색 인 단 어 : 만성 B형 간염, HBV-DNA, 간조직검사

참 고 문 헌

1. 오덕자, 황유성, 최중문, 민태희. 공혈자의 간염표지자 양성율 및 양성군의 ALT평균수치 : HBs항원 및 항체 음 성공혈자의 HBc항체 양성률. 대한수혈학회지 1997;8:

9- 17.

2 . 정보찬, 이선호, 김두성, 김상인 . 한국 헌혈자에서의 B 형, C형 감염 표지자 양성율. 대한수혈학회지 1994;5:

143- 149.

3. 김영기, 오영철, 김기홍 . HBsAg및 Anti-HCV 양성 헌혈 자의 수종 생화학검사 분포양상. 대한수혈학회지 1993;4:

207-2 14.

4 . 조남선, 안형식 . 헌혈자에서의 간염 표지자 양성율에 대 한 고찰과 대리표식자로서 ALT의 유용성에 관한 검토.

대한수혈학회지 1997;8:19-29.

5 . 정태준 . 간염 표면항원 만성 보유자의 임상적, 조직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 대한군진의학학술지 1980;11:60-66.

6. 김병헌 . Hepatitis B surface antigen 만성 보균자에 대한 임상학적, 조직학적 및 혈청학적 연구. 대한군진의학학 술지 198 1;12:8 1-9 1.

7 . 정병천, 양기화, 박제천. 만성 HBsAg 보균자에 있어 간침 생검소견에 관한 연구. 대한군진의학학술지 1989;20:39-49.

8. 조남훈, 김철민, 김승육. 만성간염의 혈청학적, 조직학적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및 고찰. 대한군진의학학술지

1993;24 :104- 112 .

9 . Lok AS. Hepatitis B infection: pathogenesis and management.

J Hepatol 2000 ;32 (Suppl):89-97 .

10. 박찬일. 만성 간염의 새로운 분류법 : 소개와 적용 . 대한

의사협회지 1998;4 1:323-329.

11. Chen DS. Natural history of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 new light on an old story . J Gastroenterol Hepatol 1993;8:470-475.

12 . Hoofnagle JH, Shafritz DA, Popper H . Chronic type B hepatitis and the "healthy" HBsAg carrier state . Hepatology 1987 ;7 :758-763.

13. Dragosics B, Ferenci P, Hitchman E, Denk H . Long- term follow-up study of asymptomatic HBsAg-positive voluntary blood donors in Austria: a clinical and histologic evaluation of 242 cases. Hepatology 1987;7:

302-306.

14 . Villeneuve JP, Desrochers M, Infante-Rivard C, et al . A long-term follow-up study of asymptom atic hepatitis B surface antigen-positive carriers in Montreal. Gastroenterology 1994; 106:1000- 1005 .

15 . Chon CY, Han KH , Lee KS, et al . Peritoneoscopic liver biopsy findings in asymptomatic chronic HBsAg carriers with norm al liver function tests and no hepatomegaly . Yonsei Med J 1996;37:295-30 1.

16. De Franchis R . Meucci G, Vecchi M, et al . The natural history of asympomatic hepatitis B surface antigen carriers. Ann Intern Med 1993; 118:19 1- 194.

17 . Villeneuve JP, Richer G , Cote J, et al. Chronic carriers of hepatitis B antigen (HBsAg). Histological, biochemical, and immunological findings in 3 1 voluntary blood donors. Am J Dig Dis 1976;2 1: 18-25 .

18. Feinman SV, Cooter N, Sinclair JC, Wobel DM, Berris B.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HBsAg (Australia antigen): carrier state. Gastroenterology 1975 ; 68:113- 120 .

19 . Woolf IL, Boyes BE, Jones DM, et al. Asymptomatic liver disease in hepatitis B antigen carriers. J Clin Pathol 1974 ;27:348-352 .

20 . Shrago SS, Auslander MO, Gitnick GL. Hepatic pathologic condition in asymptomatic Australia antigen carriers. A light m icroscopical study of 26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 Arch Pathol Lab Med

1977; 10 1:648-65 1.

2 1. Vittal SB, Dourdourekas D, Shobassy N, et al . Asymptomatic hapatic disease in blood donors with hepatitis B antigenemia . Am J Clin Pathol 1974;62 : 649-654.

22 . Velasco M, Gonzalez-Ceron M, de la Fuente C, Ruiz A . Donoso S, Katz R . Clinical and pathological study of

(7)

노병주 외 6인, HBV-bDNA 음성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간조직검사 소견과 임상적 특징 4 2 5

asymptomatic HBsAg carriers in Chile . Gut 1978; 19 : 569-57 1.

23. Simon JB, Patel SK . Liver diseases in asymptomatic carriers of hepatitis B antigen . Gastroenterology 1974;66:

1020- 1028.

24. 박실무, 김정룡, 김용일 . 한국인 Hepatitis B antigen carrier에 있어서 간의 병리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 대한내과학회 잡지 1973;16:9-2 1.

25. 전재윤, 강진경, 최흥재, 이광길 . 만성 HBsAg carrier에 있어서 복강경 검사하 간침생검 소견에 관한 연구 . 대 한내과학회 잡지 1987;32:348-354.

26. De Franchis R, D’Arminio A, Vecchi M, et al. Chronic asymptomatic HBsAg carriers: histologic abnormalities and diagnostic and prognostic value of serologic m arkers of the HBV . Gastroenterology 1980;79 :52 1-527 . 27. 유병철. B형 간염의 자연경과 . In : 김정룡, ed . 대한소화

기학회 총서2 간염 . 서울:군자출판사, 1998:37-45.

28. Stroffolini T, Sagnelli E, Rapicetta M, et al. Hepatitis B virus DNA in chronic HBsAg carriers : correlation with HBeAg/anti-HBe status, anti-HD and liver histology.

Hepatogastroenterology 1992 ;39 :62-65.

29. Baker BL, Di Bisceglie AM, Kaneko S, et al. Determination of hepatitis B virus DNA in serum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 clinical significance and correlation with serological and biochemical markers . Hepatology 199 1;13:632-636.

30. Chu CH, Liaw YF, Sheen IS, Chen TJ . Correlation of age with the status of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and histological changes in chronic type B hepatitis. Liver

1985 ;5 :117- 122 .

3 1. Dusheiko G, Paterson A . Hepatitis B core and surface antigen expression in HBeAg and HBV DNA positive chronic hepatitis B : correlation with clinical and histological parameters . Liver 1987 ;7 :228-232 .

32. ter Borg F, ten Kate FJ, Cuypers HT, et al . Relation between laboratory test results and histological hepatitis activity in individuals positive fo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nd antibodies to hepatitis B e antigen . Lancet 1998;35 1: 19 14- 19 18.

33. Zavaglia C, Mondazzi L, Maggi G, et al. Are alanine aminotransferase, hepatitis B virus DNA or IgM antibody to hepatitis B core antigen serum levels predictors of histological grading in chronic hepatitis B? Liver

1997 ;17 :83-87.

34. W illiams AL, Hoofnagle JH . Ratio of serum aspartate to

alanine aminotransferase in chronic hepatitis . Relationship to cirrhosis. Gastroenterology. 1988;95 : 734-739.

35 . McCullough AJ, Stassen W N, Wiesner RH, Czaj a AJ . Serum type III procollagen peptide concentrations in severe chronic active hepatitis : relationship to cirrhosis and disease activity . Hepatology 1987 ;7 :49-54.

36. 박찬일 . 만성 간염의 조직학적 특성. 대한의학협회지 1993;36:542-55 1.

37 . 한남익, 진동찬, 조현미 등 . HBsAg양성 및 음성 간질환 에서 혈청 AST/ALT비의 의의. 대한내과학회 잡지

1990;38:20-27 .

38. Rapicetta M , di Nardo V, Rozera C, et al. HBV-DNA, HBeAg/ anti-HBe serological status in hepatitis B chronic individuals from central Italy . Epidemiol Infect 1990; 104 :5 11-5 17 .

39 . Bonino F, Rosina F, Rizzetto M, et al. Chronic hepatitis in HBsAg carriers with serum HBV -DNA and anti-HBe . Gastroenterology 1986;90: 1268- 1273.

40 . Hadziyannis SJ, Lieberman HM, Karvountzis GG , Shafritz DA . Analysis of liver disease, nuclear HBcAg, viral replication , and hepatitis B virus DNA in liver and serum of HBeAg vs . anti-HBe positive carriers of hepatitis B virus. Hepatology 1983;3:656-662 .

4 1. Karayiannis P, Fowler MJ, Lok AS, Greenfield C, Monj ardino J, Thomas HC . Detection of serum HBV-DNA by m olecular hybridisation . Correlation with HBeAg/ anti-HBe status, racial origin , liver histology and hepatocellular carcinom a. J Hepatol 1985; 1:99- 106.

42 . Berris B, Sampliner RE, Sooknanan R, Feinman SV . Hepatitis B virus DNA in asymptomatic HBsAg carriers:

comparison with HBeAg/anti-HBe status . J Med Virol 1987;23:233-239 .

43. Chen DS, Lai MY, Lee SC, Yang PM , Sheu JC, Sung JL . Serum HBsAg, HBeAg, anti-HBe, and hepatitis B viral DNA in asymptomatic carriers in Taiwan . J Med Virol 1986;19 :87-94.

44 . 송제일, 유권, 이효석, 김정룡 . HBsAg이 양성인 만성 간 질환 환자에서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이용한 HBV DNA 검출의 의의. 대한내과학회 잡지 199 1;40:299-307.

45 . Khakoo SI, Soni PN, Brown D , Dusheiko GM . A clinical evaluation of a new method for HBV DNA quant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 J Med virol 1996;50: 112- 116.

46. Pawlotsky JM, Bastie A, Lonj on I, et al. What

(8)

4 2 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8, No. 6, 2001

technique should be used for routin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HBV DNA in clinical samples? J Virol Methods 1997;65 :245-253.

47. Niitsuma H, Ishii M , Miura M, Kobayashi K, Toyota T.

Low level hepatitis B virem ia detected by polym erase chain reaction accompanies the absence of HBe antigenemia and hepatitis in hepatitis B virus carriers . Am J Gastroenterol 1997 ;92: 119- 123.

48. Jardi R, Buti M , Rodriguez-Frias F, et al. The value of quantitative detection of HBV-DNA amplified by PCR in the study of hepatitis B infection . J Hepatol 1996;24 :680-685 .

49 . Loriot MA, Marcellin P, Bismuth E, et al . Demonstration of hepatitis B virus DNA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the serum and the liver after spontaneous or therapeutically induced HBeAg to anti-HBe or HBsAg to anti-HBs seroconver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 Hepatology

1992; 15 :32-36.

50 . Ruiz-Moreno M , Otero M, Millan A, et al. Clinical and histological outcom e after hepatitis B e antigen to antibody seroconversion in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 Hepatology 1999 ;29:572-575.

수치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29 Patients Age (yr)
Table 3 . Histologic Classification of Hepatitis of the Patients by Scoring System
Table 7 . Comparison of Portoperiportal Activity between the Patients with Normal Liver Function and Abnorm al Liver Function

참조

관련 문서

• 퇴행성질환으로 관상동맥으로부터 대동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동 맥에 만성 염증이 생겨서 혈관의 결합조직이 증가하여 혈관벽의 탄력성이

[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loss in antiviral-treated patients with HBeAg(+) chronic hepatitis B (CHB) infection: observations from antiviral-naïve patients

Diffuse pain in lumbar muscles;some radiation to buttocks Localized lumbar pain: similar findings to lumbar strain Leg pain often worse than back

만성췌장염에서 초음파내시경은 췌장 실질과 췌관의 변 화를 모두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민감한 영상 소견 을 얻을 수 있어 만성 췌장염의 진단, 특히 조기 만성

상기도 기침 증후군은 각종 비염(rhinitis)과 부비동염(rhinosinusitis)에서 발생할 수 있다. 부비동염 또한 과거 sinusitis로 불렀으나 대 부분

만성통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우울증을 동반하는 경우 가 많으며, 항우울제가 하향통증 억제계에 작용하여서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Tenofovir alafenamide versus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 randomised, double-bl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