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왜 모든 사회에서 근친혼은 금기인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왜 모든 사회에서 근친혼은 금기인가? "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사회적으로 배제된 여성 젠더

왜 모든 사회에서 근친혼은 금기인가?

왜 우리는 결혼하는가?

사랑을 파괴하는 문명?

문명을 파괴하는 사랑?

사랑하면 결혼해야 하는가?

누가 남자와 여자를 만들었는가?

여성의 미래

(2)

 레비스트로스

• 모든 문명사회나 부족사회에서 근친혼을 금기 또는 타부(taboo)로 간주 한다고 분석

 인간의 역사 가운데 가장 공통적으로 근친혼을 금지하는 경우가 어머니와 아들의 결혼

→ 아버지가 소유하고 있는 어머니를 아들이 차지하거나 넘볼 수 없고, 아들의 입장에서 어머니를 차지하고 싶은 욕망이 있다는 것

왜 모든 사회에서 근친혼은 금기인가?

(3)

 프로이트

• 아들이 어머니를 지극히 사랑하고 사랑하다 못해 아버지와 같이 어머니와 결혼하고 싶어하는 것을 오이디프스 콤플렉스라 지음

• 당시에 인기 있었던 자연주의에 영향을 받아 인간의 본능을 가장 본질적 요소로 간주

• 성적 대상이 무차별적이라고 봄

• 인간의 단계: 리비도(원초적인 본능, libido)

→ 이드(원초적인 본능을 가진 존재, id)

→ 자아(Self) 탄생 → 초자아(Superego)

 인간은 사회적으로 개인이 하고 싶은대로 행동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과정 을 겪음

이처럼 인간의 행동을 통제하는 규범을 초자아(Superego)라 함

왜 모든 사회에서 근친혼은 금기인가?

(4)

 대부분 종교가 이러한 초자아의 역할을 수행 실제로 기독교를 비롯한 거의 모든 종교들이 성적인 통제를 중요하게 강조

 그러나 모든 종교가 성적 억압에 주력했던 것은 아님 고대 그리스나 로마 시대는 성적 자유를 허용

예) 나체 동상, 알몸으로 경기

 중세 기독교 시대가 등장하면서 알몸을 보는 것조차 금지

→ 인간의 신체를 열등하고 불결한 것으로 보고 성적 욕망 에 사로잡혀 금기를 깰 수 있는 위험한 것으로 간주

 이처럼, 중세 유럽의 성적 통제는 극단적인 경향을 보임 유럽 사람들이 현재의 성 풍습을 보면 자유로워 보이지만 이는 아주 최근의 일

 1960년대 이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성에 대한 인간의 태도에 영향

왜 모든 사회에서 근친혼은 금기인가?

(5)

 프로이트

• 인간의 성은 위험하고 불결하고 통제하고 금욕해야 하는 것이 아닌 보편적 이고 자연스러운 욕망

• 오히려 문명이 성을 억압

• 성적 통제는 사회의 유지를 위해 불가피

성적 통제란 남자들이 여자를 두고 지나친 경쟁을 벌이는 것을 막기 위해 성적 욕망을 친구와의 우정 혹은 공동체의 윤리라는 이름으로 승화한 것 즉 직접적인 금지보다는 더 높은 가치로 승화한 것이라고 주장

왜 모든 사회에서 근친혼은 금기인가?

(6)

왜 우리는 결혼하는가?

 기능주의 관점

• 가족이 생겨난 것은 인간의 성적인 관계를 통제하기 위한 것

• 결혼은 사회 유지를 위한 기능을 수행

• 아내나 남편을 차지하기 위해서 지나치게 많은 경쟁이 있기 때문에 결혼이 사회갈등을 줄이는 효과

• 동물의 결혼제도: 일부다처제 → 심각한 부작용 (성적 불만, 일탈 행동) 동물 세계에 비해 인간 사회의 결혼은 사회적으로 가장 경쟁이나 갈등을 줄일 수 있는 제도

• 외도: 일종의 안전 밸브(safety valve)로 간주. 오히려 공동체를 유지

 현대 사회야말로 개인적 자유를 존중하고 일생생활에서 개인화의 경향이 커진다고 생각하지만, 성적 행동과 같은 개인적 영역에서 사회적 규제가 강화되는 사례가 발생

(7)

 마르쿠제

•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의 성을 통제 할 수 밖에 없음

• 성에 대해 지나치게 몰두하거나, 성적인 외도나 탈선을 많이 하면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위기를 만들어 오히려 악영향

• 근본적으로 자본주의가 인간의 성적 욕망을 억압

 베트남 전쟁 반대운동: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유로운 사랑이나 연애를 갈구 하고 성적 해방이 주요 목표

1960년대 성 혁명(Sex Revolution)의 영향으로 발생

 68혁명: 사랑 없이도 성관계를 할 수 있다는 생각까지 발전 성관계는 그저 쾌락의 수단으로 간주

→ 성적 해방이나 자유가 늘어나는 계기

사랑을 파괴하는 문명? 문명을 파괴하는 사랑?

(8)

사랑하면 결혼해야 하는가?

 현대 사회에서 성에 대한 생각은 점차 낭만적

사랑이 사라지는 대신 결혼과 가족을 전제로 하지 않는 조형적 성(plastic sexuality)이 증가

 앤서니 기든스

• 조형적 성이라는 개념 제시

• 성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사람을 만나거나 사랑하다가 헤어지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

→ 이는 단순히 성적인 관념이 변화하는 것이 아닌 남녀 사이에 친밀성의 토대가 바뀌는 것

 조형적 성의 문화가 확산되면서 사랑이라는 전통 적 관념이 약화되거나 해체

(9)

사랑하면 결혼해야 하는가?

 한국

• 낭만적인 사랑보다는 계산적이고, 단기적이고, 일회적인 사랑의 문화가 만연 → 남녀의 친밀성 약화 → 이혼율의 증가

 프로이트

•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사회적 통제나 억압이 훨씬 강하게 경험하기 때문에 신경증에 걸리기 쉬움

 여성주의 학자

• 프로이트가 거세 콤플렉스와 여성의 정신질환을 연결시키면서 남성 중심 적 사고를 제시했다고 비판

• 성에 관한 사회의 지식과 태도가 남성의 지배, 즉 가부장제를 유지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고 지적

(10)

 한국에서 여성의 전통적 성 역할에 관한 고정관념 : 현모양처, 남자 중심의 가부장주의

 전 세계에서 오랫동안 여성은 가정에 갇혀 있었으며 사회적 발언과 정치적 참여는 거의 봉쇄

→ 여성의 참정권 운동은 1914년 발생한 1차 세계대전이 분수령

→ 대부분의 나라에서 1920년대 이후부터 점차 여성의 투표권을 인정

 역사적으로 한국의 경우 오히려 조선 시대, 고려 시대, 삼국 시대에 여성의 권력이 남성보다 강함

• 여자들이 시집가는 것이 아니라 남자들이 장가(장인의 집)를 감

• 16세기 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장자상속제가 생김

• 동성동본의 결혼을 막는 것도 비교적 최근의 일

누가 남자와 여자를 만들었는가?

(11)

 페미니즘

• 1960년대 유럽과 미국에 등장, 가부장 문화에 파열

• 기본 생각: 남자와 여자는 평등 → 교육, 정치, 재산 상속에서 평등한 권리

• 시몬느 드 보부아르: <제2의 성>에서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라 주장. 여자라는 존재를 사회적으로 훈육을 시키고 가치관을 주입시킨다고 봄

• 베티 프리단: 여성이 사회에 진출하지 못한 원인 = 여자에 대한 차별 이미 기득권을 가지고 있는 남자의 벽에 막혀 일정한 지위 이상으로 진출할 수 없는 남성 중심의 사회가 문제라 주장

→ 가부장제도가 페미니즘의 주요 비판 대상

누가 남자와 여자를 만들었는가?

(12)

누가 남자와 여자를 만들었는가?

 여성의 성 역할에 대해 사회학 이론은 크게 두 가지 입장으로 구분

 탤코트 파슨즈: 남성과 여성의 성적인 역할과 차이도 사회의 자연적인 기능의 반영

• 기능주의적 관점: 기본적으로 남녀의 성적 차이 때문에 가족에서 남자와 여자의 역할 분화가 생기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도 보았으며, 사회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

• 그러나, 여성들이 가정에 벗어나서 가족의 재생산이 안되는 것은 아님

→ 오늘날의 출산율이 낮은 이유: 여성의 사회 활동 때문이 아니라 보육의 부담이 커지고, 부부의 자녀에 대한 기대 심리와 가치관이 변화하기 때문

(13)

누가 남자와 여자를 만들었는가?

 페미니스트 사회학자

• 남녀의 성적 역할을 전제로 한 가부장제 구조가 남녀 불평등을 가져 왔다고 비판 → 기능주의 이론 비판

• 생물학적 성(sex)과 문화적 젠더(gender)를 구분 성(sex): 생물학적으로 여성과 남성을 구분

젠더(gender): 사회·문화적으로 남성과 여성을 구분

남자다움, 여성다움 또는 남자의 일, 여자의 일에 관한 고정관념이 사회 속에서 유지되고 존속

• 젠더 평등을 주장하는 여성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 예) 서양의 호칭 미스(Ms) 사용, 차별 금지법

(14)

누가 남자와 여자를 만들었는가?

 한국 사회: 여성들이 대학에 진학하면서 직장에 취업하는 수가 증가하고 남녀의 권력관계가 급속하게 변화

• 1987년 여성단체들이 조직화되어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 최근 시험으로 선발하는 공무원, 외교관, 변호사에 여성의 진출이 급증 하는 데 비해 고위직 여성 비율은 여전히 매우 낮음

→ 아직도 기업의 고위직 임원에 진출하려는 여성 앞에 눈에 보이지 않는

‘유리 천장’이 존재

→ 기업의 조직 문화에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훨씬 강고

(15)

여성의 미래

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늘어나고 남녀평등이 강화

→ 젠더(남녀의 평등)라는 용어가 널리 알려짐

 급진적인 페미니즘

• 주디스 버클러: <젠더 트러블Gender Trouble>에서 사회에 존재하는 이성애 나 동성애의 구분 자체도 사회적, 문화적으로 생산되었다고 주장 생물학적 성적 구분 역시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며, 남성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고 비판

 포스트페미니즘(postfeminism) 혹은 탈페미니즘

• 남녀의 관계를 갈등 관계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반박

• 결혼으로 인해 여성이 남성에게 굴종한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

(16)

여성의 미래

 이처럼, 여성의 평등과 해방도 하나의 유형만 있다고 보기 어려움

 오히려 여성해방이 가사노동과 경제활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여성의 이중 부담을 증가시켰다는 비판 존재

 그러나,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바꾸려는 페미니즘 운동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사회적 도전이 될 것

참조

관련 문서

행복경제학의

구분 사업부문 프로그램명

연구지도(논문작성 예정자만

한 언어 사용자들의 원주지(原住地) 또는 이주(移住)에 대해서 다른 언어 사용자들과의 접촉 또는 그들이 겪은 문화적, 사회적 변동에 대해서 논하는

[r]

교육비의

• 이러한 팔리 산스크리트어와 태국어의 언어접촉으로 고립어인 태국어에 다 음절어가 생겨나고 음절 수를 줄이기 위한 묵음부호가 생겨났다. •

 변태성욕(paraphilia)  성적 흥분이 부적절한 대상을 향해 나타나는 성적 장애.. &lt;예시&gt; 접촉도착증(frotteur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