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가 만성질환 관리정책 보건복지부 질병관리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국가 만성질환 관리정책 보건복지부 질병관리팀"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국가 만성질환 관리정책

보건복지부 질병관리팀

정 통 령

만성질환의 정의(1)

• 김정순

– 원인이 불명확하고 여러 가지 위험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

– 잠재기가 길며 일단 발생하면 3개월 이상 오랜 기간의 경과를 취함

–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면서 악화가 거듭될 때마다 병리적 변화는 커지고 생리적 상태로의 복귀는 적어져 결국 기능 장애와 불능으로 진행되면 완치는 어려움 – 연령 증가와 비례적으로 그 유병률이 증가

만성질환의 정의(2)

• National Commission on Chronic Illness

– 질병 자체가 영구적인 것

– 후유증으로 불능(disability)를 동반하는 것 – 회복 불가능한 병리적 병변을 가지는 질병 – 재활에 특수한 훈련을 요하는 질병

– 장기간에 걸친 보호, 감시 및 치료를 요하는 질병이나 기능 장애

Acute vs. Chronic conditions

Prof.’s and patients have complementary knowledge and exp.’s

Prof.’s - knowledgeable Patients - inexperienced Knowledge

Pervasive Minimal

Uncertainty

No cure Cure possible

Outcome

Often indecisive; adverse effects common Usually effective

Intervention

Often uncertain Usually accurate

Diagnosis and prognosis

Usually multiple and changes over time

Usually single Cause

Lengthy and indefinite Limited

Duration

Generally gradual and often insidious

Abrupt Onset

Chronic Illness Acute disease

(Holman et al, 2000)

우리나라 주요 만성질환 현황(1)

심뇌혈관질환은 1위 사망 원인 뇌졸중은 단일질환으로 1위 : 사망률 유지,

치명률 감소, 고령화 -> 장애 증가 허혈성심질환 사망률 최근 10년간 2배 증가

인구 10만명당 12.6명(’94) → 26.3명(’04) 당뇨 사망 비중 : ’83년 0.7% → ’04년 4.8%

고혈압 유병률 : >30세 30%. >65세 50%

생존시에도 장애발생, 치료 및 재활에 대한 질병부담이 가장 높은 질환(질병부담 1위)

7.3 10.4 17.2 17.3 19.1 사망률

추락사고 고혈압성 질환 운수사고 만성하기도질환 간질환

사망원인

`24.3 25.2 36.9 70.3 133.5 사망률

당뇨 자살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암(악성 신생물)

사망원인

10위 9위 8위 7위 6위 순위

5위 4위 3위 2위 1위 순위

0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600000

손상 5대 악성종양 심혈관질환

장애보정생존년(인년)

뇌졸중 허혈성심장질환 손상 및 5대악성종양

사망원인통계연보,통계청(2004)

(2)

우리나라 주요 만성질환 현황(2)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983198419851986198719881989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

고혈압성질환 허혈성심질환 뇌혈관질환

우리나라 주요 만성질환 현황(3)

0.0 5.0 10.0 15.0 20.0 25.0 30.0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호흡기결핵 당뇨병

만성질환 관리의 필요성(1)

• 만성질환은 예방 가능한 주요 사망 원인 – 전세계 사망자 수의 59%가 만성질환 – 미국 사망자 중 70%가 만성질환이 원인

(만성질환으로 인한 의료비가 전체 75% 차지)

– 우리나라의 경우,

• 5대 만성질환에 의한 사망이 ’03년 전체 사망의 63.1% 차지

• 20년 전보다 15.1% 증가

•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자수 및 사망구조의 추이

자료: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 각 연도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1985 199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사 망 년 도

사망자

전 체 사망 자 당 뇨 병 고 혈 압성 질 환 간 질 환 심 장 질환 뇌 혈 관질 환 신 생 물(암 )

만성질환들

만성질환관리의 필요성(2)

• 사회적 영향 – 직접비용 – 간접비용

• (예) 심뇌혈관질환의 사회경제적 비용 – 심뇌혈관질환 요양급여 비용 : 1조5천억(’04년) – 사회경제적 비용 : 5조4천억(악성종양 5조5천억)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년 국민의료비 추계, 2003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198519901995 1996 1997 199819992000 2001 2002 연도

억원

국민의료비 노인의료비 정부 보건예산

• 국민의료비, 노인의료비 및 정부 보건예산

(3)

Poor CDM leads to wasteful use of high intensity resources.

80% of bed days in hospitals are currently used by emergency beds

ÅÅÅÅÅÅÅÅÅÅ

Of the eleven leading causes of bed use in the UK, eight are due to conditions that strengthened community care would lead to a fall in bed use

ÅÅÅÅÅÅÅÅÅÅÅ

50% of bed day use is accounted for by only 2.7% of all medical conditions, most of which are chronic diseases. (Source: HES data 2002)

C u m u la t iv e b e d d a y u s e b y IC D c o d e

- 1 0 ,0 0 0 ,0 0 0 2 0 ,0 0 0 ,0 0 0 3 0 ,0 0 0 ,0 0 0 4 0 ,0 0 0 ,0 0 0 5 0 ,0 0 0 ,0 0 0 6 0 ,0 0 0 ,0 0 0

C a u s e o f a d m is s io n

Bed days used

50% of admissions are accounted for by 2.7% of all diseases 25% of admissions are accounted for by 0.67% of all diseases

And in some cases a few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end up on the “revolving door”

Percentage of those admitted as inpatients by cumulative days spent as inpatients

0.00 0.10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1.00

0.00 0.10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1.00

Percentage of inpatients Cumulative percentage of inpatiendays

10% of patients account for 55% of bed use 5% of patients account for 42% of bed use

만성질환 관리의 필요성(3)

• 만성질환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 Persistent symptoms

– Continuous medication use – Behavior change

– Change in social and work circumstances – Emotional distress

• Holman, Chronic Illness 2005

외국의 만성질환 관리 모형

•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 WHO Global strategy

• High income countries – Chronic care model – Self-management

The Chronic Care Model

i

i Wagner EH. Chronic disease management: What will it take to improve care for chronic illness? Effective Clinical Practice. 1998;1:2-4.

(4)

Chronic care model

• Key components – register of patients – electronic medical record – individual management plans –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 group meetings of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 remote management capabilities

만성질환 관리 정책 및 조직 개발

질병관리과

질병정책팀 정신보건팀 암관리팀 구강보건팀

장애인정책관

• 장애인정책팀

• 재활지원팀

•소득보장팀

국립보건원 질병관리본부

• 질병조사감시부• 생명의학부

• 유전체연구부 등

이전

이전

현재

현재

보건교육과 보건정책팀

• 건강증진사업

• 보건소관리

만성질환 관련 법규의 정비

• 만성질환 관리를 규정한 법규

– 보건의료기본법

– 암관리법, 정신보건법, 구강보건법

• 주요 위험요인 예방 및 관리를 규정한 법규

– 국민건강증진법

• 건강검진 등을 규정한 법규

– 국민건강보험법, 암관리법

– 모자보건법, 노인복지법, 산업안전보건법 – 학교보건법 등

• 만성질환관리법 제정 추진 검토

보건복지부 만성질환 관리사업 추진 연혁

• ’00년부터 보건소 중심 고혈압, 당뇨 관리 시범사업 실시

– 홍보사업은 민간단체 중심으로 ’00년부터 시행

• ’03년 고혈압, 당뇨 관리사업 전국 보건소 확대

• ’04년부터 보건소 만성질환 관리사업 지원을 위한 광역자치단체사업 실시

– ’04년 6개 시도 → ’05년 8개 시도 → ’06년 전국 16개 시도로 확대

• ’05년부터 보건소 관리대상 질환에 고지혈증 추가

• ’06년부터 비만클리닉 시범사업 실시 (5개소)

연도별 사업예산

2,000 1,587 1,015 1,158 1,158 1,258 350 예산 총액(백만원)

100 100 100 100 100 100 만성질환 100

협회

- - - 40 40 40 50 당뇨협회

200 200 - 100 100 200 고혈압사 -

업단 민간단체

사업

700 787 415 918 918 918 보건소고혈압당뇨 200

병관리사업

1,000 500 500 - - - - 광역자치단체사업

’06

’05

’04

’03

’02

’01

’00

2006년 주요 만성질환관리사업 개요

• 보건소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관리사업 – 사업수행주체 : 전국 보건소

– 사업대상 : 지역사회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환자 및 위험요인 보인자

• 고혈압 전단계, 당뇨 전단계 등 포함

• 보건소 지원을 위한 광역자치단체사업 – 사업수행주체 : 광역자치단체 – 사업의 범위

• 주요 만성질환에 대한 지역사회 진단 및 중장기 계획

• 전문가 및 관련단체와 협력을 통한 광역단위 만성질환 관리사업 추진

• 만성질환 교육, 홍보자료 개발 및 제작, 배포

• 보건소 만성질환 관리사업 평가 및 담당자 교육, 훈련

• 민간단체 주관 예방교육 홍보사업

– 사업수행주체 :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목적사업으로 하는 비영리법인 – 사업의 범위 : 민간 중심의 만성질환 관련 교육, 홍보사업

※ 보건소 만성질환 관리사업과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 확대

(5)

만성질환 관리정책 수립 시 고려할 점

• 만성 질환에 국가가 개입을 하여야 하는가?

• 국가가 개입하여야 하는 만성질환의 범위는?

• 국가가 개입하는 수준은?

Common Risk Factor Approach

중점관리 대상질환의 선정

일 반국 민 고 위험 군 심ᆞ 혈관 질 환자

삼 차 예 방( 대 상 질병 )

건 강증 진건강 증 진 위험 요인 감 소 및 예 방 위 험요 인 감소

및 예방 조 기 진단 및 치 료 관리

조 기 진 단 및 치 료관 리 응 급 치료응급 치 료

재 활재활

흡연 식이 신체활 동

위험요인 감 소

적절 한 치 료 병원 전

서비스

병원 서비스

질환 치료 및 재발 방지

질환 치 료 및 재발 방지 이차 예 방( 위험 질 병 )

재활 서비스 건 강 증진 (위 험행 태)

학교 , 직 장, 지 역 사 회 학 교, 직장 ,

지역 사회 의료 기관의 료기 관 응급 대응

체 계 응 급대 응

체계 의료 기 관의 료기 관 재 활기 관재활 기관 비만

고지혈증 고 혈압

당 뇨

만성질환 관리의 전략

새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의 관리대상질환

• 과체중과 비만

• 고혈압

• 당뇨병

• 심뇌혈관 질환

• 관절염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2006. 6. 9)

(6)

추진배경

•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 증가 – 전체 사망의 28.1%로 암의 26.3%를 상회

– 단일질환으로는 뇌졸중이 사망원인 1위 – 허혈성심장질환 사망 : 최근 10년간 2배 이상 증가

• 인구 10만명당 12.6명(’94) → 26.3명(’04)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심뇌혈관질환의 선행질환 증가

• 30세 이상 성인의 32.3%가 고위험군(’05)

•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 가중 – 심뇌혈관질환 요양급여 비용 : 1조5천억(’04년) – 사회경제적 비용 : 5조4천억(악성종양 5조5천억)

• 심뇌혈관계 돌연사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가

고혈압성질환 (2.1%) 당뇨병 (4.8%) 심장질환

(7.3%) 뇌혈관질환

(13.9%) 암

(26.3%)

9위 5위 3위 2위 1위

현황 및 문제점

• 예방 가능한 심뇌혈관질환 발생 증가

건강위험행태(흡연, 신체활동 감소, 고지방식이)개선 선행질환(고혈압, 당뇨, 비만, 고지혈증) 조기발견, 관리

※ 미국의 경우 적극적인 위험요인 관리를 통해 지난 30년간 심뇌혈관질환 사망률 50% 이상 감소

•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위한 종합적인 국가정책 미흡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심뇌혈관질환 목표 제시

→ 구체적인 세부실행계획 미흡 – 주요 만성질환에 대한 조사감시체계 미비

• 정부조직 취약 및 예산투자 미흡

– 만성질환은 질병관리팀의 한 계(직원 2명)에서 업무 담당 – ’06년 암 관리 예산 1,117억원, 만성질환 예산은 29억원

미국 고혈압 인지x치료x조절율 변화

30 45 58 뇌졸중 조사망률 70

(명/인구10만명당)

14,610 21,916 28,247 34,091 뇌졸중 사망자수(명)

57 36 17 0 뇌졸중 조사망률 감소율

55 34 20 16 고혈압 조절율

73 56 34 36 고혈압 치료율

84 73 64 51 고혈압 인지율

88-91 76-80 74-75 71-72 년도 고혈압 관련지표(%)

자료원 : JNC V report

“조사당시 160/95mmHg 이상 또는 조사 당시 항고혈압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대답한 경우” 를 고혈압으로 정의 (괄호안의 수치는 140/90mmHg 이상인 경우)

심뇌혈관질환을 국가가 왜 관리해야 하는가?

사망 시까지 삶의 질 유지 건강지향적인

사회, 환경적 분위기 조성

바람직한 건강행동 유지

고 위험 인구집단 감소

최소한의 발병/최소한 의 사망

최대한의 기능유지/재 발위험 감소 미래의 바람직한 상황들

치명적인 CVD합병증/회 생불능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 환경적 상태

건강위험

행동들 주요위험

요인

초기발병/

돌연사 장애/위험

요인 재발 현재의 문제 상황들

심뇌혈관질환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중재 및 관리 방법들

삶의 질 향상과 건강수명 연장 불평등 제거 국민건강증진계획 달성목표 목표 1

위험요인 예방

목표 2 위험요인의 감시

및 치료 목표 3 심근경색 및 뇌 졸중의 조기발 견, 치료

목표 4 심뇌혈관계 질환 후유장애 및 재발 예방

지속적인 관리

정책 및 환경적

변화 행태교정

위험요일 검진 및 조절 응급적 조치/

급성환자 관리 재활치료/장기요양 환자 관리

생의말기 환자 관리 사망 시까지 삶의 질 유지 건강지향적인

사회, 환경적 분위기 조성

바람직한 건강행동 유지

고 위험 인구집단 감소

최소한의 발병/최소한 의 사망

최대한의 기능유지/재 발위험 감소 미래의 바람직한 상황들

치명적인 CVD합병증/회 생불능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 환경적 상태

건강위험

행동들 주요위험

요인

초기발병/

돌연사 장애/위험

요인 재발 현재의 문제 상황들

(7)

종합대책 세부추진계획

• 중점관리 영역

1. 국민인식 제고 및 건강생활 실천율 향상 (1차 예방) 2. 고위험군 대상 질병위험요인 예방 관리 (2차 예방) 3. 뇌졸중, 심근경색 등 중점 관리 질병 관리 (3차 예방) 4. 만성질환 관리 인프라 구축

1. 국민인식 제고 및 건강생활실천율 향상

• 대국민 홍보 종합대책 추진

– 대상자별로 세분화된 체계적인 홍보전략 추진 – 건강예보제 도입

• 주요 질병발생 위험 예측정보, 경보성 질병 발생정보, 토막 건강상식 등 제공을 위한 일일 방송코너 신설

• 데이터 중심의 과학적 정보 제공으로 국민신뢰 획득

※ 일기예보 → 기상청, 건강예보 → 질병관리본부

– 국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위원회 운영

• 보건복지부 차관 및 민간(의료계) 1인 공동위원장

• 7개 분과위원회(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뇌졸중, 심장질환, 감시체계) 및 홍보사업단 운영 → 체계적인 대국민 홍보 담당

건강군

고위험군

환자군

언론

공중별

? 건강군

? 고위험군

? 환자군

? 언론

질병별

? 뇌졸중

? 심근경색

? 고혈압

? 당뇨

? 비만

? 이상지혈증

<건강예보제>

? TV 일일코너 신설

? 일일건강예보

<대중매체>

? TV광고

? 인터넷 배너광고

? 신문, 전문지

? 건강예보제

<인쇄매체>

? 책자발간

? 리플렛, 포스터

? 보도자료

<홍보간판>

? 홍보대사

? 간판의사

? 대표공무원

정보증대 인식제고

행동변화 캠페인 목표

? 예방관리 인식 제고

? 올바른 정보 전달

? 캠페인 인지도 80%

메시지 전략

? 질병 심각성 제기

? 자신 문제로 인식

? 예방 방안 안내

인프라 구축

? 홍보사업단 설치

? 홍보협의체 구축

? 예산 확보

행동의도증가 홍보대상 설정 홍보목표 설정 캠페인 기획 홍보 채널 기대효과

지속적 평가

홍보 전략 – 체계적 기획 실행 2. 고위험군 대상 질병위험요인 예방관리

• 병의원과 연계한 고위험군 추구관리 강화 – 주요 만성질환 등록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운영

• 치료일정 및 누락치료 안내, 보건교육기회 정보제공

• 의료급여부터 단계적 도입, 주치의 등록제와 연계

– 국가건강검진제도 개선 → 위험요인에 따른 맞춤형 건강검진 제공

• 취약계층 접근성 제고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 65세 이상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진료비 및 약제비

본인부담금 정액지원

• 표준 서비스 프로토콜 개발, 보급 및 서비스평가제 도입

• 지역사회 기반 보건교육 활성화 – 환자발견사업 및 지역단위 홍보사업 강화 – 지역사회 및 직장 순회 보건교육

– 보건소 상설교육장 및 비약물치료 교육병원 지원 – 공단 검진정보를 활용한 지역단위 보건사업 기획 및 추진

실천 전략적 만성질환 관리사업 모형 - 고혈압

지역사회 기반 보건교육 접근전략

병‚의원 기반 보건교육

주요사업 보건소 상설 교육장

지역사회 순회교육 직장 내 보건교육

비약물치료 교육 지정 병‚의원

교육대상

환자

‚ 일반인

환자

‚ 환자가족

교육목표

전체주민 의 80%

연1회 이상 교육

이수

환자 및 환자 가족 90%이상 연1회 이상 교육

이수

기대성과

건강생활 실천률 향상

질병인식 및 공공대치요령 숙지

환자의 약물 지속치료율 및 비약물요법

실천율 향상 환자 가족의 질병인식 제고 및 응급대처요령

숙지

지역사회 보건교육 활성화 전략

(8)

3. 고위험군 대상 질병위험요인 예방관리

• 응급후송체계 등 응급의료 인프라 강화

– 119 구급대와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의 연계 강화 – 다중이용 시설에 응급심폐소생술 장비, 인력 확보 – 응급구조사 등 전문인력 확충 및 교육훈련 강화 –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방법 교육 강화

• 심뇌혈관질환 관리센터 지정, 운영

– 중앙 심뇌혈관질환 관리센터(500병상 기준)

• 국립의료원에 중앙센터 기능 부여 → 표준진료지침 개발, 응급의료관리기능 등 통합관리를 통한 정책의료기관 역할 강화 – 권역 심뇌혈관질환 관리센터(16개소, 100병상 기준) – 지역 심뇌혈관질환 관리센터(100개소, 전문의료팀 구성)

• 취약계층 방문보건사업 지원체계 강화

– 보건소당 1개의 방문보건사업 지원병원 지정, 운영

뇌졸중, 심근경색 관리체계 기본틀

•지역내 급성기 치료 담당(팀접근)

•재활치료 담당 100개소

대학병원, 종합병원/전문 의료서비스 제공

진료팀 구성 지역

심‚뇌혈관 질환센터

•심‚뇌혈관질환 임상 및 기초연구

•지역센터 임상진료 서비스지원

•권역내 표준화 임상지침 교육 및 인력 훈련

16개소 광역거점 대학병원 /100병상 전담치료시설

증축 권역

심‚뇌혈관 질환센터

•심‚뇌혈관질환 임상 및 기초 연구

•표준화 임상지침 개발 및 교육

•의료서비스 질지표 개발 및 평가 1개소

신설 중앙

심‚뇌혈관 질환센터

주요기능 개소수

구축방안 조직

전문의료서비스 제공체계(1)

중앙 심‚뇌혈관질환센터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대학병원

대학병원 종합병원

일부의뢰

표준임상지침보정 일부의뢰

급성기 치료 및 재활 임상 연구 급성기 치료 및 재활

표준임상지침개발 임상연구기획 및 수행 의료서비스 질 개선 요구 급성기 치료 및 재활

급성기 응급환자

전문 의료서비스

제공

전문의료서비스 제공체계(2)

방문보건 재활체계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방문보건 지원 지정병원 방문보건 수행팀 (방문간호사, 사회봉사도우미)

취약계층 재가환자 시·군·구

보건소

대상 선정, 기초건강사정 대상자 선정 기준 및

인력채용, 운영비 지원

재가방문 가정간호 및 재활서비스 제공 방문보건지원 임상 교육

질병관리본부

방문보건 사업 지침개발 및 사업평가

대상 신청, 서비스 결과 확인

중앙 및 지방의 역할

•환자등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화 보건 사업 발굴

•지역특성화 보건사업 발굴

•방문보건지원병원, 방문보건지원팀 인력지원 및 운영지원 평가

•방문보건지원팀 감독

•방문보건지원병원지 정 및 운영지원 감독 시‚군 보건소

‚구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시설 지원 및 지도감독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전문 진료팀 구성 지원 및 지도감독

•심‚뇌혈관질환 환자 등록 감독

•권역 및 지역센터 운영지원 및 감독

•환자등록 감독 보건위생과 시‚도

•심‚뇌혈관질환자 등록체계 구축 및 운영

•심‚뇌혈관질환 역학 및 기초 연구

•중앙 및 권역 심‚뇌혈관질환 센터의 임상연구 지원 및 평가

•취약계층 방문보건 사업 구축 및 운영

•감시체계구축 및 운영

•역학 및 기초연구

•방문보건사업 구축 질병

관리본부

•심‚뇌혈관 종합대책 수립 및 시행

•중앙 심‚뇌혈관질환센터 신설 및 지도감독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시설 지원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전문 진료팀 구성 지원

•전문의료서비스 제공 보건복지부 체계구축

중앙

역할 주요기능

조직 수준

(9)

4. 만성질환 관리 인프라 구축

• 국가 주요 만성질환 감시체계 구축 – 심뇌혈관질환 조사영역 확대 및 국가 조사체계 개편 – 병원기반 뇌졸중, 심근경색 등록감시체계 구축 – 병의원 기반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등록감시체계 구축

• 법, 제도적 인프라 구축 – 만성질환관리법 제정 추진

– 만성질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정부 조직체계 개편 – 보건소 기능 개편 및 만성질환 관리사업 인력 확충 추진 – 보건소 만성질환 관리사업 담당자 교육프로그램 운영

• 심뇌혈관질환 연구 개발 강화 – 근거중심 정책 개발을 위한 역학연구 수행

– 첨단 치료기술개발 등 임상연구 수행→차세대 성장동력 기반 마련

감시체계 구축 전략

심x뇌혈관질환 감시 체계

질병관리본부 (심‚뇌혈관질환 중앙 등록센터)

질병발생 모니터링, 역학 및 기초연구 활용

시·군·구 보건소 지역사회 정책개발 및 예방관리 프로그램 실행 보건복지부

정책개발 및 평가

중앙 심·뇌혈관센터

권역 심·뇌혈관센터

지역 심·뇌혈관센터

, 조회 환 자 적 정 치 료 로 활 용

임 상 연 구 활 용

, 조 분석

분석결과 환류

분 석 결 과 제

, 조

연구개발체계

중앙 심·뇌혈관센터

권역 심·뇌혈관센터 질병관리본부

(역학 연구)

임상 연구기획 및 연구 의료서비스 질 개선 및 평가연구

<임상 연구>

임상연구 참여 총괄 연구 기획

및 평가 기초 및 역학, 정책 연구 방문보건지원 사업 평가 연구

<기초 및 역학연구>

심x뇌혈관질환 주요대책 요약

• 노인과 취약계층 치료비 지원

• 취약계층 대상 재가방문재활 서비스제공 노인과 취약계층 지원대책 미흡

• 역학 및 임상연구 지원 활성화 R&D 취약

• 뇌졸중, 심근경색, 고혈압, 당뇨등록시스템 구축

• 국민건강영양조사개편

• 청소년 건강위험행태조사 조기정착 패널 구축

• 지역사회 감시체계 구축 및 전담인력양성 심‚뇌혈관질환 감시체계 미흡

급성기 치료 및 재활체계 구축

• 대표 병원 설립

• 거점지역의 병상지원

• 서비스 제공 전문팀 구성 지원 심‚뇌혈관질환 돌연사, 휴유장애,

재발의 예방수준이 기대수준 이하

치료율 및 조절률 향상 대책

• 환자 인센티브 부여

• 환자등록관리

• 서비스 프로토콜 개발, 보급 및 의료기관 평가제도 도입 치료 가능한

심‚뇌혈관질환(고혈압, 당뇨, 이상지혈증)의 낮은 치료율로 예방 가능한 합병증 발생 증가

• 검진율 향상대책 마련

• 보건교육을 통한 검진율 및 인지율 향상 조기발견 가능한

심‚뇌혈관질환(고혈압, 당뇨, 이상지혈증)의 낮은 검진율

국민인식 제고와 건강생활 실천율↑

• 금연, 비만관리등 건강증진 종합대책(금연, 절주, 운동 및 영양등)

• 홍보종합대책 고위험군 질병위험요인 치료율

& 조절율 ↑

• 65세 이상 치료비 경감

• 병‚의원과 연계된 환자 등록관리

• 표준치료프로토콜 보급과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

• 비약물치료 병원지정 운영

급성기 사망률, 뇌졸중, 심근경색 휴유장애 발생율, 재발율 ↑

• 전문의료서비스 제공체계 구축

• 표준 임상 프로토콜 개발 및 보급의료기관 서비스 평가

• 시군구별 1개소 취약계층 방문 보건 지원병원 지정 및 운영

• 보건교육과 홍보를 통한 건강증진

•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인(비만)을 종합대책에 반영

• 고위험군(고혈압, 당뇨, 비만, 이상지혈증)관리로 발생율 및 사망 감소

예방 가능한 심‚뇌혈관질환(고혈압, 당뇨, 이상지혈증, 뇌졸중, 심근경색)발생증가

달성목표 주요대책

핵심문제

종합대책 추진시 국민에게 주어지는 편익

• 심뇌혈관질환 발생 전 단계

–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을 위한 보건교육기회 확대 – 개인별 건강위험에 따른 맞춤형 건강검진 수진 – 진료, 정기검진, 보건교육 일정 등 안내 서비스 – 고혈압, 당료 등 만성질환 관리 의료비 부담 절감

• 심뇌혈관질환 발생 후 단계

– 질환 발생시 빠르고 적절한 후송(3시간 이내) – 병원 전 응급처치 수준 향상(기초심폐소생술 등) – 신속하고 질 높은 전문의료 서비스

• 24시간 전문의 상주 및 병원 도착 후 30분 이내 처치 완료

• 서비스평가제 도입을 통한 질 관리 강화

– 양질의 재활 및 재발방지 서비스

• 종합적 기대효과

– 전반적인 예방, 관리, 치료수준 향상 → 질환발생과 사망, 후유장애 및 재발 최소화

– 국민의료비 4,100억원 포함 사회경제적 부담 연간 1조5천억원 절감

(10)

HP 2010의 뇌졸중, 심근경색 관련 목표

55명 60명 77.2명(2001) 뇌졸중 사망률 감소(인구 10만명당)

전년대비 10%감소 전년대비 20% 감소 28%

(1998~2001) 뇌졸중 급성기 합병증 발생률 개선

70%

14% 50%

(1981) 뇌졸중 환자의 급성기 병원입원치료 비율 향상

70%

20% 40%

(1999) 뇌졸중 발생 후 3시간 이내 병원에 도착하는 환자 비율

80%

67%

55%

뇌졸중 위험증상 인지율의 개선 뇌졸중 급성기 치료의 기반과 역량 강화

16명 25명 24.9명 허혈성 심질환 사망률 감소(인구 10만명당) 심혈관질환의 조기발견, 치료, 재발, 합병증, 사망예방

2020년 목표 2010년 2001년 목표 영역

심x뇌혈관질환 달성목표

70%

50%

- 조절율

90%

70%

30%

지속 치료율

- -

7.0%

유병율

당뇨병

70%

50%

12.1%

조절율

90%

70%

15%

지속 치료율

20%

25.5%

28.5%

유병율

고혈압

16명 25명

24.9명 사망률

(인구10만명당) 심근경색

55명 60명

77.2명 사망률

(인구10만명당) 뇌졸증

2020년 2010년

2001년 질병

추진일정

‘10

‘09

‘08

‘07

‘06

만성질환관리 전문인력 교육훈련센터 지정‚운영 보건소 담당자 교육(FMTP방식으로 운영) 보건소 담당자

교육내용개발

전국확대(16개 시‚도, 248개 보건소) 지역사회 중심

홍보활동 지원(3개 시‚도, 50개 보건소) 지역사회 중심 홍보활동 지원(1개 광역시, 5개 보건소) 홍보내용 개발 지역사회중심 보건 교육 활성화

건강예보제 정착, 매체홍보 활성화, 홍보간판 스타화 건강예보제 도입, 매체홍보실시, 홍보간판

선정‚활용 기본계획수립

홍보사업단 구성 대국민 홍보종합대책 추진 - 건강예보제, 인물홍보, 매체홍보 등

종합대책 추진 영역별 종합대책 및 세부실행계획 수립

건강증진 종합대책 추진 - 금연, 운동, 영양, 절주, 비만 등

국민인식 제고와 건강생활실천

율 향상

128개소 확대운영 96개소 확대운영 시범사업 32개소(시‚도별

2개) 사업모형개발(선정기준, 비약물 치료

가이드라인) 비약물치료 병원지정(시‚군‚구별 환자

1,000명당 1개소)

보급확대(보급률 90%) 보급확대(

보급률 70%) 보급확대(보급률

50%) 시범사업지역에 적용 프로토콜 개발 및 평가 병의원 표준치료 프로토콜 보급 및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 모형개발

병의원과 연계한 고위험환자 등록관리 시범사업(3개 전국사업으로 확대

시범사업(1개 광역시) 시‚도) 타당성검토 65세이상 치료비 정액지원

고위험군 질병위험요인

치료율 및 조절율 증가

전국 시‚군‚구로 확대 시범사업

32개소(시‚도별 2개) 취약계층 방문보건기원 병원 모형개발

지정‚운영(시‚군‚구별 1개소)

표준프로토콜 보급 확대(보급률 100%)의료기관서비스 평가

본사업 표준프로토콜 보급확대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 시범사업 표준치료 프로토콜 및 서비스 평가지침

개발 표준응급치료 프로토콜 보급 및

의료기관서비스 평가

50개소 확대운영 40개소 10개소 시범운영 확대운영 지역(100개, 전문의료팀 구성)

8개소 확대운영 8개소 시범운영

모형개발 권역(16개, 50병상)

시범사업 설립

설계 타당성검토 중앙(1개, 1,000병상)

응급치료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환자 급성기 사망률, 휴유장애 발생률, 재발률

감소

4단계 3단계

2단계 1단계 주요대책

참조

관련 문서

• 비만인 성인의 경우 정상증인 사람에 비해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및 암 발생율도가 높으며,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도 높게 나타났다.. • 비만은

이것이 근육 중에 축적하게 되면 혈액이 산성으로 기울게 되어 근의 기능을 저하시킨다... 질병 중에 생기는 전신적인

질병 발병에 있어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 평가하는 이민자 연구에 대해

인구 집단에서의 질병의 발생과 관계되는 모든 현상을 기술하여, 질병 발생의 원인에 대한 가설을 얻기 위하여 시행되는

• 퇴행성질환으로 관상동맥으로부터 대동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동 맥에 만성 염증이 생겨서 혈관의 결합조직이 증가하여 혈관벽의 탄력성이

어떤 변화가 발생하면 정태분석의 특정한 골격 내 에서 도출된 균형상태는 달성되기도 전에 이미 그 타당성을 상실할 수도 있음. 2) 장기간에 걸친

질병을 조기에 찾아내어 적절 한 사후관리 , 치료를 받도록 함으로써 질병 으로부터 근로 자의 건강을 유지 보호하기 위한 목적. 사업주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homepage homepage homepage 건강길라잡이 homepage 건강길라잡이 건강길라잡이 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