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 폐스 펙 트럼 장 애 아동 의 일 화기 억 에서 자 기 기억 과 타 인기 억 연 구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자 폐스 펙 트럼 장 애 아동 의 일 화기 억 에서 자 기 기억 과 타 인기 억 연 구 1)"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자 폐스 펙 트럼 장 애 아동 의 일 화기 억 에서 자 기 기억 과 타 인기 억 연 구

1)

Episodic Memory for Self and Other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안춘희

2)

ㆍ안미경

3)

서경희

4)

Ahn, Chun Hee An, Mi Gyung ㆍSeo, Kyeong Hee

Ⅰ 서 론.

연구의 의의 1.

사회성 상호작용 의사소통의 질적 손상 그리고 제한된 관심범주는 자폐장애의 핵심 특성, , 이다 최근에는 자폐 장애를 범주화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라고도 한다 자폐 장애의 범주는. . 언어 사용을 비롯한 사회적 상호작용 심각한 수준의 상동행동을 보이는 자폐 장애가 있는, 가 하면 정신지체를 동반하지 않고 자폐 증상들만 나타내 보이는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장애도 포함된다.

이렇게 광범위한 범주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관련하여 핵심 증상 이외의 연구들이 다각도에 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출현율이 증가함에 따라(Gillberg &

이들의 인지적 기능과 관련한 연구들이 이루이지고 있다

Wing, 1999; Croen , 2002), .

1) 이 논문은2007학년도BK21 핵심과제 연구비에 의한 연구임 핵( 06B5003) This work was supported by Brain Korea Task Force Grant 2007 2) 부산 특수교육 연구소 소장

The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 of Busan 3) 대구대학교 박사과정 교신저자( : michelle-an@hanmail.net)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4) 대구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교수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요 약

<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일화기억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 다 자기 인식에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에서 경험한. 일에 대하여 자신에 관한 기억과 타인에 관한 기억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 는지 알아보고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이 일화기억 과정에서 단서 없이 특정 정보를 회, 상할 수 있는 자유회상과 단서를 지원해주는 단서회상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혼자 경험한 활동과 함께. , 경험한 활동 두 가지 활동에서 모두 일반 아동에 비해 자기기억에 현저한 어려움을 보, 였다 둘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자기기억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에 반해 타인기억. , 에는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자유회상에 어. , 려움이 있으나 간단한 단서를 통한 단서회상으로 일화기억이 가능하였다.

핵심어 : 자폐스펙트럼장애 일화기억 자유회상 단서회상, , ,

(2)

자폐증이 신경심리학적 결함을 가진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며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기억 검사에서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기본적인 기억과 작업 기억(working

과 같은 기억 기능에 결함이 있었다 특히

memory) (Barth, Fein, & Waterhouse, 1995). ,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기억 기능과 관련된 연구들은 시간 순차적 기억 출처기억 자유, , 회상, 작업 기억에서의 수행능력이 통제집단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기억 기능 (Bennetto, Pennington, Rogers, 1996).

의 결함과 관련하여 다른 장애와는 다른 독특한 문제를 보인다 예를 들어 자폐스펙트럼. , 장애아동은 뛰어난 기계적 암기 능력을 보인다 특히 시각적 기억이 뛰어나 특정 문자나 한. 번 지나온 전철역 이름을 보는 즉시 외우기도 한다 또 상당한 양의 숫자를 한꺼번에 외우. 거나 전화번호부의 전화번호를 외우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개념적 의미를 가진 정보나 맥락. 이 있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하여 기억하는 능력에는 손상을 보인다 즉 일련의 단어. 들을 불러준 다음 그 단어를 회상하도록 하였을 때 원래 불러준 단어의 순서와 회상해내는 단어의 순서가 다른 것은 유입된 정보를 내면적으로 조직화한 증거이다 일반적으로는 서로. 관련성 있는 단어들을 같은 범주로 묶어 회상한다 그러나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구어자. 료를 의미나 맥락으로 연관을 지어 조직하는 능력에 분명한 손상을 보였다(Minshew &

이러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기억 기능의 문제는 일상에서 경험한 Goldstein, 1993).

일들을 기억하는 일화기억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화기억은 이전에 경험한 특정한 상황에 대한 기억으로 어떤 사건이나 경험의 맥락 및 특 정 시간이나 장소를 포함한다 일화기억의 개념은 의식적 경험과 기억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장기기억에 의미기억 절차기억 일화기억이 포함된다고 주장하면서부터 관심받기 시, , 작하였다(Tulving, 1985). Tulving(1994)은 장기기억을 조직화하여 중다기억 체계 모형을 제시하여 각 기억체계로 부호화되는 과정에서는 순차적으로 부호화되고 저장과정에서는 병, 렬적으로 저장되며 인출과정에서는 다른 기억체계와는 독립적으로 인출된다고 주장하였다, . 의미기억이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내포한다면 일화기억은 의미기억에 의존하면서도, 개인이 특정 시간과 공간에서 경험한 일을 내면화한 것이다 일화기억은 일화기억과 자서전. 적 기억으로 나누어 말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일화기억의 발달은, 2세 정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자서전적 기억은, 4세 정도가 되면 발달한다 일화기억은 개인이 경험한 특정한. 상황에 대한 맥락 장소 시간에 대한 기억이라면 자서전적 기억은 과거에 자신이 경험했던, , , 일을 회상해내는 것으로 언어의 발달 구어 구조에 대한 식별 그리고 타인에 대한 이해 등, ,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개인적인 과거에 대한 회상이니만큼 누가 어떤 말을. 했는지에 대한 회상뿐 아니라 언제 어디서 왜 그렇게 말했는지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 가능하다 일화기억에 관한 연구들은 대체로 자유회상. (free recall)을 사용한다 자유회상은. 기억해내고자 하는 것에 대한 단서나 지원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정보에 대한 회상을 요구하는 것이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다른 기억 기능과 함께 일화기억에 있어서도 독특한 특성을 보인 다 이것은 자폐증의 임상적 증상이라 할 수 있는 자신에 대한 인식의 어려움에서 비롯된. . Lee Hobson(1994)은 자폐아동이 인칭대명사를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것과 관 련하여 나,‘ (I)’ 너,‘ (you)’ 나에게,‘ (me)’를 이해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아동은 나에게, ’를 사용하는 대신 주로 자신의 이름을 말하였으며 상대방에게 너, ‘ ’라 는 인칭대명사를 사용하지 않았다 이것은 자신을 인식하지 못하는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 다 개별적으로 경험하는 상황을 기억해내는 것은 자기 인식과 매우 높은 관련성을 가진다. .

(3)

그러므로 자기 인식이 어렵다면 개별적으로 경험한 일을 기억해내기도 어렵다고 볼 수 있 다.

자기 인식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일화기억에 관한 연구는 크게 자신에 대한 기억과 타인이 취한 행동을 관찰한 것을 기억해내는 것 그리고 기억해내는 과정에서, 자유회상과 단서회상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일화기억 중에서도. 특히 자신이 스스로 행동한 일을 기억해내거나 직접 경험한 상황을 기억해내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Russell Jarrold (1999)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타인이 한 행동에 대한 기억 보다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한 기억 회상에서 더 어려움을 보였다고 밝혔다. Millward, 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실이 아닌 자 Powell, Messer Jordan(2000)

연스러운 환경에서 특정 상황을 경험하도록 한 결과 실험실 연구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실, 생활에서도 타인이 경험한 일에 대한 회상보다 자신이 경험한 일에 대한 회상에 어려움을 나타내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아동과도 차이가 있었으나 자폐증을 가지지 않은 학습. , 장애아동과도 차이를 보여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이 보이는 독특한 기억 처리과정임을 시사 하였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일화기억에서의 손상은 출처기억. (source memory)의 손 상으로도 볼 수 있다 출처기억은 기억해내고자 하는 정보를 언제 어디서 경험한 것인지 점. 검하는 과정을 통해서 가능하다. Hala, Rasmussen, Henderson(2005)은 자폐아동과 일 반아동에게 오디오를 통해 단어를 들려주고 단어재인 검사와 출처기억 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단어재인 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제시된 단어의 정보를 내면화하, 고 조직화하는 과정이 필요한 출처 기억에는 손상을 보였다 그러나 아스퍼거 청소년 및 성. 인을 대상으로 정보의 인출에 있어 지원 조건과 비지원 조건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을 때, 지원 조건에서는 출처기억에 문제가 없었지만 비지원 조건에서는 수행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아스퍼거 장애인들이 출처기억에 (Bowler, Gardiner, & Berhollier, 2004).

문제가 있으면서도 회상을 도와주는 지원이나 단서가 있을 경우에는 회상에 어려움이 없었 다.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일화기억에서의 기억 기능을 밝혀보고자 하였 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자신이 경험한 일을 더 잘 기억하는지 타인. 이 경험한 일을 더 잘 기억하는지 그리고 일반아동에 비해 자유회상에 문제가 있는지 그, , 렇다면 단서를 주었을 때에는 회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자폐스. 펙트럼 장애아동의 일상적인 기억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연스러운 나들이 활동을 통하여 아 동들이 경험한 일에 대한 회상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이 자연스러. 운 일상에서 자신이 경험한 것과 타인이 경험한 것을 관찰하는 것에 대한 자유회상과 단서 회상에 관한 연구는 자기 인식에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 의 일화기억 양상을 밝혀 바람직한 방향으로 일화기억과 관련된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 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연구의 목적 2.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자연스러운 일상에서 자신에 대한 기억과 타인 에 대한 기억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에는 일화기억에서 자신이 경험한 일에 대한 자, 유회상에 차이가 있는가?

(4)

둘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에는 일화기억에서 타인이 경험한 일에 대한 자, 유회상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일화기억의 자기기억과 타인기억에서 자유회상과 단서회상, 의 차이가 있는가?

Ⅱ 연구 방법.

연구 대상 1.

본 연구에는 생활연령이 만 7세에서 12세의 자폐스펙트럼 아동 10명과 만 5세에서 9세의 일반아동 1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 10명을 먼저 선정한 후 각 자폐아동의 언어 지수의, ±6개월 범위 이내에 있는 일반 아동을 대응되게 선 정하였다 이는 언어 지수가 측정 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통제하기 위해서였다. . 선별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모두 a) 3세 이전에 해당 지역의 소아정신과에서 발달장애 로 진단받은 바 있으며, b) DSM-IV-TR(2000)의 자폐장애 혹은 아스퍼거 장애의 기준을 만족시키며, c) 취학전 수용언어표현언어 발달척도 점수가 5세 이상인 아동으로 현재 B 에 소재한 일반 초등학교의 특수학급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아동들이었다 일반 아동은. 모두 B시에 소재한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아동의 구. 체적인 내용은 다음 < 2-1>과 같다.

연구 설계와 실험도구 2.

연구 설계 1)

본 연구는 자연스러운 나들이 상황이 아동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므로 아동이 신체적정서 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나들이에 참여하고 질문에 대답하는 과정을 직접 관찰하였다 질문. 에 관한 반응은 비디오로 촬영하였다.

실험 도구 2)

대상 아동들은 야외활동에서 줄넘기 축구공 열쇠를 사용하여 활동하였다 또 카메라 촬영, , . ,

< 2-1> 대상아동의 특성

집단 생활연령 PRES 남여비율

자폐아동 10.1 5.4

7.8 - 12 3 - 6.6 8:2

일반아동 6.5 5.8

5.3 - 8.7 3.6 - 6.6 5:5

연령은 세 개월로 표시 점수는 대상아동의 연령범주와 평균으로 제시

* ㆍ . *

취학전 수용언어 표현언어 발달척도

* ㆍ (PRES Preschool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Scale) ≒

(5)

기능과 녹화 기능이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반응지를 사용하여 아동의 반응을. 기록하였다.

연구 절차 3.

실험장소 1)

본 연구는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접한 수 있는 장소에서의 기억을 유도하기 위하여 나들이 장소로 아동들의 집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a) 수퍼마켓, b) 놀이터, c) , d) 지하철 , e) 문방구로 하였다.

언어 검사와 자유회상 질문은 실험자의 2평 남짓한 조용한 실험실에서 이루어졌다 실험실. 은 자연광이 들어오며 원형 탁자와 두 개의 의자가 배치되었다 아동이 벽 쪽으로 앉아 실. 험자와 마주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디지털 카메라는 아동과 실험자 사이 벽 쪽에 배치하여, 아동의 반응을 기록하였다.

실험기간 2)

각 아동은 혼자 나들이와 또래와 함께한 나들이로 총 2가지 유형의 나들이에 참여하였으며, 20명의 아동이 실험에 참여한 전체 기간은 2006 8 14일부터 2006 9 3일까지 였다.

실험절차 3)

본 연구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이 일상의 환경에서 경험한 일을 기억할 때 자기기억과 타인기억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가 선정된 대상아동, 20명 모두를 각각 한 명씩과 다섯 장소에서 나들이 활동을 하였다 이것은 혼자 나들이로 타인과 함께 나들이 하였을 때의 자기기억과 비교하기 위함. , 이다 나들이 장소와 활동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다음. < 2-2>와 같다 한 장소에서 나들. 이는 약 20분가량 소요되었으며 이동 시간은 왕복, 10분 이내로 하였다.

둘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과 언어 수준이 대응되는 일반아동이 짝을 지어 연구자가 두, 아동과 다섯 장소에서 나들이 활동을 하였다 이것은 함께 나들이로 자기기억과 타인기억. , 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나들이 활동과 질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장소에서 나들이를 마치고, 5분 이내에 실험실로 돌아와 자리에 앉도록 한 다음 아 동에게 경험한 일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두 아동이 짝을 지어 활동한 경우에 질문 순서는. 무작위로 하였다 이것은 질문 순서에 따른 효과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한 아동이 실험. . 실 방에서 질문에 대답하는 동안 다른 아동은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밖에서 기다리도록 하 였다.

둘째 경험한 일에 대한 질문은 단서 없이 자유회상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자유회상을 하, , 기 위해 주어진 시간은 20초 이내였다 자유회상에 실패하면 단서 양에 따른 세 단계의 질. 문을 차례로 제시하였으며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에게만 단서회상을 유도하였다 자유회상, . 과 단서회상에 관한 구체적인 질문 유형은 다음 < 2-3>과 같다.

(6)

셋째 연구자의 질문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이 자신에 대한 반응인지 타인에 대한 반응인지, , 기록하였다 자유회상에 실패하여 단서를 제시한 질문을 할 때 역시 자기기억에 대한 반응. 인지 타인기억에 대한 반응인지 기록하였다.

넷째 각 아동의 반응을 반응기록지에 기록하여 본 연구의 결과 도출에 사용하였다, .

나들이 활동을 하는 동안 각 장소마다 아동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기억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언어적 비언어적 방법으로 아동이 각 상황에 주의를 기, 울였는지를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혼자 나들이의 경우 길에서 실험자가 떨어뜨린 열쇠를. , 주워주는 활동이었다면 선생님이 떨어뜨린 열쇠를,“ ○○가 주워주었구나 고마워, .”라는 말로 아동의 주의를 유도하였다 또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에게 주어지는 질문은 자유회상 최소. , , 단서 회상 중간단서 회상 최대단서 회상을 유도하는 총, , 4개 단계로 제시되었다 자유회상. 은 단서를 전혀 제시하지 않았으며 최소단서에서는, 1개의 단서 중간단서에서는, 2-3개의 단서 최대단서에서는, 4개 이상의 단서 혹은 사진자료를 보여주었다 자유회상은 두 집단. 모두 주어졌으며 단서를 제시한 단서회상을 유도하는 질문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에게만, 단계별로 주어졌다 이 때 사용되었던 각 장소에 따른 구체적인 단서들은 다음. < 2-4> 같다.

(7)

자료 분석 및 결과 처리 4.

기록 및 채점 1)

일반아동은 자유회상에 대한 질문만 제공하며 적절한 반응에 1 ,점 그렇지 않으면 0점 처리 하였다 자폐아동은 자유회상 질문 이후 순차적인 단서회상 질문을 제공하며 자유회상 최. , 소단서 중간단서 최대단서 중 적절하게 반응하는 단계에서 질문을 멈추고 그 단계에, , 1 , 최대단서에도 대답하지 못하면 0점 처리하였다 총. 5곳에서 나들이 활동을 하였으므로 점수 는 각 활동 조건에 0-5점 사이에 분포한다 채점된 점수는. SPSS 10.0을 이용하여 두 집단

< 2-2> 나들이 활동 장소와 활동

야외활동 유형 장소 활동

혼자 나들이

슈퍼마켓 요구르트 사기

놀이터 줄넘기하기

실험자가 떨어뜨린 열쇠 주워주기

지하철역 지하철 노선 찾기 놀이

문방구 악기 중에서 원하는 악기 고르기

함께 나들이

자폐 아동

슈퍼마켓 과자사기

놀이터 구름다리 올라가기

쓰레기 주워서 버리기

지하철역 공중전화로 집으로 전화하기

문방구 짝에게 수첩 골라주기

일반 아동

슈퍼마켓 음료수 사기

놀이터 공놀이하기

선을 따라 걷기

지하철역 직접 돈을 넣고 지하철 표 사기

문방구 수첩에 편지쓰기

< 2-3> 자유회상과 단서회상의 질문 예시

회상 혼자 나들이 질문예시

자유회상 ○○야 오늘 어디에서 무엇을 했니, ?”

최소단서 오늘 놀이터에서 무엇을 했니?”

중간단서 오늘 놀이터에서 줄넘기 줄로 무엇을 했니?”

최대단서 “(놀이터사진을 보여주고 여기에서 줄넘기 줄로 무엇을 했니) ?”

회상 함께 나들이 질문예시

자유회상 ○○야 우리가 어디에서 무엇을 했니, ?”

친구 는 어디에서 무엇을 했니

○○ ?”

최소단서 오늘 놀이터에서 무엇을 했니?”

친구 는 놀이터에서 무엇을 했니

○○ ?”

중간단서 오늘 놀이터에서 공으로 무엇을 했니?”

친구 는 놀이터에서 공으로 무엇을 했니

○○ ?”

최대단서 “(놀이터사진을 보여주고 여기에서 공으로 무엇을 했니) ?”

놀이터사진을 보여주고 여기에서 친구 는 공으로 무엇을 했니

“( ) ○○ ?”

(8)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백분율로 환산하여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 신뢰도 측정

2)

두 실험자가 기록을 보며 동시에 채점하여 관찰자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혼자 경. 험한 활동에서의 자기기억 검사에서는 94%,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의 자기기억 검사에서는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의 타인기억 검사에서는 의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관찰자

96.6%, 94% .

간 신뢰도는 다음 공식으로 산출되었다.

관찰자간 신뢰도 = 적은 수

100 많은 수

< 2-4> 단서회상 질문에 제시된 단서들

장소 단 서 항 목

슈퍼마켓 코너 간판 치즈 냉장고 계산대 장바구니, , , ,

놀이터 미끄럼틀 시소 줄넘기줄 벤치의자 모래가 없는 땅, , , , 지하철역 건널목 버스 정류장 선생님 주머니 쓰레기통, , , , 지하철역 지하철 표 판매소 자동화폐교환기 노선지도 동전 천원지폐, , , ,

문방구 토마스 기차 스케치북 크레파스 스티커 코너 애완동물, , , ,

(9)

Ⅲ 연구 결과.

연구 문제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에 앞서 이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세 가지 조건의 나들이 활동과 집단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세 가지 기억조건의 나들이 활동은. a) 혼자 경험한 활동에서의 자기기억, b)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의 자기기억, c) 함께 경험한 활 동에서의 타인기억으로 나누어진다 그 결과는 다음. < 3-1>과 같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 가지 기억조건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집

< 3-1> , ,

단 간에는 F=24.453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기억조건 내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으며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억조건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자기기억에 대한 집단 간 자유회상 차이 1.

혼자 경험한 활동에서 자기기억에 대한 집단 간 자유회상 차이 1)

혼자 경험한 활동에서 자기기억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분석에서 기술통계량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 평균, 1.9, 표준편차 1.85 며 일반아동 평균, 4.5, 표준편차 .97로 나타나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평균점수가 일반 아동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혼자 경험한 활동에서의 자기기억에서 두 집단 간의. , 점수는 F(1, 18)=15.442 , p<.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아. 동이 혼자 경험한 활동에서 일반아동에 비해 자기기억에 더 어려움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 3-1> 기억조건과 집단의 이원변량분석

변인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기억조건 2 6.017 2.089 .134

집단 1 70.417 24.453*** .000 기억조건 * 집단 2 4.317 1.499 .232

합계 60

수정 합계 59

***p<.001

< 3-2> 혼자 나들이에서 자기기억에 대한 일원변량분석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 간- 33.800 1 33.800 15.442** .001

(10)

수 있다 이에 대한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 3-2>와 같다.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 자기기억에 대한 집단 간 자유회상 차이 2)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 자기기억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분석에서 기술통계량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 평균, 1, 표준편차 1.56 이었 으며 일반아동은 평균, 3.8, 표준편차 1.13로 나타나 일반아동에 비해 자폐스펙트럼 장애아, 동이 더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에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 다 그 결과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 자기기억에 대한 두 집단 간 차이는. , F(1, 18)=21.000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보였다 이 결과는 혼자 경험한 활동에서 자기기억

p<.001 .

에서의 집단 간 차이(F(1, 18)=15.442, p<.01)와 같이 일반아동에 비해 함께 경험한 활동 에서의 자기기억에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으며 유의확율의 차이를 고려해볼 때 혼자 경험한, 활동에서보다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의 자기기억에 더 큰 어려움을 보였다 이에 대한 일원. 변량분석 결과는 < 3-3>과 같다.

집단 내- 39.400 18 2.189 합계 73.200 19

**p<.01

< 3-3> 함께 나들이에서 자기기억에 대한 일원변량분석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 간- 39.200 1 39.200 21.000*** .000 집단 내- 33.600 18 1.867

합계 72.800 19

***p<.001

(11)

타인기억에 대한 집단 간 자유회상 차이 2.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 타인기억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분석에서 기술통계량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 평균, 1.6, 표준편차 2.06 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일반아동은 평균, 2.7, 표준편차 2.21로 나타나 일반아동에 비해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점수가 더 낮았다 이에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의 타인기억에 대한 두 집단 간 차이는. , 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함께

F(1, 18)=1.32 .

경험한 활동의 반응점수에서는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점수를 얻었지만 두 집단이 함께 경험 한 활동에서의 타인기억에 대해서는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 보였다 이에 대한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 3-4>와 같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집단의 자기기억과 타인기억에 대한 자유회상과 단 3.

서회상의 차이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세 가지 기억조건에 따른 자유회상 반응을 백분율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자 경험한 활동에서의 자기기억은 함께 경험한 활동

< 3-5> 30%,

에서의 자기기억은 20%,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의 타인기억은 32%로 전반적으로, 20-30%

수준으로 나타났다.

혼자 경험한 활동과 함께 경험한 활동에서의 자기기억과 타인기억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 동은 낮은 자유회상 능력을 보였다 그러므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에게는 단서의 양에 따. 라 각각 최소단서 중간단서 최대단서로 나누어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우선 전체 반응에서, , . 각 단계에 해당하는 백분율과 단서 기억을 전체로 두고 제시한 백분율로 나누었다 자폐 스. 펙트럼 장애아동의 자기기억과 타인기억에 대한 단서회상 백분율은 다음 < 3-6>과 같다.

< 3-4> 함께 나들이에서 타인기억에 대한 일원변량분석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 간- 6.050 1 6.050 1.320 .266 집단 내- 82.500 18 4.583

합계 88.550 19

(12)

을 살펴보면 먼저 혼자 경험한 일에 대한 자기기억에서는 단서회상 로 이

< 3-6> , 62% ,

단서회상에 대한 백분율을 비교해보면 최소단서 54.8%, 중간단서 29%, 최대단서 16.2% 나타났다 또 함께 경험한 일에 대한 자기기억에서는 단서회상이. , 80%였는데 이 단서회상, 에 대한 백분율을 비교하면 최소단서 30%, 중간단서 50%, 최대단서 20%였다 마지막으로. 함께 경험한 일에 대한 타인기억에서는 단서회상 68%의 백분율을 보였는데 이 단서회상에, 대한 백분율을 비교하면 최소단서 26.5%, 중간단서 38.2%, 최대단서 35.3%로 나타났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혼자 경험한 일에 대한 자기기억을 자유 회상하는 것에는 어려움 을 보이고 있었으나 1개의 단서를 제시하는 최소단서만으로도 50%이상의 회상이 가능하였 다 또한 전반적으로. , 2-3개의 단서의 제시만으로 30%에서 50%까지의 추가적인 회상이 가 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일화기억의 자기기억과 타인기억에서 단. 서를 통한 회상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이를 그림으로 제시하면 다음 <그림

< 3-5> 자기기억과 타인기억에 대한 자유회상 백분율

기억조건 기억형태 백분율 (%)

혼자 자기- 자유회상 38

단서회상 62

함께 자기- 자유회상 20

단서회상 80

함께 타인- 자유회상 32

단서회상 68

< 3-6> 자기기억과 타인기억에 대한 단서회상 백분율

빈도 전체에 대한

백분율(%) 백분율(%)

혼자/

자기

최소단서 17 34 54.8

중간단서 9 18 29

최대단서 5 10 16.2

합계 31 62/100 100

함께/

자기

최소단서 12 24 30

중간단서 20 40 50

최대단서 8 16 20

합계 40 80/100 100

함께/

타인

최소단서 9 18 26.5

중간단서 13 26 38.2

최대단서 12 24 35.3

합계 34 68/100 100

(13)

과 같다 3-1> .

Ⅳ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자연스러운 상황에서의 일화기억에서 자기기억에 대한 자기기억에 현저한 어려움을 보 인다 그러나 단서기억을 통해서는 작은 단서만으로도 자신이 경험한 일을 회상을 할 수 있. 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일화기억을 도와주기 위해 경험한 환경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단서를 이용하기를 권한다 일상의 기억을 상대방에게 언어로 전달하는 과정. 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단서를 사용하여 일화기억을 촉진한다면 사회성과. 의사소통에 보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0 % 2 0 % 4 0 % 6 0 % 8 0 % 1 0 0 %

혼 자 / 자 기 함 께 / 자 기 함 께 / 타 인 기 억 조 건

최 소 단 서 중 간 단 서 최 대 단 서

그림 자기기억과 타인기억에 대한 단서회상 백분율

< 3-1>

(14)

참 고 문 헌

이상복, Luke Y. Tsai, 김정일 (2002). 자폐성 영유 아동의 조기중재 . 대구 : 대구대학 교 출판부.

이정모 박희경, (2000).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한국 인지과학회, 11(3, 4), 33-43.

서경희 (2001). 전반적 발달장애의 분류 진단상의 논쟁점. 재활심리연구, 8(1), 159-177.

서경희 (2001). 아스퍼거 증후군 : 인지적 결손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8(2), 83-103.

서경희 (2006). 자폐스펙트럼 장애아의 주의집중과 기억, 정서행동장애연구, 22(3), 251-27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rd ed., Text revision)

. Washinton, DC.

Baron-Cohen, S., Wheelwright, S., Skinner, R., Martin, J., & Clubley, E. (2001). The autism spectrum quotient(AQ) : Evidence from Asperger syndrome/

high-functioning autism, male and females, scientists and mathematician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1

, 5-17.

Bennetto, L., Pennington, B. F., & Rogers, S. J. (1996). Intact and impaired memory function in autism.

Child Development, 67,

1816-1835.

Bowler, D. M., Gardiner, J. M., & Berthollier, N. (2004). Source memory in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sperger’s syndrom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4

(5), 533-542.

Croen, L. A., Crether, J. K., Hoogstrate, J., & Selvin, S. (2002). The changing prevalence of autism in California,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2,

207-215.

Gillberg, C., & Wing, L. (1999). Autism : not an extremely rare disorder,

Acta psychiatry of Scandinavia, 99,

399-406.

Hala, S., Rasmussen, C., & Henderson, A. M. (2005). Three types of source monitoring by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 The role of executive functio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 35,

75-89.

Hobson, R. P., & Meyer, J. A. (2005). Foundations for self and other : A study in autism.

Developmental Science, 8

, 481-491.

Lee, A., & Hobson, R. P. (1994). I, You, Me, and Autism : An experimental study.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4

, 155-176.

Millward, C., Powell, S., Messer, D., & Jordan, R. (2000). Recall for self and other in autism : Children’s memory for events experiened by themselves and their pe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0,

15-28.

Minshew, N. J., & Goldstein, G. (2001). The pattern of intact and impaired memory functions in autis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2,

1095-1101.

(15)

Russell, J., & Jarrold, C. (1999). Memory for actions in children with autism : self versus other.

Cognitive neuropsychiatry, 4

, 303-331.

Russell, J., Jarrold, C., & Henry, L. (1996).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utism : Evidence for a monitoring impairment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7,

673-686.

Tulving, E. (1985). How many memory systems are there?

American Psychologists, 40

, 385-398.

Tulving, E. (1994). Organization of memory : Quo Vadis? In M. Gazzaniga (Ed.),

The

Cognitive Neurosciences

(pp. 839-847). Cambridge : MIT.

(16)

<Abstract>

Episodic Memory for Self and Other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hn, Chun HeeㆍAn, Mi GyungㆍSeo, Kyeong Hee

This study by event experienced was to ensure that the recall for self and other has differences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ypical children. Two groups of 10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group with autism(experimental group) and a group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for verbal ability.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autistic children and typical children in the free recall for self?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autistic children and typical children in the free recall for other?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free and cued recall for autistic children in episodic memory?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autism and the group matched for verbal ability for uncompanied self and companied self.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autism and the group matched for verbal ability for companied other. This interpretation is strengthened by the findings that the children with autism recalled more information in the accompanied other recall test than in the unaccompanied self and accompanied self. Third, The compound score for all three level of cued recall was higher than free recall. In this test, a percentage score was calculated for comparing free and cued recall and the three levels of cues, due to the fact that if a child recalled all items under free recall then the cued recall score would be low giving a misleading interpretation of children's ability to remember event under cued recall.

Key Words : autism spectrum disorders, episodic memory, free recall, cued recall

논문접수 : 2008. 1. 29 / 수정본 접수 : 2008. 3. 11 / 게재 승인 : 2008. 3. 17

수치

표 을 살펴보면 먼저 혼자 경험한 일에 대한 자기기억에서는 단서회상 로 이&lt;3-6&gt;,62%, 단서회상에 대한 백분율을 비교해보면 최소단서 54.8%, 중간단서 29%, 최대단서 16.2% 로 나타났다 또 함께 경험한 일에 대한 자기기억에서는 단서회상이., 80% 였는데 이 단서회상, 에 대한 백분율을 비교하면 최소단서 30%, 중간단서 50%, 최대단서 20% 였다 마지막으로

참조

관련 문서

- 고등학생도 모든 학교 진로활동 영역에서 해당 활동을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 에 비해 학교생활 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r]

• 상위의 단일 집단으로의 재범주화를 경험한 성원들이 탈범 주화 조건을 경험한 성원들 보다 다른 모든 성원들에 대한 호감도가 훨씬 높아지고, 집단 간의

위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인 어려움이 없는 저학년(1-2 학년) 과 중학년(3-4 학년)의 비다문화가정 정상언어 아동, 다문화가정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일하는 여성이 경험한 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고, 그 삶의 경험이 사회적으로도 장애인 가족지원 상담의 현실화, 장애 인

활동을 경험한 유아가 경험하지 않은 유아보다 유아의 수학성취와 수학문제해결력 에 긍정적인 영향을 더 미친다고 하였다.Shure(1979)는 매일 일어날 수 있는 주변 환경

특히,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주제로 구성하니 모형 제작, 프로토 타입의 제품 제작 등 의외로 예산이 부족하였다.. 작년에 경험한 시사점이었기에

정신질환의 초자연적․종교적 개념과 병태와 치료방향,심리․환경적 개념들은 모두 자신이 직접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에 비하여 경험해 보지 못하였거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