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D연구결과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D연구결과보고서"

Copied!
1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연차(단계) 보고서

표지

타인도용이 불가능한 생체정보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인 인식 기술개발

(1연차 보고서) 2016 . 5 .31

주관기관 전자부품연구원

참여기관 울산과학기술원 참여기관 ㈜에이치쓰리시스템 참여기관 ㈜오픈잇

미래창조과학부

(2)

1) 공고번호 미래창조과학부공고 제2015-0164호 2) 과제번호 R0190-15-2054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 (1연차) 보고서

3) 보안 등급 보안과제( ), 일반과제( )

4) 과제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

5) 총괄과제명

6) 과제명

국 문 타인도용이 불가능한 생체정보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인 인식기술 개발

영 문 Development of Personal Identification Technology based on Biomedical Signals to Avoid Identity Theft

7) 주관기관 기관명 전자부품연구원 사업자등록번호 125-82-05237

주 소 (463-816)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나리로 25

8) 총괄책임자

성 명 조 영 창 직위/직급 수석연구원/팀장

전화번호 031-789-7544 부서 휴먼케어시스템연구센터

휴대전화번호 팩스번호 031-789-7559

과학기술인등록번호 10878464 전자우편 ycjo@keti.re.kr 9) 총수행기간 2015. 7. 1 ~ 2018. 6. 30 ( 36개월 )

10) 협약기간 2015. 7. 1 ~ 2016. 6. 30 ( 12개월 ) 11)사업비현황

(천원) 연도 정부

출연금

민간부담금 정부외

출연금 합 계

현금 현물 소계

재원 해당여부 1차년도(2015년) 1,400,000 46,668 420,012 466,680 - 1,866,680 2차년도(2016년) 1,400,000 46,668 420,012 466,680 - 1,866,680

정진기금

3차년도(2017년) 1,400,000 46,668 420,012 466,680 - 1,866,680

방발기금

일반회계 합 계 4,200,000 140,004 1,260,036 1,400,040 - 5,600,040

12) 참여기관

기관명 책임자성명 직위/직급 휴대전화 전자우편 과학기술인

등록번호 유형 울산과학기술원 김성필 부교수 spkim@unist.ac.kr 10172968 대학

㈜에이치쓰리

시스템 류준오 이사 10167648 중소 기업

(주)오픈잇 김민영 대표이사 mykim@openit.co.kr 11103687 중소 기업 13) 참여기업 주관기관과 참여기관 중 중소기업( 2 )개, 중견기업( )개, 대기업( )개

14)주관기관 실무담당자

성 명 홍혁기 부서/직위 휴먼케어시스템연구센터

전화번호 031-789-7552 전자우편 hkhong@keti.re.kr

휴대전화번호 팩스번호 031-789-7559

15) 과제특성

(해당사항 모두체크)

기술료비징수 사업화비적용 표준연계 경쟁과제 SW자산뱅크

공개SW 정책지정 일반형 병렬형 총괄 병렬형 세부

16) TRL등급 ( 3 ) ∼ ( 5 ) 17) 성격구분 창의( ), 전략( ), 혁신( ) 동 연차·단계 보고서상의 기재 내용이 사실임을 확약하며, 만약, 사실이 아닐 경우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사업 관련 법령 및 규정에 따라 중단·협약해약·환수 등의 어떠한 불이익도 감수하겠습니다.

2016년 5월 31일

총괄책임자 : 조 영 창 (서명) 주관기관장 : 박 청 원 (인감)/(직인)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귀하

*******

*******

*******

*******

(3)

제 출 문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귀하

“타인도용이 불가능한 생체정보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인 인식에 관한 기술개발”(수 행기간:2015. 7. 1 ~ 2016. 6. 30)과제의 (1연차) 보고서 10부를 제출합니다.

2016 . 5 . 31 .

주관기관명 ː 전자부품연구원 (대표자) 박 청 원 (인)

참여기관명 ː 울산과학기술원 (대표자) 정 무 영 (인)

참여기관명 ː ㈜에이치쓰리시스템 (대표자) 김 민 준 (인)

참여기관명 ː ㈜오픈잇 (대표자) 김 민 영 (인)

총괄책임자 : 조 영 창

참여기관책임자 : 김 성 필

참여기관책임자 : 류 준 오

참여기관책임자 : 김 민 영

정보통신․방송연구개발 관리규정 제35조에 따른 보고서 활용에 동의 합니다.

※ (인)은 1장에 찍는 것이 원칙이나, 불가피한 경우 개별적으로 가능

(4)

<목 차>

<요약문>...3

1. 연구개발목표...8

2. 연구범위 및 연구 수행 방법...29

3.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및 자체평가 ...36

4. 연구개발성과(해당되는 성과만 기재)...39

5. 구매 금액이 3천만원 이상인 연구시설ㆍ장비 구축 현황...46

6. 연구개발비 집행 실적...46

7. 연구 수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 방향...50

8. 중요 연구변경 사항...50

9. 기타 건의 사항...50

붙임1. 자체 보안관리 진단표...51

붙임2. 연구실 안전조치 이행표...52

부록. 주요기술 개발 내용...53

(5)

연구개발 목표

▣ 주관기관(전자부품연구원)

○ 생체인증용 MSP(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기반 피부 광학 특성 연구

○ 4×4 어레이 Multispectral 광학 측정모듈 제작 및 개인인증 feasibility 연구

○ WSB 플랫폼 설계

○ 스마트 IoT 디바이스의 직관적인 이용을 위한 Natural UI (NUI) 기술

▣ 참여기관 1(UNIST)

○ 다중 생체신호 특성 추출 기술 개발

○ 다중 생체신호 특성신호를 활용한 인증 알고리즘 개발

○ 차세대 인지반응 기반 생체인증 패러다임을 위한 원천기술 개 발

▣ 참여기관 2((주)에이치쓰리시스템)

○ WSB 사용 시나리오에 적합한 밴드 요구 사항 도출

○ WSB 생체 신호 획득 모듈 개발

○ WSB 밴드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 리서치

▣ 참여기관 3(오픈잇)

○ 모바일 생체인증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처 설계

○ FIDO (Fast IDentity Online) Alliance에서 정의한 UAF (Universal Authentication Framework) 기반 서버 및 클라이언트 개발 (FIDO 1.0규격 구현)

○ 생체신호 기반 융합 서비스 기획

연구개발 내용

▣ 주관기관(전자부품연구원) :

○ 생체인증용 MSP(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기반 피부 광학 특성 연구

- 피부조직 광 특성 분석

- 인체조직을 이용한 광특성 분석 수행

○ 생체인증용 MSP 모듈 설계/제작 및 개인인증 feasibility 연구 - 1×7 어레이 실험용 MSP 모듈 설계 구조 설계

- LED 및 PD 어레이 배열 구조 설계 - 파장대역별 matrix 신호측정 및 분석

<국문요약문>

(6)

- 각 채널별 파장별 광전류 측정값을 개인 패턴화하고 개인 식별 테스트 실시하여 최대 인증 정확도 98.2%, FAR 2% 수준 확보 - 8×2 어레이 MSP 광학모듈 설계/제작

- 손목의 해부학적 구조에 적합한 LED-PD 배치 및 복합 FPCB 구 조의 모듈 개발

- 제작된 MSP모듈을 활용한 PC 기반 피부패턴 분석 프로그램 개 발

- 10명의 피험자 대상 피부패턴 인식 feasibility 연구를 통해 개인 식별 디바이스의 가능성 확인

○ WSB 플랫폼 설계

- 3종 생체신호 지원 가능한 확장가능형 WSB 플랫폼 구조 설계 - 플랫폼 요구사양 분석 및 기본 구조 설계

- EEG/ECG/EMG 센서 모듈 분석 및 실시간 제어 구조 설계 - WSB 플랫폼 회로 설계 및 검증용 Prototype 제작

- EEG/ECG/EMG 센서 모듈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구현

- 생체정보 전처리 및 특징 추출용 SW구조 및 사용자 인증 S/W 구조 설계

- 외부 기기 연동을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 검토 및 데이터 전송 프레임 구조 설계

- 플랫폼 검증용 펌웨어 및 S/W 개발

○ 스마트 IoT 디바이스의 직관적인 이용을 위한 Natural UI (NUI) 기술

- 스마트 IoT 디바이스 기반 NUI 요구사항 분석

- 프리젠테이션, 토이, 홈IoT기기, 운전자, 카메라에플리케이션 제 어용 NUI 인터렉션 시나리오 연구

- 스마트 IoT 디바이스 내/외부 입력 정보를 사용하는 NUI 기능 설계

○ 생체인증 보안기술 동향 및 표준화 동향조사

- 생체인증 보안기술 국내외 동향 및 표준화 동향 조사

- 생체신호기반 국내외 사용자 단말 시스템장치 결합시 보증 수준 요구사항 연구

- 생체인증 보안기술 국제 표준화 단체 ITU-T SG17 기고서 제출 및 반영 1건, NW 1건 제안

▣ 참여기관 1(UNIST) :

○ 다중 생체신호 특성 추출 기술 개발

- 심전도 특성: P-QRS-T 파형 패턴, R-R / P-R / QRS / S-T

(7)

interval 등 특성 추출 기술 개발

- 근전도 특성: AAC, ApEn, DASDV, DFA, IAV, Kurtosis, MAV1/2, AFB 등 특성 추출 기술 개발

- 뇌파 특성: Spectral power, Entropy, Lyapunov exponent 등 선형, 비선형 특성 추출 기술 개발

- Eye gaze 특성: spatio-temporal 시계열 신호 variance 특성 추 출 기술 개발

- 생체신호에 대한 적응적 매개변수 신호 표현 기술 개발

○ 다중 생체신호 획득 및 처리 기술 개발

- 개별 생체신호에 대한 통계적 추론기법 기반 인증 알고리즘 개발

- 개별 생체신호 처리의 결과(Score) 기반의 다중 생체신호 인증 알 고리즘 개발

○ 차세대 인지반응 기반 생체인증 패러다임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 인지반응 기반 생체인증 원천기술을 위한 자극환경 설계 - 시각 자극에 대한 안구 운동 및 머리 움직임 기반 인증 패러

다임 설계

▣ 참여기관 2((주)에이치쓰리시스템) :

○ WSB 사용 시나리오에 적합한 밴드 요구 사항 도출 - WSB 밴드 기능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 WSB 밴드 사용 시나리오 발굴

○ WSB 생체 신호 획득 모듈 개발

- WSB 밴드 구성요소를 탑재한 모듈 및 1차 시작품 설계

○ WSB 밴드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 리서치 - 웨어러블 생체신호 측정기기 디자인 리서치 보고서 작성 - WSB 밴드 디자인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 WSB 시작품 렌더링 시안 도출

▣ 참여기관 3(오픈잇) :

○ 모바일 생체인증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처 설계

- 다중생체신호 수집, 인증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 아키텍처 설계 - 사용자 본인인증이 필요한 스마트폰 서비스와 온라인 서비스에

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 설계

○ FIDO 1.0 규격 서버 및 클라이언트 개발

- Java 기반 FIDO Alliance에서 정의한 UAF 서버 기술개발

(8)

- Android 기반 FIDO Alliance에서 정의한 UAF 클라이언트 기술개 발

- FIDO Alliance에서 정의한 UAF(Universal Authentication Framework) ASM 및 인증장치(Authenticator) 기술개발

- 서비스 및 사이트 별 인증키 등록, 관리 기술개발

○ 생체신호 기반 융합 서비스 기획

- 생체신호 기반 융합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사전 연구 - 사용자 대상 연구를 통한 핵심 가치 도출

- 모바일 생체정보 인증 기반 응용서비스 기획(모바일 Wallet기반 신분증 서비스, 모바일 자격증 서비스)

연구개발성과

○ 당해연도 연구개발성과 요약

- 피부생체 광학 기반의 MSP(Multispectral Skin Photometrics) 개 인 식별 디바이스를 설계/제작하고 피험자 대상 실험을 통해 새로운 개인 식별 디바이스로서의 가능성 확인

- 다양한 생체신호(ECG, EEG, EMG, Eye Gaze 등)를 활용한 개 인 인증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전처리, 특징점 추출, 개인 식 별 알고리즘 연구를 통해 개별 생체 신호 기반의 개인 인증 알고리즘 기술 확보

- 3종 이상의 다중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개인 인증 신호처리가 가능한 WSB(Wearable Smart Biometric) 플랫폼을 설계/제작하 고 검증용 펌웨어 및 S/W개발

- 착용형 WSB 밴드 제작을 위한 설계적, 디자인적인 요구사항 을 분석하고 디자인 렌더링 시안 도출

- FIDO 1.0 규격 기반의 모바일 생체인증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 처를 설계하고 FIDO 규격 서비 및 클라이언트 개발

- 본 과제 생체인증 보안 관련 국제 표준화 단체인 ITU에 기고 서 1건 제출 및 채택1건, ITU-T SG 17 Q10 NWI 제안

○ 정량적인 성과

- 본인 거부율(FRR) 6.67%, 타인 수락율(FAR) 0.92% 달성 - 생체정보 인증반응시간 0.004초 달성

- MSP 모듈 파장수는 최종 시제품기준으로 IR+Red, IR+Yellow 등 2종 이상 달성

- MSP 모듈 matrix size는 8×2 총 16채널 달성 - 다중생체정보수는 ECG, EEG, EMG 총 3종 달성

- 국내특허 7건 출원, 국외 논문 1편, 국외학회 8편, 국내학회 6

편, 프로그램 등록 4건, 국제 표준화 기고 2건(채택 1건), 시제

(9)

품 10개, 기술문서 19건 등 - 고용 창출 7명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금융결재(핀테크),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홈, 자동차, 공공정 보, 산업보안, 국방 등 위변조가 어려운 개인인증/보안이 요구 되는 다양한 산업군에 활용가능

○ 참여기업 자체 브랜드의 디바이스 형태의 사업화와 기존의 메 이저 생체인증 기업에 기술이전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메이 커에 생체인증 추가기능을 제공하는 형태의 라이센스 판매 형 태로 기술 사업화 추진

○ 본 기술개발을 통해 획기적인 웨어러블 플랫폼 기반의 차세대 개인 인증기술이 개발되면 2019년 기준 약 55억달러 규모인 세 계시장 선점 및 주도가 가능함

○ 기존의 주력 생체인증 기술인 지문, 홍채 인식 기술대비 저렴 한 가격에 유사한 성능 수준의 개인 인증디바이스 구현이 가능 하므로 여러 산업군의 보안장치 시장에서의 원가 절감 및 해외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 향상이 가능함

○ 기존의 보안관련 오프라인 산업군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산 업군으로의 개인 인증 기술이 확산되어 새로운 신시장 창출효 과가 막대할 것으로 기대됨

핵심어(5개 이내)

국문

손목 생체신호 개인 식별 웨어러블 생체인증 플랫폼

영문

Wrist Biomedicalsignals IdentificationPersonal Wearable Biometrics Platform

(10)

<기술개발사업 주요 연구 성과>

1. 연구개발 목표 가. 최종 목표

○ 타인도용이 불가능한 신체 착용형(비침습/접촉) 다중생체정보(5종) 취득을 통해 신 속하게(인증반응 시간 0.5초 이내) 본인을 인증하는 웨어러블 본인 인증 및 디바이 스 핵심 기술개발

- ECG, EMG, EEG, Eye Gaze, MSP(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등 5종의 다 중생체신호 측정 모듈 기술개발

- 다중 생체신호 측정 기반 생체인증 알고리즘 기술개발 - WSB(Wearable Smart Biometrics) 오픈 플랫폼 개발

- WSB 개인인증 디바이스 통합시제품 및 응용서비스 솔루션 개발 ∙ 다중생체정보수 : 5종

∙ 인증 성능 : 인증 시스템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다중 생체신호의 최적조합을 통해 본인거부율 2% 이내 및 타인수락율 0.01% 이내 달성

∙ 처리 성능 : 알고리즘 및 모듈최적화를 통해 생체정보 인증 반응시간 0.5초이내

< 최종목표 개념도 >

(11)

구분(연도) 세부

과제명 세부 연구 목표 연구개발 수행 내용 연구 결과

1차 연도 (2015)

타인도용이 불 가 능 한 생 체 정 보 기반 웨어 러블 디바 이스 본인 인 식 기 술 개발

주관기관 : 전자부품연구원 n 생체인증용

MSP(Multispe ctral Skin Photomatrics )기반 피부 광학특성 연 구

n 피부조직 광 특성 분석

∙ 피부 광 측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개발에 관련 된 주요 성분의 광 특성을 측정

n 인체조직을 이용한 광 특성 분석 수행

∙ 인체 피부조직 및 근육, 피하지방 등 다양한 조직을 이용하여 광학적 특성을 분석

∙ 파장별 Diffuse reflectance 특성 분석

∙ 피부광학 특성을 MSP 구조 설계에 반영

n MSP 테스 트모듈 설계안 기술문서

n 4×4 어레이 Multispectral 광학 측정모듈 제작 및 개인 인증 feasibility 연구

n MSP(Multispectral Skin Photometrics) 광학모듈 1차 설계

∙ 1×7 어레이 실험용 MSP모듈 구조설계 및 제작

∙ Red, Green, Blue, NIR 등 파장대별 LED 광원 및 Photodiode(PD) 선정완료

∙ LED와 PD 어레이 배열 구조 설계 및 배치 패턴 연구수행

<MSP 모듈 설계 블록 다이어그램 >

<제작된 테스트용 MSP 모듈>

n 8×2 어레이 2차 시험용 MSP 광학모듈 설계 및 제작

∙ 손목의 해부학적 정보 탐색을 위하여 광원-검

n MSP모듈 시제품 : 1차, 2 차, 3차, 4차 시제 품 (총 4건) n MSP 모

듈 기술 문서

n MSP모듈 시제품 : 2차 시제 품

나. 당해 (연도·단계) 연구개발 목표 및 결과

(12)

출기 물리적 거리에 따른 구조적용

∙ PCB 상 광원, 검출기 직접 실장을 위한 공정 개발 및 손목에 밀착하기 위한 FPCB 구현

<FPCB형 2차 시제품>

n 3차 시험용 MSP 광학모듈 설계 및 제작

∙ 2차 시제품 개선하여 인체의 굴곡에 대응은 가 능한 Rigid- Flexible PCB 공정을 적용하여 개 발

< Rigid- Flexible PCB형 3차 시제품 >

n 4차 시험용 MSP 광학모듈 설계 및 제작

∙ IR-Yellow, IR-Red, Red-Yellow로 선정하여 모 듈을 제작

< 최종 4차 시제품 >

n MSP 모듈을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및 분석

∙ 파장대역별 matrix 신호 측정 및 분석

∙ 1×7 어레이 실험용 MSP 모듈을 활용한 PC 기 반 피부패턴 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인체 대상 피부패턴 인식 1차 feasibility 연구 완료

∙ 연령대 성별이 다양한 8명의 피험자를 대상으 로 MSP 모듈 활용한개인 식별 실험 연구 수행

n MSP모듈 시제품 : 3차 시제 품

n MSP모듈 시제품 : 4차 시제 품

(13)

완료

1 2 3 4 5 6 7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Photocurrent Intensity(au)

Photodiode Location A1 A2 A3 A4 A5 A

1 2 3 4 5 6 7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B

Photocurrent Intensity(au)

Photodiode Location B1 B2 B3 B4 B5

1 2 3 4 5 6 7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D

Photodiode Location

Photocurrent Intensity(au)

D1 D2 D3 D4 D5

1 2 3 4 5 6 7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C

Photodiode Location

Photocurrent Intensity(au)

C1 C2 C3 C4 C5

1 2 3 4 5 6 7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Photodiode Location F

Photocurrent Intensity(au)

F1 F2 F3 F4 F5

1 2 3 4 5 6 7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Photodiode Location E

Photocurrent Intensity(au)

E1 E2 E3 E4 E5

1 2 3 4 5 6 7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G

Photodiode Location

Photocurrent Intensity(au)

G1 G2 G3 G4 G5

1 2 3 4 5 6 7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H

Photodiode Location

Photocurrent Intensity(au)

H1 H2 H3 H4 H5

< 8명 피험자 대상 MSP 모듈 1차 테스트 데이터>

∙ 근적외선 영역대의 LED를 이용한 MSP 데이터가 유의미한 개인차를 보임으로써, 차세대 생체 인증 기반 기술로의 가능성 확인

01 2 3 4 5 6 7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Photodiode Location

Photocurrent Intensity(au)

A B C D E F G H

< MSP 모듈 1차 테스트 결과>

n 생체인증 파장대역별 matrix 신호 분석수행

∙ 각 데이터를 파장별, 측정 회수별, 채널별로 분리하여 개인 식별가능한지 분석 수행

n MSP 모 듈 논문 2편

n MSP 모 듈 특허 3건 출원

(14)

< 파장별 개인 패턴 테스트 결과 챠트>

∙ 8명 피험자별, 5개의 파장대별, 각 시행별, 7 개 채널별로 대표 평균값을 계산

∙ 이후 모든 8명의 피험자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5개의 각 파장대별로, 모든 피험자에 대한 특 징점 백터 취합 (2차원 행렬 생성)

∙ 각 피험자별 반복에 의한 파장별 데이터는 아 래 스펙트럼과 같이 분석됨

<측정자별 반복회수를 포함한 파장별 측정 값 스펙트럼>

∙ 각 채널별 파장별 측정값을 이용하여 개인식별 모델을 개발하고 분류기를 이용해 개인식별 테 스트 실시함

< 입력 값에 따른 인증 모델 >

∙ 분류 결과에 대한 Confusion Matrix 을 생성 : Accuracy, error rate, Sensitivity, Specificity, FAR, FRR 계산 가능

(15)

< 데이터 분석 결과 >

∙ 분석 결과 Y>IR>R>>G>B의 순으로 개인인증 확 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인증 정확도는 98.2%로 수준으로 분석됨 n 4차 MSP 모듈을 이용한 8×2(16채널) 어레이matrix

패턴 측정

∙ PC 기반 피부패턴 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인체 대상 피부패턴 인식 feasibility 연구 완료

∙ 총 1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측정하여 분석하고 16채널의 PD 패턴 조합시 개인 식별 정확도 향상 가능성 확인함

< IR LED 16채널 개인 패턴 측정 데이터 세트 >

n WSB 플랫폼 설계

n 3종 생체신호 지원 확장가능한 WSB 플랫폼 구조 설계

∙ 플랫폼 요구사양 분석 및 플랫폼 기본 구조 설

n WSB H/W 플랫폼

(16)

∙ EEG/ECG/EMG 센서 모듈 분석 및 실시간 제어 구조 설계

∙ WSB 플랫폼 회로 설계 및 검증용 Prototype 제 작

< 전처리 및 특징 추출 SW 구조 설계 >

< WSB Prototype 보드 >

n 플랫폼 S/W 블록 구조 및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설계

∙ 플랫폼 SW 블록 구조 설계

∙ EEG/ECG/EMG 센서 모듈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구현

∙ 생체정보 전처리 및 특징 추출용 SW 구조 설계

∙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인증 S/W 구조 설계

∙ 외부 기기 연동을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 검토 및 데이터 전송 프레임 구조 설계

< WSB SW 블록구조 >

n 보드 펌 웨어 및 검증용 S/W n 논문 2

건, 특허 1건 n 기술문서

2건

(17)

< 센서 드라이버 구성도 >

<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인증 S/W 구조 >

n 플랫폼 검증용 펌웨어 및 S/W 개발

∙ 콘솔기반 command 인터페이스 개발

∙ SD 및 보조센서 드라이버 개발

∙ BT 모듈 펌웨어 개발

∙ 검증용 펌웨어 및 모니터링 S/W 개발

< 검증용 모니터링 SW >

< 다중 생체신호 측정 결과 >

(18)

n 스마트 IoT 디바이스의 직관적인 이 용을 위한 Natural UI 기술

n 스마트 IoT 디바이스 기반 NUI 요구사항 분석

∙ 인터랙션 시나리오 분석 및 NUI 요구사항 작성

∙ 프리젠테이션, 토이, 홈IoT기기, 운전자, 카메 라에플리케이션 제어용 NUI 인터렉션 시나리오

< 다양한 WSB NUI 시나리오 분석 >

n 스마트 IoT 디바이스 내/외부 입력 정보를 사용하는 NUI 기능 설계

∙ 시스템, 통신, 사용자 피드백, 동작감지, 환경감지, 위치감지, 생체정보 측정, 제스처 처리로 분류하여 기 능 설계

n NUI 요구 사항 분 석서 1건 n NUI 기능

설계서 1 건 n 인터랙션

시나리오 기반 IoT 디바이스 제어 SW 1건 n IoT 디바

이스 상 태에 따 른 사용 모드 전 환 SW 1 건 n 논문 3

건, 특허 1건

(19)

< NUI 요구사항 정의서 및 기능설계서 >

n NUI 연동을 위한 선택적 데이터 구성 및 전송 알고리 즘 개발

∙ LED, Toy, PC 제어 가능한 웨어러블 Application 구현

∙ 제어기기 상황별 센서 데이터 세트 추출 및 Bluetooth, Wi-Fi를 이용한 전송 알고리즘 개발

< IoT 디바이스 제어 프로그램 작동 구조 >

n 스마트 IoT 디바이스의 잠금, 절전, 사용 모드 구 분 및 전환기능 개발

∙ 모드전환 시나리오 정의 및 기능 설계

∙ 자동/수동 모드 전환을 위한 규칙 설계 및 기 능 개발

< 각도에 따라 화면이 꺼지는 모드 동작 >

n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보증 레벨 개발

n 생체 인증 보안기술, 보안위협 및 국내·국제 표준 화 동향 조사

n 생체인식 기술을 활용한 국내·외 서비스 동향 n 생체 인증 보안기술 동향 조사

n ITU-T SG 17 Q10 Interim meeting 기고서

(20)

∙ 생체 인증 관련 국내·국제 표준화 동향 조사

∙ ISO/IEC JTC 1 SC 37 생체 인증 관련 표준화 동향 조사

∙ 2382-37 – Biometric Vocabulary Revision

∙ ITU-T SG17 생체 인증 관련 표준화 동향조사

∙ 생체 인증 객체(보호대상)별, 단계별 보안위협 조사

< 바이오인증 시스템의 구성도 >

보증 수준 보증 수준 설명

등급 1 본인확인 신뢰성이 아주 높으며 인 증 실패로 인한 리스크가 높음 등급 2 본인확인 신뢰성이 높으며 인증 실

패로 인한 리스크가 상당함 등급 3 본인확인 신뢰성이 어느 정도 있으

며 인증 실패로 인한 리스크가 보 통임

등급 4

본인확인 신뢰성이 최소이며, 동일 한 실체가 인증되고 있다고 확인할 수 있고 인증 실패로 인한 리스크 가 미미함

n 생체 신호를 사용한 국내·국제 사용자 단말 시스템 장치 결합시 보증수준 요구사항 연구

‐ NIST SP 800-63-2

‐ 국내 환경에 적합한 실체 인증 보증 프레 임워크(TTAK.KO-12.0248) 연구

‐ 금융감독원의 인증수단 안정성 기술 평가 기준 연구

< 실체 인증 보증 수준 >

n 생체 인증 보안기술 국제표준화 관련 활동

∙ ITU-T SG 17 Q10 Interim meeting 기고서 제출 및 반영 1건

∙ ITU-T SG 17 Q10 NWI 제안 1건

n I T U - T SG 17 Q10 NWI 제안 n 논문 1건

(정보보 호 학 회 하계학술 대회)

(21)

참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n 다중 생체신

호 특성 추출 기술 개발

n 심전도신호(ECG) 데이터 전처리 기술 개발

∙ R 정점 탐지 구현 기술

∙ 밴드 패스 (Bandpass) 필터 설계

‐ 특성 추출 기술

∙ 비-스플라인 기법 개발

∙ 시간 가변성 자동회귀 계수 기법 개발

∙ 시간 가변 푸리에 변환, 위상 정보 사용 기법 개발

< 특성추출 알고리즘 진행 도표>

n 뇌파신호(EEG)

‐ 특성 추출 기술

∙ 선형 스팩트럼 분석을 통한 5종 뇌파 특징점 추출 기 술 개발

∙ 시계열 신호의 복잡성을 이용한 한 3종 비선형 뇌파 특징점 추출 기술 개발

<단일 뇌파 신호에 대한 주파수 분석법>

n 한국HCI 학회 학 술대회 발표 n 대한의

용생체공 학회 춘 계 학술 대회 발 표

n Internat ional Conferen ce on Biomedic al and Health Informat ics 2016 국제학술 대회 논 문 발표 n EEG 분석

기술문서 n EEG 특성

분석 소 프트웨어 등록 n EMG 분석

기술문서

(22)

n 근전도신호(EMG)

‐ 특성 추출 기술

∙ 파워 스펙트럼 밀도를 이용한 근전도 특징점 기법 개 발

<안쪽으로 향하는(Towards) 손동작에 대한 8채널 EMG 파워스펙트럼밀도 (PSD) 예>

n 시선 신호(Eye Gaze)

‐ 특성 추출 기술

∙ 화면에서 시각적 물체의 동적 움직임 생성 기술 개발

∙ 시선 신호의 차원 투영 및 신호 변량 특성 추출 기술 개발

<센서-컴퓨터간 장비 설정 구성도>

<움직이는 타겟의 시선 추적시의 머리(왼쪽)와 눈(오른쪽) 움직임 데이터>

n 다중 생체신 호 특성신호 를 활용한 인 증 알고리즘 개발

n 심전도신호 (ECG)

‐ 인증 성능 향상을 위한 전처리 기술 개발

∙ 가이드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인증 성능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

∙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를 이용한 특성 차원 축소 기술 개발

‐ 인증 알고리즘 개발

∙ L2 메트릭 이용한 알고리즘 연구

∙ Dynamic Time Warping (DTW) 알고리즘 개발

∙ Generalized Likelihood Ratio Test를 이용한 알고리

n The 9th IAPR Internat ional Conferen ce on Biometri cs 국제 학술 대 회 논문 발표 n Internat

(23)

즘 개발

∙ Neyman-Pearson 알고리즘 개발

<가이드 필터를 적용하기 전 단일 신호 비교(왼쪽), 적용 후 단일 신호 비교(오른쪽)>

<평균 ECG Beat (위 그림), FFT 절대값 (중간 그림), 위상 정보 (아래그림)>

<가이트 필터 유무시에 PCA, Euclidean, DTW 기법 성능 결과 비교>

n 뇌파신호 (EEG)

‐ 개인인증을 위한 특징점 축소 알고리즘 개발

∙ 최소 개인내(intra-) 변화율와 최대 개인별(inter-) 변별력을 정량화 기반 Criteria Index (CI) 개발

ional Conferen ce on Telecomm unicatio ns and Signal Processi ng 국제 학술대회 논문 발 표 (1) n ECG 분석

기술문서

n Internat ional Conferen ce on Telecomm unicatio ns and Signal Processi ng 국제 학술대회 논문 발 표 (2)

(24)

∙ Multidimensional Scaling 기법 설계

‐ 인증 알고리즘 연구

∙ Linear discrimination analysis (LDA)와 support vector machine (SVM)기반의 본인과 타인 구분 알고리 즘 개발

<8종 뇌파 특징점에 대한 CI 분포 결과 – 파일럿 실험 (위), 본 실험 (아래)>

<비선형 뇌파 분석법을 이용한 3종 뇌파 특징점>

<Multidimensional Scaling을 이용한 차원 축소 알고리즘>

n 근전도신호(EMG)

n 공인 시 험 확인 서 취득

(25)

‐ 특징 차원 축소

∙ PCA를 이용한 특성 차원 축소 기술 개발

<ROC 결과값 – 근전도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왼쪽), PCA 축소 이후(오른쪽)>

<차원 축소 PSD 특성 사용 분류 ROC 커브>

n 시선 신호(Eye Gaze)

‐ 시선 신호 시공간적 변화량 기반 개인 특성 추출 기술 개발

‐ 인증 알고리즘 개발

∙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기반 본인 인증 알고리 즘 개발

n 통합 알고리즘

‐ ECG+EEG 통합 인증 알고리즘

∙ 과반수 투표 (Majority Voting) 알고리즘 구현

<다중 생체 신호를 이용한 인증 알고리즘 순서도>

(26)

n 차세대 인지 반응 기반 생 체인증 패러 다임을 위한 원천기술 개 발

n 얼굴에 대한 인지반응 기반의 패러다임 개발

‐ 모르는 얼굴 자극 사이에 아는 얼굴 자극의 유무 를 이용한 패러다임 개발

∙ 3x3 화면에 총 8명의 얼굴 사진을 보면서 시선 의 머뭄 정도를 정량화

∙ 두 가지 다른 피험자 그룹 (아는 얼굴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대한 커널 밀도 추정 분 석 기술 개발

<센서-컴퓨터간 장비 설정 구성도>

<모르는 얼굴들 중 아는 얼굴이 없을 때와 있을 때 각각 시선이 머문 정도 차이>

n Eye Gaze 기반 인 지반응 패러다임 SW 등록 n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안 구운동 및 머리 움직임 기반 생 체인증 기술 국 내특허 출원

참여기관 : ㈜에이치쓰리시스템 n WSB 사용 시

나리오에 적 합한 밴드 요 구 사항 도출

n 본 과제가 목표하는 WSB 밴드의 예상 기능 요구사항 도출

< WSB 밴드 시작품 기능 도출 >

- ‘WSB 밴 드 기능 요 구 사 항 정의서’

- ‘WSB 밴 드 사용 시 나 리 오 정의서’

(27)

< WSB 밴드 기능 요구사항 정의서 >

n WSB 밴드 사용 시나리오 발굴

<WSB 밴드를 활용한 출입 및 근태관리 서비스 개요>

n WSB 생체 신 호 획득 모듈 개발

n WSB 밴드 구성 요소들을 탑재한 WSB 생체신호획득 모듈 설계

- 생체인증에 필요한 생체신호 획득을 위한 1단계 시작 품 설계

< 생체신호획득 모듈의 블록다이어그램 >

< 생체신호획득 모듈의 측면(side) 배치도 >

- WSB 생체 신호 획득 모듈 설계 결과물 - WSB 생체

신호 획득 용 1단계 시작품 설 계 결과물

(28)

< 생체신호획득 모듈의 부품 배치도>

n WSB 밴드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 리서 치

n 웨어러블 생체신호 측정기기 디자인 트렌드 리서치

< 디자인 트렌드 리서치 보고서 >

n WSB 밴드 디자인 요구사항 도출

< WSB 밴드 디자인 요구사항 정의서 >

< 1차년도 시작품의 렌더링 >

- ‘웨어러 블 생체신 호 측정기 기 디자인 트렌드 리 서치 보고 서’

- ‘WSB 밴 드 디자인 요 구 사 항 정의서’

- WSB 착용 밴드에 관 한 특허 출원 준비 중 (2016 년 7월 예 상)

(29)

참여기관 : ㈜오픈잇 n 모바일 생체

인증 서비스 플랫폼 아키 텍처 설계

n 다중생체신호 수집, 인증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 아키텍처

n 사용자 본인인증이 필요한 스마트폰 서비스와 온 라인 서비스에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 설 계

n 무선(Bluetooth HDP, SPP, Low Energy, NFC 등) 인터페이스 설계

< 모바일 생체인증 서비스 플랫폼 구조도 >

n 생체인증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처 설계서 n 인터페이

스 정의 서

n FIDO Alliance 에서 정의한 UAF 기반 서버 및 클라이언트 개발 (FIDO 1.0규격 구현)

n Java 기반 FIDO Alliance에서 정의한 UAF 서버 기 술개발

n Android 기반 FIDO Alliance에서 정의한 UAF 클라이 언트 기술개발

< FIDO 1.0 규격 UAF Client 화면 >

n 다양한 생체인증수단을 필요에 따라 쉽게 추가, 변경 가능 하도록 개발

n 사용자, 단말 환경에 따른 인증 수단 선택 사용의 최 적화

n FIDO Alliance에서 정의한 UAF (Universal Authentication Framework) ASM 및 인증장치 (Authenticator) 기술개발

n 프로그램 명세서 n 프로세스

모델 정 의서 n 논리 테

이블 정 의서 n 물리 테

이블 정 의서 n 프로그램

등록증(2 종)

(30)

n 서비스 및 사이트 별 인증키 등록, 관리 기술개발 n 인증장치에 대한 신뢰 보증 개발

n BLE, NFC, 스마트카드 등 다양한 통신 기능 적용

< FIDO 1.0 규격 UAF 데이터베이스 설계 >

n 생체신호 기 반 융합 서비 스 기획

n 생체신호 기반 융합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사전 연구

n 사용자 대상 연구를 통한 핵심 가치 도출 n 사용자 행위 기반 Context/시나리오 모델링 n 시장조사 및 서비스 트랜드 연구, 사용자 연구 등

을 통한 서비스 기획

< 생체신호 기반 융합 서비스 기획 - 모바일 Wallet 기반 신분증 서비스 >

< 생체신호 기반 융합 서비스 기획 – 모바일 자격증 서비스 >

n 융합 서 비스 스 토리 보 드

(31)

연구 범위 연구 수행 방법

(이론적ㆍ실험적 접근방법) 구체적인 내용

MSP 디바이스

n 개인생체 인증을 위한 조직 광학적 분석 수행

n MSP 모듈 개발을 위한 회로 및 기구부 설계

n 개인생체 인증을 위한 조직 광학적 분석수행

∙ 생체 구성 물질별 파장 흡수의 차이에 의한 특성 분석

∙ 인체 조직을 이용한 광 특성 분석

∙ 측정 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확산반사 모델적용 을 통한 특성 분석

∙ 시험을 기반으로 한 광원 선택 및 측정 파장범위 선정

n MSP 모듈 개발을 위한 회로 및 기구부 설계

∙ 1×7 어레이 모듈 개발을 위한 독립 제어방식 회 로 개발

∙ 8×2 어레이 모듈 개발을 위한 MUX 방식 회로 개 발

∙ 주변 환경 노이즈 차단을 위한 광 블록 설계 및 적용

∙ 인체 구조 적용을 위한 밴드형 회로기판 제작

WSB 오픈플랫폼

n WSB H/W 플랫폼 Prototype 설 계 및 제작

n 검증용 WSB H/W 펌웨어 개발 n 검증용 WSB 모니터링 S/W 개

n 개발된 보드 및 모니터링 S/W 를 통해 신호 검증

n WSB H/W 플랫폼 Prototype 설계 및 제작

∙ 32비트 MCU

∙ 24비트/8채널 생체센서 및 가속도 센서

∙ UART/BT/WiFi 무선 인터페이스 n 검증용 WSB H/W 펌웨어 개발

∙ 생체센서 등 드라이버 기본설계 및 구현

∙ WSB 보드제어 명령어셋 정의

∙ 호스트 인터페이스용 데이터 전송 프레임 설계 및 포맷터 구현

n 검증용 WSB 모니터링 S/W 개발

∙ 파형, 스펙트럼, 보조센서, Topo 뷰어 지원

∙ 실시간 WSB 보드 제어 및 신호 모니터링 n 개발된 보드 및 모니터링 S/W를 통해 신호 검증

∙ 레퍼런스 신호발생기 및 감쇄기를 이용하여 최소 10uVpp 레벨의 정형파 입력 후, 플랫폼 보드를 통해 취득된 신호 검증

∙ 프런트채널을 중심으로 EEG신호 및 EoG 신호가 구별되는 검증

∙ ECG신호는 주기적으로 R 피크가 발생하는 측정

∙ EMG신호는 평상시와 힘을 가했을 때의 신호의 변 화를 확인

2. 연구 범위 및 연구 수행 방법

(32)

스마트 IoT 디바이스 기반

NUI 요구사항 분석

n 기 출시된 상용 웨어러블 기 기 조사

n OS별 제공하는 UI 분석 및 NUI 관련 연구 조사

∙ 스마트밴드, 스마트워치 등 적용 가능 웨어러블 기 기 조사

∙ 상용 웨어러블 기기 UI 및 I/F 방식 분석

∙ 인터랙션 시나리오 작성

∙ NUI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스마트 IoT

디바이스 내/외부 입력

정보를 사용하는 NUI

기능 설계

n 안드로이드, iOS, Tizen OS의 센서 접근 API 및 디바이스 리소스 접근 API 분석

n 기타 생체정보 측정하는 센서 분석 및 이를 활용한 NUI 이 벤트 정의 및 기능 설계

∙ 상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리소스 조사(네트워크, 메모리, 배터리 등)

∙ 웨어러블 디바이스 센서 조사(생체신호, 카메라, GPS, 가속 도, 자이로 센서 등)

∙ NUI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이벤트 정의

∙ NUI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는 리소스 및 센서 분류

NUI 연동을 위한 선택적 데이터 구성 및

전송 알고리즘 개발

n 개발 대상 Device 선정 및 사 용 가능한 센서 종류 및 센서 관련 API 분석

n 인터랙션 상황에 따른 사용 가능한 센서 데이터 추출 n 센서를 활용한 NUI 정의 및

기능 구현

∙ 인터랙션 시나리오 기반 생성되는 이벤트 및 데이 터 정의

∙ 이벤트 및 데이터 우선순위 구분 및 계층화

∙ 상황별 특정 데이터 세트 추출 및 전송 알고리즘 개발

∙ 이벤트 핸들러 개발 스마트 IoT

디바이스의 잠금, 절전, 사용 모드 구분

및 전환기능 개발

n 안드로이드, iOS, Tizen 기반 의 상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종의(소니워치, 애플워치, 기 어S2) 모드 전환 기능 분석 n 공통적인 요구사항 추출 및

규칙 설계 및 제어기능 구현

∙ 모드전환 규칙 설계

∙ 자동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 설계

∙ 모드 전환 기능 구현

∙ 수동 모드 제어 기능 설계

ECG기반 생체인증 알고리즘

n 심전도신호의 전처리 단계는 기 존에 알려진 알고리즘을 중심으 로, 현 데이터에 대한 튜닝을 위주로 연구

n 특성 추출 기술은 시간 도메인, 주파수 도메인, 시간-주파수 도 메인 등 다양한 특성연구 n 웨어러블 기기가 가지는 계산

성능, 데이터 제약 (본인 데이 터만 가지고 있음) 등을 고려한 알고리즘 개발에 주력하고, 또 한 최고의 성능을 위한 덜 제약 적인 연구도 병행

n 심전도신호 (ECG) 전처리 단계

∙ Pan-Tompkins 알고리즘을 이용한 R 정점 탐지, 인증을 위 해 존재하는 템플릿 심전도신호를 활용한 매치 필터 (matched filter) 설계

∙ 인증 알고리즘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밴드패스필 터(Band Pass Filter)를 실험적으로 구하여 활용 n 심전도신호 (ECG) 특성 추출

∙ 비-스플라인을 이용하여 심전도신호의 표현 차원을 줄이 는 연구. 합동 추론을 이용하여 여러 심전도신호 펄스의 대표 파형을 추론하는 알고리즘 개발

∙ 시간 가변성 자동회귀 계수 기법 (Autoregressive Model) 을 이용하여 심전도신호의 파워스펙트럼 표현의 차원 감 소시키는 알고리즘 개발

∙ 시간 가변 푸리에 변환 (spectrogram) 이용한 심전도신호 표현 기술 개발. 특히 위상 정보를 이용, 인증 성능 향상 EEG기반

생체인증 알고리즘

n 스마트 환경에서의 개인 인증용 뇌파 분석을 위한 전처리 기술 사용

n 기존 선형기반의 뇌파 특징점

n 개인인증을 위한 뇌파 특징점 추출

n 기존의 연구들 조사를 통해 개인의 특징을 가장 잘 포함하고 있는 뇌파 특징점 조사

(33)

추출 기법 뿐만 아니라 비선형 기반의 신호 분석법을 이용하여 개인별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변 수로 활용

n 확장된 특징변수를 개인인증 분 류기의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한 특징점 축소/선택 알고리즘 연 구

n 각 개인별로 본인과 타인을 구 분지을 수 있는 분류 알고리즘 개발

∙ 이를 기반으로 선형 주파수 분석을 실시, 개인의 주파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5종 뇌파 특징점 계산: 1)α/β, 2)α/θ, 3)β/θ, 4) 파워스펙트럼(PSD)의 중간값, 5) PSD의 Shannon entropy

∙ 시계열 신호의 복잡성을 정량화할 수 있는 3가지 비선형 뇌파 특징점 분석: 1) 최대 랴퓨노프 지수, 2) Sample entropy, 3) Permuation entropy

n 뇌파 특징점 축소/선택 및 분류 알고리즘

∙ 모든 특징점을 대상으로 최소 개인내 변화율 (Intra-subject variability)와 최대 개인간 변별력 (Inter-subject discrimination)을 지수화 (Criteria Index)하여, 유효한 특징점 조사.

∙ 특징 공간 내에서 각 개인 간 특징점 분포와 이들의 Euclidean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활용하여 특징점 축소 를 실시하는 Multidimensional Scaling 기법 활용

∙ 본인 및 타인을 분류하기 위한 다양한 분류기 구현 및 조 사함

∙ Mutual Information 기반 최적 특성 선별 알고리즘 개발

∙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및 Linear Support Vector Machine (SVM) 등의 계산부하가 적은 알고리즘으 로도 효과적인 분류 가능

EMG기반 생체인증 알고리즘

n 근전도 신호 획득을 위한 손동 작 최적화 및 패러다임 설계 n 심전도신호와 마찬가지로 근전

도(EMG) 특성 추출 기술은 시간 도메인, 주파수 도메인, 시간- 주파수 도메인 등 다양한 특성 연구

n 근전도신호 (EMG) 신호 획득을 위한 패러다임

∙ 개인 근전도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기본 동작 패러다임 설계가 필요함

∙ 이를 위해 우선 상지 운동 중 근육활동이 가장 활발하고 다양하게 나오는 손동작에 초점을 맞추고 수많은 손동작 중 4개의 최적 동작을 연구함

∙ 사용자에게 화면 상에서 동작을 시각적으로 설명하는 패 러다임 설계

n 근전도신호 (EMG) 특성 추출

∙ 8개의 다채널 근전도 신호를 추출하여 시간 도메인, 파워 스펙스럼, 시간 가변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 특성 추출 연 구

Eye Gaze 기반 생체인증 알고리즘

n 화면에서 시각적으로 움직이는 신호에 반응하는 안구운동에 의 해 생성되는 시선 신호 획득 패 러다임 설계

n 시선 신호의 개인적 특징점 추 출 기술 개발

n 시선 신호 획득 패러다임 설계

∙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 화면 상에서 특정 물체가 정 해진 궤적에 따라 움직이며 이에 반응하는 안구운 동과 시선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패러다임 설계

∙ 시각적 물체의 궤적은 사각형, 다이아몬드, 원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고 움직임 속도 등 운동학적 변수도 조정이 가능함

n 시선 신호 특징점 추출 기술 개발

∙ 획득한 2차원 시선 데이터의 개인 특징점을 추출하 기 위하여 시선 움직임의 특징 중 하나인 2차원

(34)

point-to-point movement를 Segmentation하는 기법 과 이를 1차원 공간으로 투영시키는 기법을 개발함

∙ 1차원에 투영된 시선 신호의 시간적 변량 및 공간 적 변량을 각각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이 를 통해 시선 신호의 특징점을 추출함

다중 생체신호 특성신호를 활용 한 인증 알고리 즘 연구

n 심전도신호 (ECG)

∙ 인증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인증 성 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처 리 기법 개발. 또한 특성 차원의 축소 알고리즘 역시 연구

∙ 다양한 인증 알고리즘을 비 교, 연구하였으며, 특히 제 한된 계산 성능의 웨어러블 기기를 위한 단순하지만 고 성능의 알고리즘 개발을 위 해 노력

∙ 심박수에 따른 심전도신호 의 변화, 시간의 경과에 따 른 심장 특성 변화를 고려 하는 알고리즘 연구

n 근전도신호 (EMG)

∙ 심전도와는 달리 다채널의 환경에서 효과적인 분류 알 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성 차원의 축소 알고리즘 연구.

n 뇌파신호 (EEG) 및 시선 신호 (Eye Gaze)

∙ EEG와 Eye Gaze 신호는 특 징 추출 기술을 통해 최적 화된 특성 벡터가 생성되므 로 별도의 추가적인 차원 축소가 필요 없음.

n 통합 알고리즘

∙ 심전도, 뇌파신호를 통합하 여 개인 인증을 수행하는 스코어 기반 알고리즘으로 성능 테스트 연구 (1차년도

n 인증 성능 향상을 위한 전처리 기법

∙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가이드 필터 (Guided Filter)를 처음으로 인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인증 성능을 향상시 키는 연구 진행

∙ PCA를 통한 특성 차원 축소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인증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 진행

∙ 다양한 인증 기법, 예를 들어 L2 메트릭, DTW, Earth Mover Distance, Generalized Likelihood Ratio Test, Neyman-Pearson detector 등을 구현하 고, 이를 비교하는 연구 진행

∙ 심박수에 따른 심전도신호의 변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심장 특성의 변화를 고려하는 T파형 보정, 적 응적 템플릿 업데이트 알고리즘 개발

n 분류 성능 향상을 위한 전처리 기법

∙ 다채널 환경에서의 데이터 통합 및 인증 방법론에 대해서 연구 진행

∙ PCA를 통한 특성 차원 축소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분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 진행

n 뇌파 신호 및 시선 신호 분류 알고리즘 설계

∙ 뇌파나 시선 신호의 분류를 위해서 기존에 가장 많 이 활용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 중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기반 분류 알고리즘과 Support Vector Machine 기반 분류 알고리즘을 설 계하여 인증 테스트 진행

n 스코어 기반의 통합 알고리즘 구현

∙ ECG, EEG를 통합하여 인증 알고리즘을 구현한 후, 과반수 투표 알고리즘으로 최종 인증 결과를 도출 하는 알고리즘 개발하여 테스트 한 결과 1차년도 목표치 만족

(35)

목표 달성) ∙ 본인거부율 (FRR) = 6.67% < 10%(목표: < 10%)

∙ 타인수락률 (FAR) = 0.92% < 2%(목표: < 2%)

∙ 생체정보 인증 반응시간 = 0.004초 (목표: < 2초)

인지반응 기반 생체인증 패러다 임을 위한 원천 기술

n 동일 자극에 따른 개인별 인지 반응 차이 이용한 페러다임 개 발

∙ 사용자 기준으로 모르는 얼 굴과 익숙한 얼굴간의 인지 적 반응 이용

∙ 시선 추적 신호 패턴과 시 선 머무는 정도를 정량화하 고, 개인별로 서로 다른 자 극 형태간 차이를 분석

n 얼굴 자극을 이용한 개인별 인지 반응 패러다임

∙ Old/New Paradigm 이용

∙ 여러개의 모르는 얼굴 사진 사이에서 익숙한 얼굴 사진의 유무에 따른 인지적 반응 이용

∙ 3x3 형태 테이블 내, 8개의 얼굴자극을 제시하면서 동시 에 피험자의 시선을 추적함

∙ 모르는 얼굴과 익숙한 얼굴 사이에 시선의 변화 형태를 분석함

∙ 시선의 2차원 (X,Y) 좌표를 이용하여 신호 패턴의 변화와 시선이 어느자극에 얼만큼 머무는지를 정량화

∙ 이후 각 얼굴마다 시선의 커널밀도를 추정하여, 시선의 머뭄 정도와 방향을 파악

n WSB 사용 시 나리오에 적 합한 밴드 요 구 사항 도출

n 본 과제가 목표하는 WSB 밴드의 예상 기능 요구사항 도출

∙ 참여 기관별 기능 요구사항 취합

∙ 웨어러블 밴드 기능 요구사 항 분석

∙ 기능 요구사항 1차 정의 및 보완

n WSB 밴드 사용 시나리오 발굴

∙ WSB 밴드 적용 가능 시장 예 측

∙ 본 개발 과제에 가장 적합한 사용처 발굴

∙ 사용 시나리오 정의

n 본 과제가 목표하는 WSB 밴드의 예상 기능 요구사항 도출

∙ MSP 센서, WSB 플랫폼, ECG 센서, UI, 서비스 등을 담당한 각 참여기관으로부터 WSB 밴드 기능 요구사항 취합

∙ 웨어러블 밴드의 완성도 및 사용성에 영향을 주는, 착용 위치, 제품 크기, 배터리(소모전력) 등에 대한 요구사항 정의

∙ 취합되고 정의된 기능 요구사항 1차 정의서를 참여기 관 간에 공유 및 보완

n WSB 밴드 사용 시나리오 발굴

∙ 핀테크, 보안, 복지, 의료, 스포츠 각 분야의 적용 가능 시장 발굴

∙ 공동연구기관 간의 협의를 통해, 보안 및 본인 확인 이 중요한 출입 및 근태 관리 서비스 발굴

∙ WSB 밴드를 활용한 출입 및 근태관리 서비스에서의 WSB 밴드 사용 시나리오 정의

n MSP 센서와 ECG 센서를 중심으 로, WSB 밴드 구성 요소들을 탑 재한 WSB 생체신호획득 모듈 설 계

∙ 기능 요구 사항에 따른 모듈

n MSP 센서와 ECG 센서를 중심으로, WSB 밴드 구성 요소들 을 탑재한 WSB 생체신호획득 모듈 설계

∙ 모듈 구성 요소 :

-생체신호 획득부(MSP, ECG, 6-axis accelerometer, PPG, touch 센서 및 각 센서부의 AFE),

n WSB 생체 신 호 획득 모듈 개발

(36)

구성 요소 정의

∙ 블록 다이어그램 설계

∙ 회로 설계 및 주요 부품 선 정

n 생체인증에 필요한 생체신호 획 득을 위한 시작품 설계

∙ (2차년도 개발 내용이나, 이 를 앞당겨 착수 함)

∙ 생체신호 획득을 위한 시작 품의 기구 설계

-구동 및 중앙처리부(MCU, memory),

-사용자인터페이스부(buzzer, vibration motor, LED 등),

-통신부 (NFC, BT4.0, USB)

∙ 블록 다이어그램 설계

-정의된 구성요소에 따라 설계 수행

∙ 기능요구사항에 따라, 각 요소별 회로 설계, 요소간 커넥션, 주요 부품 사양 선정

n MSP 생체인증에 필요한 생체신호 획득을 위한 시작품 설 계

∙ 개발된 생체신호 획득 모듈을 활용하고, MSP 및 ECG 신호 획득이 가능한 시작품 기구 설계 (진행 중)

n WSB 밴드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 리서 치

n 웨어러블 생체신호 측정기기 디 자인 트렌드 리서치

∙ 현존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및 시장 조사 (관련 분 야 디자인 및 리서치 전문 업체와 협력하여 진행)

∙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시장 분석

∙ WSB 밴드 디자인 개발 방향 설정

n WSB밴드 디자인 요구사항 도출

∙ 필수 기능 요구사항으로부 터, 디자인 input으로 사용 될 핵심 요구사항 정의

n 웨어러블 생체신호 측정기기 디자인 트렌드 리서치

∙ 현존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조사 및 분석 -웨어러블 기기의 정의, 역사, 발전단계 조사

-웨어러블 기기의 형태별, 착용 부위별, 기능별, 활용 분야별 조사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시장 조사 -13개 업체의 smart watch 조사 -18개 업체의 smart band 조사 -11개 업체의 smart glasses 조사

-기타 smart - ring, head set, shoes, gloves, wear, robot(suit), IoT, healthcare, implantables, patches 등 조사

-CES 2016 trend 조사

∙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들과 시장 분석

-사용성, 멋, 기능, 가격대비 성능, 건강관리 등의 키 워드 발굴

-웨어러블 기기 및 관련 시장의 한계 분석

∙ WSB 밴드 디자인 개발 방향 설정

-Display / Sensor / Battery / Material 각 요소별 개발 방향 도출

n WSB밴드 디자인 요구사항 도출

∙ 주 사용 대상 및 적용 시장 1차 정의

∙ 제품 크기, 핵심 기능 요소 (센서)의 배치, 방수 방 진 수준 등

∙ 디자인 중점 요소 제안

(37)

FIDO UAF Server

n FIDO Alliance UAF Server Guideline 분석

n Process Flow Controller 개발

n GetUAFRequestController.java (Reg, Auth, DeReg 요청 분석 컨트롤러) 구현

n SendUAFResponseController.java (Reg, Auth, DeReg 응 답 생성 컨트롤러) 구현

n FacetsController.java (FIDO Client 인증 컨트롤러) 구현

n MetadataServiceController.java (FIDO ASM 인증 컨트 롤러) 구현

FIDO UAF Client

n FIDO Alliance UAF Client Guideline 분석

n Client SDK 개발 n FIDO_Client 개발

n FIDO_ASM 적용 (삼성 sPass 지 문 인식장치 적용)

n SDKActivity.java (로그인 수행, 사용자 UI 제공, 서버 와 연결 및 사용되는 FIDO 인터페이스) 구현

n ClientActivity.java (인증 장치와 사용자 앱 연동 및 사용되는 FIDO 인터페이스) 구현

n ASMActivity.java (인증 장치와 통신하여 인증 수행 및 사용되는 FIDO 인터페이스) 구현

(38)

○ 생체신호기반의 개인 인증 기술은 차세대 웨어러블 플랫폼인 스마트 워치나 밴드 에 내장 가능한 기술로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핀테크(금융결재), 스마트 의료 정보, 자동차, 스마트 홈, 공공기관, 산업현장 등 개인인증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 에서의 간편한 착용만으로 위변조가 어려운 개인인증이 가능한 차세대 기술임

○ 생체인식(지문, 홍채, 얼굴 등) 기술은 인위적인 위변조 및 복제가 가능하고 소형화가 어려운 점이 있어 본 과제에서는 생체신호(ECG, EEG, EMG, Eye Gage, MSP 등) 기반 의 차세대 다중생체신호 개인 인증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1차년도에는 단일 생체 신 호기반의 인증 알고리즘 기술 확보하였음

○ 당해연도 연구개발성과 요약

- 피부생체 광학 기반의 MSP(Multispectral Skin Photometrics) 개인 식별 디바이스를 설계/제작하고 생체대상 실험을 통해 새로운 개인 식별 디바이스로서의 가능성 확 인

- 다양한 생체신호(ECG, EEG, EMG, Eye Gaze 등)를 활용한 개인 인증 알고리즘 개 발을 위한 전처리, 특징점 추출, 개인 식별 알고리즘 연구를 통해 개별 생체 신호 기반의 개인 인증 알고리즘 기술 확보함. 2차년도 다중 생체신호 기반의 인증 알고 리즘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

- 3종 이상의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개인 인증 신호처리가 가능한 WSB(Wearable Smart Biometric) 플랫폼을 설계/제작하고 검증용 펌웨어 및 S/W개발

- 착용형 WSB 밴드 제작을 위한 설계적, 디자인적인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디자인 랜 더링안 도출

- FIDO 1.0 규격 기반의 모바일 생체인증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FIDO 규격 서비 및 클라이언트 개발하여 2차년도에 표준화 추진할 모바일 생체인증 서비 스 플랫폼의 기반기술을 확보

- 본 과제 생체인증 보안 관련 국제 표준화 단체인 ITU에 기고서 1건 제출 및 채택1건, ITU-T SG 17 Q10 NWI 제안

○ 지문, 홍채 등과 같은 생체인증 기술은 타인 도용이나 위변조가 가능하므로 본 과제 에서 개발하고 있는 ECG, EEG, MSP 등의 생체신호는 타인 도용이 원천적으로 불가 능한 기술로 개발 성공시 기술적,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품목임

3.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및 자체 평가

가. 연구개발성과 및 평가 방법

(39)

○ 2차년도 이후에는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간편하고 신뢰도 높은 개인 인 증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다중 생체신호 측정 기반의 웨어러블 개인인증 디바이 스 핵심기술을 중점개발 할 계획임

○ 정량적인 목표 달성도(1차년도)

- 당해연도 정량적인 목표항목을 모두 초과 달성 완료함

- 본인 거부율(FRR) : 30명의 피험자의 4회 반복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개인 인증 알 고리즘을 통해 6.67% 달성

- 타인 수락율(FAR) : 30명의 피험자의 4회 반복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개인 인증 알 고리즘을 통해 0.92% 달성

- 생체정보 인증반응시간 : 생체정보 획득이후 인증 알고리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으 로 0.004초 달성

- MSP 모듈 파장수 : MSP 모듈에 사용된 광원의 종류는 최종 시제품기준으로 IR+Red, IR+Yellow 등 2종이상 달성

- MSP 모듈 matrix size : MSP 모듈에 사용된 photodiode 소자의 채널수는 8×2 총 16 채널 달성

- 다중생체정보수 : 플랫폼상에서 입력 가능한 생체정보의 종류는 ECG, EEG, EMG 총 3종으로 달성

평가 항목 (주요성능 Spec1))

단위

전체 항목 에서 차지하는

비중2) (%)

세계최고 수준 보유국/

보유기업 ( / )

개발

목표치 1차년도

달성수준 평가 방법3)

성능수준 1차

년도 1. 본인 거부율

(False Reject

Rate) % 20% 0.13*

(인도/Bangalo

re 대학) ≤ 10 6.67 공인시험확인서 2. 타인 수락률

(False Accept

Rate) % 20% 0.82

(스페인/

Starlab) ≤ 2 0.92 공인시험확인서 3. 생체정보

인증반응시간 sec 10% - ≤ 2 0.004 공인시험확인서

4. MSP 모듈 파장수 개 10% 2

(미/UCLA) ≥ 2 2 공인시험확인서 5. MSP 모듈

matrix size 개 10% 8 × 4

(미/UCLA) ≥ 4×4 8×2 공인시험확인서

6. 다중생체정보수 개 10% 3

(미국/BioNym) ≥ 3 3 자체평가

< 1차년도 정량적인 목표 항목 >

(40)

구분 목표 달성도(%) 비고

특허 출원

국내 5건 7건(140%)

국외 - -

계 - -

특허 등록

국내 - -

국외 - -

계 - -

국외 논문 게재

SCI - -

비SCI - 1편 非목표 초과달성

계 - 1편

국내 논문 게재

SCI - -

비SCI - -

계 - -

국내 및 국제 학술회의 발표

SCI - -

비SCI 7편 14편(200%)

계 7편 14편(200%)

국제 표준화

기고서 제출 - 2건 非목표 초과달성

기고서 채택 - 1건 非목표 초과달성

표준안 채택 - -

국내 표준화

기고서 제출 - -

기고서 채택 - -

표준안 채택 - -

기술 이전

계약 건수 - -

계약액 - -

징수액 - -

등록ㆍ기탁 대상 성과물

보고서 원문 - -

연구시설·장비 - -

기술요약정보 - -

생명자원

생명정보 - -

생물자원 - -

신품종 - -

소프트웨어 3건 4건(130%)

화학물 - -

인력 양성

학사 - -

석사 - -

박사 - -

기타

시제품 4개 10개(250%)

성과 홍보 - -

개발 전 개발 후

일자리 창출

연구인력 12 명 14 명

생산인력 37 명 42 명

나. 당해 (연도·단계) 정량적 연구성과 목표 및 달성도

참조

관련 문서

기업임무를 달성하기 위한 기업 전략 수립 및 기술전략(하위전략)의 우선순위와 자원배분 결정. 기업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획득 등)

ㅇ 美 트럼프 정권은 중국에 코로나19 확산의 책임을 물으며 추가관세 등 보복 조치를 검토하는 등 미중대립이 재발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증시에

ㅇ (특성) 불법고용 외국인노동자는 주로 40세 이하의 젊은 남성으로 저임금 ㆍ계절성이 있는 산업분야 (과일농장 등) 와 사업주에 대한 근로감독이 어려운

블록체인 기술은 보안, 금융, 의료 분야 등 여러 산업에서 활용이 가능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거론되지만 법으로 열거한 신성장 R&amp;D 기술에 해당되지 않아

기존의 홍채 검출 방법은 대부분 적 외선 영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다양한 응용을 위해서는 RGB 영상의 홍채 검출 기술이 요구된다. 홍채 후보 영역은 허프 공간을

또한 티몬은 기술 트랜드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 서로의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개진하고 토론하며 최적의 선 택을 할 수 있는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갖추고

Ÿ 온라인 기반 지원 프로그램 지원 등 예산 집행율 관리 필요 Ÿ 다문화가정 학생 및 새터민 학생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지원 방안 강구 Ÿ 캠퍼스별 외국인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