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호흡기 내과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치와의 관계조혜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호흡기 내과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치와의 관계조혜경"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주요어: 인력 배치, 건강 서비스 필요와 요구, 분류, 환자케어

Corresponding author: Bae, Sung-Heui https://orcid.org/0000-0003-4185-9543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03760, Korea.

Tel: +82-2-3277-2767, Fax: +82-2-3277-2850, E-mail: sbae@ewha.ac.kr Received: Feb 22, 2021 / Revised: Apr 26, 2021 / Accepted: May 7, 2021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Open Access

호흡기 내과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치와의 관계

조 혜 경

1

· 배 성 희

2

전북대학교병원 간호사1,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부교수2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Care Needs and Nurse Staffing in Pulmonology Nursing Units

Jo, Hye-Kyung1 · Bae, Sung-Heui2

1Nurs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eonju, Korea

2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care needs and nurse staffing in

pulmonology unit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hat used a retrospective design. In total, 2,622 patient medical records from a tertiary hospital were analyzed. Variables were collected from Clinical Data Warehouse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sults: The study found a difference in nursing care needs and nurse staffing by shift among units. In unit A (general unit), nurses were assigned according to nursing care needs and the proportion of severe patients. However, in unit B (general unit), higher nursing needs could lea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on night duty (r=.23, p<.001). In unit C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during the day increased as nursing needs increased.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greater than two points in nursing activities”, the higher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during the day (r=.13, p=.010) and evening (r=.12, p=.018). However,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greater than three point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lower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during the night shift (r=-.28, p<.001). Conclusion: Patients’ nursing care need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management of nurse staffing. We should develop a nurse staffing program that considers variation in daily nursing care needs to establish efficient staffing guidelines.

Key Words: Personnel staffing; Health services needs and demand; Classification; Patient care

1. 연구의 필요성

환자의 안전과 질 높은 간호제공을 위해 적정한 간호인력 배 치는 필수적이다[1]. 우리나라는 입원간호에 있어 간호 인력이 적정하게 배치되지 못함에 따라 환자가 입원할 경우 보호자가

반드시 상주하여야 했으며, 이러한 입원구조로 인해 경제적 부 담이 되는 간병인 고용비용, 비의료인에 의해 행해지는 간호행 위, 감염과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2]. 간호사 측면에서도 간호사 배치수준은 간호사의 직무만족 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며[3], 적정수준의 간호사 수는 의료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4]. 현 상급종합병원의 일반 병동은 직전 분기 평균 병상 수 대비 당해 병동에서 간호업무에

(2)

종사하는 직전 분기 평균 간호사 수(병상 수 대 간호사 수 비)에 따라 간호인력 확보수준을 결정하며, 상급종합병원 간호 관리 료 차등제 1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간호사 1인당 환자 수’로 환 산했을 때, 약 1:9~1:10의 배치수준으로 나타낼 수 있다[5]. 최 근 간호관리료 차등제 적용에 있어 ‘간호사 수 대 환자 수’의 기 준으로 변경되었으나, 이는 상급종합병원을 제외한 종합병원,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에만 국한되어 있다[6]. 또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사 인력배치는 의료기관 종별 차 이를 두고 있으며,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간호사 수 대 환자 수’

1:5, 1:6, 1:7 기준으로 일반병동과 상이한 간호사 배치가 이루 어지고 있다.

적정한 간호사 인력배치의 중요성은 간호사 배치수준과 환 자의 건강결과 간의 관계에서도 보여주고 있다. 낮은 간호사 배 치수준으로 인해 간호사 1명이 담당하는 환자 수가 증가하면, 입원 환자 사망률과 낙상 발생률이 증가되고[7,8], 환자의 심폐 소생술이 실패할 가능성이 증가된다고 보고되었다[9]. 일반병 동에서는 간호사 확보수준이 낮을수록 수술 후 환자의 사망률 과 폐렴 발생률이 높아졌으며[10], 간호사와 간호보조인력 확 보수준이 높을수록 입원일수가 감소하였다[11]. 이는 미흡한 간호인력 확보가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간호행위의 지연과 누락을 야기하여 환자에게 위해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을 증가 시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 인력배치 수준은 환자의 안 전 유지 및 건강결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안전한 간호를 위한 간호사 배치기준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은 필수적이다[12].

그러나 현행 간호사 인력배치는 간호 필요도나 환자군 분포 에 따라 제시된 것은 아니며[5], 간호사의 업무량을 충분히 반 영하지 못해 결국 환자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 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하고 질 높은 간호서비스 제 공을 위해서는 환자의 간호필요도를 고려한 간호사의 적정배 치가 중요한 선행요건으로 고려되어야 한다[13]. 현재 한국의 간호사 배치기준은 의료기관 단위의 병상 수 또는 환자 수 대비 간호사 수로 평가되고 있어 간호사 인력배치기준의 일원화가 필요하며, 적절한 간호인력 배치를 위해서는 환자 간호요구도 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간호의 양과 질을 객관화하는 과정이 필 요하다[14]. 현재 우리나라의 대부분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한국형 환자분류체계(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KPCS)는 입원 중 충족되어야 하는 각 환자의 간호 요구와 임상 적 상태, 일상생활능력을 반영하고[15], 직접 간호시간과 유의 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입증되어, 근무조별 적정 간호인력 수 산 출과 입원병동의 간호인력 산정 모델 개발에 활용되었다[16, 17]. 그러나 실제 임상현장에서는 이에 기반한 간호인력 배치

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5].

반면, 영국에서는 Safe Nursing Care Tool (SNCT)을 사용 해 주기적으로 간호필요도를 측정하여 환자군을 분류하고 그 에 따른 배치기준을 개정하고 있다[5]. 이를 국내 일반병동에 적용하여 현재의 배치수준과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간호제공시간을 측정하여 예상 배치기준을 산정한 결과 현재 국내 간호시간은 영국의 절반수준인 53.2%에 그쳤고, 예상되 는 간호인력 배치기준은 1:4였다[5]. 이처럼 국내 임상현장에 서도 간호필요도를 기반으로 간호사 인력배치를 적용하기 위 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근거 마련에는 많은 연 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 임상현장에 적용하기까지는 반복 적인 후속연구가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동별 간호필요도를 분석하고 간호필요 도와 중증 환자의 구성비율을 확인하여 간호사 배치수준과의 관계로 분석함으로써 간호사의 업무부담을 완화하고 환자에 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 인력배치에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호흡기 내과병동에 입원하 여 퇴원한 환자의 재원 중 간호필요도를 분석하고 각 병동의 간 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치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 호흡기 내과병동의 간호필요 도를 분석하고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치 간의 관계를 파 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 일개 상급종합병원 2개의 호흡기 내 과 일반병동과 1개의 호흡기 내과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 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기관의 호흡기 내과병동은 두 가지 유형의 병동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어 각 병동에 따른 간호 사 인력배치를 파악하기에 용이하여 선정하였으며, 해당 병동 에 입원하여 퇴원한 환자의 재원당시 간호필요도 자료를 사용 하였다. 해당 병동의 2019년 9월 1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

(3)

재원 환자는 2,622명이며, 일반병동 1,933명, 간호 ․ 간병통합 서비스병동 689명이었다. 연구대상 기관의 일반병동은 간호 관리료 차등제 2등급(간호사 수 대 병상 수 기준)에 해당하며,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간호사 수 대 환자 수’ 1:6으로 운 영하고 있다. 두 개 일반병동의 병상 수는 각각 44개이며, 수간 호사를 제외한 간호사 수는 각각 19명이다. 간호 ․ 간병통합서비 스병동의 병상 수는 37개이며, 수간호사를 제외한 간호사는 28 명, 간호조무사 6명, 병동지원 인력 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변수의 자료취득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 병동 환자의 일반 적 특성(성별, 나이, 재원일수, Classification of Disease [ICD]

-10 code로 분류된 주상병명, 부상병명 건수[number of dis- eases], 평균병상가동률)은 전산정보실에 의뢰하여 임상 연구 데이터 시스템(Clinical Data Warehouse, CDW)에서 추출한 자료를 받아 사용하였으며 부상병명 건수는 각 환자의 주상병 명을 제외한 부상병명 개수를 의미한다. 각 병동의 간호필요도 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을 통해 각 일별 개별 환자의 간호필요도 자료를 추출하였으며, 간호사 인력배치에 대한 정보는 원내 간호업무 전산 프로그램인 통합 의료정보시스템의 근무조별 간호사 업무 배정 프로그램을 통 해 각 병동의 일별 근무조별 환자 수와 간호사 수의 자료를 추 출하였다.

3. 연구도구

1) 한국형 환자분류체계-일반병동(Korean Patient Classifica- tion System-General Ward, KPCS-GW)

한국형 환자분류체계는 환자의 간호요구 정도에 따라 환자 를 분류할 수 있는 도구로, 2008년 병원간호사회에서 일반병동 용 한국형 환자분류체계-1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1, KPCS-1)을 개발하였고, 2018년 개정과정을 거치면 서 해당 분류체계의 사용처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한국형 환자 분류체계-일반병동(KPCS-GW)’으로 명칭이 수정되었다[14].

KPCS-1은 간호활동에 해당하는 ‘활력징후 측정’, ‘감시’, ‘호 흡치료’, ‘검사’, ‘투약’, ‘처치’, ‘특수처치’, ‘교육/정서적 지 지’, 환자의 일상생활 보조에 해당하는 ‘위생’, ‘식이’, ‘배설’,

‘운동’의 12개 영역, 50개 간호활동, 73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간호 영역명을 수정하면서 이 가운데 ‘활력징후 측정 및 감시’를 하나의 영역으로 개정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는 총 11개 영역, 34개 간호활동, 5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KPCS-GW로의 개정 이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KPCS-1의 신뢰도에 대해서는 병동 간

호 관리자와 간호사가 실시한 환자분류점수의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r=.88, p<.001), 진료과별 환자분류점수(F=10.97, p<.001)와 환자유형별 환자분류점수(F=5.54, p=.001)가 통 계적으로 유의하여 이를 통한 구성타당도가 검증된 바있다 [17]. 또한, 기존 KPCS-1의 타당도를 유지하면서 간호활동 수 를 줄이는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개정 후에도 기존의 도구와 높 은 일치도를 보였다[14]. 환자분류체계 총 점수의 합에 따라 총 4개의 환자 분류군이 결정되며, ‘1군’ 0~10점, ‘2군’ 11~20점,

‘3군’ 21~30점, ‘4군’ 31점 이상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요구도 가 높음을 의미한다[18]. 본 연구에서는 일반병동의 간호필요 도 측정에 사용되었으며, ‘환자분류체계 총 점수의 합’과 ‘환자 분류군’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일별 평균 환자 1명 당 간호필요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각 변수를 다음과 같이 생성하였다. 일반병동의 간호필요도는 측정된 각 병동 개인의 일별 환자분류체계 총 점 수의 합을 당일 환자 수로 나누어 ‘하루 평균 환자 1명 당 간호 필요도(이하 간호필요도)’로 변환하였고, 일반병동의 중증 환 자 구성은 각 일별 해당 병동의 전체 환자 중환자분류군 ‘3군’

과 ‘4군’에 해당하는 환자의 비율을 사용하였다.

2) 중증도 ․ 간호필요도 평가도구-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 중증도 ․ 간호필요도 평가도구는 한국형 환자분류체계-1 (KPCS -1)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19], 간호 ․ 간병통합서비 스병동에서 적정 수준의 간호인력 배치 여부를 파악하고 평가 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13].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해 2019 년 7월 현재 간호활동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2가지 영역으로 구 성된 중증도 ․ 간호필요도 평가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간호활 동 영역은 ‘지속적 심전도 모니터링’, ‘호흡간호’, ‘정맥 내 투 약’, ‘배액관 보유’, ‘위험행동 관리’, ‘수혈’, ‘전문치료’ 항목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상생활 수행능력 영역은 ‘체위변경’,

‘침상 밖으로 이동’, ‘식사섭취’, ‘배변 ․ 배뇨’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0 시부터 24시까지 매일 해당 병동 내에서 실시한 행위에 대해서 만 평가된다. ‘간호활동’ 영역의 점수 부여 방식은 각 항목별로 해당되는 경우 1점, 해당되지 않는 경우 0점으로 측정되며, ‘호 흡간호-인공호흡기사용’, ‘전문치료-항암치료제(주사제)’, ‘승 압제(주사제)’, ‘항부정맥제(주사제)’, ‘항혈전제(정맥주사제)’

의 경우 2점이 부여된다. ‘일상생활 수행능력’ 영역은 각 항목 별로 ‘도움 없음’ 0점, ‘일부도움’ 1점, ‘전부도움’ 2점으로 측정 한다.

본 연구에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필요도는 중

(4)

증도 ․ 간호필요도 평가도구로 측정된 ‘간호활동’ 영역과 ‘일상 생활 수행능력’ 영역 점수의 합을 사용하였다. 간호필요도는 해당 병동 개인의 일별 ‘간호활동’ 영역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영역 점수의 합을 당일 환자 수로 나누어 ‘하루 평균 환자 1명 당 간호필요도’로 변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 ․ 간병통합 서비스병동의 중환자 구성비 평가를 위해 ‘간호활동 2점 이상’

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3점 이상’의 지표를 사용하였다. 이는 현재 도구 개정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공식화 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사업 분석을 위한 연구 에서 이와 같은 지표를 통해 중증 환자의 비율을 확인하고 있 어, 본 연구의 지표로 활용하였다[5]. 따라서 간호 ․ 간병통합서 비스병동의 중증 환자 구성은 각 일별 해당 병동 전체 환자 중

‘간호활동 2점 이상’ 또는 ‘일상생활 수행능력 3점 이상’에 해 당하는 환자를 의미하며, 이를 각 일별 해당 병동 전체 환자 중 에 중증 환자의 비율로 나타내었다. 중증도 ․ 간호필요도 평가 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서는 도구의 총 점수와 직접간호시간(r=.76, p<.01), 간접간호 시간(r=.65, p<.01), 총 간호시간(r=.75, p<.01)이 유의한 상 관관계가 있었다[20].

3) 간호사 인력배치

간호사 인력배치는 근무조별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Nurse to Patient Ratio, NTPR)’로 나타내었으며, 각 근무조별 환자 수를 간호사 수로 나누었고, 낮번, 초번, 밤번 간호사 1명 당 환 자 수로 나타내었다.

4. 자료수집

본 연구는 2019년 9월 1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 호흡기 내과병동에 입원하여 퇴원한 환자의 재원 당시 자료를 수집하 였다. 환자와 병동의 일반적 특성은 의무기록 통계 의뢰서를 작성하고 해당 병원 간호부의 승인을 받은 후 의무기록실 통계 담당자를 통해 임상 연구 데이터 시스템으로 자료를 수집하였 다. 호흡기 내과병동의 간호필요도는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수 집하였으며, 각 병동의 간호필요도 자료는 일별 ․ 월별 병동 자 료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간호사 인력배치에 대한 정보는 C 상급종합병원의 각 근무조 팀별 환자를 배정하는 원내 간호업 무 전산 프로그램을 통해 Excel 파일 형식의 자료로 추출하였 다. 수집된 자료의 환자 개인정보 식별 방지를 위해 환자명, 환 자 등록번호를 삭제하고 식별 불가능한 임의 번호(1, 2, …)를 부여하였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책임자 소속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Insti- 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IRB No. CUH 2020- 05-023) 후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는 후향적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자 동의면제 사유서를 제출하여 승인받았다. 자료 보안을 위해 수집한 자료는 암호화하여 USB에 보관하였다. 연구를 위 한 분석에 사용된 자료 보관은 연구책임자 소속기관 내에서만 이루어졌으며, 연구종료 후 3년 동안 연구자료 보관 후 폐기할 것이다. 개인정보 및 해당 기관 정보, 이를 포함한 결과는 외부 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6.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AS 9.4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나이, 재원일수, ICD-10 code로 분류된 주상병명, 부상병명 건수, 평균병상가동률) 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각 병동 간 일반적 특성의 차이는 x2-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였다.

 해당 병동의 간호필요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 율, 최소 ․ 최댓값을 이용하였다.

 해당 병동의 간호사 인력배치는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 ․ 최댓값을 이용하였다.

 해당 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치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 구 결 과

1. 호흡기 내과병동의 일반적 특성

연구기간 내 병동별 각 재원 환자는 일반병동 A 1,143명, 일 반병동 B 790명,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 C 689명, 총 2,622 명이었다. 환자의 성별은 남성이 각각 A병동 718명(62.8%), B 병동 517명(65.4%), C병동 449명(65.2%)으로 남성이 많았으 며, 각 병동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x2=1.76, p= .414). 환자 의 평균연령은 A병동 70.00±14.97세, B병동 69.05 ±12.42세, C병동 71.26±12.08세로 세 개 병동 모두 61~80세의 연령대가 50.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각 병동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4.93, p=.007). 재원일수는 A병동 13.39±11.13일, B병동 19.60±15.97일, C병동 19.10±17.20일로 모든 병동에서 재원

(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for One Year (N=2,622)

Variables A unit (n=1,143) B unit (n=790) C unit (n=689)

x

2 or F (p) n (%) or M±SD n (%) or M±SD n (%) or M±SD

Gender Men Women

718 (62.8) 425 (37.2)

517 (65.4) 273 (34.6)

449 (65.2) 240 (34.8)

1.76 (.414)

Age (year)

≤20 21~30 31~40 41~50 51~60 61~70 71~80 81~90

≥91

70.00±14.97 7 (0.6) 147 (17.0)

38 (3.3) 75 (6.6) 110 (9.6) 240 (21.0) 361 (31.6) 258 (22.6) 37 (3.2)

69.05±12.42 2 (0.3) 10 (1.3) 13 (1.7) 31 (3.9) 116 (14.7) 205 (26.0) 288 (36.5) 122 (15.4) 3 (0.4)

71.26±12.08 0 (0.0) 6 (0.9) 8 (1.2) 24 (3.5) 76 (11.0) 188 (27.3) 239 (34.7) 128 (18.6) 20 (2.9)

4.93 (.007)

Length of stays in days

≤8 9~20

≥21

13.39±11.13 449 (39.5) 514 (45.2) 180 (15.3)

19.60±15.97 157 (19.4) 375 (48.2) 258 (32.4)

19.10±17.20 176 (25.5) 302 (44.0) 211 (30.5)

5.46 (<.001)

Number of diseases 1.31±1.70 1.15±1.52 1.34±1.82 2.80 (.061)

Monthly occupancy rate (%) 75.1±6.5 94.7±3.5 87.9±5.5 42.51 (<.001)

M=mean; SD=standard deviation.

Note. A, B-General unit; C-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일수는 9~20일이 가장 많았으며, 세 병동 간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F=5.46, p<.001). 부상병명 개수의 평균은 A 병동 1.31±1.70건, B병동 1.15±1.52건, C병동 1.34±1.82건으로 각 병동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F=2.80, p=.061), 병상가 동률의 평균은 A병동 75.1±6.5%, B병동 94.7±3.5%, C병동 87.9±5.5%로 각 병동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2.51, p<

.001)(Table 1).

2. 호흡기 내과병동의 영역별 간호필요도

한국형 환자분류도구-일반병동(KPCS-GW)으로 측정된 A 와 B병동의 간호행위는 총 311,865건이 수행되어졌다. A와 B 병동에서 간호활동 항목에서는 ‘투약 및 수혈’ 영역이 31,319 건(23.5%), 39,276건(27.7%)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 으며, 일상생활 보조 항목에서는 A병동에서 ‘위생’이 10,426건 (44.1%), B병동에서 ‘기동성’이 6,719건(50.4%)으로 가장 많았 다. 중증도 ․ 간호필요도 평가도구로 측정된 C병동의 간호행위 는 19,702건이 분석되었으며, 간호활동 항목에서는 ‘호흡간호’

영역이 5,533건(45.0%)으로 가장 많았고, ‘정맥 내 투약’ 2,425 건(19.7%), ‘전문치료’ 1,546건(12.6%), ‘위험행동 관리’ 1,071 건(8.7%), ‘지속적 심전도 모니터링’ 870건(7.1%), ‘배액관 보

유’ 630건(5.1%), ‘수혈’ 230건(1.9%) 순이었다. 일상생활 수 행능력 항목에서는 ‘배변’이 2,554건(34.5%)으로 대부분을 차 지하였으며, ‘체위변경’ 2,114건(28.6%), ‘식사섭취’ 1,840건 (24.9%), ‘이동’ 889건(12.0%) 순이었다(Table 2).

3. 호흡기 내과병동의 환자분류

A병동의 각 일별 재원 환자 수를 일 년 동안 누적하여 계산 한 환자 수는 11,884명으로 ‘2군’에 해당하는 환자가 5,203명 (43.8%)으로 가장 많았으며, ‘3군’ 4,278명(36.0%), ‘4군’ 2,055 명(17.3%), ‘1군’ 347명(2.9%) 순이었다. B병동의 일 년 누적 재 원 환자는 14,694명으로 A병동과 마찬가지로 ‘2군’에 해당하 는 환자가 11,697명(79.6%)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3군’

2,634명(17.9%), ‘4군’ 451명(3.1%), ‘1군’ 169명(1.2%) 순이었 다. 중증 환자를 나타내는 ‘3군’과 ‘4군’에 해당하는 환자는 A 병동 6,333명(53.3%), B병동 3,085명(21.0%)이었다. C병동의 누적 재원 환자는 11,324명으로 ‘간호활동 2점 이상’에 해당하 는 환자는 C병동 전체 환자의 30.5%였으며, ‘일상생활 수행능 력 3점 이상’에 해당하는 환자는 전체 환자의 18.9%를 차지하 였다(Table 3).

(6)

Table 3. Patient Classification in Units

Class Range A unit (n=11,884) B unit (n=14,694) C unit (n=11,324)

n (%) M±SD n (%) M±SD n (%) M±SD Min~Max

I 1~10 347 (2.9) 8.69±1.28 169 (1.2) 9.24±1.05

II 11~20 5,203 (43.8) 16.00±2.78 11,697 (79.6) 15.64±2.42

III 21~30 4,278 (36.0) 24.48±2.72 2,634 (17.9) 23.99±2.70

IV ≥31 2,055 (17.3) 36.28±4.53 451 (3.1) 34.40±3.74

Number of severe patients 6,333 (53.3) 3,085 (21.0) NA

Greater than two points in NA Less than two points in NA Total

3,452 (30.5) 7,871 (69.5) 11,324 (100.0)

1.08±1.20 0~7

ADL

Greater than three points in ADL Less than three points in ADL Total

2,141 (18.9) 9,182 (81.1) 11,324 (100.0)

1.03±1.99 0~8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M=mean; Max=maximum; Min=minimum; NA=nursing activities; SD=standard deviation.

Note. A, B-General unit; C-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Table 2. Categories of Nursing Activities in Units for One Year Categories

Frequency of activities

A unit (n=156,850) B unit (n=155,015)

n (%) n (%)

Activities of nursing

Vital signs and monitoring Respiratory therapy Examination

Medication and transfusion Treatment

Admission management Education/emotion

133,228 (100.0) 30,758 (23.1) 15,351 (11.5) 8,714 (6.5) 31,319 (23.5) 25,193 (18.9) 1,110 (0.8) 20,783 (15.6)

141,695 (100.0) 34,200 (24.1)

6,686 (4.7) 10,521 (7.4) 39,276 (27.7) 21,435 (15.1) 866 (0.6) 28,711 (20.3) Activities of daily living

Hygiene Feeding Excretion Mobility

23,622 (100.0) 10,426 (44.1)

1,458 (6.2) 3,443 (14.6) 8,295 (35.1)

13,320 (100.0) 5,064 (38.0)

192 (1.4) 1,345 (10.1) 6,719 (50.4)

Categories C unit (n=19,702)

n (%) Activities of nursing

Continuous EKG monitoring Respiratory therapy Intravenous administration Drainage tube

Preventive measures for risk of self- and other-directed violence in patients Transfusion

Advanced intervention

12,305 (100.0) 870 (7.1) 5,533 (45.0) 2,425 (19.7) 630 (5.1) 1,071 (8.7) 230 (1.9) 1,546 (12.6) Activities of daily living

Changing positions Movement Feeding

Defecation & urination

7,397 (100.0) 2,114 (28.6)

889 (12.0) 1,840 (24.9) 2,554 (34.5) EKG=electrocardiography.

Note. A, B-General unit; C-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7)

Table 4. Nursing Care Needs and Nurse to Patient Ratio (NTPR) in Units

Variables A unit (n=366) B unit (n=366) C unit (n=366)

M±SD Min Max M±SD Min Max M±SD Min Max

NTPR_D 8.05±1.03 4 11 10.25±0.83 9 12 5.53±0.61 4 7

NTPR_E 7.91±1.01 5 11 10.43±1.02 7 13 5.58±0.69 4 9

NTPR_N 15.24±2.84 7 22 18.87±2.52 12 23 6.31±0.87 5 9

Nursing care needs 22.37±1.67 17 26 18.02±1.71 15 25 2.11±2.83 0 15

D=day; E=evening; M=mean; Max=maximum; Min=minimum; N=night; NTPR=nurse to patient ratio; SD=standard deviation.

Note. A, B-General unit; C-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4. 호흡기 내과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치

각 병동에서 연구기간 내 일년동안(n=366)의 간호필요 도와 간호사 인력배치는 다음과 같다(Table 4). A병동의 간 호필요도 평균은 22.37±1.67점으로 최소 17점, 최대 26점으 로 나타났으며, B병동의 간호필요도 평균은 18.02 ±1.71점 으로 최소 15점, 최대 25점이었다. C병동의 간호필요도 평균 은 2.11±2.83점으로 최소 0점, 최대 15점이었다. 각 병동의 근무조별 간호사 배치는 연구 기간 동안의 일일 낮번, 초번, 밤 번 환자 수와 간호사 수를 파악하여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로 변 환하였다. A병동의 낮번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는 8.05±1.03 명, 초번 7.91±1.01명, 밤번 15.24±2.84명이었으며, B병동의 낮번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는 10.25±0.83명, 초번 10.43±1.02 명, 밤번 18.87±2.52명, C병동의 낮번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는 5.53±0.61명, 초번 5.58±0.69명, 밤번 6.31±0.87명이었다.

5. 호흡기 내과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배치수준의 상관관계

A병동에서는 각 근무조별 간호필요도 간에 부적 상관관계 가 나타나, 간호필요도 점수가 높을수록 낮번(r=-.21, p<.001), 초번(r=-.10, p=.046), 밤번(r=-.34, p<.001) 간호사 1명 당 환 자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B병동에서는 낮번(r=.05, p=.360)과 초번(r=-.04, p=.467) 간호사 배치수준과 간호필요 도 점수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밤번 간호사 1명 당 환 자 수와 간호필요도 점수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r=.23, p<.001). 중증 환자 비율과 간호필요도의 상관관계에 서는 A병동은 ‘낮번(r=-.27, p<.001), 초번(r=-.20, p<.001), 밤번(r=-.23, p<.001) 모두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 내었으며, B병동에서도 낮번(r=-.26, p<.001)과 초번(r=-.24, p<.001)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 간의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밤번(r=-.04, p=.469)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와는 관

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병동의 초번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05, p=.358), 낮번(r=.12, p=.018)과 밤번(r=-.23, p<.001) 간호사 배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낮번과 밤번 간에 서로 상반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간호활동 2점 이상’

환자 비율은 모든 근무조별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낮번(r=.13, p=.010)과 초번(r=.12, p=

.018)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밤번(r=-.17, p=.001) ‘간 호사 1명 당 환자 수’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일상생활 수행능력 3점 이상’ 환자 비율은 낮번(r=.05, p=.307)과 초번 (r=.03, p=.516)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밤번 간 호사 1명 당 환자 수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

-.28, p<.001)(Table 5).

본 연구는 호흡기 내과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 치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업무부담을 완화하고 환자 에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간호필요도 기반의 간호 사 인력배치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나이, 재원일 수, ICD-10 code로 분류된 주상병명, 부상병명 건수, 병상가동 률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 3개 병동 환자의 성별은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나, 나이, 부상병명 건수, 병상가동률은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각 병동 환자의 간호필요도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각각 다른 간호사 인력배치가 이루어져 야 한다. 환자의 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한국형 환자 분류체계의 개정연구에서도 진료과, 재원일수, 주사약의 종류, 수술여부, 고위험 시술 등을 주요 변수로 환자분류체계 점수와 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환자 분류체계 총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 였고, 총 재원기간이 6~9일인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8)

Table 5. Correlation of Nursing Care Needs (proportion of severe patients) and NTPR in Units Variables Categories

A unit B unit C unit

NTPR_D NTPR_E NTPR_N NTPR_D NTPR_E NTPR_N NTPR_D NTPR_E NTPR_N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Nursing care needs (total scores)

A unit -.21

(<.001) -.10 (.046)

-.34 (<.001)

B unit .05

(.360)

-.04 (.467)

.23 (<.001)

C unit .12

(.018)

.05 (.358)

-.23 (<.001) Severe patient

(proportion)

A unit -.27

(<.001) -.20 (<.001)

-.23 (<.001)

B unit -.26

(<.001) -.24 (<.001)

-.04 (.469)

C unit a .13

(.010)

.12 (.018)

-.17 (.001)

b .05

(.307)

.03 (.516)

-.28 (<.001) D=day; E=evening; N=night; NTPR=nurse to patient ratio; Greater than two points in nursing activities; Greater than three point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Note. A, B-General unit; C-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10일 이상 경과 시 총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14]. 본 연구 에서는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필요도의 관계를 파악하지 못하여 비교분석이 제한적이나, 위의 변수들은 환자의 간호요 구도에 영향을 미쳐 간호필요도 기반의 간호사 인력배치에 있 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기반의 간호필 요도 및 환자분류도구 개발을 위해 수행된 선행연구에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근무조별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는 최 소 9.0명에서 최대 25.8명으로 나타나[21], 본 연구결과에 비해 낮은 배치수준을 보였다. 이는 의료기관 종별 차이로 인한 결과 라 생각된다. A와 B병동에서 낮번과 초번 간호사 1명이 돌보는 환자 수는 서로 유사한 배치수준을 보였으나, 밤번 간호사 배치 수준은 낮번과 초번 간호사에 비해서 다소 낮았다. 이로 인해 밤 번 간호사의 업무강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가 많아지면 환자가 제공받는 직접간호 시간이 짧아진 다는 것을 의미하여 환자의 입장에서는 충분한 간호를 제공받 았다고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객관화하기 위해 환 자의 간호필요도를 측정하여 근무조별 간호사 배치수준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배치수준에 차이를 둘 필요가 있다.

일반병동의 환자분류체계 점수에 따른 간호인력 배치수준 을 통해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인력 배치기준을 제 시한 연구의 상급종합병원 환자분류체계 점수는 상위 19.7점, 중위 16.1점, 하위 12.7점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간호사 인

력배치는 각각 1:3.9, 1:4.8, 1:6.1로 나타났다[1]. 간호인력 배치 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해 실시된 간호 관리자 설문조사 에서는 상급종합병원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사 배 치수준은 상위 1:4.6, 하위 1:6.0, 간호보조인력 상위 1:12.6, 하 위 1:25.7로 나타났다[1]. 이를 고려하였을 때, 간호 ․ 간병통합 서비스병동인 C병동의 간호사 배치수준은 선행연구의 환자분 류체계 하위 점수일 경우 제시한 간호사 배치수준 1:6.1에 근접 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필요도를 일반병동과 같은 도구로 측정하여 환자분류체 계 점수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A와 B병동은 같은 진료과인 두 개의 일반병동 이며, A병동의 중증 환자 비율은 53.3%, B병동은 21.0%를 차 지하였다. B병동에 비해 A병동의 중증 환자 구성 비율은 2배 이상이었으나 해당 병동에 배치된 간호사 수에는 차이가 없었 다. 이는 A와 B병동이 같은 병상수를 가지고 있어 일반병동의 간호등급만을 충족하였을 뿐 중증 환자 비율이 고려되지 않은 간호사 인력배치가 이루어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A병동의 간호 사 1명당 환자 수 평균은 낮번 8.05±1.03명, 초번 7.91±1.01명, 밤번 15.24±2.84명이었으며, B병동의 간호사 1명당 환자 수 평 균은 낮번 10.25±0.83명, 초번 10.43±1.02명, 밤번 18.87±2.52 명이었다. 이처럼 각 근무조별 간호사 1명당 환자 수 평균에 차이 가 뚜렷하지 않아 중증 환자 구성 비율을 고려한 간호사 인력배 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특정 병동 간호사의 업무부담

(9)

으로 이어질 수 있어 중증 환자 구성비율은 균등한 간호사 배치 수준을 갖추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치의 상관관계는 A병동에서 간호필요도가 증가할수록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

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필요도에 따른 간호사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B병동 간호필요도와 낮번과 초번 간호사 배치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밤번은 간호필요도가 증 가할수록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간 호필요도에 따른 간호사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증 환자 비율과의 상관관계에서도 A병동에서 는 중증 환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는 감소 하여 중증 환자의 비율에 따른 간호사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었 으나, B병동의 밤번 간호사 인력배치는 중증 환자의 비율과 유 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같은 진료과의 일반병동임에도 불구 하고 간호필요도와 중증 환자의 비율에 따른 간호사 배치가 서 로 상이하였다. 일반병동과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 영역별 업무시간을 비교분석한 선행연구에서 일반병동의 간 호사 배치에 중증 환자 비율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본 연구결 과를 뒷받침해주었다.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병동에 비 해 직접 간호 시간과 간접 간호 시간이 짧았으며, 두 병동 모두 에서 직접 간호 시간이 간접 간호 시간에 비해 길었다. 실제 간 호 업무시간 비교에서도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이 일반병 동에 비해 짧게 나타나 환자의 중증도와 간호사의 업무 강도가 일반병동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22].

C병동에서는 간호필요도와 중증 환자 비율에 따른 간호사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낮번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는 간 호필요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중증 환자의 비율 중 ‘간호활동 2점 이상’ 환자의 비율과 낮번, 초번 의 간호사 배치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간호사의 업 무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이에 따른 배치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선행연구에서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 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인력 배치수준의 적정성을 분석하였고, 상급종합병원에서는 ‘활력징후 측정’, ‘섭취배설 측정’, ‘모니 터’, ‘정맥투약’ 지표의 비율이 높을수록 배치수준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10개의 중증도 지표와 총점은 배치수준이 높을 수록 유의하게 높았다[2]. 또 다른 선행연구에서도 간호활동 총점과 일상생활능력 총점이 증가할수록 간호시간이 증가하 고, 간호활동 총점이 1점 증가할 때 평균적인 근무조별 간호 시 간이 7.2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군에서 4군으로 갈 수록 간호 시간이 증가하고,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가 감소하여 간호필요도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 배치수준의 향상으로 이

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13]. 본 연구는 근무조별 간호필요도 와 배치수준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아 근무조별로 행해 지는 간호활동에 대한 추가 분석이 요구되나, 간호필요도 점수 가 증가할수록 배치수준이 향상되어야 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 를 뒷받침하였다. 우리나라의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유 사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의 병동에서 근무조별 간호 필요도와 응답시간의 시간별 변이 추이를 나타낸 연구에서는 밤번에 비해 낮번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 의 간호필요도 평균은 밤번에 비해 낮번에서 높았다[23]. 대부 분의 간호활동이 이루어지는 낮번의 간호사 배치는 다른 근무 조에 비해 높은 배치수준을 가져야 하는 데 반해, 본 연구에서 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반면, C병동의 밤번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 평균은 6.31±

0.87명으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 인력배치기준인 1:5~1:7 을 충족하고 있으나 간호필요도와 중증 환자 비율에서 근무조 별로 다른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 재원 환자의 제공인력 호출과 간호필요도를 분석한 선행연구에서 는 근무조에 따른 호출의 목적을 분석하였고, ‘배뇨/배변 보 조’와 ‘환자상태 변화’로 인한 호출은 다른 근무조에 비해 밤번 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배뇨/배변 보조’를 위한 호출 에서 가장 많은 투입인력을 필요로 하였다[24]. 이는 일상생활 수행능력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가 감소해야 한다는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는 일반병동에 비해 향상된 인력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호필요도와 간 호사 배치수준의 상관관계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는 간호사 의 업무부담으로 이어져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고, 환자의 건강결과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정한 간호사 배 치는 질 높은 간호 제공을 위한 필수요건이라 생각된다. 또한, 각 병동의 환자 배정에 있어 객관적인 근거기반이 아닌 주관적 인 요소가 반영되거나, 병원의 경영적 측면에서 예산 중심의 간호사 인력배치가 간호필요도와 반비례하는 간호사 인력배 치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 인력배치 근거에 객관적 인 데이터 제공을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 재의 간호사 배치기준이 의료기관의 종별이 아닌 환자의 간호 필요도나 건강결과를 반영하고, ‘근무조별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로 기준이 전환되어야 하며 간호필요도의 정확한 측정을 위 한 도구의 개정과 간호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간호행위 데이터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환자의 중증도와 의존도를 반영하고 타당성이 검증된 간호필요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실제

(10)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근무조별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의 지표를 활용하였다. 측정된 간호필요도 점수를 ‘하 루 평균 환자 1명 당 간호필요도’, ‘중증 환자의 비율’로 변환하 여 국내에서 시도되지 않은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욱이 간호필요도 기반의 간호사 인력배 치를 위한 현행 간호 인력배치 기준 변화의 필요성에 근거를 제 시하여 간호인력 관련 법안 개정에 새로운 지표의 필요성에 대 해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 는 일개 병원의 특정 진료과에 국한되었으며, 각 근무조별 간 호필요도를 측정하지 않아 그 차이는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에 근무조별 간호활동 분석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환자의 유동 적인 간호필요도를 고려한 차별화된 근무조별 간호사 배치를 위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는 호흡기 내과 각 병동의 간호필요도를 분석하고 간 호사 인력배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 구로 간호필요도에 따른 간호사 인력배치의 기초자료로서 근 거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근무조별 간 호필요도와 중증 환자 비율에 따른 간호사 인력배치가 일관되 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병동에 따른 근무조별 간호사 인 력배치가 서로 상이하였다. 현재 상급종합병원의 일반병동은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로 환산했을 때 1:9~1:10의 배치수준이 나, 밤번 간호사의 ‘간호사 1명 당 환자 수’가 기준에 미치지 못 해 간호필요도와 중증 환자의 비율을 고려한 밤번 간호사 배치 수준의 향상이 필요하며,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낮번 간호사 배치수준은 간호필요도에 따라 향상된 간호사 인력배 치가 요구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JH-K and BS-H; Data collection - JH-K;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 JH-K and BS-H; Drafting and critical revision of the manuscript - JH-K and BS-H.

ACKNOWLEDGEMENT

This article is a condensed form of the first author's master's thesi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REFERENCES

1. Cho SH, Song KJ, Park IS, Kim YH, Kim MS, Gong DH, et al.

Development of staffing levels for nursing personnel to pro- vide inpatients with integrated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211-22.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211

2. Kim JH, Kim SJ, Park JH, Park ET, Jeong SY, Lee EH. Adequa- cy of nurse staffing level in integrated nursing care. The Jour- 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8;24(4):288-97.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4.288

3. Kalisch B, Lee KH. Staffing and job satisfaction: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22(4):

465-71. https://doi.org/10.1111/jonm.12012

4. Hong JY, Chae JM, Song MR, Kim EM. A utilization strategy of nursing staff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nurse staffing level of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8):162- 70. https://doi.org/10.5762/KAIS.2017.18.8.162

5. Cho SH, Lee JY, Hong KJ, Yoon HJ, Sim WH, Kim MS, et al.

Determining nurse staffing by classifying patients based on their nursing care nee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 ing Administration. 2020;26(1):42-54.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1.42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tails of the criteria and me- thods for application of medical care benefits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cited 2021 February 1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 NU_ID=03&MENU_ID=030406&CONT_SEQ=350426 7. Aiken LH, Sloane DM, Bruyneel L, Van den Heede K, Griffiths

P, Busse R, et al. Nurse staffing and education and hospital mortality in nine european countries: a retrospective observa- tional study. The Lancet. 2014;383(9931):1824-30.

https://doi.org/10.1016/S0140-6736(13)62631-8

8. Peter G, Jane B, Jonathan D, Chiara DO, Jeremy J, Antonello M, et 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outcome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evidence to inform policy and practice. A re- view and discussion paper based on evidence reviewed for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safe staffing guideline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 dies. 2016;63:213-25.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6.03.012

9. Park SH, Blegen MA, Spetz J, Chapman SA, De GH. Patient turnov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staffing and patient outcom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12;35(3):

277-88. https://doi.org/10.1002/nur.21474

10. Kim YM, Cho SH, June KJ, Shin SA, Kim JY. Effects of hospital nurse staffing on in-hospital mortality, pneumonia, sepsis, and

(11)

urinary tract infection in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5):719-29.

https://doi.org/10.4040/jkan.2012.42.5.719

11. Cho SJ, Kim JH. Determinants of registered nurse skill mix &

staffing level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10-21.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1.10

12. Lee SY. A study of Analysis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 ditions for nursing personnel. Policy report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December. Report No.: 2018-79.

13. Cho SH, Hong KJ, Yoon HJ, Chang SJ, Choi KH, Park HJ, et al.

Estimation of expected nursing hours based on patients' nurs- ing care needs and a comparison with actual nursing hour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Journal of Korean Acad- 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0;26(4):365-77.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4.365

14. Song KJ, Choi WH, Choi EH, Cho SH, Yu M, Park MM, et al.

Study for revision of the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8;24(1):113-26.

https://doi.org/10.22650/JKCNR.2018.24.1.113

15. Hoi SY, Ismail LN, Ong LC, Kang J. Determining nurse staffing needs: the workload intensity measurement system.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1):44-53.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9.01045.x

16. Park YS, Song RY. Estimation of nurse staffing based on nurs- ing workload with reference to a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a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 ing. 2017;10(1):1-12.

17. Kim KO, Park MJ, Lee IK, Park KS, Shon HS, Kim KA, et al.

Mathematical model for in-ward nursing staffing optimiza- tion based o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Biome- dical Engineering Research. 2016;37(2):75-83.

https://doi.org/10.9718/JBER.2016.37.2.75

18. Song KJ, Kim EH, Yoo CS, Park HA, Song MS, Park KO. Veri- 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PCS-1 and estimation of nursing time conversion index.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127-40.

19. Lee JS, Kim YN, Moon SM, Jeong EY, Park HY. Role ambiguity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nurses: a concept analysi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9;29(4):502-12.

https://doi.org/10.4332/KJHPA.2019.29.4.502

20. Kwon SH. Validation of severity and nursing needs assess- ment tool of patients with integrated nursing car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9.

21. Shin SJ, Oh SJ, Kim JH, Lee IY, Bae SH. Impact of nurse staffing on intent to leave,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injuries in korean hospitals: a cross-sectional study. Nursing & Health Science. 2020;22(3):658-66.

https://doi.org/10.1111/nhs.12709

22. Kwon MK, Choi EH, Lee KS, Hwang TY, Kim MK, Kim CY.

Importance perception, self-confidence and working hours of job duties between integrated and general units nurses. Kore- an Public Health Research. 2019;45(4):45-52.

23. Lucero RJ, Ji H, De Cordova PB, Stone P. Information technol- ogy, nurse staffing, and patient needs. Nursing Economics.

2011;29(4):189-94.

24. Seong GY. Call bell use and nursing care needs of 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0.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for One Year (N=2,622)
Table 2. Categories of Nursing Activities in Units for One Year Categories
Table 4. Nursing Care Needs and Nurse to Patient Ratio (NTPR) in Units
Table 5. Correlation of Nursing Care Needs (proportion of severe patients) and NTPR in Units Variables Categories

참조

관련 문서

간호사 개개인이 전문직업인으로서 간호의 본질적 가치 에 기초한 간호정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간호사 개개인이 사고나 행동에 있어 전문인다운 모습을 드러낼,

성숙한 성인은 자신의

(http://www.hpa.or.kr)를 조직하여 활동하고 있다.. 자격으로는 4년제 대 학의 간호학과 졸업자로서 간호사 면허증을 소지하였거나 전문대학의 간호학과

▣뇌하수체 후엽 질환.. 중증 또는 만성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가 짂 아동 또는 청소년은 갑상선 호르몬 대치단계가 너무 빠르면 부작용을 경 험핛 확률이

Risk factors related to fixed airway obstruction in patients with asthma after antiasthma treatment. Identification of sub- types of refractory asthma in Korean patients by

: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천식 발작 상태, 급성 호흡부전의 위험으로 환기 보조 치료 요함.. 폐쇄폐병(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ㆍ(화이자, 모더나 백신) polyethylene glycol(PEG) 또는 관련 성분(molecules), polysorbate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접종 금기대상에

본 연구의 결과로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에의 노출은 정신건강에.. 력 경험보다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이는 의사보다는 간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