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6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

중증 흉부외상환자 대상 외상소생실 내 간호중재 분석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김 동 미

(3)

중증 흉부외상환자 대상 외상소생실 내 간호중재 분석

지도교수 서 은 지

이 논문을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21년 2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김 동 미

(4)

김동미의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서 은 지 (인) 심 사 위 원 유 미 애 (인) 심 사 위 원 이 영 진 (인)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20년 12월 22일

(5)

감사의 글

지난 2년이라는 시간은 업무와 학업을 병행하면서 힘들고 지치기도 하 였지만,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한 걸음 더 나아간 것과 부족한 논문이지만 이렇게 완성할 수 있었던 것에 대 해 감사함을 느낍니다. 이번에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여러 사람의 도 움과 격려가 있어 가능하였기에 이렇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가장 먼저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부족한 저에게 아낌없는 가르침과 조 언을 해주시고, 용기를 북돋아 주시며 끝까지 세심히 논문을 지도해주신 서은 지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바쁘신 가운데에도 저의 학위 논문 심사를 흔쾌히 맡아주시고 조언을 해주신 유미애 교수님과 이영진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항상 응원의 말씀을 해주셨던 한경화 팀장님, 힘든 여건에도 불구하고 대학원 진학을 허락해주시고,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배려해주신 조일지 파트 장님, 전미영 파트장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할 수 있다는 긍정정인 힘을 준 대학원 동기 선희, 공경미 선생님, 논문을 쓰는 동안 항상 응원의 말을 해주던 김리라, 김희준, 박재형, 이진욱, 강동우, 노명관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무엇 보다 이번에 함께 논문을 쓰며 서로 돕고 의지하며 큰 힘이 되어준 윤미정 선 생님, 이수연 선생님, 그리고 윤재호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그리고 나의 오랜 친구이자, 내 인생에 힐링이 되는 존재인 영주, 영미, 선화, 윤화에게 그동안 다 전하지 못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항상 묵묵히 나의 뒤를 지켜주는 우리 가족, 엄마, 아버지, 언니 그리고 오빠에 게도 감사드립니다.

지면을 통해 일일이 언급하지 못했지만 그동안 저를 아끼고 사랑해주 신 모든 분께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1년 1월 김동미 올림

(6)

-국문요약-

중증 흉부외상환자 대상 외상소생실 내 간호중재 분석

본 연구는 일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실에 내원한 중증 흉부외상환자에 게 적용된 간호중재를 파악하여 관련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경기도 소재의 일 대학병원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실로 내원한 외상환자 1,780명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중증 흉부외상환 자 1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간호중재는 전 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그 중 간호중재는 국제간호분류체계 6판에 제시된 간호중재 용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와 카이제곱 검정(x2 test)으로 분석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52.25세이고 성별은 남자가 72.5%였으며, 손상 후 외상 센터에 직접 내원하는 경우가 63.3%였다. 손상유형은 비의도 사고가 95.0%

였으며, 손상기전은 교통사고가 56.7%, 추락 30.8%였다. 흉부손상 유형(중복 응답)은 폐실질/늑막 손상이 95.8%, 흉벽 손상 64.2%였으며, 흉부 단일손상 은 3.3%였다. 대상자의 91.7%는 동반 손상이 2개 부위 이상이었으며, 동반된 손상부위는 골반 및 사지가 82.5%로 가장 많았다. 흉부 Abbreviated Injury Scale은 평균 3.13점이었으며, 최종 Injury severity Score는 평균 17.81점이 었다. 대상자의 96.7%는 수술 없이 입원하였으며, 외상소생실 체류 시간은 평균 32.85분이었다.

(7)

2. 중증 흉부외상환자 120명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를 국제간호분류체계의 간호 중재 용어로 분류한 결과 총 66개의 간호중재가 확인되었다. 간호중재 중 활 력증상 감시, 침상 옆 임상검사 시행, 체위: 신경학적, 정맥주사요법, 정맥절 개술: 정맥혈 채취, 이송: 내부시설, 이동, 외상팀 활성화(Trauma Team Activation), 신경계 관리, 수액 감시, 낙상 방지, 기록, 기계기술 관리, 검사 보조, 건강진단검사, 가족참석 촉진은 모든 대상자에게 수행되었다. 옷 입히 기, 산소요법, 체온조절, 입원간호, 감시, 검사물 관리, 상처 간호, 교육: 절차/

치료, 응급간호는 90% 이상의 대상자들에게 모두 수행되었다. 국제간호분류 체계의 간호중재 용어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외상소생실에서 수행된 간호중 재로는 외상팀 활성화, 헬기이송 지원, 혈관색전술 시술 간호, 소생개흉술 준 비가 있었다.

3. 대상자의 활력징후 안정 여부 및 흉부 Abbreviated Injury Scale 점수에 따 른 간호중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활력징후가 불안정하거나 흉부 Abbrevi ated Injury Scale 점수가 4점 이상인 흉부외상환자에게 공통적으로 수액을 통한 인공소생법, 침습적 혈류동태감시, 튜브 간호: 흉곽, 호흡과 관련된 자 료감시, 인공기도 관리, 튜브 간호: 위장관, 기계적 환기장치: 침습적, 인공기 도 삽입, 혈액제제 투여, 알레르기 관리, 수술 준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외상소생실에서 수행된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여 추후 이와 관련된 교육자료 구성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 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흉부 Abbreviated Injury Scale 점수 및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재의 차이를 분석하여 외상소생실 사정 단계 에서 파악된 흉부외상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간호중 재를 제시하였기에 초기 간호중재 관련 교육내용을 보다 구체화하는데 도움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 간호중재, 외상소생실, 흉부외상

(8)

차 례

국문요약 ···ⅰ 차례 ···ⅲ 그림 차례 ···ⅴ 표 차례 ···ⅵ 부록 차례 ···ⅶ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중증 흉부외상환자 ···6

B. 중증 흉부외상환자 관련 간호중재 ···8

Ⅲ. 연구방법 ···11

A. 연구설계 ···11

B. 연구대상자 ···11

C. 연구 도구 ···14

D. 자료수집방법 ···15

E. 자료분석방법 ···16

F. 연구의 제한점 ···17

(9)

Ⅳ. 연구결과 ···18

A.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18

B. 간호중재별 빈도 분포 ···22

C. 대상자의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 ···24

D. 대상자의 흉부 AIS 점수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 ···27

Ⅴ. 논의 ···30

A.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30

B.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제공된 간호중재 ···32

Ⅵ. 결론 및 제언 ···37

A. 결론 ···37

B. 제언 ···38

참고문헌 ···39

부록 ···47

ABSTRACT ···52

(10)

그림 차례

그림 1. 대상자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 ···13

(11)

표 차례

<표 1>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20

<표 2> 간호중재별 빈도 분포 ···23

<표 3> 대상자의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 ···25

<표 4> 대상자의 흉부 AIS 점수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 ···28

(12)

부록 차례

<부록 1> 환자 정보 조사지 ···47

<부록 2>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 ···48

<부록 3> 흉부 AIS 점수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 ···50

(13)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사회가 복잡해지고 경제가 발전하면서 교통사고, 안전사고, 산업 재해 등 각종 사고로 중증외상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9). 외상은 국 내 사망원인 중 암, 심장·뇌혈관 질환에 이어 4위이며 우리나라 45세 미만에서 사망원인 1위로,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큰 손실을 야기하는 질환이다(통계 청, 2019). 정부에서 외상환자의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노력으로 권역외상센터 를 운영하면서, 2017년에 조사된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30.5%에서 2년 만 에 19.9%로 감소하였다(보건복지부, 2019).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의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15% 내외인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높 은 수준이다(보건복지부, 2019).

흉부외상은 전 세계 모든 외상 입원의 10%와 외상으로 인한 사망원인 중 25%를 차지하고 있으며(Whizar, Sauceda, Hernández, Garzón, & Granados, 2015), 중증외상에서 가장 빈번하고 치명적인 외상 중 하나로 보고되고 있다 (Horst & Hildebrand, 2020). 국내에서도 2018년 권역외상센터로 내원한 외상환 자 37,372명 중 22.2%가 중증외상환자였는데, 두경부 손상(25.1%)에 이어 흉부 손상(20.7%)이 많았다(중앙응급의료센터, 2019b). 생명을 위협하는 흉부외상에 는 긴장기흉, 개방기흉, 동요가슴, 폐좌상, 대량 혈흉, 심장눌림증 등이 있다 (Whizar et al., 2015). 많은 흉부외상환자는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지만, 병원 이송 후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Ludwig

& Koryllos, 2017). 그러므로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환자를 사정하고 이를 토 대로 처치와 치료적 간호중재가 적절하게 적용되어야 하므로, 병원 이송 직후 인 외상소생실에서의 중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외상소생실에 환자가 도착하는 즉시 간호사가 측정하는 활력징후는 외상

(14)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생리학적 지표로서 활용된다(국립중앙의료원, 2017).

외상 중중도 분류 도구로는 간이손상척도(Abbreviated Injury Scale, AIS)와 이 를 기반으로 하는 손상중증척도(Injury Severity Score, ISS)가 대표적이다(김 양헌 등, 2014). AIS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해부학적 외상 중증도 척 도로써, 손상 부위 및 손상 정도 등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중증외상환자를 분 류하는 자료가 된다(강현정, 2018). 중증외상환자는 신속한 처치가 환자의 예후 개선에 매우 중요하므로, 외상소생실 내원 후 최대 30분 안에 치료 방향을 결 정하고 처치 및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중앙응급의료센터, 2020).

따라서 외상소생실 간호사는 외상환자의 내원 즉시 활력징후와 주요 손상부위 를 통해 외상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응급처치 및 응급 간호중재 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외상환자의 빠른 처치 및 간호중재 적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숙련된 전 문 의료인이 필수적이다(조현민, 2016). 때문에 최일선에서 환자를 돌보는 간호 사는 우선적으로 중증외상환자의 주요 손상부위에 따른 간호문제와 관련 중재 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 실행되는 중 증외상 관련 간호교육은 국군간호사관학교에서 시행하는 외상간호핵심과정(Tra uma Nursing Core Course, TNCC)이 있으나 그 내용이 미국에서 시행하는 외 상교육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여 외상환자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어, 주 요 손상부위에 따른 간호내용은 부족하다(조순영, 서유미, 정은경, 최주영, 201 6). 또한 여러 학술대회에서 외상간호 관련 내용이 발표되고 있으나, 대부분 증 례발표 및 질 관리, 중환자 간호에 집중되어 있어 실제 외상센터에서 활용 가 능한 외상환자에 대한 초기 간호중재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교육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장명진, 2019). 특히, 중증외상환자 관련 국내 선행연구는 의학 논문이 대부분으로, 간호 분야의 논문은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핵심역량 연구(김혜원, 조순영, 홍은지, 2018), 중증외상환자의 간호활동을 분석한 연구(김명희, 김명희, 박정하, 2013; 김명희, 박정하, 김명희, 구지은, 2014), 복부외상환자의 간호중재 분석연구(장명진, 2019)가 있다. 국외연구로는 중환자실 내 외상전문간호사 라

(15)

운딩 도입을 통한 외상환자 치료 개선 정도를 분석한 연구(Jennings & Mitchel l, 2017), 중환자실에 입원한 외상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중재를 점수화하여 패턴 을 분석한 연구(Nogueira et al., 2015) 등 중환자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보고 되었다. 따라서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빠른 시간 안에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 공하기 위해서는 외상센터의 첫 내원 장소인 외상소생실에서 중증 흉부외상환 자에게 수행된 초기 간호중재를 살피고 목록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 권역외상센터에 내원한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전자의무 기록을 토대로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외상센터의 첫 내원 장 소인 외상소생실에서 제공되는 간호중재를 분석하여 임상 실무에서 흉부외상환 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의 실무교육 자료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B.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일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실에 내원한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임 상적 특성을 파악하고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외상소생실에서 제공된 간호중재 를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파악한다.

2.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제공된 간호중재의 빈도를 파악한다.

3.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재를 분석한다.

4.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흉부 AIS 점수에 따른 간호중재를 분석한다.

(16)

C. 용어의 정의 1. 중증 흉부외상환자

1) 이론적 정의

중증외상환자는 손상중증척도(Injury Severity Score, ISS) 점수가 16점 이상인 외상환자를 의미하며(중앙응급의료센터, 2019b), 이 중에서 흉부외상환 자는 교통사고, 추락, 부딪힘, 관통상 및 자상 등의 외상 손상기전으로 흉부에 둔상이나 자상을 받아 주요 손상부위가 흉부인 환자를 의미한다(Ursic & Curti s, 2010).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일개 권역외상센터에 내원한 외상환자 중 손상중증척도(In jury Severity Score, ISS) 점수가 16점 이상인 중증외상환자이면서, 손상된 신 체 부위 중 흉부 간이손상척도(Abbreviated Injury Scale, AIS)가 3점 이상인 환자를 의미한다.

2. 활력징후 안정

1) 이론적 정의

활력징후는 체온, 맥박, 호흡, 혈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자의 상태변 화와 기초자료를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된 지표로, 각 지표가 정상범위 내 수치 로 측정된 상태이다(신윤희, 정승교, 김현주, 2019).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활력징후는 외상환자의 중증도 평가 및 분류 지표인 수축기 혈압, 분당 맥박수, 분당 호흡수를 의미한다(The Committee on Trauma, 201

(17)

8). 이를 내원 시 측정하였을 때 수축기 혈압이 90mmHg 미만, 분당 맥박 수가 120회/분 이상, 분당 호흡수가 10회 미만이거나 30회 이상인 기준에서 어느 한 가지라도 해당되면 활력징후 불안정으로 구분하며 세 가지 기준에 모두 해당되 지 않으면 활력징후 안정으로 구분한다(중앙응급의료센터, 2020; The Committ ee on Trauma, 2018).

3. 간호중재

1) 이론적 정의

간호중재란 간호사가 임상적인 판단과 지식을 기반으로 대상자의 예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수행하는 처치를 의미한다(Bulechek, Butcher, Dochterman,

& Wagner, 2013).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외상소생실에서 간호사가 제공한 간호중재를 의미한다. 간호중재는 국제간호중재분류체계인 NIC (Nursing Inter vention Classification)에 제시된 표준화된 간호중재 용어를 사용하여 통일성을 확보하였다.

(18)

Ⅱ. 문헌고찰

A. 중증 흉부외상환자

전국 응급진료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있는 국가응급진료정보 망(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에 의해 작성 된 2018년 국가응급진료정보망 통계연보에 의하면 총 응급실 이용 건수는 5,99 8,742건이며, 전체의 26.5%인 1,193,813건이 외상으로 내원하였다. 외상으로 내 원한 환자들의 손상기전은 둔상(19.5%), 미끄러짐(19.1%), 교통사고(16.9%)에 의한 손상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베임 및 찔림(14.1%), 화상 (3.0%), 중독(2.8%), 기계(1.2%), 질식(0.3%), 익수(0.1%), 기타 및 원인 미상 (1 6.4%) 순이었다. 응급실 내원 환자 중 3대 중증질환자는 중증외상(2.16%), 뇌졸 중(1.96%), 심근경색(0.64%)으로 중증외상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 며, 이 중 권역외상센터로 내원한 중증외상환자는 8,299건이었다(중앙응급의료 센터, 2019a).

중증외상환자가 적절한 시간 내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았다면 살 수 있 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를 예방 가능한 사망(preventable death)이라 말하며, 예방 가능한 사망률은 그 국가의 외상체계 평가 기준이 된다(유병철 등, 2015).

이를 위한 노력으로 국내에서도 2014년부터 권역외상센터 운영을 시작하여 현 재 총 14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보건복지부, 2019), 지속적인 외상 진료의 질 관리를 통해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개선하고 외상 진료의 기반을 확충해 나가고 있다. 외상환자에서 중증도를 판별하는 외상지표는 AIS를 이용하여 IS S를 산출한다. 신체를 해부학적으로 나누어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 AIS를 이용 하여 머리와 목, 얼굴, 가슴, 복부, 사지, 외형의 6개 부위의 각 신체부위별 손 상 정도를 점수화한다. 6개 부위 중 중증인 상위 3개 부위의 AIS 점수를 선택 하여 이 세 부위 AIS 점수의 제곱의 합으로 계산되는 값이 ISS 점수이다(Bake

(19)

r, Degutis, DeSantis, & Baue, 1985). 이때 ISS 점수가 16점 이상인 경우를 중 증외상으로 정의하고 있다(중앙응급의료센터, 2019b; Butcher & Balogh, 2009).

외상환자 중 흉부에 둔상 및 자상을 받은 환자를 흉부외상환자라고 하며, 중증 흉부외상은 외상환자에 있어서 초기 사망의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동훈, 손동섭, 조대윤, 김찬웅, 2006). 그러나 중증 흉부외상의 80% 이상은 초기 처치 시 호흡 보조, 적절한 진통제 사용 및 흉관삽입과 같은 시술만으로 도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가 안정화될 수 있다(O’Connor & Adamski, 2010). 중 증 흉부외상환자의 신속한 진단과 초기 응급처치가 시행되기 위해서는 빠른 일 차 사정이 중요하다(Ludwig & Koryllos, 2017). 외상소생실은 중증외상환자의 일차 사정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일차 사정에서 발견되는 손상에 대한 중재에 따라 중증외상환자의 예후가 달라질 수 있어 외상소생실에서의 일차 사정과 초 기 응급처치는 매우 중요하다(미국응급간호사회, 2015).

최근 국내 외상진료시스템의 발전으로 흉부외상환자의 치료에는 많은 변 화가 있었다. 국내에서도 응급 소생개흉술(Emergency Resuscitative Thoracoto my)과 혈관 내 풍선확장에 의한 대동맥 차단소생술(Resuscitative Endovascula r Balloon Occlusion of the Aorta, REBOA) 같은 수술 및 시술이 응급실 및 외상소생실에서도 시행되고 있다(홍석경, 2012; Kim, Chang, & Yun, 2017; Shi n et al, 2015). 이렇게 수행하지 않았던 많은 수술적 치료 및 응급처치가 일차 적 치료로서 외상소생실에서 진행되며 간호중재도 많은 변화가 동반되었다. 따 라서 외상소생실 간호사가 빠른 일차 사정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 제공을 위 해서는 최근의 외상환자 동향을 반영하여 외상소생실에서 수행되는 간호중재와 필요한 간호중재를 명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20)

B. 중증 흉부외상환자 관련 간호중재

흉부외상은 외상환자의 약 60%에서 발생하며, 중증 흉부외상환자는 기도 파열, 호흡 또는 순환 장애와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와 관련이 있어 (Bouzat et al., 2017) 내원 초기에 흉부외상을 식별하는 것은 외상환자를 치료 할 때 우선순위로 간주되고 있다(The Committee on Trauma, 2018). 또한 외 상환자의 경우 사고 후 24시간 이내 사망률이 가장 높으므로(Gunst et al., 2010; Hwang et al., 2020; Jung et al., 2019), 외상소생실에 도착과 동시에 환 자에게 즉각적인 중재가 필요하다(미국응급간호사회, 2015). 외상소생실 간호사 는 외상팀 구성원의 하나로서 외상환자의 일차 사정과 조기개입에 있어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외상소생실에서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중재는 전문외상소 생술(Advanced Trauma Life Support, ATLS)에 근거하여 시행되므로, 일차 사 정에서 간호사는 기도 및 의식, 호흡과 환기, 순환과 출혈 조정, 장애(신경학적 상태), 노출과 환경 조절을 시행하는 ABCDE 단계에 따라 빠르게 수행하여야 한다(미국응급간호사회, 2015). 일차 사정에서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내원 시 파 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외상환자의 생리학적 불안정성을 평가하는 자료로 의 식 수준과 함께 활용되고 있으며, 이는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 다(Keene, Kong, Clarke, & Brysiewicz, 2017). 그러나 일부 중증외상환자에서 생리학적 지표에만 의존하여 중증도를 평가하는 경우 중증도가 낮게 평가될 수 있기 때문에, 외상 부위와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외상지표인 AIS, ISS 점수를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처치가 시행되어야 한다 (오형근, 2013). 따라서 간호사는 중증외상환자의 내원 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사정과 분석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신속히 간호중재 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성명숙, 2002), 이를 위해서는 신체 손상부위에 따른 중증도와 관련 간호중재를 파악하여 임상에서 활용 가능한 실무중심의 외상환 자 간호중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김명희 등, 2013).

(21)

간호 실무의 발전 및 간호활동의 표준화를 위해 국내에서도 간호중재 관 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외상환자 관련 간호중재 연구는 소수였다. 국 제간호중재분류체계(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를 적용하여 응급 의료센터 중독환자의 간호중재를 살펴본 이현우(2017)의 연구에서는 중독물질 원인에 따른 간호중재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응급실에 내원한 복부외상환자가 대상자에 포함된 복통 환자의 간호중재 분석(정원숙, 2016)에서는 통증관리, 낙 상방지와 입원간호 등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응급실과 외상소생실에 내원 한 복부외상환자의 간호중재를 분석한 장명진(2019)의 연구에서는 외과적 수술 환자의 비율이 높아 수술관련 중재가 많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 대상자의 특성과 상관없이 낙상 방지, 입원간호, 신경계 관리는 공통적으로 많 이 수행된 간호중재였다. 응급실에 내원한 중증외상환자의 간호활동을 분석한 연구에서 손상부위별 제공되는 간호활동의 빈도를 확인하였으나 응급실 간호활 동 목록 도구를 개발하여 조사하였기에 외상센터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였다 (김명희 등, 2013; 김명희 등, 2014). 그 외 대부분의 연구는 산부인과, 중환자 실, 수술실 등 특수간호 부서의 간호중재를 분류한 연구였다(권은정, 2006; 김 세정, 2008; 김영혜, 이내영, 하재현, 2010; 김혜숙, 2005; 박옥엽, 정면숙, 2005;

홍성희, 이성희, 김화선, 2011; 황금옥, 2013). 국외연구에서도 중환자실 내 외상 간호 질 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 연구(Jennings & Mitchell, 2017), 외과센터에 서 간호팀의 작업량 및 간호중재 분류에 대한 사용의 타당성 등을 조사한 연구 (Possari, Gaidzinski, Lima, Fugulin, & Herdman, 2015), 중환자실에 입원한 외 상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중재를 점수화하여 패턴을 분석한 연구(Nogueira et a l., 2015) 등 임상적인 간호중재 분류 뿐만 아니라 질 관리, 간호업무의 부하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국외의 연구에서도 외상소생실에서 의 초기 간호중재에 대한 연구나 중증 흉부외상환자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파 악 및 적용 사례를 찾아볼 수 없었다.

간호중재분류체계 중 NIC(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는 1987년 Iowa대학교 간호대학에서 개발된 간호분류체계로 미국간호협회에 포괄성과 유

(22)

용성을 인정받아 각 실무분야에서 간호중재의 표준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Lu cero, Quinlan, & Stone, 2010; Possari et al., 2015; Rabelo, 2016). NIC는 간호 사가 일하는 상황이나 전문분야와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모든 간호행위를 하나하나의 중재로 정의하고 있으며, 간호중재 목록에는 간호사의 직접적, 간접 적 간호활동이 포함되어 있다. NIC는 1992년 336개의 간호중재 목록을 발표 후 지속적인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3년에 개정된 6차 NIC는 생리학적 기 본, 생리학적 복합, 행동학적, 안전, 가족, 건강체계, 지역사회 7개의 영역 아래 554개의 간호중재가 표준화된 용어로 제시되어 있다(Bulechek et al.,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IC의 표준화된 간호중재 용어를 사용하여 외상소 생실에서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중재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바탕 으로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간호중재 교육자료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 고자 한다.

(23)

Ⅲ. 연구방법

A.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일 권역외상센터에 내원한 중증외상환자 중 흉부외상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중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B. 연구대상자

본 연구의 표적 모집단은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실에 내원한 중증 흉부외 상환자이며, 근접 모집단은 경기도 소재의 일 대학병원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 실에 내원한 중증 흉부외상환자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9년 1월1일부터 201 9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경기도 소재의 일 대학병원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실 로 내원한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이었다(그림1). 구체적인 대상자 선정기준은 아래와 같다.

1.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실로 내원한 성인 외상환자 2. 손상중증척도(ISS)가 16점 이상인 중증외상환자

3. 주손상 부위가 흉부인 환자로, 신체 부위 중 흉부의 간이손상척도(AIS)가 가 장 높은 환자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구체적인 제외기준은 아래와 같다.

1. 흉부외상이 없는 환자

2. 만 18세 미만의 소아환자(자료조사기관의 진료기준)

(24)

3. AIS 점수가 가장 높은 신체 부위가 흉부를 포함하여 2개 이상인 환자

4. 흉부외상 치료의 우선순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타 부위 손상이 있는 환 자로, 다른 신체 부위 손상에 대한 AIS 점수가 3점 이상인 환자

5. 환자에 대한 자료를 얻기 힘든 도착 시 사망(Dead on Arrival, DOA)과 전 산상 오류로 인하여 흉부외상이 아닌 것으로 판명된 환자

(25)

2019년 1월에서 12월까지 외상소생실 내원한

성인외상환자 (N=1,780명)

중증외상환자 (N=937명)

중증외상환자 중 흉부외상이 있는 환자

(N=498명)

최종 중증 흉부외상환자 (N=120명)

ISS < 16 외상환자 제외 (N=843)

흉부외상이 없는 환자 제외 (N=439)

ž 만 18세 미만 소아환자 제외(N=3) ž AIS 점수가 가장 높은 신체 부위가

흉부 포함 2개 이상인 환자 제외(N=346) ž 타부위 외상이 AIS 3점 이상인 외상환자

제외(N=25)

ž 도착 시 사망(DOA) 환자 제외(N=4)

그림 1. 대상자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

(26)

C. 연구 도구

본 연구의 연구 도구는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간호중재를 전자의무기록에 서 파악하기 위한 조사지로 구성되었다.

1.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은 선행연구(김명희 등, 2014; 민용일, 2007; 유병철 등, 2015, 중앙응급의료센터, 2009; The Committee on Trauma, 2 018; Geha, 1996)를 토대로 연령, 성별, 내원일시, 내원 경로, 내원수단, 내원 시 활력징후(수축기 혈압, 분당 맥박 수, 분당 호흡 수), 의식상태, Glasgow Coma Scale (GCS), 손상유형, 손상기전, 흉부외상 유형, 동반된 손상, 흉부 AIS 점수, 최종 ISS, 검사항목, 수혈 여부, 수술 여부, 외상소생실 체류 시간, 총 18개 항 목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부록 1).

내원 경로의 경우 직접 내원, 전원으로 분류하였고, 내원수단은 119구급 차, 일반 구급차, 헬기를 포함한 항공이송, 자가용으로 분류하였다.

손상유형은 비의도 사고, 자해, 타인에 의한 손상으로 분류하고, 손상기전 은 교통사고, 관통상 및 자상, 추락, 미끄러짐, 기타로 분류하였다.

흉부외상 유형은 흉벽 손상, 폐실질/늑막 손상, 종격동 내 구조물 손상, 횡격막 손상으로 구분하였으며, 동반된 손상은 외상등록체계에 등록된 AIS와 I SS 점수를 바탕으로 안면, 두경부, 복부, 골반 및 사지, 외부, 없음으로 구분하 였다. 동반된 손상이 여러 개일 경우 단일손상과 다발성 손상의 구분을 위해 동반된 손상 부위 전부를 입력하였다.

검사항목은 혈액학적 검사, X-ray, Computed Tomography (CT), 심전도, 초음파 검사, 기타로 구분하며, 외상소생실 체류 시간은 외상소생실 내원부터 외상소생실 퇴실까지의 시간을 말하며, 퇴실 시 진료결과는 병동 입원, 중환자 실 입원, 퇴원, 타병원 전원, 사망으로 분류하였다.

(27)

2. 간호중재

본 연구에서 대상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는 외상소생실 입실부터 퇴실 시 까지 작성된 간호진술문을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D.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경기 도 소재의 일 대학병원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실에 내원한 중증 흉부외상환자 의 전자의무기록이었다.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하여 일 대학병원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연구승인(승인번호: AJIRB-MED-MDB-20-226)을 받은 후 자료조사를 시작하였다. 일 대학병원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실에 내원 한 외상환자의 전자의무기록 중 손상중증척도(ISS)가 16점 이상인 중증외상환 자의 신체부위별 AIS 점수 목록을 정보관리팀에 요청하여 자료를 확보하였다.

외상소생실에 내원한 성인외상환자는 총 1780명으로, 이중 ISS 점수가 16점 이 상인 중증외상환자는 937명이었으며, 이중 흉부외상이 없는 439명은 제외하였 다. 흉부외상이 있는 중증외상환자 498명 중 만 18세 미만 소아환자 3명, 도착 시 사망 환자 4명을 제외하였다. 또한 신체 부위별 AIS 점수 비교로 AIS 점수 가 가장 높은 신체 부위가 흉부 포함 2개 이상인 환자 346명, 타부위 외상이 A IS 3점 이상인 외상환자 25명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중증 흉부외상환자 120명 을 선정하였다.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임상적 특성은 응급진료정보망과 전자의 무기록을 확인하여 조사하였다.

최종 선정된 중증 흉부외상환자 120명의 간호중재 분석을 위해 외상소생 실 입실부터 퇴실 시까지 간호기록지에 작성된 모든 간호진술문을 수집하였다.

또한 동일한 간호진술문도 대상자 상태와 적용 의미에 따라 다를 수 있어 간호 진술문의 세부내용도 모두 수집하였다. 외상소생실 간호사가 외상팀으로서 의 사와 함께 협동 수행하는 모든 활동 또한 간호활동이므로 의무기록에서 간호처 치 처방 및 처방수행 목록도 추출하였다. 그 후 각 대상자마다 수행된 간호활

(28)

동 중 같은 시간에 수행된 중복 간호활동 기록은 삭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개별 대상자의 간호중재 자료는 NIC의 간호중재 용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시 간 순서에 따라 정리하였다.

E. 자료분석방법

대상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는 용어 표준화를 위해 NIC 6판(2013)에서 제시한 554개의 간호중재 용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대상자의 간호중재 를 NIC 간호중재 용어로 일관되게 표현하기 위해 연구자와 외상간호핵심과정 (TNCC)을 이수한 외상소생실 경력간호사 1인이 동일한 5명 환자의 간호중재 를 NIC의 간호중재 용어로 분류한 후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서로 일치하지 않 는 간호중재 항목에 대해서는 제 3자인 간호학 교수 1인과 함께 논의 후 간호 중재 용어를 통일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리된 개별 간호중 재 자료에서 중복되는 간호중재는 삭제하여 대상자별로 수행된 간호중재를 목 록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α) .05에 서 양측검정을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2. 대상자에게 제공된 간호중재의 분포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재는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x2 test)으로 분석하였다. 분할표에서 기대빈도가 5 이하인 비율이 2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4. 대상자의 흉부 AIS 점수에 따른 간호중재는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 (x2 test)으로 분석하였다. 분할표에서 기대빈도가 5 이하인 비율이 20%를 초 과하는 경우에는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29)

F.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 권역외상센터의 외상소 생실을 통해 2019년에 내원한 중증 흉부외상환자로 국한되어 진행하였고, 본 연구의 간호중재 자료분석 시 중복된 간호중재는 제외하여 진행하였다는 등을 감안할 때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중하여야 한다.

(30)

Ⅳ. 연구결과

A.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임상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대상자의 연령은 만 18세부터 89세까지였고, 평균 52.25세이며 성별은 남 자 87명(72.5%), 여자 33명(27.5%)이었다. 내원 경로는 사고 현장에서 직접 내 원이 76명(63.3%), 타 의료기관에서 전원 내원이 44명(36.7%)으로 직접 내원의 비율이 높았다. 내원수단은 119구급차가 70명(58.3%), 기타구급차 38명(31.7%), 항공이송 12명(10.0%)으로 나타났다.

손상유형은 비의도 사고가 114명(95.0%)으로 가장 높았으며, 자해 4명 (3.3%), 미상 2명(1.7%) 순이었다. 흉부외상을 입은 손상기전은 교통사고가 68 명(56.7%)으로 가장 많았으며, 추락 37명(30.8%), 기타 15명(12.5%) 순이었다.

대상자의 내원 시 수축기 혈압은 최소 86mmHg, 최대 227mmHg, 평균 138.09±23.87mmHg이었으며, 중증외상환자의 생리학적 불안정 기준인 90mmHg 미만은 2명으로 1.7%를 차치하였다. 1분당 맥박 수는 최소 63회, 최대 155회, 평균 91.99±20.40회이며, 120회/분 이상의 대상자는 21명(17.5%)으로 나타났다.

1분당 호흡 수는 최소 11회, 최대 45회, 평균 22.63±6.34회이며, 정상 호흡 수인 10~29회/분에 속하는 대상자는 97명(80.8%)으로 나타났으며, 불안정 호흡 수인 30회/분 이상에 속하는 대상자는 23명(19.2%)을 차지하였다.

내원 시 의식상태는 Alert가 93명(77.5%)으로 가장 많았으며, Drowsy가 17명(14.2%), Stupor 이하가 10명(8.3%)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내원 시 GCS 는 최소 7점, 최대 15점으로 평균 14.05±1.97점이었다.

흉부손상 유형은 폐실질/늑막 손상이 115명(95.8%)으로 가장 많았으며, 흉벽 손상이 77명(64.2%), 종격동 내 구조물 손상 5명(4.2%)로 나타났다. 대상 자 중 동반된 손상이 없는 단일 흉부손상환자는 4명(3.3%)이었으며, 동반된 손

(31)

상이 1개는 6명(5.0%), 2개 이상은 110명(95.8%)으로 나타났다. 동반된 손상 부 위는 골반 및 사지가 99명(82.5%)으로 가장 많았고, 복부 61명(50.8%), 두경부 50명(41.7%), 안면 36명(30.0%), 외부 35명(29.2%) 순이었다.

대상자의 흉부 AIS 점수는 최소 3점, 최대 6점으로 평균 3.13±.0.43점이었 으며, 대상자 중 흉부 AIS 점수가 3점은 97명(80.8%), 4점 이상은 23명(19.2%) 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최종 ISS 점수는 최소 16점에서 최대 75점으로 평균 17.81±5.49점이었다.

대상자의 내원 후 진행된 검사항목은 혈액학적 검사와 X-ray 검사는 120 명(100.0%) 모두에게 진행되었고, CT 검사는 117명(97.5%), 심전도 검사는 105 명(87.5%), 초음파 검사는 119명(99.2%)에게 진행되었다.

외상소생실에서 수혈을 시행한 환자는 총 11명(9.2%)으로 나타났으며, 수 혈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는 109명(90.8%)이었다. 흉부외상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총 8명(6.7%)이고,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는 112명(93.3%)으로 대 부분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입원하였으며, 외상소생실 총 체류 시간은 최소 13 분에서 최대 84분으로 평균 32.85분이었다.

(32)

<표 1>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연령 40세 미만 24(20.0) 52.25±16.24 18 89

40~49세 22(18.3) 50~59세 34(28.3) 60세 이상 40(33.4)

성별 87(72.5)

33(27.5)

내원 경로 직접 내원 76(63.3)

외부에서 전원 44(36.7)

내원수단 119구급차 70(58.3)

기타구급차 38(31.7)

항공이송 12(10.0)

손상유형 비의도 사고 114(95.0)

자해 4(3.3)

미상 2(1.7)

손상기전 교통사고 68(56.7)

추락 37(30.8)

기타 15(12.5)

내원 시 활력징후

수축기 혈압 90 미만 2(1.7) 138.09±23.87 86 227

90 이상 118(98.3)

맥박 수 120 미만 99(82.5) 91.99±20.40 63 155

120 이상 21(17.5)

호흡 수 10회~29회 97(80.8) 22.63±6.34 11 45

30회 이상 23(19.2)

내원 시 의식상태 Alert 93(77.5)

Drowsy 17(14.2) Stupor 이하 10(8.3)

내원 시 GCS 14.05±1.97 7 15

(N=120)

(33)

<표 1>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계속)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흉부손상 유형* 폐실질/늑막 손상 115(95.8)

흉벽 손상 77(64.2)

종격동 내 구조물 손상 5(4.2)

동반 손상 수 흉부 단일 손상 4(3.3) 2.34±0.86 0 5

흉부 외 1개 6(5.0)

흉부 외 2개 이상 110(91.7) 동반된 손상부위* 골반 및 사지 99(82.5)

복부 61(50.8)

두경부 50(41.7)

안면 36(30.0)

외부(피부) 35(29.2)

흉부 AIS 점수 3점 97(80.8) 3.13±0.43 3 6

4점 이상 23(19.2)

최종 ISS 점수 17.81±5.49 16 75

검사항목* 혈액학적 검사 120(100.0)

X-ray 120(100.0)

초음파검사 119(99.2)

CT 117(97.5)

심전도 105(87.5)

수혈 여부 11(9.2)

109(90.8)

수술 여부 8(6.7)

112(93.3)

외상소생실

체류 시간(분) 32.85±12.50 13 84

(N=120)

* 중복 응답

(34)

B. 간호중재별 빈도 분포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를 NIC의 간호중재 용어에 따라 정리한 결과, 총 66개의 간호중재가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수행되었다 <표 2>.

흉부외상환자 120명(100%) 전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는 활력증상 감시, 침상 옆 임상검사 시행, 체위: 신경학적, 정맥주사요법, 정맥절개술: 정맥혈 채 취, 이송: 내부시설, 이동, 신경계 관리, 수액 감시, 낙상 방지, 기록, 기계기술 관리, 검사 보조, 건강진단검사, 가족참석 촉진이었다. 다음으로는 옷 입히기 118명(98.3%), 산소요법 118명(98.3%), 체온조절 117명(97.5%), 입원간호 117명 (97.5%), 감시 115명(95.8%), 검사물 관리 113명(94.2%), 상처 간호 112명 (93.3%), 교육: 절차/치료 110명(91.7%), 응급간호 108명(90.0%), 튜브 간호: 도 뇨관 106명(88.3%), 환자권리 보호 105명(87.5%), 피부 감시 102명(85.0%), 의사 지원 97명(80.8%), 정맥주사 삽입 96명(80.0%), 견인/부동 간호 93명(77.5%), 요 배설 관리 83명(69.2%) 순으로 나타났다.

NIC 간호중재 용어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외상소생실에서만 수행된 간호 중재로는 외상팀 활성화(Trauma Team Activation, TTA), 헬기이송 지원, 혈 관색전술 시술 간호, 소생개흉술 준비가 있었다. 빈도를 살펴보면 외상팀 활성 화(TTA) 120명(100%), 헬기이송 지원이 12명(10.0%), 혈관색전술 시술 간호 2 명(1.7%), 소생개흉술 준비 1명(0.8%) 순으로 나타났다.

(35)

<표 2> 간호중재별 빈도 분포

간호중재 실수(%) 간호중재 실수(%)

활력증상 감시 120(100.0) 통증 관리 47(39.2)

침상 옆 임상검사 시행 120(100.0) 건강정보 교환 45(37.5)

체위: 신경학적 120(100.0) 수액을 통한 인공소생법 38(31.7)

정맥주사요법 120(100.0) 부목 대기 38(31.7)

정맥절개술: 정맥혈 채취 120(100.0) 투약: 피내 35(29.2)

이송: 내부시설 120(100.0) 침습적 혈류통태감시 30(25.0)

이동 120(100.0) 도뇨법 30(25.0)

외상팀 활성화(TTA)* 120(100.0) 진정관리 28(23.3)

신경계 관리 120(100.0) 튜브 간호: 흉곽 18(15.0)

수액 감시 120(100.0) 호흡과 관련된 자료감시 16(13.3)

낙상 방지 120(100.0) 인공기도 관리 16(13.3)

기록 120(100.0) 튜브 간호: 위장관 16(13.3)

기계기술 관리 120(100.0) 기도내 분비물 흡입 16(13.3)

검사 보조 120(100.0) 기계적 환기장치: 침습적 16(13.3)

건강진단검사 120(100.0) 인공기도 삽입 13(10.8)

가족참석 촉진 120(100.0) 헬기이송 지원* 12(10.0)

옷 입히기 118(98.3) 중심정맥삽입관 관리 12(10.0)

산소요법 118(98.3) 혈액제제 투여 11(9.2)

체온조절 117(97.5) 알레르기 관리 10(8.3)

입원간호 117(97.5) 검사결과의 해석 9(7.5)

감시 115(95.8) 수술 준비 6(5.0)

검사물 관리 113(94.2) 환자확인 5(4.2)

상처 간호 112(93.3) 진통제 투여 4(3.3)

교육: 절차/치료 110(91.7) 혈관색전술 시술 간호* 2(1.7)

응급간호 108(90.0) 인공소생술 2(1.7)

튜브 간호: 도뇨관 106(88.3) 투약: 근육 1(0.8)

환자권리 보호 105(87.5) 자기간호보조: 소변 1(0.8)

피부 감시 102(85.0) 욕창 예방 1(0.8)

의사 지원 97(80.8) 오심 관리 1(0.8)

정맥주사 삽입 96(80.0) 소생개흉술 준비* 1(0.8)

견인/부동 간호 93(77.5) 기도관리 1(0.8)

요배설 관리 83(69.2) 기관내 튜브 제거 1(0.8)

투약: 정맥 56(46.7) 교육: 수술 전 1(0.8)

(N=120)

* NIC 간호중재 용어에 해당되지 않는 외상소생실 내 간호중재

(36)

C. 대상자의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

대상자의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재 분석결과는 <표 3>와 같 다.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임상적 특성 중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 재를 비교하였을 때 옷 입히기, 산소요법, 체온조절, 입원간호, 감시, 검사물 관 리, 상처 간호, 교육: 절차/치료, 응급간호, 튜브 간호: 도뇨관, 환자권리 보호, 피부 감시, 정맥주사 삽입은 활력징후 안정 여부와 상관없이 대상자의 80% 이 상에서 고르게 수행되었다.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 중 의사 지원(p=.014), 수액을 통 한 인공소생법(p=.002), 침습적 혈류동태감시(p<.001), 진정관리(p=.001), 튜브 간호: 흉곽(p<.001), 호흡과 관련된 자료감시(p<.001), 인공기도 관리(p<.001), 튜브 간호: 위장관(p<.001), 기도내 분비물 흡입(p<.001), 기계적 환기장치: 침 습적(p<.001), 인공기도 삽입(p<.001), 헬기이송 지원(p=.024), 혈액제제 투여 (p=.016), 알레르기 관리(p=.032), 수술 준비(p=.020)는 활력징후가 불안정한 대 상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수행되었다.

(37)

<표 3>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

간호중재 실수

활력징후 안정 (n=78)

활력징후 불안정

(n=42) x2(p)

실수(%) 실수(%)

옷 입히기† 118 76(97.4) 42(100.0) 1.10(.541)

산소요법† 118 77(98.7) 41(97.6) 0.20(1.000)

체온조절† 117 75(96.2) 42(100.0) 1.66(.551)

입원간호† 117 75(96.2) 42(100.0) 1.66(.551)

감시† 115 73(93.6) 42(100.0) 2.81(.161)

검사물 관리† 113 73(93.6) 40(95.2) 0.14(1.000)

상처 간호† 112 71(91.0) 41(97.6) 1.91(.258)

교육: 절차/치료† 110 72(92.3) 38(90.5) 0.12(.739)

응급간호† 108 69(88.5) 39(92.9) 0.59(.538)

튜브 간호: 도뇨관† 106 66(84.6) 40(95.2) 2.99(.134)

환자권리 보호 105 65(83.3) 40(95.2) 3.54(.060)

피부 감시 102 65(83.3) 37(88.1) 0.49(.486)

의사 지원 97 58(74.4) 39(92.9) 6.03(.014)

정맥주사 삽입 96 64(82.1) 32(76.2) 0.59(.444)

견인/부동 간호 93 60(76.9) 33(78.6) 0.04(.837)

요배설 관리 83 51(65.4) 32(76.2) 1.50(.221)

투약: 정맥 56 33(42.3) 23(54.8) 1.70(.192)

통증 관리 47 28(35.9) 19(45.2) 1.00(.317)

건강정보 교환 45 32(41.0) 13(31.0) 1.18(.277)

수액을 통한 인공소생법 38 17(21.8) 21(50.0) 10.04(.002)

부목 대기 38 26(33.3) 12(28.6) 0.29(.593)

투약: 피내 35 25(32.1) 10(23.8) 0.90(.343)

침습적 혈류통태감시 30 11(14.1) 19(45.2) 14.12(<.001)

도뇨법 30 22(28.2) 8(19.0) 1.22(.269)

진정관리 28 11(14.1) 17(40.5) 10.62(.001)

튜브 간호: 흉곽 18 5(6.4) 13(31.0) 12.90(<.001) 호흡과 관련된 자료감시 16 2(2.6) 14(33.3) 22.37(<.001)

인공기도관리 16 2(2.6) 14(33.3) 22.37(<.001)

튜브 간호: 위장관 16 3(3.8) 13(31.0) 17.36(<.001) 기도내 분비물 흡입 16 3(3.8) 13(31.0) 17.36(<.001) 기계적 환기장치: 침습적 16 2(2.6) 14(33.3) 22.37(<.001)

(N=120)

†Fisher’s exact test

(38)

<표 3> 활력징후 안정 여부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계속)

간호중재 실수

활력징후 안정 (n=78)

활력징후 불안정

(n=42) x2(p)

실수(%) 실수(%)

인공기도삽입† 13 1(1.3) 12(28.6) 21.05(<.001)

헬기이송 지원† 12 4(5.1) 8(19.0) 5.88(.024)

중심정맥삽입관 관리† 12 5(6.4) 7(16.7) 3.19(.109)

혈액제제 투여† 11 3(3.8) 8(19.0) 7.58(.016)

알레르기 관리† 10 3(3.8) 7(16.7) 5.87(.032)

검사결과의 해석† 9 4(5.1) 5(11.9) 1.81(.274)

수술 준비† 6 1(1.3) 5(11.9) 6.49(.020)

환자확인† 5 1(1.3) 4(9.5) 4.64(.050)

진통제 투여† 4 4(5.1) 0(0.0) 2.23(.296)

혈관색전술 시술 간호† 2 0(0.0) 2(4.8) 3.78(.121)

인공소생술† 2 0(0.0) 2(4.8) 3.78(.121)

투약: 근육† 1 1(1.3) 0(0.0) 0.54(1.000)

자기간호 보조: 소변† 1 1(1.3) 0(0.0) 0.54(1.000)

욕창 예방† 1 1(1.3) 0(0.0) 0.54(1.000)

오심 관리† 1 0(0.0) 1(2.4) 1.87(.350)

소생개흉술 준비† 1 0(0.0) 1(2.4) 1.87(.350)

기도관리† 1 0(0.0) 1(2.4) 1.87(.350)

기관내 튜브 제거† 1 0(0.0) 1(2.4) 1.87(.350)

교육: 수술 전† 1 0(0.0) 1(2.4) 1.87(.350)

(N=120)

†Fisher’s exact test

(39)

D. 대상자의 흉부 AIS 점수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

대상자의 흉부 AIS 점수에 따른 간호중재 분석결과는 <표 4>와 같다.

중증 흉부외상환자의 임상적 특성 중 흉부 AIS 점수에 따른 간호중재를 비교하였을 때 옷 입히기, 산소요법, 체온조절, 입원간호, 감시, 검사물 관리, 상 처 간호, 교육: 절차/치료, 응급간호, 튜브 간호: 도뇨관, 환자권리 보호, 피부 감시, 정맥주사 삽입은 흉부 AIS 점수와 상관없이 대상자의 80% 이상에서 고 르게 수행되었다.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 중 산소요법(p=.035), 정맥주사 삽입(p=.004), 견인/부동 간호(p=.034)는 흉부 AIS 점수가 3점인 대상자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 중 투약: 정맥(p=.047), 건강정보 교환(p=.010), 수액을 통한 인공소생법(p=.019), 부목 대기(p=.019), 침습적 혈류 동태감시(p<.001), 튜브 간호: 흉곽(p<.001), 호흡과 관련된 자료감시(p=.014), 인공기도 관리(p=.014), 튜브 간호: 위장관(p=.003), 기계적 환기장치: 침습적 (p=.014), 인공기도 삽입(p=.018), 중심정맥삽입관 관리(p<.001), 혈액제제 투여 (p<.001), 알레르기 관리(p<.001), 수술 준비(p=.001)는 흉부 AIS 점수가 4점 이 상인 대상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수행되었다.

(40)

<표 4> 흉부 AIS 점수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

간호중재 실수

AIS 3점 (n=97)

AIS ≥ 4점

(n=23) x2(p)

실수(%) 실수(%)

옷 입히기† 118 96(99.0) 22(95.7) 1.25(.348)

산소요법† 118 97(100.0) 21(91.3) 8.58(.035)

체온조절† 117 96(99.0) 21(91.3) 4.48(.094)

입원간호† 117 94(96.9) 23(100.0) 0.73(1.000)

감시† 115 93(95.9) 22(95.7) 0.00(1.000)

검사물 관리† 113 91(93.8) 22(95.7) 0.11(1.000)

상처 간호† 112 90(92.8) 22(95.7) 0.25(1.000)

교육: 절차/치료† 110 91(93.8) 19(82.6) 3.06(.097)

응급간호† 108 90(92.8) 18(78.3) 4.36(.052)

튜브 간호: 도뇨관† 106 84(86.6) 22(95.7) 1.48(.301)

환자권리 보호† 105 84(86.6) 21(91.3) 0.38(.733)

피부 감시† 102 82(84.5) 20(87.0) 0.09(1.000)

의사 지원† 97 76(78.4) 21(91.3) 2.01(.239)

정맥주사 삽입† 96 83(85.6) 13(56.5) 9.80(.004)

견인/부동 간호 93 79(81.4) 14(60.9) 4.51(.034)

요배설 관리 83 71(73.2) 12(52.2) 3.85(.050)

투약: 정맥 56 41(42.3) 15(65.2) 3.93(.047)

통증 관리 47 36(37.1) 11(47.8) 0.90(.344)

건강정보 교환 45 31(32.0) 14(60.9) 6.63(.010)

수액을 통한 인공소생법 38 26(26.8) 12(52.2) 5.53(.019)

부목 대기 38 26(26.8) 12(52.2) 5.53(.019)

투약: 피내 35 30(30.9) 5(21.7) 0.76(.383)

침습적 혈류통태감시 30 14(14.4) 16(69.6) 30.14(<.001)

도뇨법 30 26(26.8) 4(17.4) 0.88(.349)

진정관리 28 20(20.6) 8(34.8) 2.09(.149)

튜브 간호: 흉곽† 18 7(7.2) 11(47.8) 24.05(<.001)

호흡과 관련된 자료감시† 16 9(9.3) 7(30.4) 7.20(.014)

인공기도관리† 16 9(9.3) 7(30.4) 7.20(.014)

튜브 간호: 위장관† 16 8(8.2) 8(34.8) 11.33(.003)

기도내 분비물 흡입† 16 10(10.3) 6(26.1) 4.01(.080)

기계적 환기장치: 침습적† 16 9(9.3) 7(30.4) 7.20(.014) (N=120)

†Fisher’s exact test

(41)

<표 4> 흉부 AIS 점수에 따른 간호중재 비교(계속)

간호중재 실수

AIS 3점 (n=97)

AIS ≥ 4점

(n=23) x2(p)

실수(%) 실수(%)

인공기도삽입† 13 7(7.2) 6(26.1) 6.85(.018)

헬기이송 지원† 12 9(9.3) 3(13.0) 0.29(.698)

중심정맥삽입관 관리† 12 4(4.1) 8(34.8) 19.42(<.001)

혈액제제 투여† 11 3(3.1) 8(34.8) 22.42(<.001)

알레르기 관리† 10 3(3.1) 7(30.4) 18.20(<.001)

검사결과의 해석† 9 5(5.2) 4(17.4) 4.01(.067)

수술 준비† 6 1(1.0) 5(21.7) 16.79(.001)

환자확인† 5 5(5.2) 0(0.0) 1.24(.582)

진통제 투여† 4 4(4.1) 0(0.0) 0.98(1.000)

혈관색전술 시술 간호† 2 1(1.0) 1(4.3) 1.25(.348)

인공소생술† 2 1(1.0) 1(4.3) 1.25(.348)

투약: 근육† 1 1(1.0) 0(0.0) 0.24(1.000)

자기간호 보조: 소변† 1 1(1.0) 0(0.0) 0.24(1.000)

욕창 예방† 1 0(0.0) 1(4.3) 4.25(.192)

오심 관리† 1 1(1.0) 0(0.0) 0.24(1.000)

소생개흉술 준비† 1 0(0.0) 1(4.3) 4.25(.192)

기도관리† 1 1(1.0) 0(0.0) 0.24(1.000)

기관내 튜브 제거† 1 0(0.0) 1(4.3) 4.25(.192)

교육: 수술 전† 1 0(0.0) 1(4.3) 4.25(.192)

(N=120)

†Fisher’s exact test

(42)

Ⅴ. 논의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일 대학병원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실로 내원한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중재를 표준화된 간호중재 용어로 분석하여 중증 흉부외상환자에게 외상소생실에서 수행된 주요 간호중재를 파악하고자 수 행되었다. 연구의 주요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A.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2.25세이며, 성별분포는 남자가 여자 보다 2배 이상 많았는데, 이는 최근 외상 관련 연구에서 남자의 비율이 높고, 40~50대가 많았던 것과 같은 경향을 보인다(김명희 등, 2014; 이채은, 2016; 장 명진, 2019). 중년기 이하의 연령층은 경제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나이임 을 감안할 때(이채은, 2016), 다른 연령층에 비해 활동량이 많은 생산층의 남성 에서 상대적으로 외상이 더 많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내원 경로는 직접 내원이 외부에서 전원보다 약 2배가 더 많았다. 이는 중증외상환자가 인근 병 원을 경유하면서 적절한 치료시간이 지연되고 있다는 한상수 등(2011)의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중증외상환자의 의료체계 개선을 위해 2014년 이후 14개의 권역외상센터를 개소하였으며, 이송체계도 개선하였 다(보건복지부, 2019). 이에 따라 중증외상환자의 경우 사고 현장에서 외상전문 센터로의 빠른 이송이 환자 예후에 더 좋다는 연구 결과가(보건복지부, 2019;

한상수 등, 2011) 중증외상환자의 이송체계에 반영될 수 있었기에 나타난 결과 라 생각한다. 손상기전은 교통사고가 가장 많았으며, 추락에 의한 손상이 두 번 째로 많았다. 이는 김명희 등(2014), Yu 등(2020)의 연구에서 발표한 외상원인 과 유사하였으나, 복부외상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장명진(2019)의 연구에서 외상 원인이 교통사고, 관통상 및 자상 순으로 나타난 것과는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주요 외상 부위의 차이로 인한 결과였다.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는 기초지자체가 농업발전계획 수립 및 보조사업 관리에 활용하고 있는 통 계정보와 정보시스템의 이용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개념설계 및 데 이터

본 연구는 자기 존중감을 매개로 노인의 종교 활동이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행복한 노후를 위해 적절한 종교의 활동방안을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유자녀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배경 일 , , - 가정 갈등 (Work-Family Interference: WFI) 과 가정 일 갈등 - (Family-Work

이에 본 연구는 H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역량별 중요도와 현재수행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여 대학에서 셀프리더십 교육과정 개발 시 우선 개발되어야

넷째,중증· 중복 시각장애학생의 졸업 후 전환 프로그램 운영과 성인서비스 기관과 연계 여부에는,다소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각 중복장애학

따라서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 육상 단거리와 중 장거리 선수를 대상으로 , · 심폐기능과 등속성 근기능을 비교 분석하여 선수들의 신체능력을 파악하고 차이를 규명하여

본 연구는 국내외 기업의 디자인경영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제품디자인 경영전략과 기 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 Key Words : Japan's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MDGs (Millenium Development Goals), JICA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ODA lo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