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된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된다."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Playfulness) 특성 연구

놀이다움 평정척도 적용을 중심으로

- (Test of Playfulness)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yfulness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진 흥 신* Jin, Heung Shin

* 남부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교수 교신저자( : jinjusin@chollian.net)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Nambu University

요 약

<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놀이다움, 평정척도(Test of Playfulness)에 반응한 정신지체아동이 Rasch측정 모델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알아보고 둘째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 즉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 , , 실감 부재 참조체계수준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일반발달아동 23 (명 남 12 ,명 여 11 ), 정신지체아동 23 명 여 명 으로 총 명이다 정신지체아동 명의 연령범위는 개월

( 12 , 11 ) 46 . 23 30 -160

월이고 일반발달아동 23명의 연령범위는 30개월-151개월이다 본 연구에 사용한 놀이. 다움 평정척도는 Bundy(2003)가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제작한 버전 4.0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놀이다움 평정척도에서 얻어진 원점수를. Rasch 분석하여 정신, 지체아동의 피험자반응 적합도를 조사하고 일반발달아동와 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평, 정척도에 반응한 문항반응 측정치 비교를 통하여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부재 참조, , , 체계의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점은 첫째 놀이다움 평정척도를 정신지체아동에게 적용하여 피, 험자 반응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Rasch측정 모델에 91.30% 적합도를 보였다 둘째 정. , 신지체아동의 동기근원은 일반발달아동 보다 내적동기성향을 보였다 통제지각 중 독자적. 통제지각은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공유적 통제. 지각은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내적 통제지각의 성향을 보였다 현실감부재능. 력은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자유로운 현실감 부재 능력을 보였고 참조체계, 능력 또한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자유롭게 사회적 단서를 주고받았다.

핵심어 : 놀이다움 평정척도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 부재 참조체계, , , , , Rasch분석

(2)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1.

놀이는 어린이의 생활이며 놀이과정에서 어린이의 모든 것이 표현된다 놀이 , . 과정에서 표현되는 인간행동으로서의 놀이는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교섭 결과이 다 (Kielhofner, 1995; Magnussen, 1981). 이런 맥락에서 최근 놀이에 관한 관심은 놀이발달의 양적측면에 앞서 아동이 놀이하는 환경과의 상호교섭 하는 놀이의 질적 측면 즉 놀이다움 (playfulness) 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최근 이론 . 가들은 상호간에 역동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적 환경적 요인 및 그와 관련된 - 놀이다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Kielhofner, 1995; Magnussen, 1981;

근래 국내에서도 장애아동에 대한 놀이다움 연 Wicker, 1987, Bundy, 2000),

구가 활발하다 유지승 ( ,2001; 김수연 , 2003; 김주영 , 2004; 정지은 , 2003; 진흥 신 , 2000a, 2000b, 2004). 그 이유는 장애아동이 환경 속에서 상호교섭 하는 적응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적응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놀이다움 증진 의 중요성이 배가되기 때문으로 생각 (Barnett, 1998; Sutton-Smith, 1999)

된다.

놀이의 질이란 놀이다움 (playfulness) 을 의미하며 놀이다움이란 아동이 놀이활 ,

동 동안에 내적 동기 (intrinsic motivation), 내적 통제 (internal control), 현실감

부재 (suspension of reality) 의 상태로 환경과 상호교섭 하는 사회심리적 기능임

을 밝혔다 Bundy(1997). Bundy 가 놀이다움 요소를 내적 동기 내적 통제 내적 , ,

현실로 분류한 것은 Neumann(1971) ‘ 이 놀이란 내적으로 통제되고 내적으로 동 ,

기화 되고 현실의 방해물로부터 자유로운 개인과 환경사이의 상호교섭이다 이런 , .

상호교섭 안에서 각각의 아동은 환경을 완전하게 통제 할 수 있고 아동 자신이 ,

환경에 대한 충분한 결정권을 가지는 등 놀이다움 행동의 연속으로서 나타날 수

있다 .’ 라는 제안에 기초한 것이다 뿐 만 아니라 . Bundy(1997) 는 놀이이론가들

이 놀이를 정의한 것 중에서 공통적인 요소들을 선정하여 내적 동기 내적 통제 , ,

내적 현실로 분류하였는데 ,‘ 내적 동기 는 활동에 있어서 외적보상이기보다는 놀 ’

이활동 그 자체에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내적 통제 는 아동이 자신의 . ‘ ’

행동과 활동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갖는 것이며 ,‘ 현실감 부재 란 개별아동이 상호 ’

교섭 할 객관적인 현실을 벗어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

연구를 기초로 Bundy ‘ 는 놀이다움은 내적 동기 내적 통제 현실감 부재의 상호 , ,

교섭 안에서 결정되며 놀이다움은 비놀이다움과 연속선상에 있음을 주장하였다 , .

(3)

또한 Bundy 는 Bateson(1972) 이 주장한 타인과의 단서를 주고받는 참조체계 를 놀이다움 요소에 첨가하여 놀이다움 평정척도

(framing) , (Test of Playfulness 를 개발하였다

: ToP) .

은 놀이다움이란 놀이의 질과 양상으로 정의 할 수 있다고 Lieberman(1977)

하며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 감각 , , , , , 등 특징적인 용어로 정의하였다 또한 놀이다움은 개인의 인성특질로서 유아의 . 놀이에서 행동적으로 관찰될 수 있고 이후의 발달과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 . 는 이 정의한 놀이다움 가지 요소에서 일반적인 놀 Barnett(1990) Lieberman 5

이다움 요인들은 유지하면서 Lieberman 의 놀이다움 도구의 불합리함을 개정하 여 아동 놀이다움 척도 , (Children's Playfulness Scale : CPS) 를 만들었다 이 . 것은 Lieberman 이 정의한 5 개 놀이다움 요소인 인지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 , 신체적 자발성 즐거움표시 유머 감각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 , 23 항목으 로 구성되었다.

놀이다움의 정의는 학자에 따라 약간씩 다르며 놀이다움을 측정하는 도구들도 , 다르다 국내의 놀이다움 연구에 활용된 척도는 거의 . Lieberman 의 척도에 의존 하는 한 것으로 우리나라 유아의 발달 특성과 성격 행동 특성에 맞는 척도의 개 , 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유아의 놀이다움을 구성하는 하위 . 요인을 확인하여 우리 문화적 특성에 맞고 우리 유아의 행동특성에 적합한 놀이 다움을 확인하는 척도의 개발이 요구된다 엄미향 ( , 1995). 이에 본 연구는 일반발 달아동과 장애아동 모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Bundy(2003) 가 제작한 놀이다움의 평정척도 (Test of Playfulness : ToP) 버젼 4.0 를 적용하였 다 또한 본 척도는 진흥신 . (2003) 에 의해 Bundy 가 제작한 버전 4.0 을 한국아동 명 일반발달아동 명 장애아동 명 을 대상으로 예비표준화 연구를 실시하

94 ( 44 , 50 )

였다 그 결과 . 문항반응 타당도 96.6%, 피험자 반응 타당도 95.75% 가 Rasch 측정 모델에 적합하였고 평정자간 신뢰도는 , Rasch 측정모델에 100% 적합도를 보였다.

정신지체아동 놀이다움의 특성을 밝히기 위한 본 연구에는 놀이다움 요소인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 부재 참조체계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이 필요하 , , ,

며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심리적기능인 동기 및 통제소재의 문헌까지 확대하여 ,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심리적기능에 관 .

한 연구가 놀이 활동 속에서 연구되기 보다는 정신지체아동의 동기 혹은 통제소

재를 별도로 측정하는 측정도구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심리 .

적 기능에 관한 이론적 관심에 비해 정신지체아의 통재소재 및 동기에 관한 연

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한현민 ( , 1996).

(4)

정신지체아동의 통제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Lawrence & Winchel(1975) 은 정신지체아동은 외적 통제소재를 보인다고 지적하고 내적 통제소재의 증진이 교 , 육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 McGheedhk 와 Crandall(1968) 는 정신지체아동의 성공과 실패에 관련된 연구에서 정신지체아동 집단이 내적 통제 면에서 일반발달집단과 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다만 서서히 성숙된다고 밝혔다 구 , ( 유미 재인용, 2000).

정신지체아동의 동기에 관한 연구에서 김승국 (2001) 은 Zigler 와 그 동료들의 연구를 인용하였다 즉 일반아동과 정신지체아를 각각 두 집단으로 편

(1958) .

성하고 이들에게 매우 단조로운 놀이를 제공하면서 각 집단의 실험군에게는 격 , 려와 지지를 보여주었고 통제군에게는 격려와 지지를 보여 주지 않는 상태에서 , 각 집단이 단조로운 놀이를 얼마나 지속적으로 수행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 . 과 정신지체아가 일반아동에 비해 지루한 놀이를 오랫동안 지속하는 것으로 나 , 타났다 그러나 일반아동군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이는 정신지체아가 일 . . 반아동에 비해 실험자의 마음에 동조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 정신지체아는 과제완성에 의한 자기 만족감보다는 외적인 칭찬이나 점수에 더 민감한 것 즉 외적동기에 의존한다고 해석하였다 진흥신 . (2002) 은 정신지체아 동에게 친숙한 놀이친구와 장소가 제공된 자유놀이 상황에서 정신지체아동의 동 기성향을 연구한 결과 정신지체아동은 놀이결과보다는 놀이과정 자체를 즐기면 서 놀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장애물을 극복하는 , , 내적동기성향을 보였음을 발견하였다.

정신지체아동의 현실감 부재와 참조체계에 선행연구는 정신지체아동의 놀이특 성을 통하여 문헌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정신지체아동의 놀이특성은 생활연령 . 보다는 정신연령 및 발달연령과 상관이 있다고 한다 (Odom, 1981). 또한 유수 옥 (2005) 도 정신지체유아의 놀이발달은 인지발달 연령과 매우 유사하다고 하였 다 놀이다움 평정척도의 현실감 부재요소를 반영하는 상징놀이에서 다운증후군 . 아동들은 정신연령에 상응되는 상징놀이를 보였다 (Baron-Cohen, 1987). 정신 지체아동의 언어능력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타인에게 단서를 주고받는 중요한 도구로서 놀이다움 요소 중 참조체계항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Owens 는 정신 지체아동의 언어특성에서 화용론적 측면은 몸짓과 의도의 발달형태는 일반발달 학생과 유사하고 대화의 역할은 수동적이며 정신연령이 같은 일반발달아동 보 , , 다 명료성은 떨어진다고 보고하였다 김인숙 ( , 2004).

놀이다움 기능은 정신지체아동의 성공적인 삶에 영향을 주는 적응행동 증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Barnett, 1998; Sutton-Smith, 1999). 일반발달아동은 그

들의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하여 쉽게 적응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

(5)

으나 지적능력과 적응행동에서 지체된 정신지체아동은 환경과의 상호교섭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Bundy, 2001). 따라서 염희숙 (1997) 은 놀이다움의 요 소인 외적 통제소재성향인 정신지체아동에게 내적 통제소재로 전환 하도록 교육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Lawrence & Winschel(1975) 의 글을 인용하 고 있다 고로 놀이의 질적 기능인 놀이다움 기능 향상은 적응행동의 증진을 의 . 미하는 것으로 장애를 최소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런 필요에 의해 본 연 . 구는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을 밝혀 놀이다움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 , 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 2.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놀이다움 평정척도에 , 반응한 정신지체아동이 Rasch 측정 모델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알아보고 둘째 ,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심리적 특성인 놀이다움의 특성을 요소별로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아동이 놀이다움 평정척도에 반응한 피험자 반응 적합도를 알 . 아본다.

둘째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을 밝힌다 , .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의 동기근원 특성을 밝힌다

1) .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의 통제지각 특성을 밝힌다

2) .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의 현실감 부재 특성을 밝힌다

3) .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의 참조체계 특성을 밝힌다

4) .

용어의 정의 3.

놀이다움 놀이다움은 놀이의 질적 특성이다 놀이의 질적

1) (playfulness) : .

특성은 내적 동기 내적 통제 현실감 부재 참조체계의 출현에 의한 상호교섭을 , , , 의미한다.

내적 동기 내적 동기는 사회적 기준이나 기대 보

2) (intrinsic motivation) : ․

상 등의 외적 동기와 상반된 개념으로서 아동이 놀이 활동 참여에 있어서 외적 ,

보상이라기보다는 활동 그 자체에서의 만족을 의미한다.

(6)

내적 통제 내적 통제는 행동 결과를 운명 기회 유력한

3) (internal control) : ․ ․

타인이나 예측 할 수 없는 힘에 의한다고 믿는 외적 통제와 상반된 개념으로써, 아동이 자신의 행동과 활동 결과에 대한 책임과 통제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현실감 부재 아동이 상호교류 할 객관적인 현실

4) (suspension of reality) : 을 차단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참조체계 아동이 타인과 사회적 단서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5) (framing) : .

연구 방법 .

연구 대상 1.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북 대전광역시의 놀이방 유치원 및 어 ㆍ ㆍ , 린이집 초등학교 특수학교 재활원 장애아동 조기교육실 등에 다니는 아동으 , , , , 로 부모가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일 . 반발달아동 23 ( 명 남 12 , 명 여 11 ), 명 정신지체아동 23 ( 명 남 12 , 명 여 11 ) 명 으 로 총 46 명이다 정신지체아동 . 23 명의 연령범위는 30 개월 -160 개월이고 일발 발달아동 23 명의 연령범위 30 개월 -151 개월이다 연구대상의 집단별 성별 분 . , 류는 < 표 2-1> 과 같다 정신지체아동의 경우 장애정도는 의료기관에서 장애등 . 급을 발급 받는 자료를 적용 하였고 그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는 연구자가 한국 ,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 , , , 2001) 와 사회성숙도검사 김승 ( 국 김옥기 , , 1985) 를 실시하였다 그 내용은 . < 표 2-2> 와 같다 .

< 2-1> 연구대상 특성 집 단 별

성 별 일반발달아동 장애아동

남 12 12

여 11 11

계 23 23

(7)

연구 도구 2.

놀이다움 평정척도

1) (Test of Playfulness : ToP)

본 연구에 사용한 놀이다움 평정척도 (ToP) 는 Bundy(2003) 가 일반아동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제작한 버전 4.0 를 적용하였다 진흥신 . (2003) 은 Bundy 가 제작한 버전 4.0 을 한국아동 94 ( 명 일반발달아동 44 , 명 장애아동 50 ) 명 을 대상으로 예비표 준화 한 결과 문항반응 타당도 96.6%, 피험자 반응 타당도 95.75% 가 Rasch 측정 모델에 적합하였고 평정자간 신뢰도는 , Rasch 측정모델에 100% 적합도를 보였다 .

< 2-2> 정신지체아동 특성

번호 성별 연령 개월 ( ) 특 성 ( 장애진단 및 소속기관 ) 1 남 110 정신지체 1 , 급 장애전담 어린이집 무발어 아동 ( ) 2 남 109 정신지체 2 , 급 초등학교 특수학급

3 남 90 다운증후군 일반유치원 , 4 여 72 다운증후군 일반유치원 ,

5 여 100 지능지수 67 사회성숙도지수 70 6 여 126 지능지수 62 사회성숙도지수 68 7 남 79 지능지수 54 사회성숙도지수 56 8 남 98 지능지수 65 사회성숙도지수 68 9 여 84 지능지수 52 사회성숙도지수 50

10 남 94 정신지체 1 , 급 초등학교 특수학급 자발어 거의 없음 ( ) 11 남 133 정신지체 3 , 급 초등학교 일반학급

12 남 30 발달지체 무발어 ( ), 장애전담 어린이집 13 남 160 정신지체 2 , 급 초등학교 특수학급 14 여 60 발달지체 일반유치원 ,

15 여 98 다운증후군 일반유치원 , 16 여 85 다운증후군 일반유치원 , 17 남 85 다운증후군 일반유치원 ,

18 남 72 발달지체 장애전담 어린이집 무발어 아동 , ( ) 19 여 99 다운증후군 재활원 ,

20 남 102 다운증후군 재활원 ,

21 여 109 다운증후군 일반유치원 ,

22 여 62 다운증후군 일반유치원 ,

23 여 84 다운증후군 일반유치원 ,

(8)

< 2-3> 놀이다움 평정척도 기록지

시간 강도 숙련도 비 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한다

1. . 동기근원 : 시간항목 강도항,

목 참조체계 : 숙련도 항목 무엇을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2. . 통제지각 독자적( )

놀이에서 충분하게 안전감을 유지한다

3. . 통제지각 독자적( )

활동을 지속하기 위하여 장애 혹은 장 4.

벽을 극복하려는 시도를 한다. 동기근원

도전을 유지하거나 보다 재미있게 하기 5.

위해 활동을 수정한다. 통제지각 독자적( )

장난스러운 놀이 혹은 짓궂은 놀이에 6.

참여한다. 현실감 부재

놀이 결과보다 오히려 놀이 과정에 즐 7.

거움을 보인다. 동기근원

가장한다

8. . 현실감 부재 독자적( )

비관습적이거나 변화가 가능하고 창의 9.

적인 방법으로 사물이나 타인을 놀이에 참여시킨다.

현실감 부재 대상( )

필요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타인과 10.

협상한다. 통제지각 공유적( )

사회적 놀이에 참여한다

11. . 통제지각 공유적( )

타인의 놀이를 지원한다

12. . 통제지각 공유적( )

이미 활동을 시작한 그룹에 합류한다

13. . 통제지각 공유적( )

타인과 놀이를 시도한다

14. . 통제지각 공유적( )

어리광을 부리거나 농담을 한다

15. . 현실감 부재 독자적( )

공유한다 장난감 기구 친구 생각

16. ( , , , ). 통제지각 공유적( )

너는 나에게 이렇게 해야 해 라고

17.“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단서 표정 언( , 어 몸짓 를 준다, ) .

참조체계

타인의 단서에 반응한다

18. . 참조체계

놀이동안에 긍정적인 감정을 보인다

19. . 동기근원

사물들과 상호작용을 한다

20. . 통제지각 독자적( )

하나의 놀이로부터 다른 놀이로 쉽게 21.

전환 한다. 통제지각 독자적( )

참고 : 위 기록지의 흰칸은 평정항목이고 검정칸은 비평정항목이다 예를 들어 항목 은 시간, . 1 , 강도 숙련도 개 모두를 평정해야 한다 그리고 항목 의 경우는 시간만 평정한다, 3 . 2 .

(9)

놀이다움 평정척도는 관찰적 진단도구로서 총 29 개 항목이며 , 4 개의 하위요 소 즉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 부재 참조 체계 등으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 , , . 이 4 개의 하위요소 중 어느 요소에 해당되는지의 내용은 놀이다움 평정척도 기 록지 표 < 2-3> 에 기술되었다 놀이다움 평정척도는 시간 강도 숙련도에 대하 . , , 여 4 점 평점으로 되어있다 시간은 놀이 활동에 참여한 시간 비율에 따라 적용 . ‘ 할 수 없다 항목에 적합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거나 혹은 드물게 발생 ( )’ 는 NA, 거의 혹은 전혀 없다 관찰시간 동안 행동이 이하로 출현 는 점 가끔

‘ ( 10% )’ 0 ,‘

관찰시간 동안 행동이 출현 은 점 자주 관찰시간 동안 행동이

( 10-50% )’ 1 ,‘ (

출현 는 점 거의 항상 관찰시간 동안 행동이 이상 출현

50-90% )’ 2 ,‘ ( 90% )’

은 3 점으로 채점한다 .

강도는 놀이활동에 참여하는 집중도에 따라 적용 할 수 없다 집중하는 행동 ‘ ( 이 나타나지 않음 )’ 는 NA,‘ 열심이지 않다 활동이 나타나지만 열심이지 않음 ( )' 는 0 ,‘ 점 약간 열심이다 는 ’ 1 ,‘ 점 보통 열심이다 는 ’ 2 ,‘ 점 매우 열심이다 는 ’

점으로 채점한다

3 .

숙련도는 적용 할 수 없다 항목에 적합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거나 혹은 드물 ‘ ( 게 발생 )’ 는 NA,‘ 숙련되지 않다 활동이 어색하고 서투르다 ( )’ 는 0 ‘ 점 약간 숙 련되다 는 점 ’ 1 ,‘ 보통 숙련되다 는 점 ’ 2 ,‘ 매우 숙련되다 는 점으로 채점한다 ’ 3 .

연구 절차 3.

단계 대상모집 1) 1 :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서 대구광역시 전북 대전광역시에 있는 놀이방 유 ㆍ ㆍ , 치원 및 어린이집 초등학교 장애인 복지관 재활원 특수학교 특수아동 조기교 , , , , , 육실 등에 다니는 20 개월에서 14 세까지의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의 부모님 및 각 기관의 기관장님에게 서신발송과 전화문의를 통해 본 연구에 참여할 의사를 알아보고 연구대상아동을 선정하였다.

단계 놀이 환경의 적절성 고찰과 관찰자 훈련 2) 2 :

놀이자 조건 놀이자의 상황적 조건은 놀이다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 : ,

아동이 신체적으로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놀이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놀이 환경 놀이다움은 어떠한 환경에서도 관찰 가능 하지만 대상자의 놀

* : ,

이다움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부모 담임선생님이 친숙하고 안전한 곳으로 추천 ,

한 곳에서 관찰하였다 또한 놀이다움 평정척도의 항목 중에 사회적 능력을 진 .

(10)

단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친분이 있는 놀이대상이나 친구의 참여를 권하였다.

그 놀이친구의 연령은 제한하지 않았으며 놀이 활동에 참가한 부모나 교사는 , 놀이자의 놀이를 지도하는 것보다 놀이에 자연스럽게 반응하는 일반적 수준의 자세를 취하도록 하였다(Bundy 1998; Bundy & Bronson; 2001).

단계 예비 관찰 3) 3 :

예비관찰은 부모가 추천하는 장소에서 장애아동만 각각 15 분씩 자유놀이시간 동안 비디오 촬영하였다 관찰자는 . 2 명으로 구성하며 , 1 인은 비디오 촬영하고 , 인은 놀이 활동을 관찰하고 위험상황에 대처하였다 예비관찰을 실시하는 이유

1 .

는 첫째 아동들과 관찰자간의 친화관계를 형성하고 둘째 항목과 아동의 놀이 , , 활동을 대조하여 놀이다움 평정척도 항목에 해당되는 놀이 활동의 출현 유무를 , 관찰함으로써 본 관찰에 대처해야할 자료를 얻기 위함이고 셋째는 환경의 적절 성 및 아동이 카메라에 대한 의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단계 본 관찰 4) 4 :

본 관찰은 예비관찰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장애아동의 경우 자유놀이 상황을 구조화하였다 예를 들어 예비관찰에서 장애아동이 모든 관찰시간 내내 . 일정한 활동 예를 들어 그네만 탄다든지 어느 활동에도 참여하지 않고 왔다 갔 ( , 다만 한다든지 자동차만 쳐다보고 있는 등의 활동 에만 참여하는 활동이 발견 , ) 되었다 이런 경우 관찰자는 자유놀이에서 놀이다움 평정척도 항목을 관찰 할 . 수 있도록 아동 개별특성에 맞게 구조화하기 위해 놀이 활동에 참가한 교사나 부모의 태도에 차이를 두었다.

관찰자는 연구자를 포함한 2 인으로 구성되어 1 인은 놀이 활동 15 분 동안 비 디오 촬영하고 , 1 인은 아동들의 놀이 활동 진행과정을 관찰하고 위험상황에 대 처하였다 관찰되는 모든 놀이 활동은 비디오 촬영하며 만약 관찰자가 대상자의 . , 놀이 활동을 가까이 가서 볼 수 없을 경우 놀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줌렌즈를 사 용하여 비디오 촬영하였다.

단계 평정자 훈련 5) 5 :

평정자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유아특수교사 특수교사 특수교육 전공 , , ,

석사과정 이상자로 구성하였다 평정자는 놀이다움평정 척도의 지침서에 의해 .

평정훈련을 하였다 평정자 훈련에서 평정자는 각각 . 10 개의 자유놀이 아동 테입

을 점수화하였다.

(11)

단계 평정 실시 6) 6 :

단계의 평정자 훈련을 마치고 분석에 의한 평정자 신뢰구간에 들어간

5 , Rasch

명 평정자의 분석결과를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분석에 의한 평정자간

25 . Rasch

신뢰도는 100% 에 해당된다 .

자료 분석 4.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놀이다움 평정 척도 결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놀이 . 다움평정 척도에서 얻어진 원점수는 Rasch 분석에 의한다 . Rasch 분석은 항목 의 차원구성 각 항목의 상대적 어려움 대상자의 상대적인 능력 그리고 평가자 , , , 의 엄격함의 정도를 동시에 파악 할 수 있다 (Wright & Linacre, 1992). 정신 지체아동의 피험자반응 적합도와 일반발달아동와 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평정 척도에 반응한 문항반응 측정치 비교는 놀이다움 평정척도 (ToP) 에서 얻어진 원 점수를 Winsteps 라쉬 분석 (Linacre, 2003) 에 의하였다 .

결과 및 논의 .

정신지체아동이 놀이다움 평정척도에 반응한 피험자 반응 적합도 1.

정신지체아동이 놀이다움 평정척도에 반응한 피험자 반응에서 적합 반응을 보

인 아동은 23 명 중 21 명으로 Rasch 측정 모델에 91.30% 적합도를 보였다 피 .

험자 반응의 적합여부는 < 표 3-1> 의 정신지체아동이 놀이다움 평정척도에 반

응한 측정치에 의해 조사되어진다 . Rasch 측정모델의 부적합 범위는 MnSq>1,4

또는 MnSq<6 과 동시에 t>2 또는 t<-2 일때이다 부적합 아동은 . < 표 3-1> 의

진한 글씨인 #11 번 아동과 #16 번 아동이다 한 대상이 . Rasch 측정모델 적합성

에 실패하면 피험자가 쉬운 문항에서 예기치 못하게 낮은 점수를 얻고 어려움 , ,

문항에서 예기치 못하게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12)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 2.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 이 놀이다움 평정 척도에 반응한 놀이다움 측정치를 비교하였으며 그 내용은 , 표 과 같다 놀이다움에 대해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비교는

< 3-2> .

분석에 의해 발생된 문항의 측정치에 표준오차를 한 범위를 비교하

Rasch +, -

였다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비교치 범위가 겹치면 유의미한 차이가 . 없고 겹치지 않으면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 (Silverstein, Kilgore, &

분석에 의해 발생된 문항의 측정치의 수가 작을수록 그 Fisher, 1989). Rasch

항목에 대해 아동들이 쉬워하고 측정치의 수가 클수록 그 항목에 대해 어려워 , 한다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은 놀이다움의 . 4 가지 하위요소별 즉 동기근 원 통제지각 현실감 부재 참조체계로 밝히고자 한다 , , , .

< 3-1> 정신지체아동이 놀이다움 평정 척도에 반응한 피험자 적합도

번호 성별 연령 infit outfit

Mnsq Mnsq t 측정치

21 109 1.46 1.6 1.26 .3 4.01

6 126 1.03 .1 .90 -.2 3.27

14 60 1.23 .7 1.11 .2 2.54

20 102 .80 -.7| .88 -.3 1.81

11 133 .38 -2.4 .31 -2.4 1.64

23 84 .82 -.6 .71 -.9 1.62

3 90 1.24 .7 1.20 .5 1.26

2 109 1.25 .8 1.21 .5 1.02

9 45 .91 -.3 .84 -.4 .18

5 100 .91 -.4 .87 -.3 .01

8 98 .68 -1.5 .61 -1.0 -.05

22 62 .69 -1.5 .63 -.9 -.21

7 30 .92 -.3 .87 -.2 -.52

13 160 .93 -.3 .85 -.2 -.81

15 98 .64 -1.7 .59 -.7 -.93

18 72 1.03 .1 .97 .0 -1.14

16 85 1.49 1.6 1.42 .5 -1.31

4 72 1.09 .3 1.03 .0 -1.48

17 95 .83 -.6 3.26 1.5 -1.78

1 110 1.41 1.1 1.31 .2 -2.42

19 99 1.50 1.4 1.40 .3 -2.59

10 94 .75 -.8 .69 -.2 -3.15

12 30 1.01 .0 .77 .0 -5.40

참고 1) MnSq의 적합 범위 : 0.6~1.4, t의 적합 범위 : -2~+2 밑줄부분은 부적합 수치다

2) .

(13)

< 3-2>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이 놀이다움 평정 척도에 반응한 측정치

일반아동 정신지체아동

문항난이도 순서 측정치 오차 문항난이도 순서 측정치 오차

장난 및 짓궂음 시간( ) 6.13 .43 어리광과 농담 시간( ) 8.70 1.12 어리광과 농담 시간( ) 5.94 .42 장난 및 짓궂음 시간( ) 6.64 .67 비관습 시간( ) 2.62 .35 지원 숙련도( ) 2.65 .45 장난 및 짓궂음 숙련도( ) 2.14 .77 비관습 시간( ) 2.55 .44 지속 강도( ) 1.97 .44 비관습 숙련도( ) 2.30 .53 지원 숙련도( ) 1.67 .39 단서 줌 시간( ) 1.59 .44 긍정적 감정 강도( ) 1.20 .41 장난 및 짓궂음 숙련도( ) 1.42 .93 사회적 놀이 숙련도( ) 1.03 .41 시도 숙련도( ) 1.02 .44 참여 숙련도( ) .86 .42 협상 숙련도( ) .65 .43 수정 숙련도( ) .51 .43 공유 숙련도( ) .65 .43 단서 줌 시간( ) .32 .43 가장놀이 숙련도( ) .42 .65 비관습적 숙련도( ) .32 .44 수정 숙련도( ) .27 .43 사회적 놀이 강도( ) -.25 .44 참여 숙련도( ) .09 .43 협상 숙련도( ) -.25 .44 사물과 상호작용 강도( ) .10 .43 사물과 상호작용 강도( ) -.45 .45 사회적 놀이 숙련도( ) -.34 .44 공유 숙련도( ) -.65 .45 사회적 놀이 강도( ) -.53 .44 시도 숙련도( ) -.98 .48 합류 숙련도( ) -.63 .50 전환 숙련도( ) -1.31 .49 지속 강도( ) -.75 .45 과정 시간( ) -1.55 .51 긍정적 감정 강도( ) -.83 .43 사물과 상호작용 숙련도( ) -1.83 .54 전환 숙련도( ) -.83 .43 가장놀이 숙련도( ) -1.88 .60 단서 줌 숙련도( ) -.83 .47 참여 시간( ) -2.14 .58 사물과 상호작용

숙련도

( ) -.90 .44

참여 강도( ) -2.14 .58 참여 강도( ) -1.01 .43 단서 줌 숙련도( ) -2.14 .58 반응 숙련도( ) -1.01 .43 사회적 놀이 시간( ) -2.99 .76 사회적 놀이 시간( ) -2.68 .44 반응 숙련도( ) -2.99 .76 과정 시간( ) -3.93 .47 합류 숙련도( ) -3.18 1.07 참여 시간( ) -4.38 .48 결정 시간( ) -5.02 1.84 결정 시간( ) -4.85 .49 안전 시간( ) -5.02 1.84 안전 시간( ) -5.36 .51

(14)

동기근원 특성 1)

정신지체아동의 동기근원 특성을 밝히기 위해 < 그림 3-1> 은 놀이다움 평정 척도 문항에 대한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이 놀이다움 평정 척도의 항목 중 동기근원 항목에 반응한 측정치에 오차를 +, - 한 범위를 비교하여 그래프 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기근원의 항목 중 항목 즉 과정 시간

< 3-1> 5 4 ( ),

지속 강도 ( ), 긍정적 감정 강도 ( ), 참여 시간 에서 정신지체아동이 일반발달아동 ( ) 보다 쉽게 반응하였다 즉 동기근원에 있어서 정신지체아동은 일반발달아동 보 . 다 내적 동기근원의 성향을 보인다고 볼 수 있다 단지 . 1 항목 참여 강도 에서만 ( )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보다 쉬워했다.

등이 정신지체아는 외적동기 성향을 보인다는 주장 김승국 재인

Zigler ( , 2001;

용 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서현아 ) . (1994) 는 발달지체유아와 정상유아의 놀이행동

일반발달

아동 정신지체

-7 -6 -5 -4 -3 -2 -1 0 1 2 3 4 5

지속 강도 ( )

과정 시간 ( )

긍정적 감정 강도 ( )

참여 시간 ( )

참여 강도 ( )

그림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동기근원항목 측정치 비교

< 3-1>

(15)

양식 비교연구에서 Horne 와 Philleo 이 발달지체유아와 정상유아의 놀이에 있어서 가장 큰 차이점은 놀이감 선호라고 주장한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즉 발달지체아동 . 은 퍼즐 그림카드등과 같은 구조화된 장난감을 좋아하고 일반발달아동들은 덜 구 , , 조화된 즉 좀 더 창의적인 놀이감 블록 찰흙 그림 그리기 등을 선호한다는 것이 ( , , ) 다 이와 같은 . Horne 와 Philleo 의 연구결과는 정신지체아동도 일반발달아동과 마 찬가지로 선호하는 놀이감을 가지고 놀이를 한다면 내적동기성향을 보일 수 있음 을 뒷받침한다고 여겨진다 그 이유는 놀이다움 평정척도 적용의 놀이 환경 조건은 , 아동이 친숙하고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자유놀이 하는 것이다 이런 환경에서 놀이 . 하는 정신지체아동들은 선호하는 놀이에 있어서는 결과 보다는 과정을 즐기면서 놀이다움 평정척도의 과정 항목 그 놀이에 오랫동안 참여하고 놀이다움 평정

( ‘ ’ ), (

척도의 참여 항목 그 놀이를 지속하였다 놀이다움 평정척도의 지속 항목 ‘ ’ , ( ‘ ’ ). 즉 정신지체아동이 내적동기성향을 보인 결과다 이는 정신지체아동이 선호하는 활동 . 을 기초로 학습을 수행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통제지각 특성 2)

정신지체 아동의 통제지각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 이 놀이다움 평정 척도의 항목 중 통제지각 항목에 반응한 측정치에 오차를 +, 한 범위를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림 는 독자적 통제지각의

- . < 3-2>

비교이고 , < 그림 3-3> 은 공유적 통제지각을 비교 한 것이다 . < 그림 3-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독자적 통제지각 6 항목 즉 안전 시간 ( ), 결정 시간 ( ), 사물과 상호 작용 숙련도 ( ), 사물과 상호작용 강도 ( ), 전환 숙련도 ( ), 수정 숙련도 항목 모두에서 ( )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비교치 범위가 겹친다 이는 일반발달아동과 정 . 신지체아동간에 독자적 통제지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McGheedhk 와 Crandall(1968) 가 정신지체아동의 성공과

실패에 관련된 연구에서 정신지체아 집단이 내적 통제면에서 정상집단과 질적으

로 다르지 않고 다만 서서히 성숙된다고 밝힌 구유미 재인용 , ( , 2000) 결과와 일

치 한다 또 다른 연구에서 정신지체아동은 외적 통제지향적 이라는 내용을 인용 .

한 문헌 김정권 ( , 1994) 을 살펴보면 통제지각을 독자적 통제지각 혹은 공유적 통

제지각이라는 분류 없이 외적 통제 지향적 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 .

는 앞서 정신지체아동의 동기근원 결과에서도 Horne 와 Philleo 의 주장을 언급하

였듯이 독자적 통제지각항목의 결과도 그들의 결과와 결부된다 즉 각각의 정신 .

지체아동들이 선호하는 장난감과 활동을 선택하여 놀이할 경우 좀 더 재미있게 ,

하기 위해 선호하는 사물과 상호작용하면서 놀이 활동을 수정하고 전환하는 독 ,

자적 통제지각 능력은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16)

정신지체아동의 공유적 통제지각 능력은 < 그림 3-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 유적 통제지각의 8 개 항목 중 5 개 항목 즉 지원 숙련도 ( ), 시도 숙련도 ( ), 사회적 놀이 시간 ( ), 합류 숙련도 ( ), 사회적 놀이 시간 항목에서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 ( ) 체아동 보다 쉽게 반응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놀이 강도 와 협상 숙련도 . ( ) ( ) 항목 에서는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사회적 놀이 ,

숙련도 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쉽게 반응하였다

( ) .

독자적 통제지각의 모든 항목이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이 유의미한 차 이가 없는 반면에 공유적 통제지각 항목에서는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보 다 쉬운 항목이 많았다 즉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내적 공유적 통 . 제지각 성향을 보인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공유적 통제지각 항목이 모두 사회성 . 과 결부된 항목으로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성 결함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단 사회적 놀이 숙련도 부분에서 정신지체아동이 쉽게 반응한 항목은 좀 더 선 ( ) 행연구의 고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일반발달 아동

정신지체

-9 -8 -7 -6 -5 -4 -3 -2 -1 0 1 2 3 4 5 6

전 환 숙련도

( )

사물과 상호작용

숙련도

( )

사물과 상호작용

강도 ( )

수정 강도 ( )

안전 시간 ( )

결정 시간 ( )

그림

< 3-2>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독자적 통제지각항목 측정치 비교

(17)

현실감 부재 특성 3)

정신지체아동의 현실감부재능력은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이 놀이다움 평정 척도의 항목 중 현실감 부재 항목에 반응한 측정치에 오차를 +, - 한 범 위를 비교하여 < 그림 3-4> 의 그래프로 나타냈다 현실감 부재의 . 6 항목 중 4 개 항목 즉 어리광과 농담 시간 ( ), 장난 및 짓궂음 숙련도 ( ), 비관습적 숙련도 ( ), 가장 놀이 숙련도 에서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쉬운 반응을 보였다 그리 ( ) . 고 2 개 항목 즉 장난 및 짓궂음 시간 ( ), 비관습적 시간 항목은 일반발달아동과 ( ) 정신지체아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고로 현실감 부재수준은 일반발달아동 . 이 정신지체아동보다 자유롭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장난 및 . 짓궂음 시간 ( ), 비관습적 시간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는 교육을 ( ) 통해 정신지체아동의 창의력 상상력 재치등의 측면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 , ,

일반발달 아동

정신지체

-6 -5 -4 -3 -2 -1 0 1 2 3 4 5 6

지원 강도 ( )

사회적 놀이 숙련도

( )

시도 숙련도

( )

사회적 놀이 강도 ( )

협상 숙련도

( )

사회적 놀이 시간 ( )

공유 숙련도

( )

합류 숙련도

( )

시도 숙련도

( )

그림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공유적 통제지각항목 측정치 비교

< 3-3>

(18)

다 현실감 부재항목은 재치와 유머 창의력 상상력등과 관련된 항목으로 우리 . , , 나라 일반발달아동 및 정신지체아동뿐만 아니라 미국 일반발달아동과 장애아동 들도 놀이다움 4 개 요소 중 현실감 부재 항목을 가장 어려워하는 항목 이였다

진흥신

( , 2004).

참조체계 특성 4)

정신지체아동의 참조특성을 밝히기 위해 < 그림 3-5> 는 놀이다움 평정척도 문항에 대한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이 놀이다움 평정 척도 항목 중 참조 체계 항목에 반응한 측정치에 오차를 +, - 한 범위를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 낸 것이다 . < 그림 3-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조체계의 4 개 항목 중 3 개 항목 즉 단서 줌 시간 ( ), 단서 줌 숙련도 ( ), 반응 숙련도 항목에서 일반발달아동이 정신 ( ) 지체아동 보다 쉬운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 1 개 항목 즉 참여 숙련도 항목은 일 ( )

일반발달 아동

정신지체

-3 -2 -1 0 1 2 3 4 5 6 7 8 9 10

장난 짓궂음 시간 ( )

어리광 농담, 시간 ( )

비관습 시간 ( )

장난 짓궂음, 숙련도

( )

비관습 숙련도

( )

가장 놀이 숙련도

( )

그림

< 3-4>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현실감 부재 항목 측정치 비교

(19)

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고로 참조체계 수준은 .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자유롭다고 볼 수 있다.

참조체계 (framing) 는 아동이 타인과 사회적 단서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어려움 때문에 일반발달아동에 비해 정신 지체아동이 이 항목에서 어려워한다고 생각된다 뿐 만 아니라 사회성과 결부된 . 언어능력은 참조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정신지체아의 언어특성에서 화용 론적 측면인 몸짓 및 의도등 발달형태는 일반발달 학생과 유사하고 대화의 역할 은 수동적이며 , 정신연령이 같은 일반발달아동 보다 명료성은 떨어진다는

의 연구와 상통한다

Owens .

일반발달 아동

정신지체

-6 -5 -4 -3 -2 -1 0 1 2 3 4 5 6

참여 숙련도

( )

단서줌 시간 ( )

단서줌 숙련도

( )

반응 숙련도

( )

그림

< 3-5>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참조체계항목 측정치 비교

(20)

결론 및 제언 IV.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을 밝히기 위해 첫째 일반발달아동 , 과 장애아동 모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놀이다움 평정 척도를 적용하여 정신지체아동의 피험자 반응 타당도를 조사하였고 둘째 일반발달아동 , , 과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수준을 4 가지 요소 즉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 , , 부재 참조체계로 비교하였다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비교를 , . 통해 얻어진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의 결론과 그에 따른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점은 첫째 놀이다움 평정척도를 정신지체에게 적용하여 , 피험자 반응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Rasch 측정 모델에 91.30% 적합도를 보였다 . 이것는 Rasch 측정 모델의 기대치인 95% 에는 약간 못 미친다고 볼 수 있다 .

둘째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수준을 가지 요소 즉 동기근원 , 4 , 통제지각 현실감 부재 참조체계로 비교한 결과 동기근원은 정신지체아동이 일반 , , 발달아동 보다 내적동기성향을 보였다 통제지각 중 독자적 통제지각은 일반발달아 . 동과 정신지체아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공유적 통제지각은 일반발달 . 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내적 통제지각의 성향을 보였다 현실감부재능력은 일반 . 발달아동이정신지체아동 보다 자유로운 현실감 부재 능력을 보였고 참조체계능력 , 또한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자유롭게 사회적 단서를 주고받았다.

결론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정신지체아동의 , 1 개 놀이상황에서만 비디오 촬영하여 분석했다는 제한점이 따른다 후속연구는 적어 . 도 실내와 실외 두 가지 놀이상황에서 분석한다면 피험자반응 타당도에 대한 , 분석이 좀 더 수월할 수 있으며 부적합아동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 놀이중재 , 프로그램 개발에 좋은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의 특이한 발견은 두 가지다 하나는 정신지체아동이 놀이다 , .

움의 4 가지 모든 요소에서 일반발달아동에 비해 다 뒤떨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

다 즉 . 4 가지 요소 중 동기근원에 있어서는 일반발달아동 보다 내적 동기성향을

보였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정신지체아동의 통제지각에 대한 결과로 독자적 .

통제지각은 내적 통제지각성향을 보였고 공유적 통제지각은 외적 통제지각을 ,

보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많은 문헌은 정신지체아동은 외적 통제성향을 지녔다 .

고 하는데 통제지각 요소를 독자적 통제지각과 공유적 통제지각으로 세분화 시 ,

켜 보았다는 점이다 이는 정신지체아동의 모든 학습활동에서 아동이 좋아하는 .

활동 및 선호하는 것 즉 아동의 동기 및 독자적 통제지각 등에 기초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증진된 교육성과를 보일 것이다 , .

(21)

참 고 문 헌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 , (200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서울 . : 도서출판 특수교육.

구유미 (2001). 귀인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무력감과 학업성취 및 태도에 미치 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 , .

김수연 박승희 , (2003). 놀이 프로그램의 통합 및 놀이수정 교수여부가 일반아 동과 장애아동의 정서적 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37(4), 243-269.

김승국 외 16 인 (2001). 정신지체아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 도서출판 특수교육.

김승국 김옥기 , (1985). 사회성숙도검사 서울 . : 중앙적성출판사 .

김인숙 2004). 사회극화놀이를 통한 언어지도가 정신지체학생의 언어능력에 미 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교육대학교 . , .

김정권 (1994). 정신지체아의 학습이론 서울 . : 도서출판 특수교육 .

김주영 (2004). 정상아동과 PD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동 , 의 기질 및 놀이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 , . 서현아 (1994). 발달지체유아와 정상유아의 놀이행동 양식 비교 미간행 박사학 .

위 논문 대구대학교 , .

정지은 (2003). 어머니 양육태도와 정신지체아동 놀이성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 . 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 .

진흥신 (2000a). 자폐성아동의 놀이기능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 , . 진흥신 (2000b). 발달장애아동의 놀이다움 (Playfulness) 특성 연구 . 정서 행 ㆍ

동장애연구, 16(2), 67-85.

진흥신 (2003). 한국판 놀이다움 평정척도 - (K-ToP) 표준화 예비연구 . 정서ㆍ 행동장애연구 19(4), 71-90.

진흥신 (2004). 발달장애아동의 놀이다움 한미비교 . 정서 행동장애연구, 20(3) ㆍ , 289-310.

엄미향 (1995). 유아의 놀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 , 성균관대학교.

염희숙 (1997). 귀인훈련이 정신지체아의 통제소재 및 성공기대에 미치는 영향 .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 .

유지승 (2001). 자아개념 증진 활동 중재가 자아개념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22)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 유수옥 (2005). 유아특수교육론 서울 . : 학지사 .

한현민 (1996). 성공경험 목표설정 및 귀인훈련이 정신지체아의 비인지적 동기 , 특성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 , .

Barnett, L. A. (1990). Playfulness :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 Culture, 3, 319-336.

Barnett, L. (1998). Characterizing playfulness : The Adaptive Powers of Being Playful. Play & Culture Studies : Diversions and Divergences in fields of play, 1 , 97-119.

Baron-Cohen, S. (1987). Autism and symbolic play.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 5, 139-148.

Bateson, G. (1972). Toward a theory of play and fantasy. In G. Bateson (Ed.), Steps to an ecology of the mind (pp. 14-20). New York : Bantam.

Bundy, A. C. & Harkness, L. (2001). The Test of Playfulness and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 21 (2), 73-89.

Bundy, A. C., Okimoto, A. M., & Hanzlik, J. (2000). Playfulnes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y : Measurement and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54, 73-82.

Bundy, A. C., & Elizabeth, E. L. (2000). Playfulnes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 20 (1), 61-82.

Bundy, A. C. (2003). Test of Playfulness(ToP) Manual, Version 4.0 . School of Occupation and Leisure Sciences University of Sydney.

Bundy, A. C. (1997). Play and playfulness : What to look for. In L. D.

Parham., & L. S. Fazio (Eds.), Play i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pp. 52-66). St. Louis : Mosby.

Kielhofner, G. (1995). Environmental influences on occupational behavior. In G. Kielhofner, A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pp. 91-111). Baltimore : Williams & Wilkins.

Lawrence, E. A., & Winchel, J. F. (1975). Locus of Control : Implication for special education. Exceptional Children , 41, 483-490.

Lieberman, J. N. (1977). Playfulness : It relationship to imagination and

(23)

creativity . New York : Academic Press.

Linacre, J. M. (2003). Winsteps Rasch Measurement 3.45 , Chicago : MESA Press.

Magnussen, D. (1981). Wanted : A psychology of situations. In D.

Magnussen(Ed.), Taward a Psychology of situations : An interactional perspective .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Neumann, E. A. (1971). The elements of play . New York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Odom, S. (1981). The relationship of play to developmental level in mentally retarded preschool children.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mentally Retarded , 4, 136-141.

Silverstein, B., Kilgore, K., & Fisher, W.(1989). Implementing patient tracking systems and using functional assessment scale . Wheaton, IL: Marianjoy Rehabilitation Center.

Sutton-Smith, B (1999). Evolving a Consilience of Play Definitions : Playfully. Play & Culture Studies : Play Contexts Revisited , 2, 239-256.

Wicker, A. W. (1987). Behavior settings reconsidered : Temporal stages, resources, internal dynamics, context. In D. Stokols, & I.

Altma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ogy . New York : Wiley.

Wright, B. D. & Linacre, J. M. (1992). Rasch Analysis Computer

Program . Chicago : MESA Press.

(24)

<Abstract>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yfulness for the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Jin, Heung Sh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I examined validity of person response of a Test of Playfulness(ToP)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of motivation, the perception of control, the suspension of reality and the framing, which are the factors of playfulness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30 to 160 months(23 children were normal development, 23 children wer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ToP reflects four elements of play: the source of motivation, the perception of control, the suspension of reality and the framing. The ToP is an observational assessment administered during free play in familiar environments with familiar peers. ToP data were analyzed using Winstep, a computer program for Rasc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ource of motivation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d more intrinsic motivation than normal development children. The perception of control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d more external perception of control than normal development children. The suspension of reality and framing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ppeared a little free.

Key Words : test of playfulness, source of motivation, perception of control, suspension of reality, rasch analysis

논문 접수 : 2006. 7. 28 / 수정본 접수 : 2006. 9. 8 / 게재 승인 : 2006. 9. 11

참조

관련 문서

이 개별기호는 실재로 존재하는 사물이거나 사건이다. 특정한 장소에 종이 위에 쓰여 있는 경고는 개별기호가 된다. 모든 관습적인 기호. 예) 알파벳의 모든

셋째, 동일 패널을 대상으로 연속적 조사·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하였 다. 시계열로 농산어촌 마을 변화 상황에 대한 유의미한 고찰을 할 수 있도록 연속

학력별에 따른 상위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 고등학교 학생에 비해 중학교 과학영재학생의 상위인지 점수가 더 높은

예문을 통해 대조 분석한 결과 일본어의 수동문에 대해 한국어가 능동문으로 대응할 경우 그 문장이 가지는 동사가 자동사인지 타동사인지에 따라 서술 표현에 약간의 차

목표지향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대인역할기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품성계발프로그램은 상담집단에 참여한

미인증 HID전조등 경광등 색상 기준 위반 안전기준에서 정하지 않은 등화 (구난차: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 (STEAM Literacy) 와.

첫째, Q-angle은 추나 골반교정 운동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사전에 비해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추나 골반교정을 하지 않은 대상자들은 통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