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 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요 약"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 ․ U ․ M ․ M ․ A ․ R ․ Y

요 약

제 1 장. 서론

도시 속에는 주변지역과 구별되는 그 공간만의 독자적인 특성을 가지는 미시 적인 공간유형이 존재한다. 공간유형은 추상적인 존재가 아니라 대부분의 일반 시민들도 이러한 유형의 존재를 어렵지 않게 인식할 수 있다. 즉 도심 혹은 교외 주택지역이라고 할 때 사람들은 그 지역 내지는 공간의 물리적 특징이나 용도에 대해 비슷한 공감대를 형성한다. 현재 미국에서는 도시 속에 존재하는 공통된 특 징을 가지는 미시적인 공간을 공간유형(urban place type)이라고 정의하고 이를 계 량화하여 도시계획 과정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는 최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유형의 개념을 활용한 장기 교통계획과 토지이용계획의 사례를 검토해 보기로 한다. 이러한 사례 연구 를 통하여 공간유형의 개념이 이들 계획 과정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알아 보고 어떤 기여를 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공간유형의 개념이 가지는 장점과 필 요성을 도출해 내게 될 것이다. 이에 앞서 이 연구는 공간유형의 개념을 정확히 정의하고 공간유형을 분류하는 방법론과 공간유형의 실증적 분석법에 대한 이론 들을 소개할 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개념적인 공간유형을 객관적으로 계량 화하는 방법론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고 실제로 이러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개발

(2)

되어 현재 미국의 도시계획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소개할 것이 다. 마지막으로 공간유형 개념을 활용한 장기교통계획과 토지이용계획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실제 도시계획과정에서 공간유형 개념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제 2 장. 공간유형의 정의와 분류에 대한 논의

먼저 제1절에서는 공간유형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 도시 속에는 디스트릭 (district), 존(zone), 동네, 섹터 (sector) 혹은 지구 등 여러 가지 다른 이름으로 불리 는 또다시 수많은 종류의 미시적인 공간유형이 존재한다. 비록 나라마다 도시마 다 다른 이름으로 불리긴 하지만 도시 속에는 하나의 공통적 성격을 지니는 공간 유형이 존재하고 사람들이 이러한 공간을 다른 공간과 구별하여 인식한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도시속의 미시적인 공간을 공간유형이라고 정 의한다. 공간유형은 도시정부의 각종 프로그램과 자원이 분배되는 곳이며 또한 사회적, 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공통적으로 나누는 공간이다. 동시에 물리적으로 보면 이러한 공간유형은 적어도 예닐곱개 이상의 도시 블록을 포함하는 공간으로 여러 대도시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공간유형의 구별은 각각의 공간유형이 지 니는 특징 때문에 가능하다. 그 특징은 건물의 개별적 이용 형태 보다는 도시의 물리적 형태(form)와 패턴과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형태와 패턴은 건물, 필지, 디자인, 그리고 도로가 어떻게 물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가와 연관된다.

제 2절에서는 공간유형 분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자 한다. 공간유형 을 정의하고 분류하는데 초점을 맞춘 이론들을 소개하고 어떠한 공통적인 공간유 형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본다. 인간의 정주유형체제을 분석하고 유형화하는 연구 는 1970년대를 기점으로 많이 진행되었는데 도시에서 기능적으로 단일한 공간을 유추해내려는 노력이 그 시작이었다. 주택유형이나 상가건물 유형, 혹은 간판이나 공공시설물 등의 동질성을 발견함으로써 동질성을 가진 공간유형을 이론적으로 분류하려는 시도를 필두로 광역지역에서의 도시의 특성을 구분하는데도 노력하였 다. Centre for Geographical Studies (CGS)의 유럽 도시 분류법과 Jabareen의 지속가

(3)

능한 도시유형 분류 등이 그 예이다. 또한 도시의 특정 공간에 집중하여 공간유형 을 분류하는 사례도 보이는데 공업지역의 유형을 분류한다든지 도시외곽지역의 유형을 인구통계, 경제, 그리고 정부의 역할을 기준으로 분류하거나 농촌지역의 조 그만 타운이나 빌리지 형태의 도시정주유형을 분류하는 등의 예가 그것이다.

하지만 이 절에서는 하나의 도시 속에 존재하는 미시적인 공간유형을 종합적 으로 분류하고자 하는 사례들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사례들에는Kevin Lynch 의 도시 구성 요소, Transect planning 이론, Arefi와 Triantafillou의 공간유형 분석 법, Wheeler의 대도시 공간유형 분석, Easley와 Coyne의 실증적 공간유형 분석 등 이 있다. 이들 이론들은 인식론적 방법으로 도시의 기본요소를 객관화하거나 공 간유형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리고 실증적인 방법론을 적용 하여 현재 미국의 대도시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유형을 분석하여 제시하 기도 한다.

제 3 장. 공간유형 계량화의 방법과 주요 소프트웨어

제 1절에서는 도시 공간유형을 계량화하는 이론적 근거를 밝힌다. 도시계획 및 도시 디자인 학자들의 공간유형에 대한 이론적 접근법을 바탕으로 소수의 실 증적인 분석법이 적용되었다. 도시 공간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는 도시계획학자 들은 전형적인 공간유형의 개념을 실제 도시계획과정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개념을 실제에서 응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명제를 이해 하여야 한다. 첫째 명제는 미시적인 공간유형이 거시적인 전체 도시 속에서 가지 는 공간적 상호연관성이고 두 번째 명제는 공간유형의 객관적 계량화 방식이다.

첫째 명제는 하나의 도시 속에서 공간유형의 조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도시 공간의 지리적 위치와 주변의 공간유형과 유기적 연관성에 대한 해석인 것이다.

Calthorpe와 transect planning이론가들은 도시 속에서 계층화된 공간유형이 존재 하고 미국의 도시에서는 이러한 공간유형들이 일정한 질서 속에 규칙적으로 배 치된다고 지적한다. 특히 도로망의 계층과 위치와 이들 공간유형의 배치가 밀접

(4)

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두 번째 명제는 각 공간유형의 물리적 특성을 수량화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토 지이용과 개발의 집적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공간유형이 존재한다. 공간유 형의 물리적․공간적 특성을 수량화할 수 있다면 특정 공간유형의 물리적 잠재 력을 예측하고 재생산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증적인 공간유형의 계량화 방식 은 특정 공간유형의 지형적 범위를 정의하고 토지이용 지도와 항공사진 등을 이용하여 그 공간내의 토지이용의 면적과 비율을 측정하는 것이다. 도시 공간을 계량화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보다 근본적이고 철학적인 도시 디자인의 기법 을 응용하는 것이다. 즉 공간유형의 분해(decomposition)와 재조합(re-construction) 의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공간유형의 계량화에 사용한다면 도 시를 구성하는 최소한의 단위가 필지라는 결론에 다다를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각 필지는 법이 정하는 토지이용유형이나 용도지정규정에 따라 그 용도가 결정되고 그에 따라 사용되어지는 최소한의 단위인 것이다. 필지의 물리적, 인구, 사회, 경 제적 질량을 정확하게 계량화한다면 하나의 공간유형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계량화할 수 있다는 가정이 성립한다.

제 2절은 미국에서 공간유형을 응용한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고 있다. 미국에서 는 최근 공간유형의 개념을 응용한 소프트웨어가 도시계획 과정에 사용되고 있 는 사례가 점차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구동 알고리즘 을 살펴보는 것은 공간유형의 개념이 어떻게 계량화되고 현실에 적용되는지를 알아보는 최선의 방법 중의 하나일 것이다. 현재 미국에서 활용되는 소프트웨어 로는 I-PLACE3S, SCAG's Sustainability Tool, Rapid Fire, 그리고 CorPlan등이 있다.

I-PLACE3S는 도시 및 지역의 비젼닝 시나리오 계획을 위한 소프트웨어 툴로서 다양한 토지이용 시나리오의 교통 및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GIS 응용 프로그 램을 통하여 계량적, 시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I-PLACE3S는 비젼 닝 참여자들이 가상적으로 여러 다른 형태의 공간유형들을 특정 지점에 배치함 으로써 야기되는 교통 및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Southern California Association of Governments (SCAG)가 개발한 Sustainability

(5)

Tool (ST)은 기존의 비젼닝 시나리오 계획을 위한 소프트웨어 툴인 Envision Tomorrow (ET)에다가 온실효과 가스의 방출 및 교통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는 모 듈을 추가한, GIS를 활용한 소프트웨어이다. ST는 다양한 토지이용 시나리오가 소유차량의 대수, 자동차 총 운송거리 (Vehicle Miles Traveled (VMT)), 교통수단, 온실가스의 방출 등에 미치는 영향을 GIS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계량적으로, 시각적으로, 즉시에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방도시의 계획가 및 정책결정가 등 다양한 계획참여자간에 중요한 통신매체로 이용된다. ST는 캘리포니아 상원 입법인 Senate Bill 375의 주요 목적인 승용차의 총 운송거리에 따라서 야기되는 온실가스의 방출을 줄이는 일환으로, 지방도시가 원활한 계획을 할 수 있도록 돕 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온실가스의 방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반 방안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데, 특히 보다 집약적이고 효율적인 도시개발과 보다 지속가능한 교통수단 및 주택유형의 공급을 위한 제반 지원을 의미한다.

Rapid Fire는 하나의 독립된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MicroSoft사의 Excel 소프트 웨어를 기반으로 구축된 모델이다. Rapid Fire는 주나 몇 개의 카운티를 포함하는 광역지역 혹은 카운티 단위의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생산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모델이다. Rapid Fire는 최대 4가지의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비교하는 것 을 지원한다. Rapid Fire는 현재 통용되는 교통량 예측 모형이나 GIS 데이터를 이 용한 공간모형 등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 토지이용계획, 사회간접자본 투 자 계획, 그리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있어서 유연하면서도 신뢰도 높은 비교 분석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이 모델 에서 도출된 결과물은 공간유형을 기반으로 하는 실증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이러한 데이터는 주로 자동차 이용, 배기가스, 공중보건, 사회간접자 본비용, 그리고 토지, 에너지, 물의 소비에 대한 토지이용과 교통 체계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CorPlan은 GIS를 운영체제의 기반으로 이용하여 전형적인 공간유형을 창조하 여 현실의 지형적 공간에 배치하고, 배치된 공간유형의 인구 및 경제적 파급효과 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CorPlan은 전형적인 공간유형의 개념

(6)

을 활용하여 미래의 도시개발 혹은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른 파급효과를 예측하 는 토지이용 시뮬레이션이나 다양한 미래의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개발하는데 주 로 사용된다. CorPlan를 이용하여 하나의 대상지역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토지이 용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여러 개의 시나리오를 비교하고 최상의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CorPlan 은 community element라고 불리는 공간유형의 개념을 그 근간으로 한다.

Community element는 1/2mile의 보행자거리를 공간유형의 지역적 범위로 보고 그 범위 안에 포함되는 모든 토지의 이용 유형과 집적도를 종합하여 구성된다. 특히 나 community element는 가구와 근로자수의 계량화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된다.

제 4 장. 공간유형 계량화 기법의 도시계획 적용사례와 유용성

제 1절에서는 미국의 도시계획 현장에서 공간유형의 계량화 기법을 활용한 사 례를 살펴본다. 이 기법은 특히 토지이용계획과 장기 교통계획을 마련하는데 주 로 사용되면서, 다양한 토지이용과 미래 교통망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객관적인 비교 지표 데이터를 제시하며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민 참여를 유도하는데 그 선 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절에서는 공간유형의 계량화 기법이 사용된 두 가 지 대표적인 사례들을 자세히 분석해 봄으로써 공간유형 계량화 기법의 도시계 획 현장 적용에 대한 의미를 파악해 보기로 한다.

첫 번째 사례는 캘리포니아주의 산디마스시에서 토지이용계획을 위해 Southern California Association of Governments (SCAG)이 개발한 Sustainability Tool (ST)을 활용한 사례이다. 산디마스 시의 미래 토지이용 전략 수립을 위해 SCAG의 ST를 활용하여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모색하고 시나리오별 교통/환경 에 대한 영향을 활용하여 대안의 장단점을 보여 줌으로써 시의 의사결정에 도움 을 주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여건을 고려하여 두 가지 토지이용 시나리 오가 제안되었는데, 각각 집약적 토지이용과 역세권 개발에 초점을 둔 토지이용 시나리오이다. 공간유형을 5.5에이커 그리드 셀에 지정하고 이에 따른 교통 및

(7)

환경 관련 주요 지표들이 계산되어 시나리오 개발 참여자들이 의사결정시에 이 지표들을 기준으로 삼게 되었다.

두 번째 사례는 North Florida Transportation Planning Organization (NFTPO) 의 장기교통계획을 위한 토지이용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이다. NFTPO는 이 지역의 2035년을 준비하는 장기교통계획을 개발하면서 전국적인 추세와 연방도로국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의 권고를 따라 토지이용 시나리오 계획 을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시나리오 계획은 미래의 교통흐름과 고용상태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토지이용의 대안들을 마련하기 위해 준비되었다.

지역의 토지이용 패턴은 교통수단의 선택과 교통체계의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이다. 그리고 토지이용 패턴에 따라 미래를 위해 투자하고 개선할 교통망의 종류와 지리적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시나리오 계획을 통해 대안적 인 시나리오들을 비교/평가함으로써 토지이용과 도시 디자인 유형에 따라 최대한 의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교통체계에 대한 투자 전략을 주의 깊게 분석할 수 있 는 것이다. 이를 위해 NFTPO는 CorPlan을 활용한 토지이용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을 실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법은 주민 참여를 유도하고 주민들이 의사결정으로 쉽게 내릴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시나리오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기획되었고, 시나리오 계획의 전 과정 의사결정은 참여주민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주민들이 참여하는 워크숍에서 이 지역에 적합한 공간유형의 종류가 결정되고 스티커 지도 만들기 과정을 통해 참여 주민들이 스티커를 지도위에 붙 이는 방식으로 공간유형을 적정 지역에 공간적으로 배치한다. 이런 방식으로 개 발된 시나리오들은 CorPlan을 이용하여 GIS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이렇게 GIS 데이터로 전환이 완성되면 공간유형이 공간적으로 배치된 지도뿐만 아니라 공간 유형의 배치가 가져올 인구, 사회, 경제적 영향력이 손쉽게 계산될 수 있는 것이 다. 이 GIS 데이터를 분석하면 토지이용과 인구통계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각 시나리오에서 도출된 이들 정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각 시나리 오의 장단점을 비교할 수 있고 그 특징도 엿볼 수 있다. 이런 정보를 바탕으로 주민들이 선호하는 시나리오를 선택함으로써 NFTPO의 장기교통계획의 기반계

(8)

획이 마련되는 것이다. NFTPO는 교통의 효율성, 환경문제와의 연관성, 그리고 교 통수단 선택의 유연성 등 보다 심층적인 교통계획의 관점에서 이 시나리오를 분 석하여 2035년 장기교통계획의 핵심 계획으로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

제 2절에서는 공간유형을 정형화하고 계량화하여 토지이용 및 교통계획에 이 용하였을 경우의 유용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경우 미래의 토지 이용계획을 세우고 교통의 통행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토지이용 모델링 (land use modeling)기법과 교통량 예측 모델링 (travel demand modeling) 기법등 모델링 기법 이 주로 사용된다. 공간유형 계량화 기법을 활용한 토지이용 시나리오와 시뮬레 이션 기법을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모델링 기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 분이다. 이들 모델링 기법들은 주로 토지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변수에 수학적 모형과 수식을 적용하여 미래의 토지이용 유형을 예측하거나 자동차 통행 량을 계산해 내는 것이다. 이러한 모델링기법에 비교하여 볼 때 공간유형 계량화 방법을 활용한 토지이용 시나리오 기법의 장점으로는 대안의 다양성, 계획과정에 서의 대안 수정의 용이성, 주민참여 촉진, 주민의견 반영의 용이성, 정보공유의 촉진, 미래 도시 발전방향에 대한 시각화, 그리고 관련 분야와의 시너지 효과 등 을 들 수 있겠다.

제 5 장. 결론

이 장은 주요 결과를 정리하고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밝히고 있다. 연구의 주 요 결과는 공간유형의 개념과 사례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고 있다. 공간유형은 도 시에 거주하는 일반 시민이라면 누구나 인식할 수 있는 도시의 특정 기능을 담당 하고 일반화할 수 있는 물리적 특성을 가진 도시속의 미시적인 공간이다. 필지의 계량화 방법을 통해 공간유형은 주관적인 인식에 의존하는 개념이 아닌 객관적 이고도 측정 가능한 개념으로 전환될 수 있다. 사례연구는 공간유형 개념이 토지 이용계획 및 교통계획을 위한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미래에 대한 비전이나 도시 성장의 방향등에 준하여 공간유형을

(9)

특정 지역에 공간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시나리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공 간유형의 개념을 활용한 소프트웨어들은 다수의 시나리오를 만들고 이들 시나리 오들을 객관적인 지표에 따라 비교할 수 있게 지원한다. 따라서 각각의 시나리오 들이 가지는 장점과 단점에 대한 수치화된 객관적인 지표에 따른 비교․분석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한국에 대한 시사점으로, 미국의 도시계획 실제에서 공간유형 계량화 기법이 응용되고 있는 것처럼 한국에서도 이 기법의 활용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본다.

이 기법을 한국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도시계획 현실에 적합한 공간유 형의 유형의 개발, 마이크로 레벨의 사회 /경제 /인구통계적 데이터베이스, 주민 참여 기능의 강화, 그리고 공간유형 개념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발과 같은 선결 과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이 기법은 한국에서도 유 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토지이용계획이나 장기교통계획 이외에도 신도 시 개발과 개발제한구역 조정에 따른 토지개발 방향등의 개발계획과 대단위 도 심 재개발계획이나 도심재생계획 등 활용될 여지가 클 것이다.

■ 색인어 _ 공간유형, 시나리오 계획, 토지이용계획, 장기 교통계획

참조

관련 문서

o 브로드밴드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 외에도, 경기부양 정책들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 하이브리드 자동차, 스마트 빌딩 및 전력망, 보건, 환경 및 공공 서비스의 현대화

본 논문에서는 농지의 도시화가 주변지역의 기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경기도 남부지역의 현 재 토지이용 상황과 이 지역의 농지가 도시용지로

o 센서 및 센서 네트워크는 교통 흐름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인 교통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을

요 약: 세계적으로 석면에 관한 다양한 연구사례가 발표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미국을 비롯해 국내 또 한 NOA (Naturally Occurring Asbestos)에 대한 관심으로 석면분포 광산

1장에서 3장까지는 리눅스 초보자를 위한 내용으로 리눅스 소개, 사용 을 위한 기본적인 명령어 및 리눅스 프로그래밍을 위한 환경 등에 대해 소개합니다.

언어 수과학 운영을 위한 환경 구성 및 평가...

요 약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 창업교육에 대한 관련 연구의 고찰 및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간호대학 생의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 그 이후에는 정의한 포인터만을 사용하여, 현재 프로그램이 하는 일과 동일한 일을 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