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알제리 민족음악 담론과 라이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알제리 민족음악 담론과 라이1)"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알제리 민족음악 담론과 라이1)

임성희2)ㆍ권호종3)

Ⅰ. 서론

Ⅱ. 알제리 민족음악 담론

Ⅲ. 라이의 제도화 과정과 전통 담론

Ⅳ. 라이와 샤비

Ⅴ. 월드뮤직 라이

Ⅵ. 결론

◁ 목차 ▷

1) 이 연구는 2015년 경상대학교 발전기금재단 재원으로 수행된 연구임 2) 경상대학교 문화융복합학과 박사수료(제1저자)

3) 경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교신저자)

(2)

<Abstract>

National Music Discourse of Algeria and the Raï

Lim, SungheeㆍKwon, Hojong

Algerian new government had to build the unity of the country from an ethnic, cultural and linguistic diversity, linking the past interrupted by colonization to the present. For this, "Andalusian"

traditional noble music was promoted as a music model serving as a source for the Algerian identity.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Andalusian music to justify its antiquity by proving the continuity. However, the raï, marginalized from its beginnings, becomes a "world music" and symbol of Algeria. In fact, raï did not originally fit the criteria of tradition. When the raï was a great success, the government, which needed to legitimize it, tried to give it some desirable attributes. Many studies of raï tried to go as far as possible in search of it’s origin and to link it with chaâbi, derived genre from Andalusian music. The raï phenomenon reveals that Algeria's unidimensional identity was based simply on an imaginary.

<Key Words> raï, Algerian music, music discourse, world music, chaâbi.

Ⅰ. 서론

(3)

알제리를 대표하는 음악장르 라이(raï)는 전 세계적으로 대중매체가 확 산되고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한 1930년대 알제리의 북서부 오란(Oran) 인근의 소도시 시디 벨 압베스(Sidi Bel Abbès)에서 탄생했 다. 프랑스 식민 지배 하에서 전통적인 농촌 공동체가 붕괴되면서, 토지 에서 축출된 북서부 지역의 농민들은 히스패닉, 안달루시아, 터키, 아랍- 베르베르, 프랑스 문화가 뒤섞인 대도시 오란 주변으로 모여들었다. 이들 을 주요한 청중으로 하는 라이는 유목민 전통의 민속음악과 1930년대의 다국적 음악들이 섞여 하나의 근대적 음악장르로 만들어졌다. 결혼식, 마 을 축제 등에서 사용되면서 지역성을 넘지 못하고 있던 라이는 1980년 대에 이르러 알제리 전역을 장악하고 할레드(Cheb Khaled), 마미(Cheb Mami) 등의 국제적인 스타를 만들어내며 월드뮤직의 반열에 오르게 되 었다. 라이는 저질, 퇴폐 등의 이유로 오랫동안 대중매체를 비롯한 알제 리의 공적 영역에서 금지되거나 기피되는 음악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에 들어서며 폭발적인 확산이 일어나고, 알제리 내부의 정치사회적 상황 과 결부되면서, 결국 공식화, 제도화되기에 이른다. 주변화되고 금기시되 던 라이가 대중을 장악하고 급기야 합법화되며 심지어 국가의 장려를 받 는 문화유산이 되고 월드뮤직으로 성공하게 되는 과정은 그 자체로 매우 흥미로운 주제이다. 현재 한국에서도 전통문화와 정체성, 한류 등의 문제 가 여전히 이슈가 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에게도 라이의 진화과정이 유의 미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제리의 문화, 그 것도 음악에 대한 연구는 라이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알제리 근현대사의 정치사회적 격변과정과 관련지으면서 서술한 정지용(2009)의 연구이외에 는 부재한 실정이다.

‘자부심’과 ‘우월성’을 충족시킬 만한 과거 황금기의 기억을 끌어내서 국가적 상징물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국민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 전통 담론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던 지식인, 언론인, 정치가들은 라이의 약진 을 보며, 초기에는 매우 당황했다. 그러나 지속적인 비난과 금지에도 불 구하고 ‘라이현상’이 멈추지 않자 결국은 통제를 포기하고 제도화에 나서

(4)

게 된다. 알제리 전체가 일상적인 폭력과 공포에 휩싸였던 1990년대에도 라이는 공중파에 출연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대중음악이었다. 라이는

‘쾌락’과 ‘욕망’을 직설적으로 표현하면서 무겁고 경직된 알제리 전통사회 에 반란을 일으켰다. 이미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폭발해 버린 라이의 제도화 과정은 독립 알제리 정부가 민족 정체성의 구성을 통해 국민적 통합을 이루어 내기 위해 안달루시아 음악을 고전화하던 방식과 유사하 게 진행되었다. 알제리의 음악담론은 주변부의 음악인 라이와 주류음악 이라 할 수 있는 고전 안달루시아 음악 혹은 적어도 거기서 파생된 음악 인 샤비(chaâbi)를 함께 엮어내려 시도했다.

라이의 제도화는 알제리 외부에서도 진행되었다. 지중해를 건너 프랑 스에 상륙하면서 라이는 프랑스 이민 2세들의 ‘정체성’을 대변하게 되었 고, 이민정책에 대한 불만을 희석시키기 위해 프랑스 정부에 의해 이용 당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알제리 라이와 많은 차별성을 가진 프랑스 라 이에 대해 ‘라이의 샹송화’라는 비판이 일었다. 월드뮤직으로 진출하여 메이저 음반사의 산업논리를 따르게 되면서 라이 특유의 지역성과 정서 는 상당히 퇴색했다.

본 연구는 오랫동안 주변화 되었던 한 지역의 음악인 라이가 전통과 현대성 사이에서 어떻게 반응하고 어떻게 지역성을 극복해서 나라 전체 로 퍼져 국가 문화유산의 자리를 차지하는지, 나아가 세계로 영역을 확 대해 가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 음악담론들이 어떻게 개입하며 어떤 영 향을 끼쳤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또한 알제리 정부의 대내외 정책과 프 랑스 이민정책이 라이의 국제적 성공과 연루되는 지점에 대해서도 살펴 볼 것이다.

Ⅱ. 알제리 민족음악 담론

프랑스의 알제리 점령은 8년에 걸친 민족 해방전쟁을 통해 132년 만에

(5)

종식되었다. 독립 알제리 정부는 근대적 국민국가를 건설하고, 인종적, 언어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구성원들을 결속할 만한 국가전통의 수립을 통해 새로운 민족 정체성을 구성해야 했다. 새로운 출발의 가장 큰 원동 력이 될 독립투쟁의 기억은 국가권력을 장악한 세력인 민족해방전선 (Front de libération nationale, FLN)이 전유했다. 전쟁이 끝나자 독립 이 전부터 존재했던 반대세력의 저항이 표면으로 부상했고, 알제리를 이슬 람, 아랍으로 규정하는 헌법에서 배제된 카빌리를 비롯한 베르베르인의 불만도 적지 않았다. 알제리 정부는 오랜 식민기간과 해방 전쟁, 독립, 새로운 국가의 건설, 알제리 내부의 분열 등과 같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 근대화, 세계화라는 대세에도 대응해야 했던 만큼, 그와 관련한 다양한 논의들을 생산해 냈다. 식민주의를 통해 전해진 서구적 근대성과 그에 대한 탈식민적 대응 과정이 처음으로 본격화된 1964년 ‘알제리 음악 국 가 학회’는 근대와 탈근대를 동시에 모색해야 했던 알제리 지식인들의 분투와 고심을 잘 나타낸다.

1. 알제리 음악 국가 학회

새로운 민족음악의 창조를 통한 국가 정체성의 확립이라는 과제를 위 해 알제리 정부는 1964년 12월 알제리 음악 국가 학회(Colloque national sur la musique algérienne)를 개최했다. 각 분야의 음악 전문가와 연주 자들이 참여하여 음악의 사회적 기능을 공언하고 알제리 음악을 최초로 공식 분류한 이 회의는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음악의 중요성을 공식 적으로 표명하였고, 국가에 의한 전통 취사선택의 출발점이 되었으며 현 재까지 이루어지게 될 음악적 전개에 중요한 참조점이 된 계기로 작용했 다. 이 회의의 가장 중요한 쟁점은 새로운 민족음악의 창조였다. 문화 정 체성의 확립과 음악을 통한 국가 문화의 창출을 위해서는 일단 전통을 수습하고 교육체계를 갖추고 새 음악 창조의 원칙을 세워야 했다. 새 음 악이 근거해야 할 전통을 규정하기 위해 참가자들은 민족음악, 알제리 음악, 알제리 현대음악, 고전음악, 민속음악과 관련된 많은 논쟁을 벌였

(6)

다. 전통은 무엇인가? 어떻게 고유성을 잃지 않으면서 새로움을 추구할 것인가 ? 잃지 말아야 할 고유성은 무엇인가 ? 그리고 그 원칙을 어떻게 적용하여 새로운 문화정체성을 확립할 것인가?

사회주의를 표방하던 알제리 첫 정부는 알제리의 음악적 결과물들을 동등하게 받아들인다는 명분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들이 실제로 근거하 고 싶어한 음악은 대중적, 민속적 음악이 아니라 도시의 고급 엘리트 음 악이었다. 대중적, 민속적 레퍼토리는 새로운 음악의 창조적 원천으로서 는 부차적으로만 취급되었다. 일각에서는 안달루시아 음악이 이미 지나 간 역사적 산물이며 부르주아와 궁정, 여유로운 자들을 위한 여흥거리였 고 무엇보다 현대적이지 않다는 사실 때문에 박물관적 가치로만 취급해 야 한다고 주장했다(F.L.N. Commission centrale d’orientation, 1964: 46).

또한 안달루시아 음악의 높은 가치는 인정하지만 참조해야 할 유일한 음 악은 아니라는 의견도 있었다(

Ibid

.: 48). 그러나 대중적이고 민속적인 음 악언어에 기초한 고전화(canonization)를 강조하면서도 엘리트 음악언어 를 버려야 한다는 과감한 주장은 제기되지 않았다. 안달루시아 음악이 시대의 쇠락을 따라 함께 쇠퇴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것을 인정 하면서도, 참가자들은 그 음악의 존재 당위성을 설파하는데 힘을 쏟았다.

알 함브라 궁전이 왕조의 몰락을 이유로 파괴되는 대신 고색창연함을 재 발견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획득했듯이 안달루시아 음악도 보존의 이유는 충분하며 더 나아가 새로운 국가음악의 근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Ibid: 48). 대중적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안달루시아 음악을 관련시키기 위해 안달루시아 음악의 근원이 민중적이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창 시자와 연주인 모두 기층 민중이었고 음악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 궁정이 라는 후원자를 찾아나갔던 것이며, 생산자가 민중이기 때문에 음악적 감 수성 또한 민중적이라는 논리를 폈다(

Ibid

.: 49). 더구나 그 음악으로부터 많은 대중적 장르(샤비, 하우지, 아루비 등)가 파생되었으니 민중적 정서 의 근원이 된다는 것이라 주장했다(Brahim, 2000: 293). 이 담론을 주도 한 참석자의 대부분이 안달루시아 음악 관련 장르의 연주자나 연구자 혹 은 애호가였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적 성향이 정치적 이데올로기보다 더

(7)

강력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바쉬르의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당시의 많은 민족주의적 지식인들은 안달루시아 음악의 애호가였고 그들 이 지향하는 미래의 음악적 모델은 레바논, 북유럽 5인조, 러시아 국민음 악파, 스페인 근대음악 등이었다(Bachir, 1960: 129-131). 이 음악들은 매 우 근대적이면서도 전통적 색채가 묻어나고 민족적 정체성을 음악적으로 잘 표현하는 좋은 본보기로 평가되었다. 알제리의 현대음악 역시 이런 방식과 내용을 가지는 양질의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그를 위한 창 작 방법론과 관련된 논의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도 했다(F.L.N.

Commission centrale d'orientation, 1964: 24).

또한 음악적 결과물들을 계급적 산물로 취급해서 차별성을 강조하는 것보다는, 민족정체성 형성이라는 시급한 과제를 위해 통합의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실용주의적 입장이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정통성과 순수성을 고집하는 강경론자들은 안달루시아 음악에서 파생된 장르들, 특히 샤비가 안달루시아 고전에 비해 덜 순수하며 다른 장르의 영향을 받았으므로 정통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면서 샤비에 기초해서는 안 된다 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Ibid.: 24).

결국 알제리의 새로운 민족음악의 고전은 안달루시아 음악, 혹은 적어 도 거기서 파생된 장르여야 함을 원칙으로 합의했다(Ibid.: 46). 이후의 주류적 담론들은 안달루시아 음악이라 지칭되는 고전 전통음악이 기층문 화나 민중의 정서에 정확히 대응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알제리 전 체의 정서를 아우르는 것으로 기술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2. 전통의 기준

알제리의 음악담론에 등장하는 전통에 대한 여러 가지 규범들 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정통성, 오래됨, 토착성, 독창성 등의 용 어가 자주 나타나는데 특히 가장 많이 등장하는 용어가 ‘정통성’

이다. 민족음악은 항상 ‘정통(authentique)’이라는 수사를 동반한 다. 정통성은 역사성, 뿌리, 권위와 관련이 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

(8)

라서는 양질의 것이라든가 변형되지 않은 것이라는 의미를 담기 도 한다. 외래에 의해 변형되지 않은 것이라는 규범은 실상 알제 리 전통음악이 오랜 세월동안 여러 외래의 문화가 섞여서 탄생했 다는 역사적 사실과는 모순되는 것이다. 알제리는 아주 오래전부 터 여러 민족과 인종이 섞여서 공존했고 지속적으로 식민 지배를 받았다. 전이슬람기에는 그리스의 영향과 로마의 정복이 있었고 7 세기에 아랍이 들어왔으며 3백년간 오스만 튀르크의 지배를 받았 다. 그리고 19세기 초부터 132년간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 현재 알제리의 고전음악인 안달루시아 음악은 8세기 바그다드의 궁정 음악을 그 뿌리로 하고 있다고 한다. 바그다드에서 안달루시아 지 방으로 건너온 지리압(Zyriab, 789-857)이라는 음악가가 바그다드 음악과는 다른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내면서 시작되었고 이후 안 달루시아 지역 전통과 비시고트, 유대, 터키 등 여러 음악의 영향 을 받으며 발전, 전승되었다. 전통음악 연구자들은 바그다드를 비 롯한 동아랍과 무슬림 이베리아 반도의 지역 전통은 인정하면서, 비이슬람 문화인 기독교나 유대교의 영향, 그리고 오스만의 영향 은 정통에서 벗어났다고 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오래된 것’에 대한 선호다. 오래된 모든 것이 전통은 아니지만 전통은 반드시 오래되었다는 관념이 존재 하고, 오래되었을수록 더 정통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런 관념은 자신들의 음악적 기원을 될 수 있는 한 오래전으로 끌어 올리게 만든다. 그리고 이런 경향성은 다른 음악 특히 서양 음악과 비교해서 자신들의 음악양식, 음계, 혹은 악기가 더 오래 되었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쏟게 한다. 그런데 오래되 었다는 것을 증명하려면 지속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고문헌에서 찾아낸 작은 단서들로 천년이 넘는 연대기를 기록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알제리가 자신들의 고전음악으로 여기는 음악의 기 원은 9세기에 성립된 안달루시아 음악이다. 1200년 가까운 시간, 바다를 건너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공간, 그 거리를 단절 없이 연

(9)

결하기 위한 노력이 전통음악 연구의 대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악보 없이 구전으로 이어져온 음악에 대한 적은 양의 고문헌 기록만으로 그 시공간적 간격은 완벽히 메워질 수 없다. 그리고 간혹 그 거리는 신화의 힘으로 보충되기도 한다 (Romero, 2003: 153).

물론 사료에 근거해서 기존의 통념을 뒤바꿀 만한 연구들도 증 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안달루시아 음악을 이루어낸 것은 일반적 으로 그 음악의 창립자라 여겨지는 지리압이나 당시 안달루시아 에 거주하던 아랍인들이 아니라 알제리의 직계 조상인 마그렙인 이라는 것을 주장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베리아 반도에 있던 음악이 북아프리카로 이동했고 마그렙인들은 단순히 그 음악을 수용하고 전승하기만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안달루시 아 음악의 전성기에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이베리아 반도와 북아 프리카의 음악적 교류가 활발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것이다. 1492년 그라나다의 함락 이후 북아프리카로 이주한 음악 가들의 영향을 받긴 했으나 중요한 행위자는 현지인이었으며, 따 라서 음악의 명칭도 ‘안달루시아 음악’이 아니라 ‘마그렙 전통음 악’ 혹은 그 음악 행위자를 지칭하는 북아프리카 용어 ‘사나’로 바 꾸어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Guettat, 2000: 191-195). 이런 연구 는 음악전통의 지속성, 오래됨과 아울러 자신들의 영토의 직접 조 상의 위상을 높이면서 ‘토착성’을 부여한다. 고문헌 속에 등장하는 황금기의 음악적 위인의 권위에 의존하는 대신 현지인의 독창성 을 적극적으로 입증하는 것이다.

어떤 연구자는 현재 연주되는 안달루시아 음악이 19세기의 산 물이라 주장하기도 한다(Romey, 1994: 37). 9세기부터 15세기 사 이의 고문헌에는 적긴 하지만 그 음악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

그러나 15세기 이후를 추정할 수 있는 사료는 거의 없다. 15세기 부터 4백년이 넘는 시기동안 구전으로 동일한 음악이 연주되어왔 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19세기 이후에도 오스만과 프랑스를 비롯

(10)

한 서구의 영향이 지속적으로 그 음악에 변화를 가져왔을 것이기 때문에, 고문헌에 등장하는 음악과 현재의 음악을 같은 음악으로 인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Ibid.: 37).

그러나 이런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알제리 전통음악이 안달루시아 시대부터 이어져온 것이라는 믿음은 깨지지 않고 있 다. 전통의 여러 가지 요건을 만족시키며, 미학적으로도 훌륭한 음악에 대해 지식인, 음악가, 애호가들이 관여해서 만들어진 전통 담론은 역사적 자료에 입각한 객관적 연구의 힘을 뛰어 넘는다.

전통의 속성들을 자신의 음악에서 찾아내는 것, 경우에 따라서는 그러한 속성을 부여하는 것이 전통음악의 문화유산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자신들 음악의 우월성 고취를 통해 민족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다. 이런 의미에서 전통은 근대적 해석의 결과이며 ‘발명’된 것이 라는 사실이 알제리 전통 담론에도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 고 외형적으로 볼 때 이런 전통의 기준에 전혀 못 미친다고 여겨 지던 라이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식의 ‘전통화 작업’이 진행된다.

III. 라이의 제도화 과정과 전통 담론

라이는 오랫동안 방송에서 금지되다가 1985년 오란 라이 축제 때 처음 으로 공식화, 합법화되었다. 그 이전에 이미 대중적으로 성공하고 있었지 만, 80년대 초반까지 공식 매체들은 라이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기껏 해야 몇 개의 칼럼들이 가사의 부도덕함과 저속함을 비난하는 정도였다.

라이에 대한 다양한 논의는 1989년 알제리의 언론 자유화가 현실화되는 시점을 계기로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그 이전에 언론에서 다룬 라이는 주로 저질의 가사 비판, 미학적 조악함, 카세트 제작 환경의 열악함과 그 로 인한 음질의 저하, 스타와의 인터뷰 정도였다. 그러나 라이의 공식화,

(11)

프랑스 상륙, 국제적인 스타 탄생 등이 진행되면서 라이를 둘러싼 담론 의 주제들은 다변화되었다.

먼저 오란의 음악 전통에 대한 연구들이 라이의 기원을 찾기 위해 활 성화되기 시작했다(Miliani, 1994: 196). 오란의 음악은 고전음악처럼 정교 하지도 않고 민속음악처럼 순수하게 시골스럽지도 않았기 때문에 한 번 도 알제리 지식인들의 주목을 받아본 일이 없었다. 그러나 라이의 공식 인정 이후 라이를 매우 오래된 전통과 연결 짓는 시도들이 등장했다. 어 떤 연구는 라이의 기원을 이슬람 이전시기로 끌어올리며, 한 라이 가사 의 기원이 고전 아랍어로 된 위대한 시라고 주장했다(Mazouzi, 1990:

83). 라이의 형식과 기본이 이슬람 도래 전후의 고전시인 자잘(Al-Zajal) 을 따른다는 것이다. 자잘은 안달루시아 음악에서 파생된 샤비의 기원이 기도 하다. 이 주장에 따르면 결국 라이와 샤비는 같은 조상을 가지게 되는 셈이다. 1993년 출반된 한 라이 음반의 브로슈어는 라이의 기원을 라이의 무명작가가 16-18세기 오란 지역을 점령했던 스페인의 왕을 위해 불린 송가(panégyrique)와 연결했다. 라이라는 단어가 스페인어로 왕을 뜻하는 레이의 변형이라는 것이다(Daoudi et Miliani, 1996: 38). 라이의 기원을 19세기 후반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대중서적의 저자 다우디는 유목민인 베두인 가수들이 큰 북 방디르(bendirs), 갈대 피리 가스바 (gasbas), 또 다른 타악기 겔랄(guellals) 등의 반주에 맞추어 부르기 시 작한 것이 라이의 시초라고 본다(Daoudi, 2000: 10-11). 하지만 라이를 다루는 많은 담론들이 라이를 되도록 먼 과거와 연결시켜 거기에 소속하 게 하려는 욕망을 내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오래됨과 지속성의 주장은 대개 가설로 그치는 경우가 많다. 입증할 만한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이 다.

사료에 근거해서 라이의 역사적 기원을 간단히 살펴보면 라이는 오란 남쪽의 소도시 시디 벨 압베스에서 1930년대에 탄생했다. 이 도시는 1843년 프랑스군에 의해 건설된 도시다. 전략적 요충지였고 관개 시설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할 만했기 때문에 프랑스 식민자들은 알제리 서쪽을 집중적으로 개발했다. 식민 경제개발과 함께 호텔, 카페, 극장을 비롯한

(12)

유흥시설들이 들어섰다. 전통 음악 연주인은 물론 20세기 초반부터 형성 된 근대적 의미의 대중가수들이 카페나 시장 등에서 연주했다. 이런 사 회경제적인 조건들이 아랍, 스페인, 프랑스, 남미 등의 다양한 음악적 영 향을 받은 잡종의 음악인 라이의 발전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라이의 합법화를 위해 또 한 가지 중요한 주제는 식민시기의 라이와 식민권력 간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라이는 다른 음악장르들과 마찬가지 로 식민권력과 모호한 관계를 형성했다. 어떤 라이는 식민당국의 기준으 로 보아 반식민적 요소들을 가지고 있기도 했고 또 어떤 라이는 식민권 력을 칭송하기도 했다. 이런 라이의 전력에 대해 많은 논쟁이 벌어졌다.

이 시기 일부 라이 음악가들은 민족주의 흐름에 동참하면서 식민시기의 비참을 표현했다. 그래서 초기의 라이는 저항가요로 기억되기도 한다. 직 접적이진 않지만 암시적인 방식으로 민족주의에 참여했다는 것이다. 테 나이에 의하면 1945부터 1962년 사이의 라이에는 해방적 신비주의와 범 아랍주의적 유토피즘의 영향이 드러나고 있으며, 라이 가사에 생활의 비 참함, 식민주의의 억압과 탄압 등 저항적인 요소가 있다고 한다(Tenaille, 2002: 16).

반면 알제리 고급음악 애호가가 대부분인 많은 지식인들은 식민권력이 라이를 장려했다고 주장했다. 프랑스 식민 권력은 이 장르가 이슬람 문 명의 모든 흔적을 없애기에 유용한 도구로 판단하고 이를 이용했다는 것 이다. 식민권력은 라디오를 통해 관습을 흐리고 도덕성을 떨어뜨리면서 알제리인을 오염시키려 했다. 엘 무자히드의 기자 벨코자는 식민권력이 라이를 혹세무민 정책의 결과로 생긴 패배의식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이용했다고 비판한다(Belkhodja, 1983). 라이의 식민권력과의 관계 에 대한 논쟁은 라이의 할머니(mamie du raï)로 유명한 리미티(Cheikha Remitti, 1923-2006)에 대한 평가에서도 드러난다. 리미티는 버려진 고아 였고 떠돌이 음악가들과 함께 다녔는데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라이의 대명사이자 주도자가 되었다. 그녀는 ‘리미티 현상’이라고 칭할 정도로 대중적 성공을 거두고 라이의 신화적 인물이 되었지만 알제리 독립 후에 는 거의 잊혀졌다. 민족해방전선이 그녀의 모든 노래를 금지했기 때문이

(13)

었다. 그러나 라이의 인기 폭발과 함께 그녀의 노래들도 다시 복원되었 다. 언론인들은 그의 음악적 능력 뿐 아니라 민족주의적인 경력도 함께 칭송했다. 그녀는 혁명적 가수이자 참여여성이 되었다. 그녀는 유대인 카 페에서 알제리 민족주의의 선구자 압델카데르를 칭송하는 노래를 부르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고, 알제리 공산당의 전 비서 바쉬르는 그녀를 알제 리 가요의 대모라 칭송했다(Tenaille, 2002: 58).

그러나 이런 칭송 이면에 그녀가 반민족주의에 복무했다는 비판도 만 만치 않다. 벨코자는 리미티 현상이 식민 당시의 경제적 비참함의 결과 였으며 정치적 억압과 알제리 문화에 대한 폄하 때문에 일어난 일종의 쏠림 현상이었다고 말한다. 리미티 현상은 독립전쟁 기간 동안 아르키4) 의 징집에 무의식적으로 기여했고, 알콜중독, 매춘과 함께 알제리인들을 몽매상태에 머무르도록 유도했다고 한다(Belkhodja, 1992). 이런 현상들 은 식민권력에 의해 조장되었으며 공동체의 관습을 심각하게 변형시켰 다.

그러나 라이의 공식화 이후 대다수 언론은 식민지 시기 라이가 간접적 으로 민족주의적 표현을 드러냈다는 사실을 상찬하게 되었다. 안달루시 아 음악은 식민지 시기 합법적인 동호회 활동을 통해서 알제리 전통을 유지하고 고무하는 방식으로 민족주의에 기여했는데, 동호인들 대부분은 합법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지배계층이었다. 반면 라이는 아무것도 보장 되지 않는 기층민중의 음악이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반식민주의의 표출이 더 위험했고 따라서 간접적인 방식으로 민족주의에 대한 옹호를 나타낼 수밖에 없었다. 오란의 언론인이자 학자 브라임은 라이가 농촌사회의 주 변부에서 탄생하여 날것의 즉흥적 언어로 사랑과 술 취함을 우회 없이 노래하였으며 그 영감의 장소가 포도밭의 농업 노동자들과 프랑스 군대 에 의해 금지된 알제리 사회의 심야 환경이었다는 점을 환기시키면서 라 이의 프롤레타리아적 성격을 강조한다(Brahim. 2000: 284).

라이는 세기 초반 급격한 도시화에 의해 파괴된 농촌사회의 결과물로 4) 아르키(Harki): 알제리 독립전쟁 당시 프랑스 측에서 싸운 알제리인 및 프랑

스계 알제리인들.

(14)

서 식민지 민중의 아픔을 노래한, 본질적으로 주변적이며 가장 비참한 사회계층의 예술표현이었다. 그러나 라이가 공식화된 직후인 1986년 국 민전선의 기관지 『아프리카 혁명』은 기층민중의 사회학적 재부상에 대 해 특정한 불편함을 표출한다. 라이의 대중적 확산, 공식 인정과 라이를 둘러싼 초기의 논쟁들의 효과가 건전한 농민과 그 가치에 기초한 건전한 사회공동체를 둘러싼 이데올로기적 합의를 깨뜨리는 데까지 이르렀기 때 문이다.

[라이가 알제리 민중의 예술 표현으로 간주되는 것은] 이 사회가 목가적이 지 않다는 것, 낙오자이며 타락했고 부도덕하고 부패했다는 것을 폭로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농민 계급에 대한 명예훼손에 이르게 되고 선에 대한 악 의 승리로 귀결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Ouchérif, 1986)

라이의 제도화를 위해 가장 중요했던 것은 라이에 도덕적, 문화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라이에 대한 기존의 가장 신랄한 비판은 그 저속함과 부도덕성에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FLN의 사상가 세이크 부기 라는 라이를 방종한 문화의 표현으로 규정하면서 라이 첫 축제 전날 라 이가 영혼 없는 음악이기 때문에 절대로 자기의 야망을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라이가 그토록 빠르게 번지는 이유는 알제리인들이 모두 새머리이며 정신적, 물질적으로 저속하고 부패했기 때문이라고 비 난했다(Virolle, 1995: 26).

그러나 라이의 공식화 직후 라이에 대해 비난으로 일관하던 지식인들 의 어조가 확연하게 변화했다. 1983년 라이가 폭풍이 남겨놓은 쓰레기이 며 식민자가 권장한 장르라고 비판했던 안달루시아 음악의 한 애호가는 1988년에는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바꿨다.

조잡한 가사와 저열한 취향은 정화하면 될 일이다. 라이의 곡조는 보존할 만하고 고려할 만하다. 일단 라이를 장악하고 나서 다양화하고 문명화하면 된다. 특히 다른 문화 분야가 위기상황인 지금 그 음악장르는 소수의 장르로 치부할 수 없고 무시하거나 경시할 수도 없다. 라이는 우리 농촌에서 기원했 으면서 우리에게 진정으로 현대적인 정체성을 제공한다. (Hachlaf et Hachlaf,

(15)

1993: 284)

가사의 저속함, 라이 가수들의 낮은 문화수준, 저열한 무의식, 미학적 저급함 등을 공격하던 언론은 공식화 이후 라이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완화한다. 라이 가사의 직설적인 표현은 민중의 생생한 에너지의 원천이 라며 추켜세웠다. 라이 장르에 대해 조악한 편곡, 똑같은 가사가 여러 노 래에 등장하는 것, 다양성의 부족을 지적하며 단 한 줄의 미학적 평가조 차 아끼던 비평들은 이제 그 음악적 측면과 역사성에 대해 말하기 시작 했다. 민족의 문화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라이는 모두가 들을 수 있을 만 해야 했고 청소년에게 무해한 노래가 되어야 했다. 라이가 국제적으로 성공하고 나서 언론은 라이를 알제리의 문화적 산물을 세계에 알린 원동 력으로 간주했다. 알제리인들은 알제리인의 창조성이 세계 전체로 부상 하는 것을 자랑스러워했다. 이렇게 라이 담론은 도덕주의, 그리고 국수주 의와 섞였다.

IV. 라이와 샤비

알제리를 대표하는 국제적인 음악 장르가 된 라이에 국가적 문화유산 의 지위를 부여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이 장르에 역사성을 부여하 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역사성은 전통 음악에서 파생된 대중적인 장르 샤비(chaâbi)와의 관계 맺기를 통해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샤비는 아랍어로 ‘대중적’이라는 뜻인데, 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이 장 르는 본질적으로 고급음악인 안달루시아 음악에서 유래되었다. 지금까지 도 알제리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장르 중 하나인 샤비는 특히 수도 알 제에서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샤비는 안달루시아 음악이 북아프리 카 음악과 만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혼종의 음악은 초기에는 정통 안달루시아 음악과 구분하기 위해 모그라비(Moghrabi)라 불렸다. 현재의 샤비라는 명칭은 1947년 라디오 알제(Radio Alger)에 전통음악 연주단이

(16)

창설되었을 때 악단의 지휘자이자 음악학자인 사피르에 의해 생겨났다 (Mokhtari, 2000). 모그라비(샤비)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이는 1920 년대의 유명한 음악가 엘 안카(El Hadj Mohamed El Anka)다. 그는 상 류층에서만 향유되던 안달루시아 음악을 좀 더 많은 대중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새로운 음악장르를 만들었다. 엘 안카는 모그라비의 가사를 꾸준 히 정리하고 민중 시가를 도입했으며 마그렙에 적합한 리듬과 선율로 변 형시키고, 만돌린, 밴조, 기타, 피아노 등의 새로운 악기를 사용했다. 정 통 안달루시아 음악인들과 애호가들은 전통음악을 망친다며 비난했지만 모그라비는 점차 자율성을 획득하고 독자적인 청중을 가지게 되었다. 라 디오 알제에 전문 악단이 만들어진 것에 힘입어 샤비는 1950년대 큰 파 장을 일으켰고 이후 알제리에서 전 세대가 골고루 가장 많이 듣는 장르 가 되었다. 그러나 샤비는 도시로 몰려드는 새로운 대중을 흡수하지는 못했다. 이 장르를 향유하기 위해서는 정통 안달루시아 음악만큼은 아니 지만 일정한 청각적 훈련이 필요했다. 더구나 외래음악의 범람으로 청중 은 물론 음악인 자체도 줄어들었다. 샤비가 적은 지원금과 결혼식 연주 로 그럭저럭 명맥을 유지해가는 동안 세력을 확장한 것이 라이였다. 샤 비 관현악 연주자는 노쇠해가고 그들을 대체할 후진들은 줄어들었으며 대중들도 샤비에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샤비 음악인들은 무대에서 점점 사라져갔다. 더구나 1988년 10월 알제리의 대규모 시위5) 이후 대중음악 의 방송금지 조처와 검열 강화로 인해 샤비의 쇠약은 가속화되었다. 라 이에 대한 정부지원으로 인해 샤비를 포함한 전통음악 장르에 대한 지원 금이 크게 삭감되었고 라이는 검열을 통과하며 계속 전파를 탔다. 샤비 음악인들은 스스로를 라이 공식화의 희생자로 여겼다.

라이의 성공 이후 언론들도 샤비에게 더이상 호의적이지 않았다. 그들 은 샤비의 가치와 그 보존의 당위성을 인정하면서도 샤비 음악인들을 라 이의 적으로 매도했다. 언론들은 샤비의 쇠퇴를 분석하면서 샤비의 많은

5) 1988년 정부 보조금 축소와 물가 인상에 항의하여 알제리 전역에서 일어난 대규모 시위로 다음해 알제리의 오랜 일당 독재 종식과 복수 정당제 허용의 단초가 되었다.

(17)

연주자들이 스승을 무조건 모방한다고 비판했다. 엘 안카 사후, 샤비 가 수들은 그 장르에 전혀 새로움을 가져오지 못했다는 것이다. 정부의 기 관지는 샤비가 우상 하나를 맹목적으로 추종하고 그와 동일시하면서 모 방하며 스스로 이 예술을 마비시킬 뿐이라고 비판한다. 좀 더 많은 젊은 청중을 끌어들일 만한 새로운 선율을 창조하지 못한다며 라이의 모델을 따를 것을 권고하기까지 한다(Taharakezouh, 1989). 이 기관지는 라이의 성공과 약진이 텍스트와 형식의 탁월한 취사선택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하면서, 영원히 고정된 형식을 따르는 샤비는 기초부터 다시 문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Ibid.).

샤비 음악인들이 기보를 주저하는 것에 대한 비판도 일어났다. 알제리 전통음악은 모두 악보 없이 구전되어 왔는데, 독립 후 문화유산 보존을 위해 정부가 기보를 권유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전통 보유자들은 기보 를 통해 생겨날 수 있는 부작용을 염려하며 기보를 거부해왔다. 샤비 음 악인들 역시 문화 원형의 정신을 제대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기보 없이 스승에서 제자로 직접 전수 돼야 한다며 전통적 방식을 고수해 왔다. 그 러나 샤비를 비롯한 전통음악이 기보를 통해 대중적으로 확산되면 기존 연주자에 의한 독점이 깨질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기보를 거부한다는 비판이 일었다. 비평가들은 보존뿐 아니라 확대를 위해서라도 샤비는 기 보되어야 하며, 보유와 전승의 독점으로 인해 샤비 입문을 어려워하는 청년 세대들에게 문턱을 낮추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기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80-90년대의 많은 기사들은 샤비와 라이를 비교했다. 언론의 어조는 국경을 넘어 국제적인 장르가 된 라이의 성공에 매혹되어 있었다. 라이 와 그 음악인들에게 불만을 표시하는 샤비 음악인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고통과 기쁨을 나눈 다른 장르의 음악에 적대의식을 가진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샤비인들에게 그 장르의 쇠퇴 원인은 위의 비판들과 달랐다.

그들은 샤비의 쇠약을 정부 탓으로 돌렸다. 민족의 정통음악을 지켜내고 있다고 자부하던 샤비 음악인들은 정부가 지원금을 축소하자 더욱 목소 리를 높였다. 정부는 라이에 대해서는 지원을 아끼지 않고 방송 출연이

(18)

나 축제 개최 등의 특혜를 주는 반면 알제리 민족문화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안달루시아 음악과 샤비를 위한 권장책은 그에 미치지 못하게 되었 으며, 정부가 나쁜 문화적 산물을 지원하는 대가로 더 정통한 문화의 형 식들은 희생되고 있다고 주장했다(Boukella, 1986). 샤비가 동일한 레퍼토 리를 반복하며 쇄신을 이뤄내지 못한다고 비난당하지만, 샤비 음악인들 이 보기에 라이 역시 같은 노래, 같은 가사를 반복한다. 유명한 샤비 가 수 게루아비(H. Guerrouabi)는 라이에 대한 독점적 지원에 불편함을 드 러내면서, 라이의 국제적 확산이 특정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그 나라의 모든 음악인들을 희생시켰다고 비판했다(Chekir, 2000).

샤비인들의 라이에 대한 적대감과 정부나 언론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 자 두 장르의 화해를 시도하며 유사성을 강조하는 담론들이 등장했다.

이 담론들은 외견상 전혀 달라 보이는 샤비와 라이를 아주 긴밀한 관계 에 있는, 서로 친연성이 높은 장르라고 설명하려 한다. 두 장르의 차이를 부정하지 않지만 유사성을 더 부각시킨다. 차이는 주로 음악 형식과 텍 스트에서 드러나고 유사성은 주로 음악 외적인 요소들이다. 샤비는 알제 에서 태어나 상류층의 장르가 되었고, 은유와 예의바른 가사를 사용하는 반면 오란 출신인 라이는 가사가 매우 노골적이며 음악적으로도 거의 샤 비의 정반대에 놓인다. 샤비는 도시음악인 안달루시아 음악과 관련해서 정의되고, 라이는 사막, 스텝, 고원의 유목적 공간의 음악인 베두인과 관 련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들 간의 친연성이다. 샤비와 라이는 모두 식민지 시대 도시의 대중적인 공간에서 태어났고 두 음악을 고안한 사람 들이 모두 농촌 출신이라는 것이 부각된다. 라이와 샤비 두 장르에서 알 제리 독립투쟁의 조짐을 읽을 수 있다는 한 언론인은 샤비와 라이 공통 의 사회학적 의미 포착을 시도한다.

샤비는 식민자들의 정치중심이 되었던 알제에서 태어났다. 알제에는 현재 알제리 정부가 자리한다. 라이는 식민자들의 군사 중심이 되었던 시디 벨 압 베스에서 태어났다. 시디 벨 압베스에는 현재 외인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두 장르의 가수들과 그들의 청중들은 알제리 식민 현실을 겪으면서 침묵의 대화

(19)

를 시도했다. 결국 두 장르는 모두 식민통치로 고통 받는 알제리 민중의 상 황을 반영하는 음악예술 형식이다. (Louisa, 1999)

이렇듯 샤비와 라이는 알제리 대중 여론의 표현 양식으로 기능하는 독 특하고 복잡한 종합체로서 사회학적 공통분모를 가지는 장르로 읽힌다.

샤비와 라이의 가사 일부가 같은 기원을 가진다는 이유로 라이가 샤비의 다른 형태의 지속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즉 라이는 근대화된 샤비라는 것이다. 그러나 두 장르가 가사의 부분적인 유사성 때문에 같은 기원을 갖는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주장은 대중권력을 가진 라이의 합법성을 강화한다. 알제리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안달루 시아 음악에서 파생된 샤비와 라이의 유사성을 강조하는 것은 라이가 국 가적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가 된다.

V. 월드뮤직 라이

라이가 지역성과 전통적 가치를 버리지 않으면서도 국제적인 음악이 될 수 있었던 요인은 바로 전통성과의 연관 자체에 있다. 전통에 지속적 으로 토대를 두면서, 특히 음색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했기 때문에 국제 적인 성공이 가능했다. 많은 젊은 라이 음악가들은 미학적 측면에서 전 통에 다가가려 노력했고 라이의 가창 음색을 재구성하려 했다(Mazouzi, 1990: 139). 이것이 지역과 전통의 음악으로 인정받게 된 중요한 방식이 다. 라이가 전통성을 선택가능성으로 두면서 지속적으로 기원을 참조한 것에 대해서 알제리의 언론들도 높이 평가하고 있다(Benkheira, 1986.

4-7). 그러나 라이가 전통과 관계를 맺은 것만으로 라이의 국제적 도약 을 모두 설명하지는 못한다. 라이의 국제적 성공 요인들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꼽을 만한 것은 라이 스스로 감행한 적극적 근대화라 할 수 있 다. 1980년대 라이 음악인들은 신디사이저를 전통 재구성의 가장 충실한 악기로 판단하고 도입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음량이 작은 전통악기 대부

(20)

분을 더 잘 들리는 악기로 대체했다. 라이의 청년 음악인들은 항상 외부 음악의 영향과 당대의 모더니티에 개방적이었다. 그들은 록, 펑크, 디스 코, 팝, 레게 등 가장 새로운 것에서 영감을 얻었다. 결국 대규모 군중을 라이로 끌어들인 것은 전통과 근대, 서구성과 알제리성, 과거와 현재의 화해였다. 라이는 자신의 근대화를 과거와의 단절 없이 서구에 대한 맹 목적 모방이 아닌 방식으로 진행했다.

그런데 라이의 국제적인 성공에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가 있다. 그것은 마그렙인들의 광범위한 디아스포라다. 특히 프랑스의 마그렙 이민자사회 가 라이의 월드뮤직 진출을 위해 필연적이었다. 라이의 프랑스 상륙에는 복수의 요인들이 작용했다. 프랑스에서 마그렙 이민자 문제는 1968년부 터 사회의 중대한 문제를 야기하기 시작했지만 프랑스 정부는 제대로 대 응하지 않았고, 이민 2세대들은 양질의 교육 체제와 노동시장에서 배제 되었으며 문화적으로도 주변화 되었다. 이들에 의한 폭력사태가 자주 일 어나면서 사회 통합은 더 어려워졌고 일자리를 찾기도 어려워졌으며 도 시 외곽으로 추방되기에 이르렀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그렙 이민 2세대 청년들은 다양한 정치적 행위에 참여했다. 1983년 베르(Beu r)6)의 행진, 1985년 반인종주의 조직 ‘SOS 인종주의’ 창립과 콩코드광장 친구 콘서트(concert des potes)7) 개최 등에 주도적으로 관여한 것이다.

프랑스에서의 라이의 성공은 바로 이들 마그렙 출신 청년 공동체와 이민 2세대 시장 덕분이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요인은 프랑스 매체의 라이 음악에 대한 관심이었 다. 1985-86년 알제리의 라이 현상을 요약하는 용어들은 주변성, 반란, 저항, 회복 등이었다. 그런데 프랑스의 언론은 주변성과 반란이라는 용어 를 특히 부각시켰다. 프랑스에서 라이는 권력에 대한 저항의 상징적 표 현이며 체제에 의해 검열된 문화 산물의 본보기였다. 프랑스 언론은 라

6) 프랑스로 이민 온 부모에게서 태어난 마그렙 젊은이를 지칭하는 용어.

7) SOS 인종주의가 1985년 6월 파리의 콩코드 광장에서 개최하여 최근까지 이 어지고 있는 다인종 음악축제로, “내 친구 건드리지 마”라는 슬로건이 유명하 다.

(21)

이의 언더그라운드적 측면을 평가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라이 음악인들 은 의식적으로 주류음악에 반하는 전략을 취하지도 않았고, 주변화 된 그룹들의 대변자로 칭송되는 것을 스스로 거부했지만, 프랑스 언론들은 라이의 상호텍스트성을 주장했고 블루스, 레게, 록과 서로 교환할 수 있 는 음악적 클리셰를 개발하고 있는 양상에 주목했다(Marranci, 2000:

139).

그러나 같은 시기 알제리 언론의 라이에 대한 태도는 매우 달랐다. 알 제리 언론은 라이의 저항적 측면이 ‘제도적(institutionnelle)’임을 강조했 다. 라이가 권력에 대해 칭송도 저항도 하지 않으며 정치문제에 무관심 하다고 논평했다. 알제리 정부의 공식 언론은 프랑스 언론의 반란이라는 용어를 강조하는 것에 불편함을 표현했다. 파리의 특정 언론이 이 장르 에서 정치적 도구를 찾기에 혈안이 되어있다고 불평한다. 1985년 8월 23-29일 정부 기관지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서구 언론은 라이를 저항운동으로 자리매김하려 한다. 악뛰엘(Actuel)8) 기 사는 할레드를 우리나라의 어두운 면을 대변하는 사람으로 만들고 있다. 그 글을 읽으면 라이와 그 팬들이 마치 우리 민족의 가장 높은 가치인 이슬람과

알제리 가족에 대해 전쟁 선언이라도 한 줄 알 것이다. (Révolution

Africaine, 1986)

프랑스 언론에 대한 불편한 시각의 극단은, 라이가 프랑스 이민정책의 산물이라는 주장이다. 한 알제리 언론은 라이의 진짜 원동력이 오란 사 람도, 마그렙 사람도 아닌 프랑스 이민자 출신의 젊은이라고 주장했다 (Ouasti, 1992). 마그렙 출신 이민자들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프랑스에서 문제를 일으키자 프랑스 정권이 의도적으로 라이의 창조, 권 장, 확산을 담당했다는 것이다. 유명해진 라이 가수들은 모두 프랑스 미 디어와 청중에게 빚지고 있고, 결국 프랑스 문화와 아랍 베르베르 문화 를 수렴하고 두 문화의 차이, 그리고 이민자 출신 젊은이들의 차이와 반 8) 1967-1994년에 간행되던 프랑스 주간지로, 프랑스어권 언더그라운드 음악을

주요하게 다루었다.

(22)

대를 희석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온건하고 세속화된 이슬람을 권장하고 국제결혼을 장려하는 메시지의 담당자가 되었다고 주 장했다(Ibid.). 좀 과장된 측면이 있지만 라이를 정치적 도구로만 간주하 는 프랑스 언론에 대한 비판을 볼 수 있고, 동시에 라이의 국제화를 분 석하는데 하나의 유용한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가 이민 정 책의 도구로 라이를 선택했다는 것을 입증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프랑스 정부가 이민정책을 위해 라이가 유용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장려 했을 수는 있다. 이민자 문제가 폭력을 동반하기 시작하면서 다른 양상 을 보일 무렵과 프랑스의 첫 라이 축제인 보비니 축제의 시기가 거의 유 사하며 라이의 프랑스 상륙과 프랑스 이민정책 변화시점이 완벽히 일치 한다. 또한 라이의 제왕 할레드는 다인종 국가 프랑스의 관용과 능력을 상징하는 인물이 되었고, 파리의 대기에 통합의 상징이 될 동양적 향취 를 불어 넣었다.

1989년 이후 언론의 정부 독점이 끝나고 독립 언론들이 자기 위상을 찾기 시작하면서 알제리의 라이 관련 연구와 비평은 좀 더 다양화되었 다. 많은 칼럼니스트들은 라이에서 혁명적인 정치 메시지를 찾으려 시도 했다. 그러나 허사였다. 라이라는 이름이 의견, 판단, 의식, 자유 등을 의 미하지만 라이 자체가 혁명적이라거나 최소한 정치적이라고 말하기는 어 렵다. 라이는 정치와 관련된 한 마디의 말도 하지 않으면서, 즉 정치문제 에 대한 무관심이라는 방식으로 정치성을 실행했다고 볼 수 있다.

VI. 결론

알제리 정부는 알제리의 전통을 가장 근사하게 대변할 만한 장르인 안 달루시아 음악을 중심 원형으로 해서 전 국민의 정체성을 나타낼 음악을 창조하려 했다. 안달루시아 음악은 매우 오랜 기원을 가지고 있고, 미학 적으로도 완벽하며, 찬란한 황금기의 역사를 입증해주고, 또한 알제리 민 족주의에 기여했다. 그러나 공식음악은 청년세대의 정체성과는 거리가

(23)

있었다. 청년세대가 받아들인 것은 결국 주변화되고 배제되어 온 계층의 문화적 표현인 라이였고 라이는 곧 알제리의 문화적 상징이 되었다. 가 장 낮은 계층의 저급한 문화를 기원으로 한 채 정통성과는 정반대편에 위치해 있었던 라이는, 식민 권력의 우민화 정책에 이용되기도 했지만, 안팎의 새로운 요소들을 가리지 않고 받아들인 결과 그 세력을 확장할 수 있었다.

라이가 국경을 넘어서까지 확산되고, 정부의 통제범위를 벗어나자 정 부는 라이에 대한 금지를 풀고 제도화하기 시작했다. 방송금지의 해제라 는 정치적 조치뿐 아니라 라이의 문화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 연구와 비 평이 활용되었다. 수십 년에 불과한 라이의 기원을 최대한 오래전으로 끌어올리고, 식민권력에 복무한 전력을 눈감아주었으며 음악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고급 전통음악에서 파생된 장르인 샤비와의 친연성을 주장했 다. 결국 라이는 알제리를 대표하는 국가적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았고 2016년에는 한 국가기관(Centre national de recherches préhistoriques anthropologiques et historiques)에서 ‘알제리 민중의 노래 라이(Raï, chant populaire algérien)’를 유네스코 등재 후보로 요청하는 서류를 제 출했다.

정부가 의도했던 전통 안달루시아 음악이 아니라 주변부 하층민의 음 악이었던 라이가 알제리 청년들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음악이 된 것은 전 통에 기반을 둔 민족정체성의 확립이라는 알제리 정부의 국가적 프로젝 트가 실제로는 상상에 기반을 둔 것이었음을, 동질화의 논리 하에 일부 를 배제한 상태에서 진행된 것이었음을 반증하는 예라고 볼 수 있다. 구 성원 전체를 포괄하지 못하는 계급적 배타주의를 내재한 정체성 확립은 결국 다른 반문화를 통한 집단적 반란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고 할 수 있다. 또한 라이의 사례는 사회적, 시민적 개혁 없이 상상된 전 통에 기반을 둔 민족정체성 확립을 통한 통합정책은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주변화를 벗어나고 국제적인 성공을 이룩한 라이의 영광은 오 래가지 못했다. 1980년대 말부터 알제리가 전례 없는 내부 혼란에 휩싸

(24)

였고 급기야 1991년부터는 암흑의 10년이라 불리는 내전에 시달렸기 때 문이다. 오랜 일당 독재와 경제위기와 실업률 증가 속에서 알제리의 젊 은이들은 그들의 희망을 이슬람 구국전선(Front islamique du salut, FIS) 에서 찾았고 그들에게서 구원을 갈구했다. 1990년대의 알제리 청년들은 문화적으로는 라이, 종교적으로는 이슬람으로 통합되고 있었다. 역설적이 게도 라이의 지지자들은 이슬람 구국전선의 지지자들과 동일했던 것이 다. 이런 점에서 정부의 라이 합법화는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영향력을 완화하고, 저항적 메시지로 가득한 베르베르 카빌리 노래의 대중장악을 막고, 청년세대들의 불만을 무마시킬만한 문화적 대용품을 만들기 위해 서라고 볼 수 있다.

간신히 합법화되고 이제 완벽하게 자리를 잡아가려던 라이는 다시 검 열과 금지의 대상이 되었고,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표적이 되었다. 이런 정치적 위기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라이는 스스로 검열하거나 망명을 선 택했다. 망명을 선택한 라이나, 월드뮤직으로 성공한 라이는 정치적 제도 화와 상업주의를 따르며 지역성을 벗어났지만 여전히 오란의 카페나 파 리변두리 바에서는 아직도 ‘라이다운 라이’가 연주된다. 후속 라이 음악 가들은 여전히 알제리 청년이 처한 현실을 생생한 언어로 직설적으로 묘 사하고 있다. 이들의 라이는 그들에게 영향을 준 80년대의 라이처럼 여 전히 주변부의 음악이다. 사회의 중심이 아닌 주변부가 규범의 전복과 창조의 장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한 라이가 후속세대들에 의해 어떤 변화 를 겪게 될지 지켜볼 일이다.

<주요어> 라이, 알제리 음악, 음악담론, 월드뮤직, 샤비

<참고문헌>

정지용(2009). 알제리 대중음악 라이Raï에 나타난 저항의 역사. 불어불문학연구

78. 427-463.

(25)

Bachir, H.-A.(1960). Quelques Idées sur les Caractéristiques, les Sources, les Tendances Actuelles et les Perspectives de la Musique Algérienne.

Nouvelle Critique. 112. 109-132.

Belkhodja, A.(1983). Le Raï en tant que Musique. El Moudjahid. (30 août).

Belkhodja, A.(1992). Les Origines du Raï. El Moudjahid. (8 nov).

Boukella, D.(1986) Le Huitième Passager. Révolution africaine. (12 au 18 sept).

Brahim, H-S(2000). Musiques Algériennes. In Hassan Remaoun(Ed.), L’Algérie. Histoire, société et culture. 271-298. Alger: Casbah.

Chekir, A.(2000). La Transcription du Patrimoine Chaâbi entre Défenseurs et Opposants. Le Matin2571. (10, août).

Daoudi, Bouziane.(2000). Le Raï. Paris: Librio.

Daoudi, B. et Miliani, H.(1996). L’aventure du Raï, Musique et Société. Paris:

Seuil.

F.L.N. Commission centrale d’orientation, section des affaires culturelles(1964).

Colloque National sur la Musique Algérienne. Alger: El-riath.

Guettat, M.(2000). La Musique Arabo-andalouse. L'empreinte du Maghreb. Paris: El-Ouns.

Hachlaf, A. et Hachlaf, M.-E(1993). Anthologie de la Musique Arabe(1906-1960). Paris: Publisud.

Louisa, B.(1999) La Culture et l’expression du Fait National. Naissance du Chaâbi et du Raï ou l’annonce Populaire du 1er novembre 1954. La Tribune (28 mai).

Mazouzi, B.(1990). La Musique Algérienne et la Question Raï. La Revue Musicale 418, 419, 420. 7-119.

Marranci, G.(2000). Le Raï Aujourd’hui. Entre Métissage Musical et World Music Moderne. Cahier de musiques traditionnelles. n° 13. 139-149.

Miliani, H.(1994). Sur la Chanson Oranaise : une Synthèse Historique.

Ouvrage du CRASC, 2016. 177-199.

Mokhtari, R.(2000). La Permanence et l’exil. Le Matin2571. (10 août).

Ouasti, A.(1992). Une Nouvelle Lecture de la Chanson Raï. El Moudjahid. (1, Jan).

Ouchérif, L.(1986). Révolution Africaine. (22 août).

(26)

Organisées par Esthétiques Musicologie et Créations Musicales et le Département Musique de l'Université Paris 8. 149-170. Vincennes:

Harmattan.

Romey, A.(1994). Tradition Orale de la Musique Classique Andalouse Arabe à Alger de la Fin de la Période Turque au Milieu du XXe siècle.

Cahiers de la Méditerranéenne. 48. Université Nice Sophia Antipolis.

37-47.

Taharakezouh, R.(1989). Au delà des Barrières, Raï-Chaabi. Révolution Africaine 1314. (12 mai).

Tenaille, F.(2002). Le Raï. De la Bâtardise à la Reconnaissance Internationale. Paris: Cité de la musique/Actes sud.

투고일 2018/11/23 심사일 2018/12/03 게재확정일 2018/12/14

Name Kwon, Hojong(correspondent author) Belong Dep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GNU

E-mail hjkwon@gnu.ac.kr Name Lim, Sunghee(first author)

Belong Dept. of Cultural Convergence, GNU E-mail kkalos@daum.net

참조

관련 문서

If the source of If the source of wave moves, the wave moves, the wave length of the wave length of the moving source will moving source will appear shorter or

-의사결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종 자료를 분석해 주는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  전문가시스템(EX

71) 강제채혈의 경우 주사를 잘못 놓은 경우 등 극히 이례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훼손의 위험이 통상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강제채뇨(삽관을 함으로

언어의 사회 통합, 사회통제 등의 기능과 일상생활관련 언어 문화적 특징. 언어의 사회 통합, 사회통제 등의 기능과 일상생활관련

시민들의 신뢰는 공공 기관의 역량과 가치에 대한 평가로부터 출발 역량은 정부가 시민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기대수준에 맞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 가치는 신뢰 제고를

좋은 라켓과 나쁜 라켓의 특징을 글로 정리해 보고 라켓에 숨어 있는 트램펄린 효 과를 활용하여 좋은 라켓이 가져야 할 조건들을 찾아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라

아프리카에너지위원회 afrec.mem-algeria.org 알제리 가스공사 www.sonelgaz.com.dz 알제리 국립광물자원국 www.anpm.gov.dz 알제리

목표 전기가 통하는 물체를 이용하여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스크래치 프로그 래밍을 할 수 있다. 모둠별로 인간 드럼을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