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6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2017 8

교육학석사 무용교육 ( ) 학위논문

교사 학생 상호작용과 - 수업 참여의도간의 관계에서

표현활동 태도의 매개효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김 태 희

(3)

교사 학생 상호작용과 - 수업 참여의도간의 관계에서

표현활동 태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Expressive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년 월 일

2017 8 25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김 태 희

(4)

교사 학생 상호작용과 - 수업 참여의도간의 관계에서

표현활동 태도의 매개효과

지도교수 임 지 형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무용교육 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 ) .

년 월

2017 4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 용 교 육 전 공

김 태 희

(5)
(6)

목 차

ABSTRACT

서 론 .

Ⅰ ··· 1

연구의 필요성

1. ··· 1 연구의 목적 및 가설

2. ··· 3 연구의 제한점

3. ··· 5 용어정의

4. ··· 5

이론적 배경 .

Ⅱ ··· 7

교사 학생 상호작용

1. - ··· 7 무용 태도

2. ··· 9 수업 참여의도

3. ··· 12

연구 방법 .

Ⅲ ··· 15

연구대상

1. ··· 15 조사도구

2. ··· 16 연구절차

3. ··· 20 자료분석

4. ··· 21

연구 결과 .

Ⅳ ··· 22

기술통계

1. ··· 22 일원 다변량분석

2. ··· 23

(7)

상관분석

3. ··· 24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4. ··· 25

논 의 .

Ⅴ ··· 31

성별에 따른 평균비교

1. ··· 31 무용태도의 매개효과

2. ··· 32

결론 및 제언 .

Ⅵ ··· 36

결론

1. ··· 36 제언

2. ··· 37

참고문헌 ··· 39

부록 설문지 : ··· 45

(8)

표 목 차

표 1. 최종 연구대상의 사례수와 백분율 (

N

=312) ··· 15

표 2. 교사 학생 상호작용 질문지의- 2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7

표 3. 무용 태도 질문지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8

표 4. 무용수업 참여의도 질문지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9

표 5.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22

표 6. 남녀 집단 간 일원 다변량 분석의 결과··· 23

표 7. 잠재변수들 간의 상관계수··· 24

표 8.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25

표 9.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27

(9)

그 림 목 차

그림 1. 연구모형··· 4 그림 2.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한 표준화 경로계수(

p

<.001) ··· 26

(10)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Expressive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Kim, Tae-Hee Advisor : Lim Jihyeong Major in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s’ perceived interaction with their teachers on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middle school dance classes through attitude toward dance. Subjects were 312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2-3 grad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measur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 attitude toward dance,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one-way MANOVA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 as:

Firs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 in students’ perception of

interactions with their teachers, attitude toward dance,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11)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roximity to teachers had an influence to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via usefulness, but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as cognitive attitud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ximity to teachers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Third, the perception of joyfulness as emotional attitud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ximity to teachers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in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roximity to teachers had an influence to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via joyfulness.

Fourth,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influence to teachers had an influence to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via usefulness, but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as cognitive attitud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ximity to teachers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Fifth, the perception of joyfulness as emotional attitud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 to teachers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in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influence to teachers had only an influence to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via useful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can develop a positive attitude toward dance when dance teachers provide their students with giving much more responsibility, positive feedbacks, sympathy, and consideration.

Key words: expressive activity, attitude,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tention, dance education

(12)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1.

교사는 수업시간에 학생들의 시각과 관점을 이해하도록 노력하고 주어진 과제에 대해 학습을 위한 책무성을 부여하는 것도 중요하다 만약 교사와 학. 생들이 협동이 되지 않는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효과적으로 정보를 이루지 못 하고 수업을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종철과, . , 조홍식(2002)은 교사 학생 간에 가르치고 배우는 범위가 하나로 제한되고- , 의미가 부여되면 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없음을 강조하면서 교사와 학생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제시하고 있다.

무용수업 중에서 일반적으로 학습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노력과 지속성 유, 능감 지각은 촉진되지만,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환경적 요인이다 더욱이 무용을 포함하여 교사와 학생 (Cadima, Leal, & Burchinal, 2010). ,

간의 상호작용이 체육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Solomon, 학생들의 내적 동기 정서 성취행동

2003), , , (Cox & Ullich- French, 2010) 이 중요한 이유다.

학생들은 표현활동 시간에 주위를 탐색하고 움직이면서 자신의 능력과 무 한한 잠재력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끌어내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표현활동 수업의 경험은 초등학교 시절에 흥미. 있는 사람이 중 고등학교의 무용 수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체· . , 육활동을 통해 무용을 즐기고 건전한 사회생활을 꾸려나가는데도 좋은 영향, 을 줄 것이다 남궁선주( , 2009).

(13)

교수의 학습상황에서 학생들은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학업성취 및 학교생 활을 수업에 대한 태도뿐만 아니라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남․ ( 홍, 2008). 학생들의 특정 교과나 무용관련 학습활동에 대한 학습태도는 학 습동기와 자기조절전략 그리고 정서를 결정짓는 요소이다 수업에서 교사와, . 학생간의 소통의 과정은 학생들을 마음을 열게 하고 무용 수업을 통해 더욱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즐겁게 참여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김영미( , 또한 무용 수업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가진 학생은 자 2010). ,

발적으로 참여하며 개성적이고 창조적 표현적인 미적 가치를 추구하려는 동, 기 부여를 하며 자신의 전공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가 높다고 한다 백정희( , 2007).

기존의 일부 연구들은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학생들의 학업성 취와 매우 강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정명수 박중길( , , 2011). 예를 들면, Rudasill, Reio, Stipanovic와 Taylor(2010)는 초 중학생들이 고등학․ 생들과 비교하여 훨씬 더 교사와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경향이 있으며, Furrer와 는 학생들이 상급학교로 올라갈수록 교사와의 관계는 다소 Skinner(2003)

부정적으로 바뀐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무용시간에 교사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무용에 대한 태- 도와 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검증한다면, 수업 중 학생들에 의해 지각된 교사행동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크게 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14)

연구의 목적 및 가설 2.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무용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상호 작용이 무용에 대한 태도와 수업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 봄과 동시에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무용에 대한 태도를 통해서 수업참여의도 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5가지의 가설이 설정되었다.

가설 1.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상호작용 무용에 대한 태도 그리고, , 수업참여의도 수준은 남녀 중학생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은 유용성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은 즐거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엄격함은 유용성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은 즐거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5)

그림 1. 연구모형1

그림 은 개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모형을 제시한

< 1> 5

것이다 연구모형은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질문지의 하위척도에 따라 중학생. 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근접성과 엄격함이라는 두 개의 요인으로 설정되었고 무용에 대한 태도 역시 정서적 태도인 즐거움과 인지적 태도인, 유용성이라는 두 개의 요인으로 설정되었다.

그림에서 제시된 것처럼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학생, 은 무용에 대해서 즐겁고 유용하다는 태도를 가진 반면 교사가 엄격하다고, 지각한 학생들은 무용이 즐겁지도 유용하지도 않다는 태도를 갖게 될 것으 로 가정되었다 그 결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긍정적 지각은 무용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짐으로서 무용 수업에 참여하려는 의도가 더 증가 되지만,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부정적으로 지각한 학생들은 무용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됨으로써 수업에 참여하려는 의도가 감소될 것으로 가정되었다.

(16)

연구의 제한점 3.

이 연구는 무용시간에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상호작용적 행동이 학생 들의 무용에 대한 태도를 경유하여 이들의 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해 몇 가지의 제한점을 두었다.

첫째 이 연구는 체육수업과는 별도로 무용을 정규수업으로 운영하는 중학, 교를 대상으로 실시함으로써 무용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가 지각된 교사의 상호작용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 았다.

둘째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대인간 행동은 교사의 성격 성별 직업관 교, , , , 직경력 건강 상태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용어정의 4.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들의 개념과 그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표현활동 1)

표현활동 영역은 자기의 사상과 감정 등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끌어올 리고 창의력과 미적 감각을 통해 보다 나은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경윤( 2014). 본 연구에서 표현활동 중학교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습활동을 의미한다.

(17)

교사 학생 상호작용 2) -

학생들에 의해 수업시간에 지각된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교사의 대인간 행동 유형으로서 학생들에게 협력적이며 친근감 있게 다가서는가 아니면 학생들에, 게 엄격하고 지배적이며 영향력을 발휘하는가에 대한 교사의 행동을 의미한다 (Wubbels, Brekelmans, & Hooymayers, 1991).

무용 태도 3)

무용 태도란 지적과 같이 경험에 의해 만들어진 정신적과 신경전인 준비 상태이며 모든 대상 및 사태에 대해 개인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지원 적이며 역동적인 영행을 주는 것이다(Allport1935). 따라서 신체의 연습이 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지만 자신의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욕구 자기, , , 활동에 대한 기대 등이 학습의 능률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김주영( , 2001).

수업 참여의도 4)

수업참여는 학생들이 특정 학습활동이나 수업에 참여하려는 동기적 의지를 의미한다 김종렬( , 2014).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표현활동 수업에 참여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18)

이론적 배경 .

교사 학생 상호작용

1. -

교사 학생 상호작용의 개념 1) -

상호작용이란 두 사람 이상의 집단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같이 참여하는 모든 사회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이해하는 현상이라고 한다(Kelley & Thibaut, 1978).

교육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교육이 중심이라고 할 수 있지 만 지은림 백순군 체선희 설현수( , , , , 2003),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볼 때 교사, 의 행동은 학생들의 행동에 영향을 주며 거기에 따른 영향을 받는 관계이다.

따라서 교사가 일방적으로 학생에게 영향을 미치기 보단 상호작용이라는 개 념이 교육적 의미가 있다(Wubbles et al., 1988).

또한, 학생들과의 소통은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말하는데 이런 상, 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만 학생들이 보다 더 수업에 대해 흥미를 갖 고 몰입과 만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중구, ( , 2013). 이렇게 교 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학생들의 성취와 발전에 크게 영향을 준다.

또한 김진한(2000)은 교사와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이라고 표현을 하였으며 그 사이에서 진정성이 있는 교실을 살아있는 교실 이라고, ' ' 하였다 이에 백순근. (2000)의 교육 개념은 그 살아있는 교실에서 교사와 학 생간의 관계맺음을 사람과 신뢰를 바탕으로 배우는 사람과 가르치는 사람의 상호작용을 통한 가치를 추구하는 활동이라고 한다.

(19)

교수행동과 관련변인 2)

교육은 주입식 교육만으로 달성 할 수 없는 궁극적 목적을 무용교육 수업 에서의 친밀한 상호작용으로 학생들의 수업에 만족감을 느끼게 하고 성취감 을 느끼게 함으로 인해 무용 교수와 학생들과의 친밀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극복 할 수 있다고 한다 신현지( , 2011).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무용 수업에 즐겁게 참, 여하여 소통하는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증진시켜준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업시간 중 교사 학생간의 관계가 올바르게 성립이 된다면 학생들- 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무용 수업 참여로 인해 높은 교육 효과를 볼 수 있 다고 한다 김희정( , 2011).

학습에서 교수행동은 신체적 자아 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서의 안정과 더불어 긍정적인 인간상을 형성하고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풍부한 감성을 표현한다 또한 자기 스스로 조절 할 수 있는 정서발달을 도. , 모 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학교에서 학생의 수준에 맞게 이러한 표현. 활동이 잘 적용이 된다면 학생들은 흥미를 잃지 않고 주위를 끊임없이 탐색, 하고 자기 자신의 능력을 움직임 활동을 통해 발견하게 되며 잠재적 가능성, 을 끌어내어 긍정적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중 고등학교 무용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은 초등학교 무용 수업· 에 관심과 흥미 있는 표현활동 수업의 경험에 미치며 평생 체육 활동을 통, 해 무용을 즐기는 건전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에도 좋은 영향을 줄 것이 다 남궁선주( , 2009).

다양한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잠재되어있는 신체의 능력을 새롭게 알게 함으로써 표현활동 수업에 학생들이 신체적 자아개념 형성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러한 표현활동 수업이 학교에서 학생의 수. 준에 맞게 잘 적용이 된다면 학생들은 자유롭게 주위를 탐색하고 움직이면, 서

(20)

자신의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과 능력을 발견하게 되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용 수업에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잘 이루어진다면 무용 정서와의 인과관계에서 무용 학습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다 또. 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 연구들은 무용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의 학업 태도는 긍정적과 부정적 정 서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용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긍정적과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관계태 도는 유의한 관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는 무용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요구관계태도에 긍정적인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매개역할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 , 집단 분석의 결과는 두 집단 간의 구조계수 구조 모형의 형태 그리고 구조, , 공분산은 동일하지만 구조잔치는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지혜 정( , 지혜, 2013).

무용 태도 2.

무용 태도의 개념 1)

무용 태도란 무용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개인적 가치에 대한 것을 의미하, 며 채희경( , 2001), 학습태도의 의미는 자아의 구체적인 행동을 통한 개인의 사회적 과정을 형성된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무용 전공자의 무용에 대한. 태도는 무용 수행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강화경( , 2008), 또한 백 정희(2007)는 적극적인 무용 학습태도를 가진 학생은 무용 학습에 대해 의욕

(21)

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을 보이며 높은 수업만족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태도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지만 사전적 의미로는 신체적과 정신적 상태 자세 등을 뜻하는 말로서 사회학 심리학에서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행, , 동을 이해하는 개념으로 쓰인다고 한다 근본적으로 학습된 결과로 개인 행. 위의 선택에 직접적 영향 혹은 간접적 영향을 주는 내재적 심리적 준비 상, 태 또는 경향성이 개인이 어떠한 문제나 사건 사물이나 사람 등에 대해 어, , 떤 인식과 감정 내지 평가를 가지고 거기에 입각하여 그 대상에 대한 가지고 있는 반응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최윤선( , 2015).

무용 분야의 학습태도는 무용 학습의 가치 및 판단 동기의욕 등을 결정한, 다 무용 수업에서의 교사 학생간의 상호작용은 마음을 여는 소통에 대해. - 학생들이 수업에 즐겁게 참여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 이다 김영미( , 2010). 또한 무용 수업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가, 진 학생은 무용 학습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창조적 개, 성적 표현인 미적가치를 추구하려는 동기 부여를 함으로 인해 전공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도가 높다고 한다 백정희( 2007).

이러한 태도는 스포츠와 같은 신체 활동의 참가와 관심 흥미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분명하고 신체 활동은 내용으로 하는 체육이나 무용의 학, 습은 신체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신체의 연습이 학습에 있. 어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욕구나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와 자기 활동에 대한 기대 등이 학습의 능률을 높이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김주영( , 2011).

무용 태도와 관련변인 2)

무용태도와 관련된 박지경(1998)에 따르면 무용태도의 선행연구에서 개인 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오진숙 강은주, , (2014)는 비 참여 학생들

(22)

보다 참여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만족한다는 사실을 보고한 바 있다.

지금까지 김종만(2007)은 학생들은 체육수업에 참여태도와 체육수업 상황 에서 인과관계변인들을 분석한 선행연구 교수행동과 수업태도와의 관계를 분 선한 연구와 송용관과 변정현(2008)의 교수모형과 수업태도에 관현 연구,

와 의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등 주로

Tjeerdsma, Rink Graham(1996)

이성 또는 남녀간의 체육수업 상황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김정구

( , 2010).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에서 시간을 보내며 수업 시간에는 교사 학생의, - 상호작용 속에서 여러 가지 행동의 변화가 일어난다고 한다 이승훈( , 2004).

여기에 따른 무용 수업이 효과적으로 잘 이뤄지기 위해서는 무용 수업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무용 교사에 대한 연구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생들의 태도 인식에 대한 연구가 요구 된다고 한다.

태도는 경험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심리적 정신적 준비상태로 개인의 행동, 에 어떠한 형태로든 영향을 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어떤 상황에 있어서 적. 극적 긍정적 소극적인 가치 판단으로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무용 수업, , . 으로 인해 직접 경험을 형성된 이미지는 무용 교육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한다 김인형 오세복( , , 2005).

체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중학생 이후에 감소되기 때문에 (Subramaniam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과 태도간의 관계규명은 학생

& Silverman, 2007),

들의 긍정적인 태도 형성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중요하며 학생들의 인지 정, - 서 발달과 태도를 결정짓는 주요 변수이다(Khine & Fisher, 2004). 특히 중, 학생은 초등 교사에 비해 교사가 비우호적이고 불공정하며 더 통제적이라고 지각하여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가 감소된다(Urdan & Schoenfelder, 2006).

에 따르면 학습태도가 지식을 잘 활용 할 수 있는 정도 Okebukola(1986) ,

를 결정하고 학생들이 여러 가지 과정 기술을 획득하는 데에도 태도가 중요,

(23)

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전향원( , 2004). 구체적으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관계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변화 유지 형성 하는데 중요한, ,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학습태도란 개인이 형성된 자아의 구체적인 행동을 통. 해 사회화 과정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백정희( 2007).

수업 참여의도 3.

수업 참여의도의 개념 1)

수업 참여 의도는 학습자가 학습에 대해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참여하고, 수업과 친밀한 관련을 맺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학생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 고 있으며 교수의 특성과 교수 학습 방법에 있어서 수업 참여는 적극적인, 학생들에 대한 수업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 되어가고 있다 윤길옥( , 2014).

수업 참여 또는 학업 참여의 포괄적인 개념은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이 정서 적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갖도록, , 하는 개념이다 김종렬( , 2014). 다시 말해 수업참여는 학습자들이 수업 이전, 에 알지 못하고 이해하기 어려웠던 것을 수업을 통해 이해하게 되면서 학습 자의 행동이 수업 목표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Jamaludin & Osman, 2014).

학생의 학업 성취도는 학생의 수업 참여도가 높을수록 학업 성취도도 높아 질 것이다 즉 학업 성취를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은 하나로 수업참여. , 를 들 수 있으며 수업 참여는 학습에 대한 흥미나 관심 수업에 대한 적극적, , 이고 긍정적인 태도라 말할 수 있고 수업시간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학습, 태도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업참여란 학습자가 학교생활을 통해 만. , 들어진 태도로 특별한 행동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또한. 학교

(24)

환경 안에서 학생들이 겪을 수 있는 변화의 경험을 통해 지속적이고 규칙적 인 반응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 김정자( , 2004).

수업 참여의도와 관련변인 2)

수업 참여는 학습자의 교육성과를 예측하기 위한 중요한 성행 변인으로 인식된다 김종렬( , 2014). 이런 수업 참여는 수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능동적 이고 자발적으로 학습자가 수업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시각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보다 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진미혜 신영준( , 2016).

자율성 지지유형 통제적 유형인 교수행동 유형에 따라 자기 효능감에 긍정, 적인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긍정적인 영향은 자율성 지지 교수유형 에서만 미친다고 한다 통제적 교수유형에서는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선택을 직접 유, 도하고 수업을 진핼 하였을 때 학생들은 책임감을 느끼고 자신감이 생기며, , , 자기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학생들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 칠 것이라는 통제적인 분위기 속에 가설과는 달리 자신감이나 책임감에 영향 을 미치지 않고 자기 효능감 또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구지은( , 2016).

교사의 무용 전공에 따른 무용 수업 태도와 수업 만족도는 매우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는데 무용 수업 태도에 전체하위요인인 흥미 학습 의욕 주의, , , 집중 성취동기가 무용 수업 만족도인 하위요인에 수업 운영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난다 이를 설명하는 전체 변량이 총. 78% 나타났다 또 수업 만. 족도의 하위요인인 지도방법만족과 수업 환경 만족에서는 성취동기 주의 집, 중 흥미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습의욕에서는 유의한 결과, , 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은숙( , 2007).

(25)

수업참여도는 수업시간 중에 학생이 수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있는 것만 으로도 수업 참여라고 할 수 있으며 설명을 듣고 교사의 지시에 따르는 것, 으로 수업참여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교사의 지시에 따르기보단 주어. 진 과제를 성실히 수행하고 교사의 질문에 적극적으로 답하는 것보다 활발히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며 수업을 통해 학생 스스로 문제를 교사나 학생들과, 의 상호작용을 통해 답을 알아내려고 노력할 때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가 높, 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업참여도는 학생들이 수업시간을 잘 참여하고 있. 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나누기 보단, 어느 정도 수업에 활발히 참여하는지 관 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은정( , 2013).

(26)

연구방법 .

연구대상 1.

연구대상은 편의표집을 적용하여 광주광역시 소재의 K, D, T중학교 남녀 학생 남녀 학생들로 선정되었다 이들 중학교는 체육수업과는 별개로 무용을. 정규교과로 운영하고 있으며, 358명의 203학년 중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 하였다. 1학년 학생은 설문조사 직전까지 무용 수업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 에 설문조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46부가 이중응답 또는 응답누락 둥의 성실하지 못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료 분석은 이들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12명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처리되었다.

최종 분석대상에 포함된 중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연구대상 중 남학생은. 185명(59.3%)이며 여학생은, 127명(40.7%)이 었다 학년별로는. 2학년 157명(50.3%), 3학년이 155 (49.7%)명 이었다.

구 분 사례수 %

성 별

남학생 185 59.3

여학생 127 40.7

학 년 2학년 157 50.3

학년

3 155 49.7

표 1. 최종 연구대상의 사례수와 백분율 (N=312)

(27)

조사도구 2.

본 연구에서는 교사 학생 상호작용과 무용태도 및 무용수업 참여의도를- 측정하는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각 질문지의 문항구성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구체적인결과는 아래와 같다.

교사 학생 상호작용 질문지 1) -

무용시간에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상호작용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조 현주(2014)의 연구에서 사용된 Wubbels와 Levy(1993)의 교사 학생 상호- 작용 질문지(Questionnaire of Teacher Interaction, QTI)가 이용되었다 이. 질문지는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대인간 행동에 대하여 근접성

번 과 엄격함 번 을 측정하는 차원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1-18 ) (19-34 ) 2 34 .

학생들은 각 문항에 대해 5점 Likert 척도(1점=‘전혀 아니다, 5 =점 매우 그렇다 로 반응하고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또는 부정적 상호작용 행) , 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최( 대우도방식 베리맥스 을 실시한 결과 누적 분산비는, ) , 69.35%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엄격함을 측정하는 2개 문항(19 , 20번 번 이 다른 요인으로) 묶여 삭제되었다 이들 문항을 제외한 후.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 다 그 결과. 2요인 32문항이 추출되었으며 누적 분산비는, 68.46%로 초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비해 분산비가 다소 증가되었다.

표 에 제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로 추출된 교사의 근접성 행동 문항

< 2> ,

들은 48.27%의 분산비를 나타냈고 두 번째로 추출된 교사의 엄격함 문항들, 의 분산비는 20.18%로 나타났다. Cronbach’s α로 추정하는 신뢰도 계수 는 근접성과 엄격함이 각각 .678과 .701의 계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32문항에 대한 측정모 형의 적합도는 수용할만 하였다(χ =1460.58,

df

=463,

p

=.001, Q=3.15, TLI=.898, CFI=.905, RMSEA=.079).

(28)

문항 평균 표준편차 요인 1 요인 2 공통성 근접성

1. i9 4.13 .95 .882 -.127 .617

i10 3.94 1.04 .849 -.150 .663

i13 4.05 .99 .847 -.177 .627

i16 4.17 .95 .834 -.166 .699

i8 4.03 1.01 .826 -.202 .638

i4 4.06 .98 .825 -.138 .642

i15 3.99 1.08 .808 -.187 .606

i2 4.12 .98 .798 -.160 .723

i12 4.03 1.04 .794 -.209 .794

i14 4.15 1.02 .794 -.248 .744

i6 4.02 .95 .787 -.147 .471

i5 4.12 .97 .787 -.137 .675

i1 4.21 .90 .780 -.094 .749

i17 4.04 1.05 .777 -.232 .692

i3 4.05 .95 .770 -.186 .688

i7 3.90 1.03 .762 -.160 .724

i18 3.98 1.01 .757 -.221 .658

i11 4.35 .84 .675 -.124 .622

엄격함

2. i33 1.99 1.14 -.177 .887 .579

i30 2.06 1.21 -.211 .873 .662

i24 1.99 1.10 -.177 .869 .710

i32 1.99 1.15 -.110 .868 .786

i29 2.11 1.19 -.224 .843 .757

i31 2.12 1.21 -.192 .838 .682

i27 2.11 1.19 -.155 .836 .723

i25 2.31 1.28 -.268 .828 .585

i26 1.99 1.12 -.095 .820 .761

i23 2.21 1.19 -.253 .804 .806

i22 2.06 1.17 -.172 .795 .739

i28 2.49 1.29 -.145 .751 .766

i21 2.01 1.17 -.139 .748 .817

i34 1.95 1.14 -.140 .697 .505

고유치 15.44 6.46

분산비(%) 48.27 20.18

누적 분산비(%) 48.27 68.46

: KMO=.961;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χ²=10.574.63, df=496, p=.001 교사 학생 상호작용 질문지의 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 - 2

(29)

무용 태도 질문지 2)

무용에 대한 중학생들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명수와 박중길(2011)이 사용한 Subramaniam과 Silverman(2000)의 체육태도 질문지(Attitudes 를 표현활동 수업용으로 수정한 질문 toward Physical Education Inventory)

지 조현주( , 2014)가 사용되었다 질문지는 표현활동 무용 에 대하여 중학생들. ( ) 이 지각하는 즐거움과 유용성을 측정하는 2요인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1점 전혀 아니다 에서( ) 5 (점 매우 그렇다 까지의) 5점 척도로 응 답하도록 되어 있다 평균 점수가 높으면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높음. 을 의미한다. 16문항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16문항의 누적 분산비는 68.15%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계수는 각각,

과 이었다

.717 .692 .

문항 평균 표준편차 요인 1 요인 2 공통성

1. 유용성 at4 3.92 .99 .924 -.027 .527

at9 2.48 1.32 .897 -.094 .589

at6 3.94 1.00 .892 -.118 .617

at5 2.42 1.32 .876 -.041 .854

at14 2.41 1.32 .875 -.081 .769

at11 2.43 1.26 .850 -.080 .809

at2 3.94 .98 .766 .036 .784

at12 3.96 1.01 .664 .074 .749

즐거움

2. at7 2.51 1.32 -.117 .877 .813

at8 3.82 1.03 -.058 .863 .592

at16 2.47 1.32 -.090 .809 .729

at15 2.61 1.35 -.015 .799 .447

at3 3.87 1.02 .015 .785 .551

at10 2.39 1.29 .017 .769 .773

at13 3.83 1.08 .012 .743 .639

at1 3.85 1.06 -.053 .724 .663

고유치 5.98 4.91

분산비(%) 37.42 30.72

누적 분산비(%) 37.42 68.15

: KMO=.921; Bartlett의 구형성 검정,χ²=4447.60,df=120,p=.001

(30)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6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수용할만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χ =414.36,

df

=89,

p

=.001, Q=4.65, TLI=.910, CFI=.923, RMSEA=.078).

수업 참여의도 질문지 3)

중학생들의 무용 수업에 대한 참여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중학생의 표현활 동 태도에 관한 도태희와 유진(2014), 그리고 김현재(2016)의 연구에서 사 용된 Hein과 Murr(2004)의 수업참여의도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이 질문지. 는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은, 1 (점 전혀 아니다 에서) 5점 매( 우 그렇다 까지의) 5점 척도로 반응하도록 되어 있다 역 문항은 없으며 평. , 균점수가 높으면 수업참여 의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문항에 대하여 주성분분석 베리맥스 을 실시한 결과 분산비 는

4 ( ) , (%)

이었다 문항의 요인 부하량은 에서 까지로 나타났으며

85.07% . .879 .940 ,

신뢰도 계수는 .940이었다. <표 4>는 4문항에 대한 기술통계량과 주성분 분석의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문항 평균 표준편차 요인 1 공통성

참여의도 in2 4.06 .93 .940 .772

in3 4.07 .94 .939 .883

in4 4.13 .94 .930 .883

in1 3.92 1.02 .879 .865

고유치 3.40

분산비(%) 85.07

: KMO=.852;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χ²=1181.10, df=6, p=.001

(31)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측정모형은 자료에 적합하였다(χ

=13.95,

df

=2,

p

=.001, Q=6.97, TLI=.970, CFI=.990, RMSEA= .069).

연구절차 3.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질문지는 기존 연구들을 통해 그 타당도와 신, 뢰도가 평가되었지만 이들 질문지가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중학생 3명을 대상으로 질문의 명확성과 이해도를 평 가하였다 일부 문항은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부분적으로 수정되. 었다 예 표현활동( ; → 무용수업).

둘째 설문조사를 실시하기 전 무용 수업을 실시하는, , 3개 중학교의 교사 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 작성요령을 설명한 후 자료를 수집 하기 위한 협조를 요청하였다.

셋째 설문조사 일정에 따라 해당 중학교의 무용교사가 수업 시작 전에 학, 생들에게 연구의 취지와 목적 그리고 설문지 작성요령에 대하여 설, 명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중학생들이 무용시간에 작성한 질문지는 현장에서 곧바로 회수되었, 고, 질문지 작성은 개인차가 있었지만 대략적으로 10분에서 15분 정도 소요되었다.

(32)

자료분석 4.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SPSS 21과 AMOS 21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 술통계를 실시한고 탐색적 요인분석 또는 주성분 분석이 실시되었, 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질문지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로 추정하는 내적 일관성 분석이 실시되었다.

둘째 교사 학생 상호작용과 무용 태도 및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 - 보기 위해 단순 상관분석이 실시되었다.

셋째 교, 사 학생 상호작용과 무용 태도 및 수업참여의도 수준이 남녀 중학- 생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MANOVA) 이 실시되었다.

넷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에, 서 무용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모형의 평가는 χ², CFI(≥.90), TLII(≥.90), 그리고 지수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모든 통계적 유의성은

RMSEA(≤.08) .

ɑ

=.05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33)

연구 결과 IV.

기술통계 1.

표 는 개 잠재변수의 기술통계량이 제시되어 있다 표에 제시된 바와

< 5> 5 .

같이 표준편차, (

SD

)는 .81에서 1.13까지 왜도에서는, -.79에서 .96까지 그, 리고 첨도에서는 -.76에서 .38까지로 그 기준치인 ±2.0 이하의 값을 보이 고 있다 이는 수집된 자료가 다변량 정상분포의 가정을 충족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변 수 반응범위 M SD 왜도 첨도

근접성 1 - 5 4.07 .81 -.79 .38

엄격함 1 - 5 2.10 1.01 .96 .33

유용성 1 - 5 2.46 1.13 .71 -.27

즐거움 1 - 5 3.89 .84 -.23 -.63

참여의도 1 - 5 4.04 .88 -.45 -.76

표 5.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34)

일원 다변량 분석 2.

가설 1(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상호작용 무용에 대한 태도 그리고, , 수업참여의도 수준은 남녀 중학생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을 검증하기 위) 해 일원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6>은 5개 잠재변수의 기술통계 및 다변량 분석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먼저 남녀 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 Box’s M=54.62,

F

=3.57,

p

=.001로 유의하였다 이는 두 집단 간의 공분산행렬이 동일하지 않음을 의. 미한다 따라서 다변량 주효과의 유의수준을. α=.01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주효과는 Wilks’ λ=.968,

F

(5,306)=2.01,

p

=.077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5개의 종속변수의 선형조합이 남녀 중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상호작용 무용에 대한 태도 그리, , 고 수업참여의도 수준은 남녀 중학생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고 설정한” 가설 1은 기각되었다.

변수 남학생 여학생 F

P η 검증력

M SD M SD

근접성 4.15 .82 3.95 .79 4.68 .031 .02 .579 엄격함 1.99 1.02 2.24 .96 4.68 .031 .02 .579 유용성 2.45 1.19 2.48 1.0

5 .05 .820 .00 .056 즐거움 3.99 .88 3.73 .76 7.34 .001 .02 .771 참여의도 4.14 .85 3.89 .90 6.20 .013 .02 .699

표 6. 남녀 집단 간 일원 다변량 분석의 결과

(35)

3. 상관분석

교사 학생 상호작용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에서 무용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전에 5개 잠재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분석 결과는 표 에 제시되었다 표 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교사의 긍정적인 대인간

< 6> . < 6> ,

행동으로서 근접성은 무용태도의 하위척도인 유용성(

r

=.20)과 즐거움 (

r

=.65) 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낸 반면에 교사의 부정적인 대인간 행동으, 로서 엄격함은 유용성(

r

=-.34)과 즐거움(

r

=-.31) 간에 부적인 상관을 보였 다 또한 무용태도 중에서 유용성과 즐거움은 참여의도 사이에 각각. -.27과 로 부적 관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업참여의도는 근접성과 정적으로

-.11 .

관계가 있지만(

r

=.64), 엄격함과는 부적으로 관계를 보였다(

r

=-.27). 일반 적으로 변인간의 상관이 .70 이상인 경우 다중공선성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지만 즐거움과 참여의도간의 상관계수는 허용범위인, .80 이하의 계수를 보 여 이들 두 변수간의 관계가 매우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결과는 교사로부터 지각된 근접성은 무용태도인 유용성과 즐거 움 그리고 수업참여의도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고 교사로부터 지각된 엄, , 격함은 무용태도의 하위척도와 수업참여의도 사이에 부적인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에 연구모형에 설정된 각 경로 간의 방향성은 대체로 일치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 수 1 2 3 4 5

1. 근접성 1

엄격함

2. -.40 1

유용성

3. .20 -.34 1

즐거움

4. .65 -.31 -.09 1

참여의도

5. .64 -.27 -.11 .71 1

p <. 01

(36)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4.

연구모형 평가 1)

무용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정된 4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전 에 연구모형에 설정된 각 경로의 통계적 유의성과 방향성을 평가하였다 구. 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χ =3044.99,

df

=1217,

p

=.001, Q=2.50, TLI=.906, CFI=.911, RMSEA=.069로 주요 지수가 모두 기준치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연구모형에 설정된 각 경로간의 통계치가 검토되었다, . <표 8>에 각 경로간의 비표준화 계수(Estimate), 표준오차(S.E), 기각역(C.R), 유의수 준(P), 그리고 표준화 계수(SRW)가 제시되어 있다.

경 로 Estimate S.E C.R P SRW

근접성 → 유용성 .181 .124 -1.45 .145 .088

엄격함 → 즐거움 -.053 .045 -1.18 .238 -.057

근접성 → 즐거움 .884 .094 9.38 .001 .675

엄격함 → 유용성 -.491 .093 5.27 .001 -.335

유용성 → 수업참여의도 .027 .030 -.89 .371 .038 즐거움 → 수업참여의도 .850 .068 12.54 .001 .749

표 8.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37)

표 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개의 경로 중에서 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 8> , 6 3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근접성( → 유용성 엄격함, → 즐거움 유용성, 수업참여의도). 반면에 나머지 3개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근(

접성 → 즐거움 엄격함, → 유용성 즐거움, → 수업참여의도). 이들 3개의 경 로는 연구모형에 설정된 것처럼 모두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그림 는 위의 결과를 그림으로 제시한 것이며 제시된 값은 모두 비표

< 2> ,

준화 계수들이다 그림에서 보듯이 다중상관자승 값을 보면 유용성은 선행. , 변수들에 의해 14%가 설명되었고 즐거움은 선행변수들에 의해, 49%가 설 명되었다 그리고 수업참여의도는 지각된 교사 학생 상호작용 및 무용태도. - 의 하위요인들에 의해 약 57%가 설명되었다.

그림 2.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한 표준화 경로계수( p<.001)

(38)

무용태도의 매개효과 검증 2)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는 매개변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교사 학생- 상호작용이 태도를 통해 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bootstrapping이 실시되었다 표본크기는. 1,000명으 로 설정되었으며 그 결과는, <표 9>에 제시되었다.

모형 간접

효과 S.E. P bootstrap 매개 하한선 상한선 효과

근접성 유용성 수업참여의도→ → .049 .032 .009 .013 .125 기각 근접성 즐거움 수업참여의도→ → .784 .124 .002 .583 .995 부분매개 엄격함 유용성 수업참여의도→ → -.056 .030 .007 -.121 -.021 기각 엄격함 즐거움 수업참여의도→ → -.263 .070 .003 -.383 -.156 완전매개

표 9.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위의 <표 9>에서와 같이, 4개의 모형에 대한 간접효과는 모두 .01 수준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모형별로 총 효과모형. ,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설정하고 4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2(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은 유용성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 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총 효과모형 근접성 수업참여의도 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 ) .970(S.E.

=.092, C,R.=10.547,

p

=.001)이었다. 완전 매개모형에서는 근접성→유용 성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474(S.E.=.122, C.R.=3.889,

p

=.001), 유용성

(39)

수업참여의도 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104(S.E.=.042, C.R.=2.454,

p

=.014)로 모두 유의하였다 부분매개모형에서는 근접성. →유용성간 비표준 화 경로계수가 .466(S.E.=.122, C.R.= 3.829,

p

=.001), 유용성 수업참여→ 의도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007(S.E.=.034, C.R.=.215,

p

=.830), 그리 고 근접성 수업참여의도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973 (S.E.=.093, C.R.=10.411,

p

=.001)이었다.

따라서 총효과 모형과 부분매개모형에서 근접성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 화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지만 부분매개모형에서 유용성, →수업참여의도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근접성이 유용성을 통해 수업참, 여의도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유용성이 근접성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설, 2는 기각되었다.

가설 3(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은 즐거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을 검증하기 위해 위의 방법) 과 동일한 방식대로 일련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먼저 총효. , 과 모형에서 근접성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동일하고 완전→ , 매개모형에서는 근접성 즐거움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915(S.E.=.092,→ C.R.=9.911,

p

=.001), 즐거움→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856(S.E.=.067, C.R.= 12.691,

p

=.001)로 모두 유의하였다. 부분매개모 형에서는 근접성→즐거움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897(S.E. =.092, C.R.=9.758,

p

=.001), 즐거움→수업참여의도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625(S.E. =.074, C.R.=9.758,

p

=.001), 그리고 근접성→수업참여의도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412(S.E.=.088, C.R.=4.663,

p

=.001)으로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총 효과모형과 부분매개모형에서 근접성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 화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고 부분매개모형에서 근접성, →수업참여의도간의

(40)

비표준화 경로계수(.412)가 총 효과모형의 비표준화 경로계수(.970)보다 감 소되었기 때문에 무용에 대한 즐거움이 근접성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즐거움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 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즐거움이 근접성과 수업참. 여의도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한다는 점에서 가설 3은 채택되었다.

가설 4(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엄격함은 유용성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 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먼저 총 효과모형에서 엄격함. , →수업참여의도간 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296(S.E.=.063, C.R.=-4.721,

p

=.001), 완전 매개모형에서는 엄격함 유용성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546(S.E.=.087,→ C.R.=6.277,

p

=.001), 유용성→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012(S.E.=.042, C.R.=-2.417,

p

= .016)로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였다.

부분매개모형에서는 엄격함 유용성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544(S.E.=

.087, C.R.=6.254,

p

=.001), 유용성→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 가 -.029 (S.E.= .044, C.R.=-.658,

p

=.511), 그리고 엄격함 수업참여→ 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279(S.E.=.067, C.R.=-4.170,

p

=.001) 이었다.

따라서 총 효과모형 및 부분매개모형에서 엄격함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 준화 경로계수가 둘 다 유의하지만 부분매개모형에서 유용성→수업참여의도 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교사의 엄격함이 유용성을, 통해 수업참여의도에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 교사의 엄격함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에서 유용성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 지 않기 때문에 가설, 4는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설, 5(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은 즐거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를 검증하기 위) 해 일련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41)

먼저, 총 효과모형에서 엄격함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으로 유의하였고 완전 매개모형에서는 엄격함 즐거움간의 비표준화

-.296 , →

경로계수는 -.314 (S.E.=.058, C.R.=-5.422,

p

=.001), 즐거움 수업참여→ 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837(S.E.=.067, C.R.=12,525,

p

= .001)로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였다.

부분매개모형에서는 엄격함 즐거움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312(S.E.=

.058, C.R.=-5.398,

p

=.001), 즐거움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 수는 .823(S.E.= .069, C.R.=11.986,

p

=.001)으로 유의한 반면에 엄격함,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039(S.E.=.047, C.R.=-.813,

p

=.416)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총 효과모형에서 엄격함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유의했지만 부분매개모형에서 엄격함,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 가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교사의 엄격함은 즐거움을 통해서만 수업참여의도, 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무용시간에 교사의 엄격함은 즐거움을 감소시키지만 이 즐거, , 움은 중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참여의도를 증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결과는 즐거움이 교사의 엄격함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한 다고 볼 수 있으므로 가설 5는 채택되었다.

(42)

논 의 V.

성별에 따른 평균비교 1.

본 연구의 목적에 기초하여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상호작용 무용에, 대한 태도 그리고 수업참여의도 수준이 남녀 중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사에 대한 근접성과 영향력 무용에 대한 유용. , 성과 즐거움 그리고 수업참여의도 수준에서는 남녀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 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동일한 질문지를 활용한 연구가 거의 없어 결과들을 비교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다만 몇몇 연구는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지각. , 된 교사 학생 상호작용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 다 예를 들어 조남홍. , (2008)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보다 교사 학생간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보다 더 긍정적이고 높게 인식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성별 차이는 일부 연구들에서도 알려져 있다 가령 한중구. , (2013) 의 연구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지만 다른 하위요인인 친밀감 개방, , 성 및 성실성 수준은 성별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형숙(2014)의 연구에서는 교사의 행동에 대한 친밀감과 신뢰감 부분에서 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하고 학년이 높은 경우와 사회무용을, 배운 학생들일수록 교사에게 높은 친밀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와 같이 동일한 질문지를 사용한 연구결과는 아니 지만 김주영, (2001)은 예술고 및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용에 대한 태도를 비교한 결과 일반 학생의 성별 무용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 가운, 데 무용에 대한 태도 사회적 경험 미적 경험은 남녀 학생들 간에 유의한, , 차이가 있었지만 건강과 체력 감정의 정화의 하위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

(43)

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는 초등학생들도 성별에 따라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수업참여의도 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조필환(2016)의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체육교사의 조화열정 교사 학생관계의 헌신, - 과 친근감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남자교사가. , 수업했을 때 초등학생들은 교사의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그리고 교사 학생, - 관계 중 헌신을 높게 지각함으로써 교사의 성별도 학생들의 지각에 많은 영 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연구대상에 따라 상이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대다수의, 연구는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교사의 대인간 행동을 친밀 또는 엄격하게 지 각하며 무용수업에 대한 태도와 수업참여의도 역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 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엄격하고 강요적. 인 행동보다는 학생들에게 친밀감과 배려심 그리고 책임감을 부여함으로써, 학생들이 무용 수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의도를 길러주는 것이 필 요하다고 하겠다.

무용태도의 매개효과 2.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무용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와의 상 호작용이 무용에 대한 태도를 통해서 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 석하기 위해 4개의 가설이 검증되었다.

그 결과 4개의 가설 중에서 교사에 대한 근접성이 즐거움을 통해 수업참 여의도에 미치는 경로와 교사의 영향력이 즐거움을 통해 수업참여의도에 미 치는 경로에서 정의적 태도인 즐거움이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44)

나타났다 따라서 각 가설의 분석결과를 간략히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보인. , 즐거움과 관련하여 주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이 유용성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근접성, 은 인지적 태도인 유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 유용성이 교사의 근접성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엄격함이 유용성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앞서와 같이 교, 사의 엄격함이 유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 유 용성이 교사의 엄격함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엄격함은 중학생들의 수업참 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유용성 지각을 통해서도 학생 들의 수업참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들 결과는 교. 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중학생들의 유용성 지각과 수업참여의도와 직접적 으로 관련이 있지만 중학생들이 지각한 유용성은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서라기보다는 중학생들이 무용수업에 대한 인지적 태도가 수업참여의도에 영 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은 즐거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근접성은 중학생들의 수업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무용에 대한 정서적 태도인 즐거움 지각을 통해서도 이들의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즐거움 지각이 교사의 근접성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 함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무용시간에 중학생들이 교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함으로 써 무용에 대한 즐거움이 촉진되고 무용 자체가 즐거운 수업활동이며 교사,

(45)

와의 긍정적인 대인관계로 인해 촉진된 즐거움이 중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참 여에 대한 의도를 증가시키는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 은 교사의 부정적인 대인간 행동에 속하는 교사의 영향력이 즐거움을 통해서 중학생들의 수업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다음의 가 설 5의 결과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넷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엄격함은 즐거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엄격함, 은 중학생들의 정서적 태도인 즐거움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서 학생들의 정서적 태도로서 즐거움 지각이 교사의 엄격함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엄격하고 부정적인 대인간 행동은 이 들의 수업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학생들이 무용수업, 자체에 대해 즐거운 수업으로 지각할수록 수업참여의도가 증가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긍정적. , 인 상호작용은 학생들의 무용수업 참여의도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지만 이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중학생들로 하여금 무용수업 자체가 매우 즐거운 수업이라 는 태도를 함양시킬수록 수업참여의도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결과 역시 동일한 변수들을 이용한 선행연구들이 없기 때문에 직접 비교할 수는 없지만 일부 연구들은 교사 학생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태도와, - 수업만족 또는 수업참여의도와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일례로 이형. , 숙(2014)의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무용수업 태도가 교사 학생간의 상호작- 용과 수업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영아(2015)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교사, - 학생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중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을 충족시켜 무용 수업 흥미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무용시간에 중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교사 학생 상호작용과 무용흥미도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46)

보여준다.

최근 신지혜(2013)도 무용을 전공하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제시한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무용학. 습태도가 무용 교사 학생간의 상호작용과 무용정서간의 관계를 매개함으로- 써 무용시간에 교사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서경험과 바- 람직한 학습태도를 길러주는데 중요한 예측변수임을 보여주었다.

신지혜(2013)의 연구결과는 초등학생들의 표현활동에 관한 구지은(2016) 의 연구에서도 일관되게 지지되고 있다 구지은. (2016)의 연구에서는 초등학 생들의 자기효능감이 초등학생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사의 행동과 수업참여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만 통제적 교수행동과 수업참여와의 관계에서 자기효, 능감은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무용시간에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인 행동, 은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참여의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무용 수업에 대한 긍 정적인 태도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더욱 무용 수업에 참여하려 는 의도를 촉진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점에서 무용교사. 는 엄격한 행동 대신에 학생들이 보다 더 친근하게 교사에게 다가올 수 있는 긍정적인 친화적인 행동을 보여주고 학생들이 무용 자체데 대해 즐겁고 유용 한 수업활동임을 인식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47)

결론 및 제언 .

결 론 1.

이번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에 의해 지각된 무용교사와의 상호작용이 학생 들의 무용에 대한 태도를 통해서 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에 두었다 남녀 중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된 5개의 연구 가설이 검증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의미 있는 결론이 도출 되었다, .

첫째 중, 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와의 상호작용 무용에 대한 태도, , 그리고 수업참여의도 수준은 남녀 중학생 간에 차이가 없다.

둘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의 근접성은 유용성을 통해 수업참여의, 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무용에 대한 인지적 태도로서 유용성, 지각은 무용교사의 근접성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다.

셋째 중학, 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의 근접성은 즐거움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를 촉진시킴으로서 정서적 태도인 즐거움 지각이 무용 교사의 근접성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의 엄격함은 유용성을 통해 수업참여의, 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무용에 대한 인지적 태도로서 유용성, 지각은 무용교사의 영향력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다.

다섯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의 엄격함은 즐거움을 통해서만 수업,

(48)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정서적 태도인 즐거움 지각이 무용교 사의 영향력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무용시간에 교사와 학생간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상호작용, 은 중학생들의 무용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태도발달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학생들에게 무용수업 참여의도를 촉진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결과는 무용교사가 학생들에게 심리적 압박과 강요 대신. 에 책임감부여와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 그리고 보다 더 많은 배려와 공감대, 형성이 학생들에게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 음을 시사한다.

제언 2.

이번 연구는 체육수업과는 별개로 무용수업을 운영하는 일부 중학교의 학 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교사 학생 상호작용은 중학. , - 생들에 의해 지각된 교사의 대인간 행동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실제 교사, 의 관점에서 접근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가령 무용교사가 학생들에게 친근. , 하고 배려심이 많은 교수행동을 하는 편이라고 생각하더라도 학생들은 무용, 교사의 행동에 대해 엄격하다고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무용교사의 관점에서 학생들에 대한 대인간 행동유 형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그 이유는 수업시간에 교사와. 학생이 서로 다른 목표를 추구하기 때문이다(den Brok, Levy, Rodriguez, 뿐만 아니라 교사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이유

& Wubbels, 2002). -

중 하나는 해당 과목에 대한 태도형성과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최근 정명수와 박중길(2012)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체육시간에

(49)

H중학생들의 지각된 체육교사와의 상호작용적 행동은 체육교사와 학생의 성별에 따라 다르고 이러한 차이는 중학생들의 체육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무용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항상 교사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도록 충분히 의사소통을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왜. 냐하면 학생들의 수업행동에 대해 항상 협력적인 교사의 행동은 학생들에게 체육이 즐겁고 유용하다는 생각을 갖게 하지만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적대, 적이며 지배적인 행동은 체육이 즐겁지도 유용하지도 않다는 부정적인 생각 을 갖도록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직업교육 환경의 사회적・정책적 변화에 따 라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자질을 규명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Golombek(1998)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의 영어 발음 관련 정확성과 유창 성 증진의 교육적 과제 수행에 있어서 ‘학생들의 발음 영역을 지나치게 강 조하지 말고,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에 대한 부모의 교육적 지원이 중학생들의 무용흥미 를 증진시키고 무용에 대한 증진된 흥미가 이들의 수업지속행동에 긍정적인 , 영향을

셋째,지체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한 현행 치료지원의 가장 큰 문제점은 치 료지원 관련 전문가와 교사의 관심과 이해 부족이다.치료사 인력구축에 있 어서는 치료사의

한국유아교육학회(1996)는 이야기나누기를 유아교육기관의 교육활동의 일부분 으로 교사와 유아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으로 정의하였다. 뿐만

이 과정에서 육아지원인력의 전문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교사와 보육 교사의 수요와 공급 현황을 파악하여 수급이 적절한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출산. 율의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과 학습영역 중 표현활동에 대한 중학생의 기대가치 지각이 내적 동기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과제 지속행동에 정적인 영 향을

- 교사연구회를 통해 다양한 강의세미나, 현장워크숍 등을 기획·진행하여 교사의 STEAM 수업 역량을 제고했을 뿐 아니라 STEAM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