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관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60)

교사 학생 상호작용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에서 무용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전에 5개 잠재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분석 결과는 표 에 제시되었다 표 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교사의 긍정적인 대인간

< 6> . < 6> ,

행동으로서 근접성은 무용태도의 하위척도인 유용성(

r

=.20)과 즐거움 (

r

=.65) 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낸 반면에 교사의 부정적인 대인간 행동으, 로서 엄격함은 유용성(

r

=-.34)과 즐거움(

r

=-.31) 간에 부적인 상관을 보였 다 또한 무용태도 중에서 유용성과 즐거움은 참여의도 사이에 각각. -.27과 로 부적 관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업참여의도는 근접성과 정적으로

-.11 .

관계가 있지만(

r

=.64), 엄격함과는 부적으로 관계를 보였다(

r

=-.27). 일반 적으로 변인간의 상관이 .70 이상인 경우 다중공선성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지만 즐거움과 참여의도간의 상관계수는 허용범위인, .80 이하의 계수를 보 여 이들 두 변수간의 관계가 매우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결과는 교사로부터 지각된 근접성은 무용태도인 유용성과 즐거 움 그리고 수업참여의도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고 교사로부터 지각된 엄, , 격함은 무용태도의 하위척도와 수업참여의도 사이에 부적인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에 연구모형에 설정된 각 경로 간의 방향성은 대체로 일치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 수 1 2 3 4 5

1. 근접성 1

엄격함

2. -.40 1

유용성

3. .20 -.34 1

즐거움

4. .65 -.31 -.09 1

참여의도

5. .64 -.27 -.11 .71 1

p <. 01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4.

연구모형 평가 1)

무용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정된 4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전 에 연구모형에 설정된 각 경로의 통계적 유의성과 방향성을 평가하였다 구. 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χ =3044.99,

df

=1217,

p

=.001, Q=2.50, TLI=.906, CFI=.911, RMSEA=.069로 주요 지수가 모두 기준치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연구모형에 설정된 각 경로간의 통계치가 검토되었다, . <표 8>에 각 경로간의 비표준화 계수(Estimate), 표준오차(S.E), 기각역(C.R), 유의수 준(P), 그리고 표준화 계수(SRW)가 제시되어 있다.

경 로 Estimate S.E C.R P SRW

근접성 → 유용성 .181 .124 -1.45 .145 .088

엄격함 → 즐거움 -.053 .045 -1.18 .238 -.057

근접성 → 즐거움 .884 .094 9.38 .001 .675

엄격함 → 유용성 -.491 .093 5.27 .001 -.335

유용성 → 수업참여의도 .027 .030 -.89 .371 .038 즐거움 → 수업참여의도 .850 .068 12.54 .001 .749

표 8.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표 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개의 경로 중에서 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 8> , 6 3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근접성( → 유용성 엄격함, → 즐거움 유용성, 수업참여의도). 반면에 나머지 3개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근(

접성 → 즐거움 엄격함, → 유용성 즐거움, → 수업참여의도). 이들 3개의 경 로는 연구모형에 설정된 것처럼 모두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그림 는 위의 결과를 그림으로 제시한 것이며 제시된 값은 모두 비표

< 2> ,

준화 계수들이다 그림에서 보듯이 다중상관자승 값을 보면 유용성은 선행. , 변수들에 의해 14%가 설명되었고 즐거움은 선행변수들에 의해, 49%가 설 명되었다 그리고 수업참여의도는 지각된 교사 학생 상호작용 및 무용태도. -의 하위요인들에 -의해 약 57%가 설명되었다.

그림 2.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한 표준화 경로계수( p<.001)

무용태도의 매개효과 검증 2)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는 매개변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교사 학생 -상호작용이 태도를 통해 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bootstrapping이 실시되었다 표본크기는. 1,000명으 로 설정되었으며 그 결과는, <표 9>에 제시되었다.

모형 간접

효과 S.E. P bootstrap 매개 하한선 상한선 효과

근접성 유용성 수업참여의도→ → .049 .032 .009 .013 .125 기각 근접성 즐거움 수업참여의도→ → .784 .124 .002 .583 .995 부분매개 엄격함 유용성 수업참여의도→ → -.056 .030 .007 -.121 -.021 기각 엄격함 즐거움 수업참여의도→ → -.263 .070 .003 -.383 -.156 완전매개

표 9.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위의 <표 9>에서와 같이, 4개의 모형에 대한 간접효과는 모두 .01 수준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모형별로 총 효과모형. ,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설정하고 4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2(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은 유용성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 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총 효과모형 근접성 수업참여의도 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 ) .970(S.E.

=.092, C,R.=10.547,

p

=.001)이었다. 완전 매개모형에서는 근접성→유용 성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474(S.E.=.122, C.R.=3.889,

p

=.001), 유용성

수업참여의도 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104(S.E.=.042, C.R.=2.454,

p

=.014)로 모두 유의하였다 부분매개모형에서는 근접성. →유용성간 비표준 화 경로계수가 .466(S.E.=.122, C.R.= 3.829,

p

=.001), 유용성 수업참여→ 의도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007(S.E.=.034, C.R.=.215,

p

=.830), 그리 고 근접성 수업참여의도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973 (S.E.=.093, C.R.=10.411,

p

=.001)이었다.

따라서 총효과 모형과 부분매개모형에서 근접성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 화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지만 부분매개모형에서 유용성, →수업참여의도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근접성이 유용성을 통해 수업참, 여의도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유용성이 근접성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설, 2는 기각되었다.

가설 3(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은 즐거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을 검증하기 위해 위의 방법) 과 동일한 방식대로 일련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먼저 총효. , 과 모형에서 근접성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동일하고 완전→ , 매개모형에서는 근접성 즐거움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915(S.E.=.092,→ C.R.=9.911,

p

=.001), 즐거움→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856(S.E.=.067, C.R.= 12.691,

p

=.001)로 모두 유의하였다. 부분매개모 형에서는 근접성→즐거움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897(S.E. =.092, C.R.=9.758,

p

=.001), 즐거움→수업참여의도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625(S.E. =.074, C.R.=9.758,

p

=.001), 그리고 근접성→수업참여의도간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412(S.E.=.088, C.R.=4.663,

p

=.001)으로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총 효과모형과 부분매개모형에서 근접성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 화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고 부분매개모형에서 근접성,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412)가 총 효과모형의 비표준화 경로계수(.970)보다 감 소되었기 때문에 무용에 대한 즐거움이 근접성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즐거움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 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즐거움이 근접성과 수업참. 여의도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한다는 점에서 가설 3은 채택되었다.

가설 4(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엄격함은 유용성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 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먼저 총 효과모형에서 엄격함. , →수업참여의도간 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296(S.E.=.063, C.R.=-4.721,

p

=.001), 완전 매개모형에서는 엄격함 유용성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546(S.E.=.087,→ C.R.=6.277,

p

=.001), 유용성→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012(S.E.=.042, C.R.=-2.417,

p

= .016)로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였다.

부분매개모형에서는 엄격함 유용성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544(S.E.=

.087, C.R.=6.254,

p

=.001), 유용성→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 가 -.029 (S.E.= .044, C.R.=-.658,

p

=.511), 그리고 엄격함 수업참여→ 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279(S.E.=.067, C.R.=-4.170,

p

=.001) 이었다.

따라서 총 효과모형 및 부분매개모형에서 엄격함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 준화 경로계수가 둘 다 유의하지만 부분매개모형에서 유용성→수업참여의도 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교사의 엄격함이 유용성을, 통해 수업참여의도에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 교사의 엄격함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에서 유용성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 지 않기 때문에 가설, 4는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설, 5(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근접성은 즐거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를 검증하기 위) 해 일련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먼저, 총 효과모형에서 엄격함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으로 유의하였고 완전 매개모형에서는 엄격함 즐거움간의 비표준화

-.296 , →

경로계수는 -.314 (S.E.=.058, C.R.=-5.422,

p

=.001), 즐거움 수업참여→ 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837(S.E.=.067, C.R.=12,525,

p

= .001)로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였다.

부분매개모형에서는 엄격함 즐거움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312(S.E.=

.058, C.R.=-5.398,

p

=.001), 즐거움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 수는 .823(S.E.= .069, C.R.=11.986,

p

=.001)으로 유의한 반면에 엄격함,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039(S.E.=.047, C.R.=-.813,

p

=.416)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총 효과모형에서 엄격함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유의했지만 부분매개모형에서 엄격함, →수업참여의도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 가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교사의 엄격함은 즐거움을 통해서만 수업참여의도, 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무용시간에 교사의 엄격함은 즐거움을 감소시키지만 이 즐거, , 움은 중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참여의도를 증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결과는 즐거움이 교사의 엄격함과 수업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한 다고 볼 수 있으므로 가설 5는 채택되었다.

논 의 V.

성별에 따른 평균비교 1.

본 연구의 목적에 기초하여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상호작용 무용에, 대한 태도 그리고 수업참여의도 수준이 남녀 중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사에 대한 근접성과 영향력 무용에 대한 유용. , 성과 즐거움 그리고 수업참여의도 수준에서는 남녀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 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동일한 질문지를 활용한 연구가 거의 없어 결과들을 비교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다만 몇몇 연구는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지각. , 된 교사 학생 상호작용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 -다 예를 들어 조남홍. , (2008)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보다 교사 학생간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보다 더 긍정적이고 높게 인식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성별 차이는 일부 연구들에서도 알려져 있다 가령 한중구. , (2013) 의 연구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지만 다른 하위요인인 친밀감 개방, , 성 및 성실성 수준은 성별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형숙(2014)의 연구에서는 교사의 행동에 대한 친밀감과 신뢰감 부분에서 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하고 학년이 높은 경우와 사회무용을, 배운 학생들일수록 교사에게 높은 친밀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와 같이 동일한 질문지를 사용한 연구결과는 아니 지만 김주영, (2001)은 예술고 및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용에 대한 태도를 비교한 결과 일반 학생의 성별 무용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 가운, 데 무용에 대한 태도 사회적 경험 미적 경험은 남녀 학생들 간에 유의한, , 차이가 있었지만 건강과 체력 감정의 정화의 하위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

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는 초등학생들도 성별에 따라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수업참여의도 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조필환(2016)의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체육교사의 조화열정 교사 학생관계의 헌신, -과 친근감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남자교사가. , 수업했을 때 초등학생들은 교사의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그리고 교사 학생, -관계 중 헌신을 높게 지각함으로써 교사의 성별도 학생들의 지각에 많은 영 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연구대상에 따라 상이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대다수의, 연구는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교사의 대인간 행동을 친밀 또는 엄격하게 지 각하며 무용수업에 대한 태도와 수업참여의도 역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 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엄격하고 강요적. 인 행동보다는 학생들에게 친밀감과 배려심 그리고 책임감을 부여함으로써, 학생들이 무용 수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의도를 길러주는 것이 필 요하다고 하겠다.

무용태도의 매개효과 2.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무용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와의 상 호작용이 무용에 대한 태도를 통해서 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 석하기 위해 4개의 가설이 검증되었다.

그 결과 4개의 가설 중에서 교사에 대한 근접성이 즐거움을 통해 수업참 여의도에 미치는 경로와 교사의 영향력이 즐거움을 통해 수업참여의도에 미 치는 경로에서 정의적 태도인 즐거움이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6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