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조작적 정의와 조정변수 중심으로

김 희 경

1

· 고 윤 우

2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조교수1,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박사과정생2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Resilience in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Focusing on Operational Definitions and Moderators

Kim, Hee Kyung

1

· Ko, Yoonwoo

2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Sangji University, Wonju

2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Nursing,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operational definitions and moderators of the resilience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COA) and its associated variables. Methods: This integrative review was condu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method suggested by Whittemore and Knafl. Databases including PubMed, CINAHL, PsycINFO, and RISS were searched using the combinations of search terms such as;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parental alco- holism,’ ‘resilience,’ and ‘children of alcoholics.’ Results: Seventeen studies were selected for this review. Findings of integrative reviews reported operational definitions for the resilience of ACOA and moderators.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ACOA’s resilience is: (1) having no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 (2) meeting social and devel- opmental expectancies, (3) having the ability to cope with adversity, (4) having high self-concept, and (5) having a meaningful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varying environmental moderators include family communication, qualities of caring environment, parental communication, parentification, and social support. Several moderators were identi- fied as positive effect, self-esteem, alcohol-specific coping style, locus of control, spirituality, the image of God, and dyadic cohesion in marital communication. Conclusion: Our study findings emphasiz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iverse definition of resilience and moderators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resilience in ACOA.

Key Words: Resilience, Psychological; Adult children; Alcoholism; Review

주요어: 심리적 극복력, 성인자녀, 알코올중독, 문헌고찰

Corresponding author: Kim, Hee Kyung https://orcid.org/0000-0002-3591-2507

Department of Nursing, Sangji University, 83 Sangjidae-gil, Wonju 26339, Korea.

Tel: +82-33-738-7626, Fax: +82-33-738-7620, E-mail: kheekyung@sangji.ac.kr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 (NRF- 2017S1A5B5A07058523).

Received: Jan 20, 2019 | Revised: Feb 20, 2019 | Accepted: Mar 12, 2019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연구의 필요성

2016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16~64세의 알코올 사용 장애 평생 유

병률은 12.2%이며[1],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만 19 세 이상 남자의 고위험 음주율이 21.2%, 월간 폭음률이 52.4%

로 보고되었다[2]. 우리나라의 알코올 사용 장애는 심각한 사 회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중독자 개인뿐만 아니라 배우자와 자녀를 비롯한 가족 구성원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질 환의 특성상 가정의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자녀의 경우

(2)

부모의 술 문제로 인해 쉽게 악영향을 받게 되어 알코올 중독자 가정에서 성장한 자녀들은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집단으로 여 겨져 왔다[3]. 따라서 부모의 알코올 사용 장애로 여러 가지 적 응상의 문제를 나타낼 수 있는 자녀들을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 녀(adult children of alcoholics)로 분류하기도 한다. 국내에 서도 “알코올 중독자 가정의 자녀로서 역기능적인 가족 체계 로 인해 성인 역할 부담의 문제를 안고 있는 조숙한 아동 및 청 소년 자녀나 과거 아동기의 미해결된 문제를 갖고 있는 미숙한 성인자녀”(125 p.)라고 정의하고 있다[3].

이들에 대한 국가 전체의 통계나 조사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 은 없지만,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35.4%

가 부모의 음주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보고하고[4], 대학생 중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비율은 22.0~29.0%인 것으로 보고 되어 왔다[5,6]. 국외의 경우에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서 20.0%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인 것으로 나타났고[7], 알코올 중독자 자녀에 관한 종단 연구에서 알코올 중독자 자녀 중 여성 이 25.0%를[8] 차지하며, 부모의 알코올 사용 장애 문제로 취약 성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자녀들이 20.0% 이상인 것으로 나타 났다. 이들은 일반 가정 자녀들보다 높은 우울, 불안, 공격성 및 낮은 자존감 등의 특성을 나타내며 학업과 가족 간의 문제가 있 고[9] 즉각적 만족과 충동적 욕구를 과도하게 추구 등의 불안정 한 모습을 나타낸다[3]. 또한, 약물 남용 문제를 포함하여[10], 대인관계의 어려움 및 부적응 등의 부정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9]. 그러나 알코올 중독자 자녀 모두 병리적이거나 부정적인 특성을 보이는 것은 아니며 건강하게 적응하는 자녀들도 있다는 연구결과들[11,12]과 함께 개인이 가진 극복력(resilience)의 차이에 따라 다른 적응 수준을 보인 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12].

국내에서도 알코올 중독자 가정 자녀의 긍정적인 변수들을 고려하면서 알코올 중독자 가정 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극복력이란, 삶의 역경이나 위기를 경험한 후 다 시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능력 [13]으로, 인간이 누구나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크고 작은 시련 과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고 반응하며 견뎌내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개인의 기질적, 환경적 특성에 따라 다르며, 개인 의 적응 수준의 차이가 개인의 극복력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 고 있다[12]. 극복력은 질병 모델에 근거하여 대상자를 취약한 대상으로만 바라보던 관점에서 벗어나 개인이 가진 자원과 강 점에 초점을 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에 대해서도 그들의 부적응적인 문제들을 밝 혀내고 개입해야 할 대상으로 바라보던 것과 함께 부적응을 보

이지 않고 잘 성장한 자녀들까지도 관심을 갖도록 하는 패러다 임이 변화하고 있다.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는 가족 내에서 끊임없이 심각한 스 트레스와 위기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반 가정의 자 녀들에 비해 높은 극복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들이 성장발달 과정에서 미해결된 발달 과제를 가지고 성인기 에 전환하게 되어 알코올 중독의 대물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에 대한 개입은 필수적이 다. 극복력은 대상자들에 대한 강점 중심의 접근으로 만성적인 질병을 포함한 반복되고 지속되는 건강상의 위기를 극복하도 록 하는 간호의 기본 철학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고, 예방적 차 원의 정신간호 실무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대상자 들의 극복력과 관련된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여 극복 력을 강화시키는 중재를 적용하고 대상자들의 극복력 증진 효 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이 존재한다는 것 이 밝혀진 이후, 관련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주로 진행되 었고,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의 속성을 탐색하거나 부모의 알코올 중독의 영향을 완화하는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14,15]. 또한, 극복력에 대 한 개념분석을 위한 연구들이 시도되었지만[13], 국내에서는 극복력, 적응 유연성, 회복력 등 다양한 용어가 혼재되어 사용 되고 왔다. 특히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정의 나 속성에 대한 탐색은 미흡한 부분이 있어, 근거에 기반한 중 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본 현상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관련 변 수를 명확히 하고, 중재를 위한 변수를 분류하는 것이 필요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관련 변수를 명확히 파악하고, 관련 변수 중 조정이 가능한 변수를 파악하여 추후 이들의 극복력 증진을 위한 중재 개발 및 연구와 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국 ‧ 내외 문헌 에 사용된 조작적 정의를 파악한다.

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관련 변수를 파 악한다.

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 증진을 위한 중재 내용 에 포함해야 할 조정변수를 파악한다.

(3)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국내 ․ 외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 한 연구를 분석하여 이들의 극복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관련 변수를 고찰하는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통합적 문헌고찰 은 Whittemore와 Knafl [16]의 통합적 문헌고찰 5단계인 연구 문제, 문헌 검색, 문헌 평가, 문헌 분석, 결과 제시의 순으로 진 행하였다.

2. 연구문제

연구문제는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조작 적 정의와 관련 변수는 무엇이고, 관련 변수 중 조정이 가능한 변 수는 무엇인가?’이다. 연구질문은 PICo strategy (P: Patient or problem, I: Intervention, Co: Context)에 따라 P는 알코올 중 독자 자녀(children of alcoholics) 또는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 녀, I는 극복력, Co는 부모의 알코올 중독(parental alcoholism) 으로 구성하였다.

3.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연 구의 희소성을 고려하여 발표 년도를 제한하지 않고 국내 및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검색하였다. 국내 검색엔진 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국내 ‧ 외 학술정보를 제공하는 학 술연구 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사용하였고, 국외 검색엔진은 미국국립의학도서관에 서 생명 의학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MEDLINE, 간호 및 보건 분야의 논문을 제공하는 Cumulative Index to Nursing &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미국심리학회에서 심 리학 분야의 자료를 제공하는 PsycINFO를 이용하였다.

문헌 검색을 위해 국내 검색엔진 RISS에서는 ‘알코올 중 독자 자녀’, ‘극복력’, ‘적응 유연성’, ‘회복력’의 검색어를 조 합하여 총 6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국외 검색엔진에서는

‘resilience’,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children of alcoholics’, ‘parental alcoholism’을 AND와 OR로 조합하여 총 223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문헌의 선정기준은 부모의 알코올 중독의 문제를 가진 자녀 의 극복력에 대한 연구 중 영문이나 국문으로 작성되고 전문

(full text)을 확보할 수 있는 문헌이었으며, 알코올을 제외한 다른 물질 중독인 경우와 학위논문은 제외하였다. 국내 ‧ 외 검 색엔진에서 검색된 229편의 문헌에서 41편의 중복 문헌이 제 거되었고, 이 중 2인의 연구자가 논문의 제목을 검토하여 연 구 질문과 상관없는 45편의 문헌과 전문을 확보할 수 없는 문 헌 21편을 제거하였다. 이후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제외 기준에 따라 연구대상자가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감염, 성폭력 등과 관 련된 다른 대상자인 경우 23편, 학위논문 46편, 문헌고찰 논문 4편, 그리고 질적 연구 1편이 제거되어 1차로 48편의 문헌이 선 정되었다. 선정된 48편의 문헌을 초록, 전문 검토를 통해 31편 을 제거하고 최종 17편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각 문헌의 참고 문헌을 확인하고 Google 학술검색을 이용하여 수기 검사를 시 행하였으나 추가된 연구는 없었다(Figure 1).

4. 자료분석

자료분석은 문헌고찰을 통해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 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관련 변수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 다. Whittemore와 Knafl [16]는 각 자료의 통합을 위해 범주화 하여 자료를 추출하여 매트릭스로 제시하도록 하였으며, 매트 릭스에는 각 범주의 자료들이 모두 제시되어 있고 반복적으로 비교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종 선정된 논 문 17편을 저자, 국가, 게재 연도, 부모의 알코올 문제 사정 방법, 연구설계, 표본, 표본의 평균 나이, 표본의 수, 독립변수, 종속변 수 순으로 분석하였다(Table 1). 범주별로 추출한 내용을 연구 자 간에 충분한 논의를 통해 여러 차례 확인하여 공통된 합의를 도출하였고, 자료를 통합하여 결과가 도출된 후 원자료를 다시 검토하여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정된 문 헌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 한 조작적 정의 또는 종속변수를 도출하고, 극복력에 영향을 주 는 환경적, 개인적 관련 변수로서 독립변수를 분류하였으며, 알 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 증진 중재 개발을 위해 관련 변 수를 변화가 가능한 것과 변화가 어려운 것으로 구분하였다.

연 구 결 과 1. 선정논문의 질 평가 결과

최종 선정된 논문에 대한 문헌 평가는 상관관계 연구 평가를 위해 Thompson 등[17]에 의해 제시된 기준을 이용하였다. 이

(4)

Total search results: n= 229

MEDLINE: 30 RISS: 6 PsycINFO: 157 CINAHL: 36

Removal of duplicates: n= 41

Records after duplicates removed: n= 188

188 Records screened by title

122 Records screened by title and abstract

Excluded: n= 66 - Not related (n= 45)

- Not accessible to full text (n= 21)

Excluded: n= 74

- Other targets (AIDS, Sexual abuse etc.) (n= 23) - Dissertation (n= 46)

- Qualitative (n= 1) - Review (n= 4)

Full text articles assessed for eligibility (n= 48) Excluded: n= 31

- Did not meet the eligibility

Full text articles assessed for eligibility (n= 48)

Figure 1. Flow diagram of study selection.

도구에서 제시하는 질 평가의 4개 영역은 신뢰도(reliability) 와 타당도(validity)가 검증된 측정(measurement) 방법을 사 용하였는지, 실제적, 임상적 중요성(significance), 분석상의 오류(common analytic mistakes)를 피했는지, 그리고 신뢰 구간(confidence intervals)을 제공 하였는지에 대해 최대 4점 척도로 평정되었다[17](Table 2).

연구자 2인은 각 항목에 대해 4개의 영역을 모두 만족하는 경 우 4점을 부여하고, 1개의 영역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3점, 1 개의 영역을 부분적으로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3.5점을 부여하 여 평가하였으나, 선정된 모든 문헌에서 신뢰구간을 보고하지 않고 있어 이 영역은 유의수준(p-value) 제시 여부로 대체하여 판단하였다. 5편의 연구는 사용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 고하지 않았고[9,11,18-20], 1편은 부분적으로 보고하였으며 [21], 나머지 11편의 연구는 사용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고하였다[4-8,22-27]. 선정된 17편의 연구는 모두 신뢰구간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유의수준을 제공하였으며, 연구목적에 적 합한 분석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 질문을 적절하게 기술하였 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자 2인의 평가 결과는 94.0% 일치하였고, 불일치되는 부분은 2인의 연구자가 논의하여 최종 결정하였다.

2. 선정문헌의 일반적 특성

최종 선정된 논문 17편은 논문의 특성을 각 논문별로 살펴 보면, 16편이 양적 연구였고[4-9,11,18-23,25-27], 1편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함께 사용하였으며[24], 이 중 4편이 종단 연구(longitudinal study) 진행 중 일부 대상자 집단(subset) 을 분석한 연구였다[8,11,19,25]. 출판 년도는 1986년부터 2017 년까지였으며, 2000년 이전 문헌이 3편[8,9,11],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문헌이 9편[4,18-22,24-26], 마지막으로 2010년 이 후의 문헌이 5편이었다[5-7,23,27]. 연구대상자의 나이가 18세 이하인 알코올 중독자 자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4,11,18, 20,22,23,25], 19세 이상인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를 대상으 로 한 연구가 10편이었다[5-9,19,21,24,26,27]. 단, 종단연구의 경우 11~17세, 16~20세를 추적한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을 기준으로 알코올 중독자 자녀와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 녀로 분류하였고, 2~18세를 추적한 두 개의 연구에서 1편은 대 상자가 18세가 되었을 때 상태를 분석하여 알코올 중독자 자녀 로[11], 다른 1편은 30세인 대상자의 상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로 포함하였다[19]. 연구대상자 수는

(5)

Table 1.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tudies

Authors (year)

/Country Parental alcoholism

assesses Design TP/mean age/

sample size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Haverfield et al.

(2017) [23] /USA Alcohol use disorder Longitudinal &

quantitative COA/14.80/30

Parents/46.62/30 Parental communication of

responsiveness; control Adolescent emotion regulation;

adolescent impulsivity Haverfield et al.

(2016) [27] /USA 3-items of self-reporting

questions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ACOA/47.96

/622 Topic avoidance about

alcoholism; 3 types stigma covariates

Resilience; depression;

self-esteem

Drapkin et al.

(2015) [7] /USA SMST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ACOA/19.20

/465 Alcohol-specific coping styles Psychosocial functioning:

depression, life events, alcohol problem, and parental contact Lee et al. (2013) [6]

/South Korea CAST-K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ACOA/no

report/415 Parent and peer attachment;

god image Resilience

Kim et al. (2011) [5]

/South Korea CAST-K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ACOA/21.20

/459 Social support; self-esteem;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Resilience

Heitzeg et al.

(2008) [18] /USA Questions extracted from an ongoing longitudinal study of families with parental alcoholism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COA/17.80/28 AUD risk; externalizing

behavior Brain response (neural

activation)

Kim (2008) [26]

/South Korea CAST-K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ACOA/18~27

(range)/820 Locus of control; spirituality;

parental attachment; social support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Lee et al. (2008) [4]

/USA CAST-K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COA/14.40/482 Parental problem drinking;

internalizing behaviors;

eternalizing behaviors

Adolescent's resilience

Hall (2007) [24]

/USA CAST-6 Cross-sectional and

multi-method (qualitative &

quantitative)

ACOA/20~44 (median age) /128

Parental alcohol problem;

kinship social support Coping responses; self-esteem

Hall et al. (2007)

[21] /USA CAST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ACOA/20 (median age)

/354

Multiple stressor; traumatic

symptom Subsequent adjustment;

resiliency

Barrera et al. (2004)

[22] /USA SMST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COA/12.94/234 Ethnicity; gender Parents' problem drinking;

conduct problems; depression;

anxiety; psychological distress composite

Carle et al. (2004)

[25] /USA Computerized version of the DIS (based on DSM-III)

Longitudinal &

quantitative COA/14.20/417 Internalizing symptom;

positive affect Competence (social, conduct/

rule abiding, and academic)

Godsall et al.

(2004) [20] /USA CAST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COA/14.10/377 Parental alcohol misuse;

parentification Self-concept Werner et al. (2004)

[19] /USA Longitudinal study

follow up questions Longitudinal &

quantitative ACOA/30~32 (range of median age)

/65

Locus of control; 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

temperament; relationship;

happy or satisfied with life

Coping problem; the divorced, criminal record; mental and chronic health problems;

dying in young adulthood Jennison et al.

(1997) [8] /USA Questions on familial

alcoholism Longitudinal &

quantitative ACOA/27~35

(range)/4,235 Dyadic cohesion in marital communication; family history of parental alcoholism

High risk drinking

Hinz (1990) [9]

/USA Single question asking whether a parent had or currently have a pro- blem with alcohol use

Cross-sectional &

quantitative ACOA/23.90

/419 Parental alcohol problem;

gender; age Interpersonal anxiety;

depression/dysphoria;

academic skills; family problems

Werner (1986) [11]

/USA Interview with primary

caretaker Longitudinal &

quantitative COA/2~18

(range)/49 Pre-perinatal stress; quality of the caregiving environment;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al stimulation;

emotional support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ACOA=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UD=alcohol use disorder; CAST=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 CAST-K=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 COA=children of alcoholics; DIS=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DSM-III=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III;

SMST=Short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6)

Table 2. The Quality Appraisal of the Selected Studies

Authors

(year) Summary of the study findings Measurements Analysis CI Quality

appraisal Haverfield

et al.

(2017) [23]

Parental responsiveness may be more important for promoting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than it is for tempering their behavioral impulsivity.

Responsiveness and control (parent);

Emotion regulation; Impulsive behavior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N 4

Haverfield et al.

(2016) [27]

Positive aspect stigma as a unique form of stigma that reflects the ways in which individuals are strengthened from having suffered hardship.

Topic avoidance about alcohol (4 questions);

stigma scale/CES-D (depression scale);

self-esteem/resilience scale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N 4

Drapkin et al.

(2015) [7]

ACOA are not necessarily adversely affected by having a parent with an AUD and the potential of alcohol-specific coping strategies to predict psychosocial outcomes in college non-ACOA.

AUDIT; BDI-II; LES; CQ Factor analysis;

MANOVA; t-test;

chi-squared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N 4

Lee et al.

(2013) [6] ACOA group showed lower significance for attachment to parents, 'acceptance' (sub-variables of God's image) than non-ACOA group.

IPPA; Resilience scale; GIA Pearson correlation;

t-test; regression N 3

Kim et al.

(2011) [5]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resilience in ACOA.

MSPSS (social support); self-esteem;

FACES T-test/chi-squared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OVA/regression

N 3.5

Heitzeg et al.

(2008) [18]

The pattern observed in the resilient COA represents an active emotional monitoring function, which may be a protective factor in this group.

YSR; fMRI task; MRI–Brain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MANOVA; ANCOVA;

Pearson correlation N 3

Kim (2008)

[26] Parent's alcoholism carries negative effects on four dimensions of college adjustment and the moderators buffering between parent's alcoholism and college adjustment are spirituality, attachment.

Rotter's locus of control; INSPIRIT; IPPA;

MSPSS (social support) T-test/VIF;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N 4

Lee et al.

(2008) [4] Resilienc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Hong's problem behavior profiles;

adolescent resilience scale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N 4 Hall (2007)

[24] Coping styles appear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effects of ACOA's self-esteem and the kin network is protective factor.

Self-esteem; CRI; kinship social support

scale T-test;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N 4

Hall et al.

(2007) [21] ACOA who experienced further traumatic events had more difficulty demonstrating and taking the initiative in coping with life stressors.

TSI; HRS MANOVA; ANOVA N 4

Barrera et al.

(2004) [22]

This study adds to the evidence that adolescent girls

show greater vulnerability to life stress than boys. MESA; CBCL; CDI; RCMAS; YSR T-test/Chi-squared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N 4

Carle et al.

(2004) [25] Efforts to encourage competent performance in ACOA should be associated with decreased internalizing symptom and increased positive affect.

CBCL;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competence scale & range achievement test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N 4

Godsall et al.

(2004) [20] Parentification plays either a mediating or primary

role in children's self-concept. Piers-Harris Self-concept scale for

children; PQ-Y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N 3 Werner

et al.

(2004) [19]

Our research shows that protection factors affect the process of life for children growing up under vulnerable conditions. And except for the most persistent disadvantages, all propose a perception of the tendency to move children toward normal adult development.

Caregivers' perceptions of the children's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

Nowicki Locus of control scale; EAS;

temperament survey for adult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N 3.5

Jennison et al.

(1997) [8]

Positiv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atterns effectively moderated the direct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parental alcoholism and subsequent risk behavior for women ACOA.

Self-reported frequency and quantity

estimates; DAS; MCS Regression N 3

Hinz (1990)

[9] College student ACOA may be functioning well academically they represent a population at risk for developing other psychological problems.

Eight hundred need assessment (19

personal problem areas) Chi-squared statistics;

factor analysis;

MANOVA

N 4

Werner

(1986) [11] Children of alcoholics who developed no serious coping problems by age 18 differed from those who did in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communica- tion skills, self-concept and locus of control.

Assessment of the home environment;

Cattell infant intelligence test; PMA;

CPI; SCAT

Discriminant analysis N 3

ACOA=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UD=alcohol use disorder; AUDIT=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BDI-II=Beck Depression Inventory-2;

CBCL=Child Behavior Checklist; CDI=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I=confidence interval;

COA=children of alcoholics; CPI=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 CQ=Coping Questionnaire; CRI=Coping Responses Inventory; DAS=Dyadic Adjustment Scale; EAS=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 FACES=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fMRI=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GIA=God Image Assessment; HRS=Hall Resiliency Scale; INSPIRIT=Index of Core Spiritual Experiences; IPPA=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LES=Life Experience Survey; MCS=Marital Communication Scale; MESA=Multicultural Events Schedule for Adolescents; MSPSS=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N=no report; PMA=Primary Mental Abilities Test; PQ-Y=Parentification Questionnaire-Youth; RCMAS=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SCAT=School and College Ability Test; TSI=Trauma Symptom Inventory; YSR=youth self-report.

(7)

Operational definition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COA)’

resilience 4. Having high self-concept (n= 4)

a. Self-concept, self-esteem b. Satisfaction, happiness

5. Having meaningful relationship (n= 2) a. Kinship network

b. Social support 1. Having no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 (n= 9)

a. Substance or alcohol problem (high risk and addiction) b. Delinquency, impulsivity c. Depression, anxiety

2. Meeting social and developmental expectancies (n= 6)

a. Competence performance : social competence, rule abiding,

academic achievement b. Individual competence : autonomy, initiative, trust

3. Having ability to cope with adversity (n= 6)

a. Ability to maintain life balance b. Positive outlook

c. Achievement orientation d. Locus of control, emotional

regulation

Figure 2. Operational definition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COA)' resilience.

28명부터 가장 많은 4,535명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는데, 100명 이하가 4편[11,18,19,23], 100명에서 399명 사이가 4편 [20-22,24], 400명에서 499명까지가 6편[4-7,9,25], 622명[27], 820명[26], 4,235명[8]이 각 1편씩이었다. 이들 연구대상자 중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비율은 15.8%부터 100%까지인 것 으로 나타났고, 100%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인 경우는 종단 연구의 표본을 사용한 3편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진행한 연구 중 가장 높은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비율은 51.8%[25], 가장 적은 비율은 15.8%였다[9].

대부분의 양적 연구는 질문지를 사용하였고(n=16)[4-9,11, 18-20,22-27],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혼합하여 사용한 연구 는 질문지에 대상자 면담을 더하였다(n=1)[21]. 7편의 연구는 알코올 중독자 자녀를 선별하기 위해 알코올 중독자 자녀 선별 검사(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를 사용하였고 [4-6,20,21,24,26], 1편의 연구에서는 부모의 알코올 중독 진단 에 근거하여 분류하였으며[23], 1편의 연구는 미시건 알코올의 존 선별 검사 단축형(Short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SMST) 점수를 사용하였고[22], 1편의 연구는 아버지는 F-SMST 점수, 어머니는 M-SMST 점수를 사용하였다[7]. 종단 연구 4편[8,11,19,25]과 나머지 3편[9,18,27]의 연구에서는 질 문이나 면담을 통해 부모의 알코올 문제를 확인하였다. 연구가 진행된 국가는 주로 미국이었고(n=13), 나머지는 한국(n=4) 으로 지역적 편중이 확인되었다(Table 1).

3.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의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선정된 문헌들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극복력

에 대한 다양한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작적 정 의는 명확하게 기술된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종속변수에 의 해 설명되거나 극복력의 예측요인으로 설명되었다. 선정된 문 헌에서 고찰한 다양한 종속변수와 예측 요인을 통합한 결과,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은 성공적인 대처(coping) 또는 적응(adjustment)으로 정의되었다. 그들이 부모의 알코 올 중독이라는 문제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적응을 했는지의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자신이 처한 환경의 문제에 잘 대처 하여 정상적인 발달과정의 결과를 보여주는지에 관해 기술하 였고, 그러한 성공적 적응과 정상적 발달과정의 결과를 종속변 수로 측정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문헌을 고찰하여 이러한 극복력을 성공적 적응 또는 대처로 조작적 정의하는 것 에 대해 5가지로 구분하였다(Figure 2).

1) 행동적 ․ 정서적 문제를 갖지 않음

Barrera 등[22]은 유럽계 미국인과 멕시코계 미국인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우울, 불안, 행동의 문제와의 관 련성을 측정하였고 각 개인의 극복력의 차이가 발달의 차이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 Haverfield와 Theiss [23]는 청소년 극복력의 지표로 감정 조절과 함께 행동적인 충동성을 제시했 고, 사회적 결과에 관계없이 행동을 억제하는 것이 부족한 것 을 행동적인 충동성이라고 정의하였다. 특히 부모가 자녀와 상 호작용하는 동안 함께 하는 방식은 자녀의 감정적, 행동적 능력 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힘든 상황에 성공적으로 적응하 기 위해서는 불리한 상황을 잘 탐색해야 하고, 효과적인 자기 점검과 사회적 능력을 포함한 대인관계 기술이 필요하다고 하 였다.

(8)

Heitzeg 등[18]은 14세에 첫 음주, 술에 취한 경험과 음주와 관련된 문제 경험 여부를 측정하는 문제 음주 기준을 사용하여 알코올 사용 장애 위험 정도를 점수화하였고, 이에 따라 알코올 중독자 자녀를 극복력을 가진 그룹과 취약한 그룹으로 분류하였 다. Hall [24]도 물질 중독의 문제가 없는 알코올 중독자 자녀를 극복력을 가진, 탄력적인(resilient) 사람으로 보았다. Jennison 과 Johnson [8]은 남성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에 비해 상대적 으로 덜 연구된 여성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음주 취약성에 대한 연구에서 극복력의 예측 요인으로 고위험 음주를 제시했 다. 또한, 하와이 카우아이(Kauai) 섬에서 진행한 종단 연구의 추적 조사에서 18세가 된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 중 심각한 발 달적, 적응적 문제를 보이지 않은 극복력을 지닌 아이들은 청소 년 비행과 같은 행동의 문제와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를 보이지 않았으며 술이나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정신질환이 없다고 보 고하였다[11,19].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을 병리적 문제나 부적응 적 행동을 보이지 않고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것으로 조작적 정 의를 내린 연구[4,5]에서는 내재화 행동과 외현화 행동의 여부 를 문제행동 도구로 측정하였다[4]. 이들 연구에서는 극복력이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고[4], 부모의 알코올 문제로 환경적, 개인적 어려움을 경험하더라도 이러한 극복력의 차이에 따라 저마다 다른 적응 수준을 보이고,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극복력 점수를 나타낸 것에 대해 보고하였다[5].

2) 사회적 ․ 발달적 기대를 충족시킴

알코올 중독자 자녀들도 다른 자녀들과 마찬가지로 모두 성 장하는 아이들이고 각 성장 발달의 단계마다 성취해야 하는 발달의 과업들을 가지고 있지만, 부모의 알코올 중독으로 인 해 제대로 된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알코올 중독자 자녀들이 불리한 환경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발달적 기대를 충족시키며 성장하였다고 보고하였다[9,11,19,21,25,26]. 이러한 연구들은 극복력에 대 한 많은 정의 중 불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 하는 것이라는 정의를 받아들이고, 성공적인 적응을 수행능력 (competence performance)과 대학생활 적응으로 측정하였 다[25,26]. 수행능력은 사회적 능력, 규칙을 지키는 능력, 학업 적 능력으로 측정되었고, 연구결과 사회적 능력과 전반적인 능 력에서는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와 일반 가정 자녀 사이에 차 이가 없지만, 규칙을 지키는 능력과 학업적 능력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5].

Kim [26]은 대학생활 적응을 학문적 요구에 반응하고 다른 학생들과 사회적 통합을 하며 대학 활동에 참여하고 교육기관에 헌신하고 애착을 갖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다른 학생들과 사회 적 통합을 하는 사회적응, 학업적응, 개인 ․ 정서적 적응, 대학환 경 적응으로 대학생인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을 측 정하였다. Hall과 Webster [21]는 순차적인 적응(subsequent adjustment)을 극복력이라고 보고 자율성(autonomy), 자주성 (initiative), 신뢰감(trust)이라는 하위 영역으로 극복력을 측정 하였으며, 알코올 중독자 자녀가 복합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했 을 때 극복력의 하위 영역 중 자주성(initiative)이 유의하게 낮 았으며, 이것은 삶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있어 주도권을 행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 고하였다[21]. 일부 연구에서는 극복력이 있는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들이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이고[9,11,19], 이는 학교 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이는 것이 어려운 가정 상황 밖에서 자기 자신에 대해 좋은 느낌을 갖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3) 역경에 대처하는 능력을 가짐

알코올 중독자 자녀는 가난, 폭력 등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 경에서 성장하는 경우가 많고, 부모의 알코올 중독과 관련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많은 연구에서 이러한 스트레스 상 황, 부모의 알코올 중독 때문에 겪게 되는 역경에 대처하는 능 력을 극복력이라고 하였다[5-7,11,23,27].

Drapkin 등[7]은 알코올 중독자 자녀가 부모의 알코올 중독 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을 유형에 따라 구분하였 고, 우울, 알코올 문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삶의 사건과 같 은 심리 ․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알코올 중독자 자녀는 적극적 대처(engaged coping) 유형이 적고 회피하는 대처(withdrawal coping) 유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알코올 중독의 문제를 가진 부모에 대해 자녀 가 회피하는 대처 방법을 활용했기 때문이고, 이것은 다른 삶 의 영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고 하였다[7].

Haverfield와 Theiss [27]는 극복력을 역경에 대처하고 삶 의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 긍정적인 관점을 갖는 것으로 조작적 정의하고, Kim과 Lee [5]도 긍정적 성격 특성을 극복력을 구성 하는 지표로 측정하였다.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들은 고통스 러운 경험을 통해 능력이 강화될 수 있고, 이러한 능력이 자기 자신을 부정적인 가족 환경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부모의 질병 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Lee와 Park [6]은 극복력을 적응 유연성이라는 용어로 사용

(9)

Table 3. Environmental and Personal Moderators Targeted for Intervention

Items Modifiable factors Non-modifiable factors

Environmental moderators

Family communication: topic avoidance, stigma;

qualities of caring environment; parental communication: responsiveness and control;

parentification; social support

Multiple stressors during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kinship support: non-alcoholics; parents, sibling, grandparents, and cousin; mother's alcoholism Personal

moderators

Positive affect: interest, strong, enthusiastic, inspired, and active; self-esteem; alcohol specific coping style;

locus of control; spirituality; the image of god; dyadic cohesion in marital communication

Attachment; ethnicity; gender; age

하였으며,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한 후 개인이 자기-통제 수준

으로 다시 돌아오는 능력으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Haverfield 와 Theiss [23]는 청소년 극복력의 지표로 감정 조절을 제시하 였고, Werner [11]도 탄력적인 그룹 아이들의 특성으로 자기 조절능력을 설명하였다.

4) 높은 자기 개념을 가짐

Godsall 등[20]은 극복력을 과정이라기보다는 긍정적인 결 과로 보았고, 특히 자기 개념(self-concept)이라는 개인 내적인 결과로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자기 개념은 행동, 지적인 것, 외모와 불안, 인기(popularity), 행복, 만족감의 여섯 가지 하 위 영역으로 측정되었으며, 부모의 알코올 문제가 아동의 자기 개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극복력이 높은 아동의 가족은 자 녀가 자율성, 문제해결 능력 등을 발전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었다[20].

자존감은 극복력의 보호요인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는데, 자 신이 처한 환경에 좌절하거나 자포자기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잘 살아나가는 알코올 중독자 자녀들이 높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존감은 개인 내적 결과로서의 극복력 을 설명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여, 일부 연구에서는 극복력의 조작적 정의로 자존감을 제시하였고, 현재 삶에 대체로 만족하 고 행복하다고 스스로 평가하면서 행복감과 만족감과 같은 긍 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것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11,19,24].

5) 의미 있는 관계를 지향함

Werner와 Johnson [19]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종단 연구 에서 그들의 삶에서 돌봄을 제공한 어른의 역할에 대해 파악하 기 위해 32세가 된 하와이의 카우아이 섬의 알코올 중독자 성인 자녀들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극복력을 지니고 성공적인 적응을 한 초기 성인은 학교나 직장에서 동료들과 만 족스러운 관계를 맺고 있고, 배우자나 형제와 갈등이 없고, 이 혼을 하거나 배우자에 대한 학대나 아동학대로 법정에 간 경험

이 없으며, 만족스러운 부모의 역할을 하고, 자신이 필요할 때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친밀한 친구를 몇 명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19]. 또한, Hall [24]은 친족과 친 밀한 관계를 맺고 있고, 친족과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 알 코올 중독자 자녀를 극복력을 가진 탄력적인 사람으로 보았다.

4.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 관련 변수

극복력은 극복력을 강화시키는 보호요인과 극복력에 부정 적인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문헌들을 통합하여 관련요인 들을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으로 나누었고, 이후 변화가 가능한 것과 변화가 어려운 것으로 분류하였다(Table 3). 선 정된 문헌에서 극복력과 관련된 변수로 제시한 요인들을 환 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으로 나누어 보면, 환경적 요인에는 가족 간의 의사소통, 초기 양육환경, 부모의 의사소통, 부모화 (parentification), 사회적 지지, 아동기 동안 경험하는 복합적 스트레스, 외상성 경험, 가족의 결합력과 응집력, 친족 네트워 크, 그리고 어머니의 알코올 중독이 있다. 개인적 요인에는 긍 정적인 정서, 자존감, 알코올 특이적 대처 유형, 자기통제, 영 성, 하나님 이미지(image of God), 부부 간의 의사소통에서의 응집력, 애착관계, 인종, 성별, 마지막으로 연령이 있다.

Barrera 등[22]은 인종과 성별이 극복력에 영향을 줄 수 있 다고 보았고, Carle과 Chassin [25]은 긍정적 정서를 극복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면서 흥미, 열정, 강인함, 영감을 받는 것, 능동적인 것으로 측정하였다. Drapkin 등[7]은 부모의 알 코올 문제가 알코올 특이적 대처 유형(alcohol specific coping style)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대처 유형은 우울, 알코올 문제, 부정적인 삶의 사건들과 상관이 있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연구결과에서는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부모의 알코올 문제에 대한 대처 유형이 그들의 알코올 문제, 우울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결과와 차이

(10)

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Godsall 등[20]은 연구결과에서 부모화가 알코올 중독자 자 녀의 극복력의 개인 내적 결과인 자기 개념에 1차적으로 영향 을 주는 요인이기도 하고 중재 변수가 될 수도 있다고 보고하였 다. 또한, Hall과 Webster [21]는 동일하게 알코올 중독자 자녀 더라도 아동기 동안 복합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했는지, 외상성 경험이 있는지에 따라 극복력에 차이가 있고, 복합적인 스트레 스는 이들의 극복력을 깨뜨릴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 연구 에서는 외상성 경험을 한 알코올 중독자 자녀는 그렇지 않는 경 우보다 분노 ․ 과민성, 방어적 회피, 해리 증상의 점수가 유의하 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외상성 경험도 극복력에 영향을 주는 요 인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Haverfield와 Theiss [23]는 청소년의 극복력과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관련이 있다고 보았고, 의사소통에서 나타나 는 부모의 반응성(responsiveness)과 통제(control)가 청소년 극복력의 지표인 감정 조절과 충동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측 정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반응성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감 정 조절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모의 통제는 자녀 의 충동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 으로 부모의 반응성은 자녀의 감정 조절을 촉진하는 데 중요하 며, 알코올 중독 가정에서 부모가 잘 반응하고 덜 통제할 때, 자 녀의 극복력이 증진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Hinz [9]는 대학생인 알코올 중독자 자녀들이 겪을 수 있는 다양한 개인적인 문제 19문항을 조사하여 대인 불안, 우울, 학 업적 어려움, 가족 문제에 대해 성별과 나이에 따른 차이가 있 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나이와 성별에 따라 전반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인 불안의 하위항목인 스트레스와 불 안 다루기에서 여성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가 통계적으로 높 은 점수를 보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반면 Haverfield와 Theiss [27]의 연구에서는 가족 간의 의사소통에서 알코올에 대한 주 제를 회피하는 것은 알코올 중독자 자녀들에게 잠재적으로 낙 인을 경험하게 하고, 그러한 낙인은 정서적, 심리적 안녕과 연 관이 있다고 하였다. 연구결과, 공개적 낙인은 극복력과 부적 상관관계에 있고, 긍정적 낙인은 극복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 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고통을 경험하는 것으로부터 단 련된 개인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Hall [24]은 친족의 지지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알코올 중독 자 자녀들이 긍정적인 방법으로 대처하도록 도울 수 있고, 그 들의 친족 관계가 불리한 환경적, 사회적 조건에 대처하는 극 복력을 증진시키는 보호요인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Werner와 Johnson [19]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삶에서 공식

적이거나 비공식적인 지지 체계가 보호요인이 될 수 있고, 극복 력이 있는 알코올 중독자 자녀는 알코올 중독이 아닌 부모, 나 이가 많은 형제나 자매, 조부모, 학교 선생님, 친구와의 관계가 완충작용을 하는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Werner [11]의 종단 연구는 알코올 중독자 자녀를 1세, 2세 10세, 그리고 18세에 추적 조사하였는데, 부모의 알코올 중독 과 만성 가난 등 동일하게 불리한 환경에서도 심각한 행동적, 발달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성공적으로 적응한 극복력을 지 닌 아이들의 차이점은 초기 양육 환경이었다. 이들은 심각한 문 제를 일으킨 아이들에 비해 인생의 첫 1년 동안 1차 양육자로부 터 충분한 관심을 받았고, 양육자와 오랜 기간 분리되지 않았 으며, 2세까지는 동생의 출생이 없었고, 부모들 사이의 갈등도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1]. 또한, 알코올 중독인 부모와 자녀 의 성별도 관련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알코올 문제를 가 진 부모가 아버지인 경우와 여자아이가 더 극복력이 높은 것으 로 보고되었다[11].

Kim과 Lee [5]는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의 보호 요인으로 자존감, 사회적 지지, 가족적응력 및 결속력을 제시 하였고, 연구결과 자존감이 높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극 복력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나이와 성별에 따른 차 이도 나타났는데, 나이가 많을수록 극복력이 높고, 남자보다 여자인 경우 극복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e와 Park [6]은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들이 불우한 가정에서 부모와의 애착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더라도 하나님 이미지가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고, 연구결과 부모와의 애착이 하나님 이미 지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부모와의 애착은 극복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하나님 이미지 가 투입되었을 때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을 유의하 게 증가시켜서, 하나님 이미지가 부모 애착과 극복력 사이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6].

Jennison과 Johnson [8]은 부부 간의 의사소통에서 이원적 응집력(dyadic cohesion)이 극복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 고 보았고, 결혼생활에서의 의사소통을 측정하였다. 결혼 생활 에서 의사소통의 이원적 응집력은 부부에게 영향을 미치는 실 제적 문제에 대한 상호작용 및 합의의 빈도를 의미한다. 연구결 과 부모의 알코올 중독이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음주에 대한 취 약성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부부 간의 의사소통에서 이원적 응집력이 그러한 두 요인의 인과관계의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 다고 보고하였다[8]. Kim [26]은 통제위(locus of control), 영 성, 부모와의 애착, 사회적 지지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극복 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았고, 연구결과 이들의 영성과

(11)

부모님과의 애착이 부모의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 력을 완화시켜 주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 선정된 문헌들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극복력을 설명하거나 극복력과 관련된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를 수 행하였으나, 극복력에 대해 명확한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지 않 은 경우가 많았고, 극복력을 측정하기 위해 직접 극복력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연구는 5편뿐이었다[4-6,21,27]. 또한, 극복력 을 다양한 종속변수를 사용하여 정의하고 측정하여 통합적으 로 비교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이것은 극복력이 가진 속성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고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합한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행동적, 정서적 문제를 나타내지 않고, 사회적, 발달적 기대를 충족하며, 역경에 잘 대처하고, 높은 자기 개념 과 같은 개인 내적인 긍정적 결과를 이루며, 의미 있는 관계를 지향하는 능력이다. 알코올 중독의 문제는 대물림되는 특성이 있어 알코올 중독자 자녀들은 알코올은 물론 물질 중독의 문제 를 갖거나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행동적, 정서적 문제를 갖지 않는 것은 이들이 극복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대다수의 알코올 중독자 자 녀들이 알코올 중독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지만, 모든 알코올 중독자 자녀가 알코올 중독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극복력 의 증거가 될 수 있다고 한 것[11,19]과도 같은 맥락이다. 그러 나 이러한 요소는 일반적인 극복력의 개념분석 중 극복력의 속 성[13]에는 나타나지 않은 특성으로, 알코올 중독자 가정이라 는 특별한 환경의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 중 자 존감과 의미 있는 관계를 지향하는 것은 일반적인 극복력의 개 념분석에서 나타난 속성과 일치하였으며[13], 일반적인 속성 중 이들에게 나타나지 않은 것은 삶에서 목적과 성취 의식을 갖 는 것과 변화에 적응하고 잘 견디는 유연성, 그리고 감정적 반 응의 강도를 적정하게 만드는 유머 감각이었다[13]. 그러나 이 것은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조작적 정의에서 역경에 대처하 는 능력 중 성취 지향적이고 삶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갖는 것,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과 유사한 의미라고 생각된다.

또한, 삶에 대한 목적과 유머 감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면, 알 코올 중독자 자녀가 극복력을 갖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된다.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이 만성질환을 가진 대상 자, AIDS 대상자, 암 등을 겪고 생존한 대상자의 극복력과 다른 점은 자신에게 발생한 질병이라는 뚜렷한 원인으로 인한 역경 이 아니라 주어진 환경 자체를 극복해내는 힘이 필요하다는 것 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아동이기 때문에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 용되는 성장발달 속에서 개인의 특성을 이용해 긍정적인 결과 를 보여주는 것이면서, 개인의 성향이나 특성을 발달시키는 과 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 통합된 조작적 정의는 극복력에 대한 관점 중 과정으로서의 극복력과 결과로 서의 극복력을 모두 다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한편 으로는 극복력이 과정이기도 하고 결과이기도 한 속성을 가지 고 있어 결과로 나타나는 특성이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도 있어 조작적 정의와 극복력의 관련 요인을 명확하게 분리하기 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극복력과 관련된 요인은 지금까지 많은 연구에서 밝혀졌고,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으로 구분해 왔다. 개인의 극복력은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의해 강화되기도 하고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에 의해 방해받기도 한다[11]. 이러 한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사회적, 가족적, 생 물학적 요인, 그리고 부모와 관련된 요인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14],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차원과 환경적 차원으로 구분하였 고 다시 조정이 가능한 변수와 조정할 수 없는 변수로 나누었 다. 이는 극복력이 환경의 영향을 받지만, 노력과 훈련에 의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반영한 것으로, 극복력의 보호요인을 강 화하고 위험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인종이나 성, 나이 등과 달리, 어떤 노력이나 개입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 서는 조정 변수로 보았다.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들이 일반 가 정의 자녀들보다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조 정 변수는 부모의 알코올 중독이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완 화할 수도 있다. 본 연구의 통합 결과에서는 흥미, 열정 등과 같 은 긍정적인 정서, 자존감, 알코올 특이적 대처 유형, 자기조절 감, 영성, 하나님 이미지, 부부 의사소통에서의 응집력이 개인 적 조정변수, 가족 의사소통, 낙인, 초기 양육환경, 부모의 의사 소통, 부모화, 사회적 지지, 가족 적응성 및 응집력, 애착이 환경 적 조정 변수로 나타났다. 환경적 조정 변수는 개인에 대한 중 재로 일부 변화될 수도 있지만, 좀 더 효과적인 개입이 되기 위 해서는 가족이나 사회적 체계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 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적 조정 변수의 변화를 위해서는 가족 치료나 부모교육 등 프로그램 내용과 대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12)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지지 체계는 극복력의 보호요인으로도 알려져 있는 데, 알코올 중독자 자녀들은 성장 발달 과정에서 신뢰감을 경 험하지 못하여 누군가와 신뢰 관계를 맺는 것을 어려워하고, 다 른 사람과의 관계가 깨지거나 거부당할까 봐 두려워하는 타인 의존적인 대인관계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3]. 그러나 탄력적인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친 요인 중의 하 나가 그들의 인생에 의지할 만한 한 사람이 있었다는 것이었고 [11], 실제로 상담 현장에서 만나는 많은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 녀들은 자신이 잘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술 문제가 없는 다른 한쪽 부모의 영향을 받았다고 이야기한다. 이 것은 부모가 둘 다 알코올 중독의 문제가 있을 때와 어느 한쪽 부모만 문제가 있는 경우가 다른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11]와 일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지지 체계의 중요 성에 대해 가정과 학교 등 이들에게 접근 가능한 현장에서 인식 하고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거나, 부모의 알코올 문제가 있더라도 다른 한쪽의 부모가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이들의 극복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 로 기대된다.

낙인은 이러한 사회적 지지체계를 만드는 데 영향을 주는 요 인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사회적 낙인을 통해 개인이 낙인을 경험하거나 인식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사회적 낙인 때문에 알 코올 중독자 가정에서 알코올 중독과 관련한 주제를 회피하고 외부에 비밀로 하도록 하는 등 스스로 낙인화하기 때문이다 [26]. 낙인은 자존감과 같은 극복력의 보호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므로, 낙인의 사회적인 측면에 관심을 가지고 인식개 선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지만, 한편으로는 개인의 보호요인을 강화시킴으로써 덜 영향을 받게 하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개인적 조정 변수로 분류된 변수들은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 녀의 극복력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볼 수 있다. 부모의 알코올 중독은 쉽게 변화하기 어렵고 재발이 잦은 만성질환으로, 자녀 들이 경험하는 환경은 쉽게 변화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 라서 환경이 변화하지 않더라도 개인의 보호요인을 증진시킴 으로써 다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연구에서 알 코올 중독자 가정의 자녀들은 낮은 자존감과 부정적 자기 인식 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삶의 만족도나 행복감이 낮고, 역기능적 가정환경에서 자기 자신을 수용하지 못하는 것 으로 보고하였다[11]. 그러나 자기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여 기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극복력의 중요한 속성이고 [13], 높은 극복력을 가진 알코올 중독자 자녀들은 높은 자존감,

자기 이해, 긍정적 자기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5,11]. 자존감은 양육과정에서 습득되는 특성으로 단기간에 변화되기가 매우 어려운 속성을 가지고 있고, 학대와 트라우마 를 경험한 경우 더욱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 로 보인다.

개인적 조정 변수나 환경적 조정 변수 모두 단독으로 변화되 기보다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데, 자존감이 높으면 긍정적 정서, 자기조절감을 더 많이 경험 할 수 있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많이 경험하면 자존감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성장 발달 과정에서 부모의 양육 태도와 관계 방 식에 따라 애착 형성에 차이가 나고, 애착은 부모의 알코올 중 독으로 인한 영향을 완충시켜 극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26].

따라서 조정 변수 하나하나에 대한 개입뿐만 아니라, 변수들의 연관성을 고려한 통합적 개입이 필요하다. 긍정적 정서를 많이 느끼는 것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인식하는 것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대부분의 알코올 중독자 가정에서 가 정의 문제를 외부에 알리지 않고 비밀로 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 아, 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외부에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27]. 그래서 긍정적 감정이든, 부정적 감정이든 자신의 감정에 무관심하게 반응하거나 인생의 희로애락을 느끼지 못하는 모 습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안에서 자신의 감정을 알아 차리고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어떤 감정이든 수용되는 경험을 하도록 도와준다면 감정 조절 능력은 물론, 긍정적 정서를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조정 변수 중 하나로 나타난 하나님 이미지는 부모와 의 애착이 높을수록 높아지고, 이것이 다시 극복력을 증진시키 는 것으로 나타났다[6]. 애착은 부모와의 관계의 질을 나타내 는 것이고 하나님 이미지는 특정 종교에서 자신이 믿는 초월자 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것이다[6]. 이러한 하나님 이미지는 자존감, 대인관계능력, 삶의 만족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개인이 실제 지지 체계는 물론 초월자와 긍 정적인 관계를 경험하는 것이 극복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영성이나 종교가 극복력에 어떤 영 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하나님 이 미지와 영성의 연관성을 고려해 볼 때 추후 영성과 종교가 극복 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의 통 합 결과를 기반으로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을 위한 중재를 개발한다면,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긍정적 정서를 느끼 고 표현하는 등의 감정을 다룰 수 있도록 하고, 영성과 같이 종 교와 관련된 활동을 격려하는 것, 그리고 의사소통 기술 훈련 을 포함하는 것을 제언한다. 또한, 개인에 대한 중재뿐만 아니

(13)

라 가족과 지역사회 등 접근 수준에 따른 실제적인 개입의 개발 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극복력을 측정하는 기존의 도구 중 국내에서 개발되어 신뢰 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Korean Re- silience Quotient)에서는 자기조절능력(감정 조절력, 충동 통 제력, 원인 분석력), 대인관계능력(소통능력, 공감 능력, 자아 확장력), 그리고 긍정성(자아낙관성, 생활 만족도, 감사하기) 세 가지 영역의 총합으로 회복탄력성 수준을 측정하고 있다 [28]. 또한, Wangnild와 Young [29]이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 당도를 검증한 극복력 측정도구(Resilience Scale)는 유료로 사용을 허가하고 있다. 이 도구는 하위영역으로 개인 내적 특성 과 자기와 삶의 수용성을 측정하여, 두 하위영역의 총합으로 극 복력의 수준을 확인하고 있다[29]. 이러한 도구들을 살펴보면, 본 연구결과 도출한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 중 역경에 대처하는 능력(긍정적 관점, 성취 지향 적, 자기조절능력, 감정조절)과 높은 자기 개념을 가짐(자존감, 만족, 행복감)은 기존의 도구에서도 측정 가능한 것으로 보이 지만, 행동적 ․ 정서적 문제를 갖지 않음(물질 또는 알코올 문제, 충동성, 비행, 우울, 불안)과 사회적 ․ 발달적 기대를 충족시킴 (수행능력, 개인의 자율성, 신뢰감, 자주성), 그리고 의미 있는 관계를 지향함(친족 네트워크, 사회적 지지)은 기존의 도구에 서 측정하기 어려운 속성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 수행 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조작적 정의를 기반으로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 복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제언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헌만을 선택 적으로 선정하여 타 언어로 게재된 논문을 배제하였고, 선정된 문헌이 대부분 미국에서 진행되어 문화적 차이로 인한 연구결 과가 반영되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발표 연도를 제한 하지 않고 검색한 결과로 선정된 문헌을 고찰하여 알코올 중독 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초기 문헌부터 최근 문헌까지 포 함하였고, 혼재된 개념에 대해 조작적 정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고찰한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과 관련된 요인 중 조정 변수를 바탕으로 이들의 극복력 증진을 위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조정 변수를 파악하고 명확히 이해하기 위한 통합적 문 헌고찰 연구이다. 극복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행동적, 정서

적 문제를 갖지 않고, 사회적, 발달적 기대를 충족시키고, 스트 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 개인 내적인 결과로 자 존감, 자기개념, 행복감, 만족감을 갖는 것, 그리고 의미 있는 관 계를 지향하는 것이다.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 중 변화가 가능한 조정 변수는 가족 간의 의 사소통, 초기 양육환경, 부모 의사소통, 부모화, 사회적 지지체 계, 긍정적 정서, 자존감, 알코올 특이적 대처 유형, 자기통제, 영성, 하나님 이미지, 부부 간의 의사소통에서 이원적 응집력, 가족 적응성 및 응집력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조정 변수를 반 영하여 추후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이 더욱 필요하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ORCID

Kim, Hee Kyung https://orcid.org/0000-0002-3591-2507 Ko, Yoonwoo https://orcid.org/0000-0002-4290-8477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Survey of Mental Dis- orders in Korea 20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Internet]. 2016 [cited 2018 Sep 2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1101vw.jsp?SEQ=85&

MENU_ID=03320101&page=1&PAR_MENU_ID=03#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Internet]. 2017 [cited 2018 Dec 27].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1101vw.jsp?SEQ=88&

MENU_ID=03320101&page=1&PAR_MENU_ID=03#

3. Park HS, Lee SG.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charac- teristics of adult-children of alcoholics and psychosocial pro- blem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1;46:118-144.

4. Lee HH, Cranford JA. Does resilience moderate the associa- tions between parental problem drinking and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 study of Korean adolescent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2008;96(3):213-221.

https://doi.org/10.1016/j.drugalcdep.2008.03.007

5. Kim HK, Lee MH.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adult chil- dren of alcoholic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642-651.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42

6. Lee HR, Park SM.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ach-

ment to parents, image of God and resilience among adult chil-

수치

Table 1.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tudies
Table 2. The Quality Appraisal of the Selected Studies
Figure 2. Operational definition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COA)' resilience.
Table 3. Environmental and Personal Moderators Targeted for Intervention

참조

관련 문서

임신 유지(자궁벽 두껍게, 자궁수축 억제)

조직 내에서 각각의 직무가 차지하는 상대적 가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직무가 지니는 책임도, 업 무수행상의 곤란도, 복잡도 등을 비교 평가하여 이들

• 어떤 상품에 대해 처음부터 지식이나 관심이 없는 소비자로 하 여금 이에 대한 욕구를 가지게끔 하려는 과제를 가진

자동차 왕이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는 미국의 헨리 포드는 1908년 가솔린뿐만 아니라 알코올을 사용하는 모델로 포드-T를 내놓으면서 이 모델은 알코올 자동차의

● Define layers in Python with numpy (CPU only).. Fei-Fei Li & Justin Johnson & Serena Yeung Lecture 8 - 150 April 27,

1) 이 환자에서 불량한 예후를 시사하는 소견으로 bilirubin상승, coagulopathy, 높은 discriminant function score, MELD score가 있다. 3) 알코올 섭취 양과

이 실험들은 세포성 단 백질에서 AChE 활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고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생쥐의 혈청 내 glucose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으며, uric acid를

 물질 관련 및 중독 장애 Substance-related & Addictive Disorders..  알코올 관련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