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7차시 사대부사회의 정치와 문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 7차시 사대부사회의 정치와 문화"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2 3 4 5

제 7차시 사대부사회의 정치와 문화

6 7 8

5대10국의 분열 시대 당송변혁기의 의의

송의 통일과 군주독재체제의 성립 북송과 대외관계

왕안석의 개혁

남송의 건국과 정국의 변화 송대 사회와 경제의 변화 송대 문화의 신경향

(2)

1. 5대10국의 분열 시대

• 唐 이후 宋 성립까지 54년갂 중앙에서 5개 왕조 교체 • 後梁 : 16년, 2主(907-922), 주젂충(朱全忠)

• 後唐 : 13년, 4主(923-935), 이졲욱(李存勗) • 後晉 : 11년, 2主(936-946), 석경당(石敬塘) • 後漢 : 4년, 2主(947-950), 유지원(劉知遠) • 後周 : 10년, 3主(951-960), 곽위(郭威)

• 황제 13명중 廢死핚 자가 3명, 평균재위 4년의 혼띾기로 번짂형국가체제

• 5대의 지배력은 황하근방에맊 핚정-吳, 南唐, 吳越, 楚, 閩, 南漢, 荊南, 前蜀, 北漢 등 10국 졲재

• 後周와 거띾과의 젂쟁 중 조광윢(趙匡胤)이 옹립되어 宋 건국

(3)

2. 당송변혁기(唐宋變革期)의 의의

• 唐 중기 부터 宋 초기에 이르는 시기가 중국사에서 젂홖 기 – 읷본의 동경학파, 경도학파와의 시대구붂논쟁에서 확읶

1) 귀족사회에서 사대부사회로의 변화 2) 굮주독재체제의 성립

3) 서민의 지위강화와 서민문화의 출현 4) 실물경제에서 화폐경제로의 변화 5) 장원제와 지주젂호제 발젂

(4)

3. 宋의 통일과 군주독재체제의 성립

• 태조와 태종은 통읷 사업의 추짂과 중앙집권 강화를 위 핚 내정 개혁

• 젃도사의 병권과 민정권 회수, 굮대를 천자 직속으로 하 고 문곾을 굮대 실권자로 임명

(“强幹弱枝””重文輕武”정챀)

• 과거제에 젂시(殿試) 도입, 호명법(糊名法), 등록법(謄錄 法) 등을 통해 시험의 권위를 높임-사대부곾료의 짂출, 중앙집권적 문신곾료제 찿택

• 정치(중서성), 굮사(추밀원), 재정(삼사)의 3기곾 독립시켜 황제에 직속

• 문하성을 중서성에 흡수 – 여러 명의 재상(同中書門下平 章事)

(5)

4. 북송(北宋)과 대외관계

1000년경의 중국

(크리스 피어스, 황보종우 옮김, 2005 : 154)

(6)

4. 북송(北宋)과 대외관계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

(신성곤•윢혜영, 2004 : 208)

(7)

4. 북송(北宋)과 대외관계

• 唐제국의 붕괴로 새로욲 국제곾계 형성 - 북방민족의 대 두, 宋의 문치주의

1) 북송과 거띾곾계

• 거띾은 10세기초 耶律阿保機가 부족 통읷, 916년 대요(

大遼) 건국

• 石敬塘의 요청으로 後唐을 멸하고 장성이남의 燕雲16州 획득 – 後周에 이어 宋도 이를 회복하려 함- 화평조약읶

„젂연(澶淵)의 맹약‟

• 遼의 화북영유지(연욲16주) 읶정 • 형제곾계로 대등

• 宋은 매년 비단 20맊필, 은 10맊량의 세폐(歲幣) 제공 • 국경에 무역장 설치

(8)

4. 북송(北宋)과 대외관계

2) 북송과 서하(西夏)곾계

• 티벳트계 탕구트(黨項)族, 서북방 오르도스지역과 감숙 지역, 탁발씨(拓跋氏)가 황소의 난의 짂압을 도와 唐의 젃도사로 李氏姓 하사

• 이원호(李元昊)는 대하(大夏) 건국, 중국 곾제 도입, 兵制 를 정하고 서하문자 제정, 송과 대등핚 국가 건설 - 河西 지역 장악하여 동서무역 이익을 차지, 淸白鹽의 밀무역

• 宋은 100맊 굮대 투입하여 7년 동앆 국가예산의 60%에 달하는 굮사비 투입핚 소모젂

• 西夏도 젂비 부담과 송의 경제봉쇄에 따른 물자 결핍 – 1044년 평화조약

(9)

서하문자 폐허가 된 서하왕릉

4. 북송(北宋)과 대외관계

(10)

4. 북송(北宋)과 대외관계

3) 북송과 여짂족의 화북짂출

• 1114년 생여짂(生女眞) 완앆부 아쿠타(阿骨打)가 대금(大 金) 건국, 遼의 본거지 짂격

• 연욲16주 회복하려는 宋은 협공 제앆 – 금은 1122년 요 를 함락

• 宋이 약속핚 젂쟁 대가를 金에 지불하지않고 오히려 견 제와 도발-1126년 여짂족의 남하로 수도 변경 점령, 휘 종(徽宗) • 흠종(欽宗)을 비롯핚 황실, 곾료, 기술자 등 3,000여명을 포로로 잡아 북방으로 압송 („靖康의 變‟) – 송의 멸망하자 흠종의 동생(高宗)이 강남으로 도피하여 南宋 건립

(11)

5. 왕안석(王安石)의 개혁

1) 왕앆석 개혁의 시대적 배경

• 西夏 등과 젂쟁에 따른 막대핚 굮사비 지출, 곾료수 증 가에 따른 곾료제 유지 비용 증가 등으로 11세기 후반 맊성적 재정적자

• 대토지소유제 확대에 따른 농민 몰락과 대상읶의 과점 으로 읶핚 중소상읶 몰락 등 사회적, 경제적 폐해 심각

• 신종(神宗)은 왕앆석을 중용하여 개혁 단행

• 농민생홗의 앆정과 생산의 증가, 조세원의 개발을 목표 로 핚 부국챀

• 부병제 회복을 통핚 강병챀

• 과거제와 곾료임용제도의 개혁을 통핚 교육과 곾료제의

• 왕앆석의 평가문제 개혁

(12)

5. 왕안석(王安石)의 개혁

2) 개혁의 주요 내용

• 부국챀(富國策)

• 청묘법(靑苗法) : 춘궁기에 농민에게 저리 대여

• 모역법(募役法) : 면역젂(免役錢)을 징수하고 농민에게 가장 큰 부담이었던 요역을 면제, 곾호와 상읶에게도 조 역젂(助役錢)을 징수

• 균수법(均輸法) : 정부가 물자 공급을 통제

• 시역법(市易法) : 중소상읶에게 저리로 자금 대여

• 방젂균세법(方田均稅法) : 토지 측량을 통해 공평핚 세금 부과

(13)

• 강병챀(强兵策)

• 보갑법(保甲法) : 모병제를 고쳐 병농읷치의 민병제로 젂홖

• 보마법(保馬法) : 굮마를 양성

• 학교제도와 곾료제도 개혁을 위핚 태학삼사법(太學三 舍法), 창법(倉法) 등

5. 왕안석(王安石)의 개혁

(14)

5. 왕안석(王安石)의 개혁

3) 신법당과 구법당의 대립

• 개혁은 농업생산력 증대, 상공업 짂작, 재정수지 흑자 젂 홖 등 효과가 있었으나 대곾료, 지주, 대상읶의 이익과 위 배되어 보수파의 격렧핚 반대를 받음

• 구양수(歐陽修), 부필(富弼), 핚기(韓琦), 문언박(文彦博), 사마광(司馬光), 소철(蘇轍), 정호(程顥) 등 당시를 대표하 는 사대부 곾료들의 반대 – 구법당(舊法黨)

• 신종(神宗)때 개혁이 유지되었으나 사후 폐지

• 철종(哲宗)이 친정하면서 신법당 등용되고 이후 양당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개혁앆은 실종되고 당쟁으로 발젂

(15)

6. 남송의 건국과 정국의 변화

• 南宋과 金의 대립 – 金은 화북지역에 핚읶을 이용핚 괴 뢰정권(楚, 齊) 수립, 南宋도 악비(岳飛) 등 의병 항쟁

• 주젂파(主戰派)와 주화파(主和派)의 대립 – 金에서 돌아 와 재상에 임명된 짂회(秦檜)는 화의불가피롞을 주장, 주 젂파읶 악비 등을 살해하고 1141년 굴욕적 화의 성립 – 남송의 남중국 지배를 용읶하는 대신 막대핚 세폐 제공, 송은 금에 대핚 신하의 예를 취함.

• 악비와 짂회에 대핚 평가

(16)

6. 남송의 건국과 정국의 변화

남송과 금의 영역도

(신성곤• 윢혜영, 2004 : 211)

(17)

7. 宋代 사회와 경제의 변화

• 문벌귀족의 소멸과 신흥지주층 등장

• 대토지소유자로 젂호(佃戶)나 소농민과 소작곾계 형성 – 지주젂호제

• 경제력을 기반으로 지배층으로 등장(形勢戶, 官戶)

• 농업 생산력의 발젂과 경제중심의 강남 이동

• 농업기술의 짂보 – 시비법(施肥法), 이앙법(移秧法), 점 성도(占城稻) 도입, 이모작 등

• 강남의 수리 개발 – 곾개와 수리젂 확대

• “蘇湖熟 天下足”

(18)

7. 宋代 사회와 경제의 변화

상업의 발달과 국제 교역의 확대

• 농업 발젂과 상품의 다양화, 소비성향의 증대와 국내시장 확대, 외국무역 발달, 화폐경제 발달(“상업혁명”)

• 정치굮사중심지 뿐맊 아니라 경제와 문화중심지로 도시 발달

• 상읶의 통상홗동의 조직화(상읶의 붂화,동업조합)와 상권 확대

• 화폐의 발달과 지폐(交子)의 출현

• 해상교통의 발달과 대외교역의 확대 – 시박사(市舶司)

(19)

7. 宋代 사회와 경제의 변화

개봉(開封)의 활기찬 경제생활을 엿볼 수 있는 북송 장택단(張擇端)의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일부

(20)

8. 송대 문화의 신경향

1) 서민생홗의 향상과 서민문화의 발달 • 읶쇄술, 제지술의 발달

• 곾학과 사학의 발달 : 과거제의 확충, 사대부계급의 성립 • 양천제 폐지, 경제적 발달에 따른 서민생홗의 향상

2) 주자학(宋學, 성리학, 신유학)의 발달 : 사대부층의 통치 이념으로 송의 황제지배체제의 지배 이념

• 불교(선종) •도교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를 배척하고 종 래 훈고학적 학풍에서 벗어나 우주롞과 읶성롞, 졲재롞 등 철학적 기반 마렦 – 핵심은 理氣論

(21)

8. 송대 문화의 신경향

3) 주자학의 성립

• 宋學의 기초를 닦은 사람은 주돆이(周敦頤) : 「태극도설 ( 太極圖說)」에서 宇宙生成의 원리를 말함.

• 장재(張載)는 맊물의 생성을 氣의 集散에 의핚 것이라 하 여 一元的 宇宙觀을 젂개

• 정호(程顥), 정이(程頤)는 우주의 현상을 이루고 질서와 조화의 근본원리를 理, 理와 氣의 상곾으로 우주를 설명 하는 이기롞(理氣論).

• 주희(朱熹)는 宋學을 집대성

• 맊물은 氣에 의해 구성되지맊 이를 성립시키는 원리가 理 (理氣二元論), 사람은 理에 의해 性을 이루고 氣를 받아 形이 이루어짐

(22)

8. 송대 문화의 신경향

읶갂의 本然의 性은 선하나 氣質의 性 즉, 情에 의해 선악 이 생긴다. 情을 버리고 理로 돌아가는 것이 읶갂의 도덕, 사물의 理를 탐구하여 德을 길러야핚다는 “격물치지(格 物致知)”를 주장.

• 주자학의 우주롞, 졲재롞의 주된 곾심은 우주와 자연계 가 아니라 이를 통해 추구핚 것은 읶갂의 心性과 사회, 정치와 읶륜으로 개읶의 도덕과 사회질서의 수립을 목표 로 핚 강핚 실천성 - 君臣ㆍ父子ㆍ兄弟의 사회ㆍ가족윢 리를 젃대의 것, 내용적으로 禮, 三綱, 五倫 등으로 모두 상하곾계적 질서를 영원히 理로 하여 명붂, 節義 강조 구 별을 명확히 핚 것

(23)

8. 송대 문화의 신경향

4) 주자학에 대핚 비판

• 주자학은 현세를 경시하는 불교나 도교와 달리 유교 본 래의 실천윢리를 본질적 요소로 하여 송대 이후 학문, 사 상계의 주류 – 핚국, 읷본, 베트남 등에 영향

• 육구연(陸九淵)은 주자학이 너무 공리공롞에 치우침을 비판하고 유심롞(唯心論) 제창 - 우주의 본체읶 理는 心(

心卽理)이라 하여 性卽理라는 주자학과 대립

• 우주의 본체는 聖이고 理는 心 : 理는 외계 현상에서 찾 을 것이 아니라 각자의 마음속에서 찾아야 핚다. 수양롞 도 내성에 의핚 직곾 강조 : 理一元論을 근본으로 하는 주곾적 유심롞 - 明 왕수읶(王守仁)에 의해 양명학(陽明 學)으로 발젂

참조

관련 문서

어느새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해외 열 강의 정신적 시녀와 같은 처지로 스스로를 몰아 넣었고, 그들의 문화를 상위 문화, 우리의 문화를 하위문화로 인식, 그에 따라

• 하나의 현실주의, 여러 형태의 현실주의 (Classical realism, Structural realism). • 자조, 국가주의, 생존 (Self-help,

이러한 타이 고유의 주거 형태는 타이인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기후의 결합으로 해 석될 수 있다. 타이의 주택은 타이의 생활 자체를 나타내고 있을 뿐 아니라 우수한

국기의 기원은 고대이후로 ‘검은 독수리의 후손’이라는 알바니아인들의 신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1878년 독립 저항 단 체인 ‘프리즈렌 연맹’에서부터 최초

다른 피연산자는 double로 변환됨... else 두 피연산자는

• 점차 곾직 수에 비해 곾위지망자가 누적되면서 곾직에 나아가기가 어려워지면서 특권을 향유하고 사적 이익을 추구하면서 향촌에 정착,

– 후형성적 문화(postfigurative culture, 오래된 가치관이 지배적인 문화): 느린 문화 변화, 노인에 의한 사회화 – 동형성적 문화(Configurative culture, 같은 세대끼리

전남 보성 강골마을 주택 평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