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독교와 문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기독교와 문화"

Copied!
3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기독교와 문화

문화는 외형화된 신앙이다 문화는 종교에 의해

“문화는 외형화된 신앙이다. 문화는 종교에 의해 활기를 띤다 ” (H Vantil)

활기를 띤다 (H. Vantil)

그리스도인들은 동시에 '하나님의 나라'와 '이 세상 '이라는 두 세계에서 산다.

어떻게 이러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인가 ? (다양한 여러 접근법 )

접근법 )

(3)

문화란 무엇인가 ?

문화의 의미

to till or to cultivate : from Latin ‘colore’

colore – 땅을 가는 것, 정신, 마음, 감정을 도야하는 것

“도구, 언어, 추상적 사유의 체계를 사용하여 지식을 배우 고 다음 세대로 전달할 수 있는 사람의 능력에 종속하며 , 사고와 언어와 행위와 가공물의 형태로 구체화된 인간의 제반 행동 양상과 그 산물이 문화이다 ”

문화는 인간의 성취이다 (자연 + α)

따라서 문화란 자연을 인간의 목적에 따라 변형하는 것 인간의 정신과 손을 통한 활동의 결과

하나님의 피조물을 ‘경작한’ 결과 - 인간이 창조되지 않았다 면 문화라는 것은 없었을 것

(4)

문화란 무엇인가 ?

문화의 의미

문화는 사회적 성격을 갖는다 . 문화는 가치의 개념을 갖는다 문화는 가치의 개념을 갖는다 . 문화는 인간적 성취로 특정된다 .

문화는 결코 중립적일 수 없다 (문화는 ' 가치의 세계 ' 를 특징으로 한다 .)

인간의 문화 행위는 그가 가진 가치관(values)를 반영한다 문화는 그 모든 형식과 다양성에 있어서 가치가 시간적으로 문화는 그 모든 형식과 다양성에 있어서 가치가 시간적으로 물질적 양태로 현상하는 특징을 지닌다

모든 문화는 종교적 특징을 지닌다

모든 문화는 종교적 특징을 지닌다 .

(5)

왜 우리는 문화에 관심을 갖는가 ?

교회사를 돌아보면 그리스도에 관한 이해와 문화에 대한 태도에 따라 많은 모델을 볼 수 있다

태도에 따라 많은 모델을 볼 수 있다 .

바른 성경신학 이해에 근거한 잘 구성된 모델 빈약한 성경 이해에 기초한 것

빈약한 성경 이해에 기초한 것 성경신학적 고려가 없는 것

잘못되었으나 열심으로 그리스도를 따르려고 한 것못되었 나 리 따 려 것

인간의 문화적 책임을 잘못 이해하여 반 기독교적인 요소를 포 함하고 있는 것

인간의 부패성 때문에 모든 요소를 제대로 고려한 완전 한 모델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우나 , 하나님이 우리를 완전으로 부르셨기 때문에 모든 문화적 사역에서 어떻게 충분히 그리스도를 반영할 수 있는가를 추구할 책임이 있다

있다 .

(6)

왜 우리는 문화에 관심을 갖는가 ?

종교 (그리스도)와 문화는 분리 의 개념이 아니라 구별 의 개념이다 개념이다 .

소위 중립적인 문화 행위란 있을 수 없다

(예) 부의 축적이 지고의 가치인 사람은 정직, 공평, 정의, 사랑 등은 높이 여기지 않는다.

문화란 하나님의 피조세계 내에서의 인간의 활동의 결과 문화란 하나님의 피조세계 내에서의 인간의 활동의 결과 이다

사람은 피조세계를 개발하고 자기 헌신의 반영인 문화 사람은 피조세계를 개발하고 , 자기 헌신의 반영인 문화 를 창조한다 .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의 문화활동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의 문화활동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하나님의 피조계를 개발하여 , 모든 문화영역이 기독교적 가치를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가치를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

(7)

교회사에 나타난 기독교와 문화와의 관계

문화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의 문제의 복잡성 문화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의 문제의 복잡성 두 영역에 살고 있는 갈등과 긴장 Æ 어떻게 두 영역에 살고 있는 갈등과 긴장 Æ 어떻게 대응 하느냐 ? Æ 많은 모델과 분파

R. Weber

분리모델

분리모델

일치모델

변혁모델

(8)

교회사에 나타난 기독교와 문화와의 관계

R. Nieber

문화에 대립하는 기독교 (Christ against Culture) 반문화 문화에 대립하는 기독교 (Christ against Culture) – 반문화 주의자 (문화는 세상의 것, 반그리스도적 Æ 전적 부정)

문화와 기독교의 일치화와 기독 의 치 (Christ of( Culture) – 문화주의자) 화주의자 (기독교와 서구문명을 동일시)

문화와 기독교의 종합 (Christ above Culture) – 종합주의자 (하나님은 자연법을 통해 문화를 창달하고 발전시켜 나간다 (하나님은 자연법을 통해 문화를 창달하고 발전시켜 나간다, T. Auguinas)

문화와 기독교의 역설적 관계 (Christ and Culture in 문화와 기독교의 역설적 관계 (Christ and Culture in

paradox) – 역설주의자 (그리스도와 문화를 항구적 대립,

긴장 관계로 본다 (Luter)

문화의 변혁자이신 그리스도 (Christ the transformer of Culture) – 변혁주의자 (그리스도인은 개인뿐만 아니라 문화도 구속하신다 (Calvin Augustine)

구속하신다 (Calvin, Augustine)

(9)

분리모델

분리모델의 의의 : 그리스도인들이 이 세상에서보다는 하나님 나라에서 살아야 할 필요성과 그럴 수 있다는 하나님 나라에서 살아야 할 필요성과 그럴 수 있다는 능력을 강조한다 .

필요성 하나님 나라와 세상은 전적으로 나뉘어진 삶의 필요성 : 하나님 나라와 세상은 전적으로 나뉘어진 삶의 영역이라는 대립 (antithesis) 개념에 근거

즉 그리스도인은 전적으로 나누어진 삶의 영역을 선택해서 살 즉, 그리스도인은 전적으로 나누어진 삶의 영역을 선택해서 살 아야 한다.

결과 : 그리스도인의 선택 능력 “오늘날 너의 섬길 자를 결과 : 그리스도인의 선택 능력 오늘날 너의 섬길 자를 택하라 ”

사회 구조에의 참여를 거부 사회 구조에의 참여를 거부

문화 창조에 적극적인 노력이 없음 이 세상으로부터 벗어 나고자 함상

(10)

분리모델 (성경적 근거)

분리주의자들은 성경에는 이런 철저한 순종의 例가 많다 고 믿는다 .

방주를 짓기로 결단한 노아 (창6:5 22) 방주를 짓기로 결단한 노아 (창6:5, 22)

자신의 故土를 떠난 아브라함 (창12:1, 히11:9, 10) 모세 (히11:25) 와 여러 선지자 (히11:37, 38)

예수 (마6:24): 두 주인 (하나님과 재물) 베드로 (벧전2:11): “나그네와 행인”

요한 (요일2:15 17): 세상 사랑과 아버지의 사랑의 대비 요한 (요일2:15-17): 세상 사랑과 아버지의 사랑의 대비

공통점 : 모두가 이 세상의 문화와는 절연하였다는 것

(11)

분리모델 (교회사에서의 예)

콘스탄틴 이전의 교회 : 초대교회의 첫 3세기 동안에는 그리스도인들이 동시에 두 세계에 살아야 한다는 것이 명백했다 .

명백했다

교회와 국가는 서로 대립되었다 (교회에 대립한 로마제국) 황제숭배 거부

황제숭배 거부

유대인들에 대한 적대감: 유일신 개념 / 聖像의 부재 Æ ‘무신 론자’라는 결론

론자 라는 결론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오해: 그리스도의 ‘몸’을 나누고 ‘피’를 마심 Æ 食人祭 정치적 무정부주의자

마심 Æ 食人祭, 정치적 무정부주의자

3세기의 조직적인 박해: 기울고 있는 로마제국의 운명의 원인 이 점증하는 기독교의 성장이라고 생각

이 점증하는 기독교의 성장이라고 생각

(12)

분리모델 (교회사에서의 예)

재세례파

재세례파 (Anabaptist) – ‘다시 세례를 받은 자’( p )

국가교회로부터 이탈했던 개신교도들 (루터, 쯔빙글리가 사용) 유아세례는 국가교회의 특징이었는데, 재세례파는 ‘자유교회’의 입장을 천명하여 성인세례는 국가에 의해 지배되어서는 안 된다고 입장을 천명하여 성인세례는 국가에 의해 지배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

일종의 시민불복종의 행위로서 성인세례 (루터나 쯔빙글리 Æ 교회가 국가로부터 독립)

사도적 전통에 따라서 참된 교회로서 모이고 가르침을 받았던 급진적 종교개혁자들 (Mennonites 스위스형제단 후터형제단) 급진적 종교개혁자들 (Mennonites, 스위스형제단, 후터형제단)

主 관심: 교회의 회복

신약성경의 교회를 본받으려고 하는 열망 - 옛 것을 회복하여 지나간 시대의 순수하고 원시적이며 부패하지 않은 교회로 돌아가려는 것 시대의 순수하고 원시적이며 부패하지 않은 교회로 돌아가려는 것

콘스탄틴 대제의 기독교 공인 이후, 국가의 지지를 받으면서 점차 타락하는 국가 교회로부터 등을 돌리고 과거로 돌아가기를 원함.

(13)

분리모델 (교회사에서의 예)

재세례파

재세례파의 교회관: 국가교회란 참 교회가 나타나기 전에 반드시 거부되 재세례파의 교회관: 국가교회란 참 교회가 나타나기 전에 반드시 거부되 어야 하는 일종의 문화-종교(Culture-religion)라는 확신 공유

재세례파의 국가관: 재세례파의 국가관:

정부의 명령보다 하나님의 명령이 우선함

정부가 하나님께 복종하는데 반대하지 않는 한 정부에 복종해야 한 정부가 하나님께 복종하는데 반대하지 않는 한 정부에 복종해야 한 다고 주장함.

어떤 형태의 국가 정치나 행정에도 참여하지 않음

모델: 초대교회는 국가와 분리되어 있었고, 참된 영성을 가지고 있었으 며 공동체와 형제의식이 충만해 있었으며, 그리스도인들의 평등이 보장 되어 있었다

되어 있었다.

결론: 재세례파는 그리스도인의 문화에 대한 관계 문제에 있어서 분리 모델 (Separational Model)에 속한다

모델 (Separational Model)에 속한다.

(14)

분리모델 (교회사에서의 예)

Amish 교도

현대의 기독교 공동체 운동

현대의 기독교 공동체 운동

(15)
(16)
(17)

분리모델

(특징 및 문제점)

( )

제자로의 부름이 가장 우선적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데 무관심

조직적인 신학을 발전시키지 않았음 조직적인 신학을 발전시키지 않았음 세속주의와 세상을 혼돈

도피주의 , 고행주의, 은둔주의 (비윤리, 탈역사성의 위험 )

위험 )

(18)

동일시 모델

세상 문화와 타협

세상 문화와의 긴장을 인정함으로써 삶의 구조에 참여하 세상 문화와의 긴장을 인정함으로써 삶의 구조에 참여하 는 것은 옹호

그리스도인은 동시에 '그리스도의 나라'와 '이 세상'이라는 두 세 그리스도인은 동시에 그리스도의 나라 와 이 세상 이라는 두 세 계에서 산다.

(성경적 근거) (성경 )

요셉의 애굽 생활 (창 41:41-43) – 문화에 있어 지도적인 역할 다니엘의 바벨론 치리 (단 6:1-3)

예수님의 생활 (마 11:19)과 말씀 (마 22:21) - 예수님 자신도 세상과 동일시

정부의 통치는 하나님의 역사의 일환이다 (정부에 대한 그리스 정부의 통치는 하나님의 역사의 일환이다 (정부에 대한 그리스 도인들의 태도) (롬 13 장)

사도행전의 초대교회의 기록 (행 8장, 10 장, 13 장, 16 장)

(19)

동일시 모델 (교회사에서의 예)

콘스탄틴 시대 이후의 교회

AD 313년 밀라노 칙령 공포 기독교 공인 AD 313년, 밀라노 칙령 공포, 기독교 공인 교회를 애호하는 국가, 국가를 애호하는 교회 부정적인 영향

교회가 부유한 기관이 되었다.

교회 안에 명목상 신자가 (Nominal Christian) 많아졌다, 하나님나라의 이상과 인도주의 (Humanitarianism) 사이 하나님나라의 이상과 인도주의 (Humanitarianism) 사이 의 분명한 구분이 사라졌다 – 기독교 종말론의 약화.

교회가 힘 있는 기관이 됨 긍정적인 영향

긍정적인 영향

상대적인 평화로 교회가 근본적이고도 기초적인 신학을 주조하게 됨 (니케아 신조, 칼케돈 신조 등)

기 신앙의 세 의 원운

기독교 신앙의 중세로의 통로 (Å 수도원운동)

콘스탄틴 시대의 교회는 인도주의적 사회의 목표와 동일시되 어, 인기 있는 명목만의 기독교가 되었다. ,

(20)

동일시 모델 (교회사에서의 예)

루터교 (Christ and Culture in Paradox, R. Nieber)

인간실존의 두 영역 인간실존의 두 영역

이세상 나라 :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참여하는 창조와 타락에 기초 한 영역

하나님의 나라 : 신자들만이 참여하는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에 근 거한 영역

인간은 이 두 영역에 모두 전적으로 속한다 (두 왕국의 시민권, 성도이 인간은 이 두 영역에 모두 전적으로 속한다 (두 왕국의 시민권, 성도이 지만 죄인인 성도) – ‘분리’가 아닌 ‘구별’의 개념

하나님의 통치는 모든 사람의 지성적 실존과 영적 실존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하시는 방법에 많은 차이가 있다)

미치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하시는 방법에 많은 차이가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그 영적 실존에 있어서는 하나님의 말씀 (다스림) 안에 서 살며, 현세적 실존에 있어서는 세속의 권위 (하나님의 다스림의 한 영역) 아래에서 산다 (그러나 실존의 양면을 분리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이 둘 모두를 하나님 아래에서 순종해야 한다. 그 한 영역이 다 른 영역으로 침범하여, 그것까지 다스리려고 해서는 안 된다.

른 영역으로 침범하여, 그것까지 다스리려고 해서는 안 된다.

(21)

동일시 모델 (교회사에서의 예)

루터교 (Christ and Culture in Paradox, R. Nieber)

자유(물질의 영역)와 사랑(인간 관계)을 통해서 그리스도인들 자유(물질의 영역)와 사랑(인간 관계)을 통해서 그리스도인들 은 산상수훈에서의 예수님의 가르침과 일치한 방식으로 이 세 상에서 살 수 있다. (cf) 로마 카토릭의 입장, 재세례파

상에서 살 수 있다. (cf) 로마 카토릭의 입장, 재세례파

루터의 ‘그리스도인의 소명관’, ‘혼인 (性)’, ‘노동’, ‘재산의 소 유’, ‘국가’ ,

‘교회’에 있어 두 영역을 인정 (분리가 아니라 구별)

두 실존 영역 모두에서 각각 온전한 삶 (Lordship)을 인정( p) 실존의 두 영역 간의 이원론 (?)에 의한 긴장은 그리스도 안에 서의 구속(redemption)만이 해결할 수 있다.

이 세상에서 책임 있는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할 필요성 Æ 이 사회 안에서 창조적이고 역동적인 힘을 발휘

(22)

동일시 모델 (교회사에서의 예)

국가종교 (적응적 기독교) (Culture of Christ, R.

Nieber))

교회와 이 세상 사이에 아무런 긴장을 느끼지 않는다 (문화와 기독교를 일치)

교회는 국가 의식이나 활동 (사회 입법 정치적 영향력 경제적 교회는 국가 의식이나 활동 (사회 입법, 정치적 영향력, 경제적 안정 등) 뿐만 아니라 온 세상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함으로써, 교회의 영적이고 현세적인 목적을 달성

민주적 신념과 개신교적 경건 : 서구의 독특한 것으로 교회의 민주적 신념과 개신교적 경건 : 서구의 독특한 것으로 교회의 규범과 목적을 국가의 그것들과 혼합하여 가지고 있다.

룻소: 종교를, 사회를 하나로 묶어주는 도덕적 접착제로 파악

12C 13C에 국가 중심의 신앙이 국가종교가 되었다 12C, 13C에 국가 중심의 신앙이 국가종교가 되었다.

영적으로는 그리스도에게 속하듯이, 도덕적으로 왕에게 속한 다. 교회는 교회가 국가와 교회 모두를 다스리는 통치자라는 의식을 발전시킴

의식을 발전시킴.

왕은 이 땅 위에서 하나님의 뜻이, 그를 통해 수행되는 하나님 의 도구였다. 이렇게 국가는 종교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23)

동일시 모델 (교회사에서의 예)

기독교문화주의

그리스도를 문화에서만 이해, 해석하려고 하는 문화기독교주 의는 신약성경 본연의 예수상을 환상적 그리스도로 왜곡

문화기독교주의에서 그리는 예수상은 시대적 흥미와 요구에 합치되는 신약성경의 어떤 단편 (요한복음의 첫 귀절, 산상수 훈 천국의 선포 등)을 택해서 기독론의 열쇠로 삼고 문화와 그 훈, 천국의 선포 등)을 택해서 기독론의 열쇠로 삼고 문화와 그 리스도를 일치시키려 함

인류 전체에 미치고 있는 통전적 부패성이란 의미에서의 원죄 인류 전체에 미치고 있는 통전적 부패성이란 의미에서의 원죄 사상 (즉 인간성 안에 있는 부패적 본성)을 인정하지 않고, 인 간성의 무한한 도덕적 가능성을 주장하므로 자기 신뢰적 휴머 간성의 무한한 도덕적 가능성을 주장하므로 자기 신뢰적 휴머 니즘에 빠지게 됨

(24)

동일시 모델

(특징 및 문제점)

하나님께서는 국가와 교회 모두를 통해서 이 세상에서 역사하신 다 (그리스도인의 삶의 현세성을 강조, 성육신)

가장 큰 어려움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삶과 이 세상 안에 있는 삶의 균형을 어떻게 이루는가 하는 문제이다.

삶의 균형을 어떻게 이루는가 하는 문제이다

우리의 삶의 구조 속에 침투해 있는 악의 영향력을 과소 평가 종교와 문화의 구별이 없어져 혼합주의화될 가능성

종교와 문화의 구별이 없어져 혼합주의화될 가능성 현 체제 유지에 만족

교회가 세속 권력의 시녀가 되고, 세속 문화에 흡수될 가능성 기독교 문화주의, Social Gospel化의 가능성

(25)

변혁모델 (캘빈주의 문화관)

삶의 구조는 복음을 통해 지금 , 여기서 또 궁극적인 역사 삶의 구 는 복음을 통해 지금 , 여기서 궁극적인 역사 의 목표를 통해서 미래에 변화될 수 있다고 믿는 모델 이 세상의 삶의 구조가 그리스도와 그 복음으로 지금 , 여기서 변혁될 수 있다 (N dh i )

여기서 변혁될 수 있다 . (Nowandherian)

복음의 능력으로 타락된 인간과 삶의 구조 자연(문화)

복음의 능력으로 타락된 인간과 삶의 구조 , 자연(문화)

를 변혁시켜야 할 새로운 문화적 책임을 강조

(26)

변혁모델 (캘빈주의 문화관)

(성경적 근거)

사 65:17, 고후 5:17, 롬 8:19~22, 벧후 3:12~13, 계 21:1~7,22:1~5

바울 요한 어거스틴 캘빈 바울 , 요한, 어거스틴, 캘빈

(특징 및 문제점)

그리스도의 구속은 우주적 성경을 전제로 한다 (사람 의 모든 영역이 회복 )

변혁 델의 핵심적 확신은 사람의 가 개변되 변혁모델의 핵심적 확신은 사람의 구조가 개변되고 바뀌어야 한다 .

지나치게 변혁을 강조하면 종종 기독교 이상주의 지나치게 변혁을 강조하면 종종 기독교 이상주의 (Christian Utopianism)에 빠질 위험이 있다.

(cf) 인본적 민중운동

(cf) 인본적 민중운동

(27)

변혁모델 (캘빈주의 문화관)

캘빈의 변혁주의적 사상

“땅에 충만하고 땅을 다스리라”는 창조세계에 대한 문화적 사명을 주

“땅에 충만하고, 땅을 다스리라”는 창조세계에 대한 문화적 사명을 주 장하며, 일반은총에 의해 맺힌 열매를 감사히 사용할 의무를 강조

이 이웃에 대한 자연적 질서에 의해 인간은 이웃과의 사랑의 관계를 지 이 이웃에 대한 자연적 질서에 의해 인간은 이웃과의 사랑의 관계를 지 니고 또한 여기서 소명의식이 나온다. 그리고 이웃을 위한 소명의식에 서 노동의식과 문화의식이 나온다.

바울과 어거스틴을 따라 인간 본성의 전적인 타락을 강조하면서도 근 바울과 어거스틴을 따라 인간 본성의 전적인 타락을 강조하면서도, 근 본주의적 반문화 사상을 말하지 않고 적극적 문화사상을 주장

죄로 인해 문화가 파괴된다고 주장하나, 일반은총에 의해 문화가 선하 죄로 인해 문화가 파괴된다고 주장하나, 일반은총에 의해 문화가 선하 게 유지될 수 있음을 주장

일반은총에 근거해 그리스도 속죄의 사역이 없는 이방인에게도 선한 문 화가 가능

그러나 이방문화는 진정한 문화의 이상에 이르지 못하고 쇠퇴. 그 자체 안에 부패한 씨를 내포

안에 부패한 씨를 내포

(28)

변혁모델 (캘빈주의 문화관)

캘빈의 변혁주의적 사상

따라서 이러한 일반 은총에 입각한 문화의 실패와 몰락은 기독 따라서 이러한 일반 은총에 입각한 문화의 실패와 몰락은 기독 교 신앙을 강하게 필요로 한다고 주장

즉 문화가 그 적당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의 구 즉, 문화가 그 적당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의 구 속을 통한 하나님의 특별계시의 지도를 받아야 함

기독교인의 삶의 목적을 하나님의 영광이라고 규정지음.

이 지고한 삶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복음은 삶의 모든 영역 이 지고한 삶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복음은 삶의 모든 영역 속에 침투되어야 함을 주장

칼빈의 직업관 : 직업은 하나님이 부르시는 이웃에 대한 소 명의식이며 이 소명의식은 각자가 하나님으로부터 합당하게 명의식이며, 이 소명의식은 각자가 하나님으로부터 합당하게 받았으므로 직업에 하등의 차별이 없음

국가 : 국가를 소극적인 기능에서 더 나아가 복리를 증진시 키기 위한 하나님의 일꾼이요 정부의 궁극적 목적이 하나님 키기 위한 하나님의 일꾼이요 정부의 궁극적 목적이 하나님 의 영광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함

자연법 : 이방국가의 법이 타당성을 지니는 것은 하나님이

(29)

변혁모델 (캘빈주의 문화관)

캘빈의 변혁주의적 사상

결국 캘빈의 문화적 변혁주의에 가장 기반이 되는 사상은 창조 론과 연관되는 하나님의 주권사상임

하나님은 이 세계의 창조주이시며, 이 창조 세계의 모든 영역 속 에서 역사하신다

하나님은 부패되고 왜곡된 세계 속에서 그리스도를 통한 인간 세계의 구속과 그 문화 변혁을 이루신다

창조세계와 문화의 영역은 하나님의 주권이 나타나는 광장이며, 교회뿐만 아니라 모든 창조의 영역 속에서 하나님은 그리스도를 교회뿐만 아니라 모든 창조의 영역 속에서 하나님은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의 주요 창조의 하나님으로 영광 받기를 원하신다. 여기서 그리스도는 문화의 구속주요 문화의 변혁자로 나타난다 여기서 그리스도는 문화의 구속주요 문화의 변혁자로 나타난다.

(30)

각 문화관에 대한 입장

각 모델의 기본적 주장은 모두 다 성경의 가르침 에 근거하고 있다 .

다른 모델에 대한 적절한 고려 없이 한 모델만을 강조하는 것은 불균형한 접근이 될 위험성이 있 강조하는 것은 불균형한 접근이 될 위험성이 있 다 .

다 .

문화적 상황은 때때로 다른 모델보다는 한 모델

을 강조할 것을 요구하거나 지지한다 .

(31)

문화에 대한 성경적 입장

세속 (Worldliness)와 세상(World)의 구분

세속 : 하나님을 부인하는 사상과 생활, 하나님의 통 치가 부인되는 곳

요 17:14, 갈 6:14 - 하나님께서는 세속을 미워하시기에 우리는 세속에 속해서는 안 된다.

세상 : 하나님의 창조의 세계 섭리와 사역의 공간 세상 : 하나님의 창조의 세계, 섭리와 사역의 공간, 하나님의 거처 (요 3:16)

Incarnation (세상은 버려진 곳도 사탄의 것도 아니다, 삶(세상은 버려진 곳 사탄의 것 아니다, 삶 의 context)

Closed system (Deism)

O t (사45 7 단5 21) Open system (사45:7, 단5:21)

We are in the world, but not of the world (H.

Vantil)

Vantil)

(32)

하나님 말씀과 문화

초문화적인 하나님의 말씀

하나님의 말씀 : 단순히 신비적으로 들여오는 영적 청각이나 하나님의 말씀 : 단순히 신비적으로 들여오는 영적 청각이나 직관의 대상이 아니라, 항상 쓰여진 기록의 성서를 통해서 비로 소 우리들에게 말씀하시는 것

말씀을 역사적으로 표현하는 문화적인 형식

복음 (하나님의 말씀)이 문화적 형식을 입은 원형 : 예수 그리스 도의 성육신 사건

도의 성육신 사건

기독교를 이루는 구성 요소 중에서

복음이 빠지고 문화적 형식만 강조될 때 세속화된 문화의 복음이 빠지고 문화적 형식만 강조될 때 → 세속화된 문화의 집회

계시된 체험만 강조하고 문화적 형식 도외시해 버릴 때 → 빛과강 형 소금이 아닌 도피주의

그러므로 기독교와 문화의 상호관계성을 살펴보는 일은

.

(33)

그리스도인의 문화 활동의 의의

하나님 -사람 (히 10:20) 하나님 자연 (골 12 20) 하나님 -자연 (골 12:20) 사람 -사람 (엡 2:13-14) 자아 (인간성)

자아 (인간성)

종교와 문화 (제5의 분리)

문화 인류학자들의 견해 종교 문화 문화 인류학자들의 견해 (종교<문화) cult Æ culture

주기도문 , 롬12:1~2

하나님께 대한 인간의 삶은 단순히 영혼 (종교)에만 관 계된 것이 아니고 인간 삶의 전 영역(문화)과 관계가 계된 것이 아니고, 인간 삶의 전 영역(문화)과 관계가 있다 (분리가 아니라 구별의 관계)

하나님의 절대주권 (Sovereignty of God) ( g y )

(34)

문화명령 (Cultural Mandate)

성경적 문화 이해 (창 1:20~28, 2:15)와 헬라적 문화 ( ) 이해 (프로메테우스 신화)

화 하 의 창 역의 역 화 역의

문화명령 - 하나님의 창조사역의 동역자로서 문화사역의 주체가 됨

다스리라 (Dominion) - 자연에 대한 청지기 (cf) Lynn White Syndrome

Syndrome

정복하라 (Subdue) - 땅을 계발

경작하고 보존하라 (Till and Keep) - 문화적 책임

문화의 시작은 창 1:28인가? 창 4장부터 인가?

문화의 시작은 창 1:28인가? 창 4장부터 인가?

(35)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

이 세상의 모든 영역이 하나님의 통치와 그의 관심아래 있다는

고백 아울러 하나님을 경배하고 그의 뜻을 따라 땅에 대하여 그것을 고백, 아울러 하나님을 경배하고 그의 뜻을 따라 땅에 대하여 그것을 본래의 목적대로 계발하는 삶 (Calvin의 영역주권, A. Kuyper의 고 백)

백)

순수한 종교 활동 (성경 읽기, 기도회 참석 등)은 거룩하게 여기나 그 외 삶의 영역은 속된 것으로서 하나님의 통치권과 무관하게 여길 그 외 삶의 영역은 속된 것으로서 하나님의 통치권과 무관하게 여길 때, 삶은 더욱 궁핍해질 수 밖에 없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의 뜻이 이 땅 위에 이루어지기를 바라면서 그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의 뜻이 이 땅 위에 이루어지기를 바라면서 그 의 나라와 의를 구하는 바, 믿음의 행동이 바로 Christian의 문화적 활동이다.

활동이다.

수직적 신앙과 수평적 신앙의 조화 (Total Gospel) - 행 24:16, 롬 14:17-18

14:17 18

(36)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

“오늘의 문화가 세속화된 것은 그들의 음모가 아니라, 우리가 소금의 사명을 저버렸기 때문이다 ” – Francis A. Shaeffer

각 개인의 생각을 바꾸는 일 Æ “문화의 씨앗” (C.

Dawson) Dawson)

복음의 전체성 (Total Gospel)에 관심 갖는 방향의 전환

너희는 다르게 살라 (마 6:8) 너희는 다르게 살라 (마 6:8)

우리에게 부족한 것은 힘이 아니라 의지이다 .

(37)

토론할 문제

기독교와 문화의 관계에서 나타난 3가지 모델의 성경적 근거와 교 회사에서의 예를 찾아 보고, 이것들을 잘못 이해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

인간의 종교생활과 문화생활 (문화적 책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습니다 (성경적 문화이해와 헬라적 문화이해 (프로메테우스 신 있습니다. (성경적 문화이해와 헬라적 문화이해 (프로메테우스 신 화))

‘세상에 대한 이해는 그리스도에 대한 이해를 그대로 반영한다’라고 합니다 세상과 세속의 관계를 구조와 방향의 개념으로 이해해 봅 합니다. 세상과 세속의 관계를 구조와 방향의 개념으로 이해해 봅 시다.

‘종교’와 ‘문화’는 ‘분리’의 관계입니까? '구별’의 관계입니까?종교 와 문화 는 분리 의 관계입니까 구별 의 관계입니까

하나님의 뜻에 불순종함으로써 문화사역에 나타난 영향을 창세기 3 장에서 살펴봅시다.

창세기 1 26 28 2 15의 C lt l M d t 에 대한 각자의 의견 창세기 1:26~28, 2:15의 Cultural Mandate에 대한 각자의 의견 을 이야기해 봅시다.

우리 자신이 지금 여기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문화적 사명을 감당 우리 자신이 지금 여기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문화적 사명을 감당 해야 할 영역과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해 봅시다.

참조

관련 문서

• 독립 소매상들이 단체구성의 필요성을 덜 느꼈을 뿐 아니라 기존의 연쇄점이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 하지 못했기 때문.. 프랜차이즈 권한을 부 여 받은 기관은

특정 회사뿐 아니라, 다른 모든 회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 이건 단순한 과학의 불융통성이 아니라 과학이 제 밥그 릇을 지키기 위한, 어찌보면 과학이 과학이기 위해 지켜 나가는 같은 것이다... • 조지루카스는 스타워즈라는

그러나 모든 문화는 너무 자연스러워 마치 자연인 것처럼 생각됨.. 문화의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그리 스도인들이 그러한 하나님의 전능하신 성령의 역사를 위하여 기도할 것을 요청하며, 성령의 모든 열매가 그의 모든 백성에 게 나타나고,

해외건설 부문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국내 및 해외에서 태양광, 풍력 등 신 재생에너지에 대한 신규 투자가 증가하여 단지조성을 위한 수요가

뿐만 아니라 모둠활동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함께 팝업북을 제작하는 과정 속에서 타인에 대한 배 려뿐만 아니라 모둠 안에서의 개인적 책무성을 인지하며 협동심을 기를

건강관련 행위 특성과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흡연 상태에 따른 삶의 질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영역은 신체적 기능 영역,신체적 역할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