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통인프라의 재난관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교통인프라의 재난관리 "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교통분야 방재기술:

교통인프라의 재난관리

활용방안

윤윤진│카이스트 건설 및 환경공학과 교수 (yoonjin@kaist.ac.kr)

03

(Crisis Management)의 단계로 나누어진다(<그림 1> 참조).

경감조치 및 예방(Mitigation & Prevention), 재난 대비 (Preparedness), 발생 예측 및 조기 경보(Prediction and Early Warning)를 포함하는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의 단계는 사전적이고 예측적인 리스크 관리 및 안전보장 활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재난의 위해요인(hazard)을 발굴 하고 관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미국, 일본 등 다수의 국가에서 홍수, 태풍, 지진 등 주기적 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이러한 위 기관리 관련 기술적, 정책적 논의가 활발하며, 위험관리의 궁극적 목적은 사전적 예방 활동을 통해 재난 발생 시 피해 와 복구의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는 데에 있다.

재난이 발생한 이후의 활동을 포괄하는 위기관리는 피 해도 산정, 대응, 복구, 재건의 단계를 포함하며, 사후 대 응 및 복구 활동을 통해 빠른 시일 안에 재건의 기반을 마 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가 재난관리의 기본 틀은 국가기반시설(Critical Infrastructure)을 중심으로 수행되며, 미국의 경우 911 사 태 이후 화학, 통신, 댐, 응급 서비스, 금융 서비스, 정부시 설, 정보기술, 핵, 상수와 하수시스템, 의료 및 공중위생, 식량과 농업, 에너지, 방위산업기지, 중요 제조업, 상업시 설과 교통시스템을 포함하는 16개의 국가기반시설을 지정 하고 있다. 미국 국토안보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에 따르면 이러한 국가기반시설은 자국의 경제, 보안 및 안전, 보건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자국민들의 일상 활동에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 다. 교통시스템의 경우 재난관리에 있어 ① 교통과 주요 인 프라 간의 상호 의존성, ② 대피모델, ③ 구호물자 및 응급

(2)

특집 정책과 기술을 접목한 도시방재

서비스 제공 등 크게 세 가지 영역의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 중 대피모델과 구호물자 제공 부분은 사 실상 같은 지리적, 지역적 정보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 모 델을 통해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며, 구호물자와 응급의료에 특성화된 연구들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다음 장에서는 ①과

②에 관련된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교통시스템과 주요 인프라 간의 상호 의존성

교통시스템은 사람, 물건 등의 이동에 관련된 모든 것을 포함하며, 항공, 해양, 철도, 도로,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가스 파이프라인과 우편 및 물류 서비스도 포함한다. 특 히 교통시스템의 경우, 화학이나 원전 등과는 달리 다른 국가기반시설과의 연계성 및 상호 작용성이 주요한 특성 으로 나타난다. 인구와 물건 이동의 근간이 되는 특성상 교통시스템 자체의 재난이 아닌 경우에도 대피나 물자 수 송, 응급구호 서비스 등 재난 전후의 모든 단계에 걸쳐 다 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교통시스템과 타 인프라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며, 입·출력모형 시스템 다

<그림 2> 교통시스템과 주요 인프라 간의 상호 작용 분석기술

상위 레벨에서의 상호 의존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때 우수

구체적인 수치 및 영향을 파악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음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연결망을 기반으로 하는 인프라 간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기에 좋음

피해 규모의 산출 및 영향도의 파악에는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으나 정확 한 매커니즘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즉 재난 시의 피해 규모에 대한 파 악은 가능하나 대비책 등의 마련에서 한계를 보임

연결망 모형(Network-based models)

일부 인프라의 상호 의존성에 적용된 사례는 있으나 교통 상호 의존성에 적용된 사례는 적음

기존의 transportation Interdependencies에 적용된 Input-Output model은 여러 종류의 Damage에 대한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힘듦

입·출력 모형(Input-Output models)

행위자 기반 모형(Agent-based models)

Cell-channel models

<그림 1> 재난관리의 두 단계

Risk Management

Crisis Management

Preparedness

Protection Mitigation and

Prevention

Reconstruction Impact

Assessment Prediction and Early Warning

Recovery

Disaster

Response Recovery

(3)

이들 기법들은 상호작 용을 고려한 경제적 파급 효과 산정, 네트워크 구 조를 가정한 피해 산정, IDEF-0를 기반으로 한 시 스템 상호작용 해석, 에이 전트 기반 모델 등 다양한 결과들이 있으며, 어느 한 가지 모델로 상호 작용성 이 완벽히 설명된다기보다

는 목적과 용도에 맞게 활용하기 위한 접근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피: 재난 시 교통의 중요한 역할

대피의 경우, 재난이 임박하거나 혹은 초기 재난상황에 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허리 케인, 쓰나미, 지진 등 조기경보가 가능한 자연재해의 경 우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대피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은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 다. 미국, 일본 등 재난관리 선진국들은 이러한 대피전략 수립에 있어서, 토지이용, 인구 구성, 가용 교통자원, 도 로 및 대중교통 인프라 폐쇄 등의 다양한 요소들을 해당 지역에 맞게 모델링하고, 다양한 시나리오 기반의 시뮬레 이션을 실시함으로써, 최적의 대피 전략을 도출하고, 필요 시 사용할 수 있는 대체 전략(Alternative Plan)을 설정하 는 데 수십 년 동안 많은 연구개발 투자를 해오고 있다. 대 표적인 예로는 Oak Ridge Laboratory의 OREMS(Oak

Ridge Evacuation Modeling and System)이 있다(<그림 3> 참조). 최근에는 MATSim 등 fast and large scale의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을 통해, 쓰나미 등의 잠정적인 자연재해에 대비한 대피 및 구호물자 수송 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그림 4> 참조). 대 피 시뮬레이션의 경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소들을 반영 한 복잡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자체 기술도 중요하지 만, 무엇보다 빠른 실행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대부분 의 재난 모의 기술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으로, 재난 이 임박한 상황에서 가장 최신의 정보를 활용하여 정확하 고 효율적인 대피전략을 즉각적으로 분석, 제시할 수 있어 야 하기 때문이다.

신교통수단의 발전과 재난관리에서의 역할

재난관리에 있어 지금까지는 주로 교통 인프라에 관련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빠르게 발전 하고 있는 무인이동체(무인비행체, 무인자동차, 무인선

출처: Center of Transportation Analysis,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4)

특집 정책과 기술을 접목한 도시방재

체 등) 등의 신기술이 실제 재난 감지와 대응에 있어 현 장 미션을 수행하고 보조할 수 있는 수단으로 많은 기대 를 받고 있다. 재난 감지의 경우 위성사진이나 기상데이 터 등을 활용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대형 산불의 경우처럼 예측이 어렵고 즉각적인 상황파악 을 통한 빠른 대응전략 수립 및 지속적인 방재활동 모니

터링과 전략 수정이 요구되는 재난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 가 있었다. 미국 NASA의 경 우 UAV(Unmanned Aerial Vehicle)를 활용하여 산불 현 장 이미지와 텔레미터 등의 데 이터 수집 및 분석에 기반한 Fire Mapping을 통해 산불대 응 초기 전략 수립에 활용하 고 현장 활동의 지속적인 모니 터링을 통한 산불 진화 미션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사 결정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그림 5> 참조). 최근 들어 화산활동 감시, 건물 화재현장 모니터링 등 재난상황 모니터링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 는 무인기 이미지 데이터는 재난지역의 활용 가능한 교통 인프라 감지 등의 분야에도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는 Deep Learning 등의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되어 단시일 안에 새로운 기술 혁신을 이룰 것으로 예

<그림 4> MATSim

출처: matsim.org

AIRDAS Data-Tire Fire, CA 1999, geo-rectified and overlain on 7.5’

digital quad.

AIRDAS Data-Tire Fire, CA 1999, georectified and draped over SRTM terrain data.

AIRDAS Data-Baker Fire, CA 1997, georectified imagery.

AIRDAS Data-Baker Fire, CA 1997, time-series analysis.

Fire Incident Command Center(ICC)- Assimilation of Fire Remote Sensing Information and Data into the Fire

Decision Support System.

<그림 5> NASA Fire Decision Support System

출처: nasa.gov

(5)

인 Last-mile에 대한 부분을 비롯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호 및 복구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 제 우리나라도 국토교통부에서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드 론을 재난대응에 활용하는 실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미국 교통부(Department of Transportation) 산하 Federal Aviation Authority는 2016년 6월 재난 구호 등을 목적 으로 하는 상업용 드론 활용에 대한 Rule(우리나라의 시 행령에 준함)을 공표하였다. 물론 아직은 가시권 비행 (Line-Of-Sight) 등의 제약 조건이 남아 있으나, 드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런 부분에 대한 제약은 점차 약화 될 것이다.

맺음말

교통시스템은 다양한 재난재해 발생 시 대피, 구호물자 수 송, 응급의료 서비스 연결, 재건 등 위험관리의 마지막 단 계와 위기관리의 전 단계에 걸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사회 주요 인프라 중 하나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할 때, 타 주요 인프라와 교통 인프라 간의 상호 작용에 관한 체계적 인 분석과 모델링이 필수적이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 전반 의 재난 대비 복원력(resilience)을 보장하는 것에 관한 고 민이 시급한 시점이다. 특히 대도시 집중현상, 북한과의 대치상황, 테러 대비 등의 복합적 현안에 직면해 있는 우 리나라의 경우, 다양한 재난 발생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개 별 지역의 지리, 사회, 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대피 모델 개 발을 통해 대-소규모 재난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 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는 무인이동체 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의

참고문헌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15. Transportation Systems Sector–Specific Plan 2015.

_____. 2013. National Infrastructure Protection Plan.

Voice of America News. 2014. Aid groups turn to unmanned aircraft for disaster support. May 9.

참조

관련 문서

2016.. 2016년 수행된 1차년도 연구과제는 홍수 재해와 관련하여 지역의 복원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회적 후생함수 (social welfare function)인 형평성에 관한 사고는 사 회경제학적 측면에서 주요 이슈로 다루어져 왔으며, 주요 관점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r]

이러한 한계편익과 한계비용의 특성을 고려할 때 특정 연도 에 국한하여 감축목표를 설정할 경우 한계편익은 낮고 한계비 용은 매우 높은 시점에 과도하게 많은

우리사회가 직면한 사회 · 경제적 문제를 고려할 때 복지확대가 불가피하다는 현실론과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당 위성을 포괄하는 관점에서 복지재정

정산표의 작성과정 및 이를 통한 회계순환 전반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이러한 경우 두 변수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세계 식량과 농업상황에 관한 주요 추이와 그 변동요인 및 농업과 환경·사회·경제 간의 상호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통계연감(F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