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개도국 투자현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 개도국 투자현황 "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재원 확보를 위한 기관투자자 동원

는 월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재원 확보를 위한 기관투자자 동원 보고서를 발간 기관투자자의 개도국 투자동향 분석 및 혼합금융 시사점 도출

연기금 및 보험사의 투자자산 중 개도국 비중은 매우 낮으며 주로 아시아 지역에 편중

기관투자자의 개도국 투자 확대를 위해서 기관투자자의 리스크 인식 변화 기관투자자 동원규모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마련

적격투자사업 발굴 기관투자자의 자산배분 투명성 강화 등 강조

1 글로벌 자산 동향

자산규모 기관투자자 운용자산은 지속 성장하여 년말 기준 조 상회

기관투자자 자산규모는 국가별로 상이

기관투자자 자산규모가 규모를 상회 하는 경우 폭넓은 투자 대상 발굴 수요 존재

자산구성 기관투자자는 자산의 대부분을 채권 및 주식에 투자 주식 채권 비중은 기관투자자별로 상이하나 대부분 자산 중

가량을 현금으로 보유

(2)

자산구성은 유동성 수요 채무구조 고객 앞 지급형태 투자의사 결정권자의 리스크 성향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음

국내 해외 투자 여부는 기관투자자의 국내 투자가능 대상자산에 따라 달라지며 해외투자시 포트폴리오 다양화로 투자리스크 감소

다만 해외투자는 환리스크 해외시장에 대한 지식 투자규제 등 비용 리스크 수반

투자제약 연기금 보험사는 통상 정량 정성적 규제가 적용

보험사 신중한 사람 원칙 담보

유동성 수익성 위험자본 기준 등 준수

연기금 연기금 형태별로 투자제한이 상이하며 특정 투자수단에 대해 더 엄격 하게 규제

대부분의 국가칠레 콜롬비아 한국 멕시코 폴란드 제외에서는 연기금의 해외 투자비중에 대한 제한은 없음

최근 해외투자 등 연기금에 대한 규제는 대체로 완화되는 추세 정책 권고

대형 연기금 보험사 소재 국가에서의 ,

투자 규제 유연성 확대

기관투자자의 개도국 자산 확대시

미시 거시적 장애요인 제거

2 개도국 투자현황

(3)

상위 개 펀드가 조사대상 펀드 자산의 보유

개도국 소재 해외자산 비중이 높은 펀드는 등이나 금액으로는 억에 불과

등 상위 개 펀드가 각각 개도국 자산의 차지

지역별 투자자산은 아시아 및 중남미 소재 개도국에 편중

개 펀드는 아시아 비중이 가 넘고 개 펀드는 아프리카에 대부분 이상 투자

자산종류별 글로벌 트렌드와 유사하게 지분투자 채권

부동산 사모펀드 현금 비상장인프라 순

투자대상 지역별로 펀드가 선호하는 자산종류는 상이

(4)

나 보험사.

개국 개 보험사 앞 서베이 실시

자산규모 개 보험사는 보유자산의 만 개도국에 투자 지역별 개도국 투자자산의 가 아시아 지역에 집중

자산종류별 개도국 투자자산의 가 채권 형태

한국은 채권을 매우 선호하는 반면 유럽 및 일본은 상장주 사모펀드 에도 상당부분 투자하며 일본은 비상장 인프라 투자비중이

3 개도국 투자 고려요소

가 투자 의사결정.

투자 참여기회 부패 정치 거시경제 리스크가 가장 중요한 고려 요소이며 투자 판단기준에는 연기금 및 보험사 간 차이 존재

연기금이 보험사 대비 현지 인프라 개발임팩트에 보험사는 연기금 대비 조세 환리스크 현지 행정 효율성을 더 중요하게 인식

문화 공유 환경 사회 거버넌스 규제는 중요도가 낮음

(5)

나 지속가능성.

전세계적으로 기관투자자는 투자정책에 책임투자 원칙을 반영 하는 추세로 최근 몇년간 기관투자자들은 요소 고려

예치금 투자방식에 대한 고객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천개가 넘는 투자기관 조 운용 이 책임투자원칙에 서명

개도국 자산보유 투자회사는 자사 투자정책에 국제의제 의제 파리협약 등 를 반영할 필요성 인식

기준 주류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개별투자 차원에서 준수로 제대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비판 제기

다양한 기준 남발에 따른 투명성 부족 잘못된 인센티브 및 분절화된 규제로 인한 비재무적 수익에 대한 책무성 결여에 기인

다 정부 및 공공참여자와의 협력.

민간투자자의 개도국 투자를 위해서는 공공부문 역할 이 중요하나 기관투자자 현지정부 개발협력 공여자간 협력은 여전히 산발적

서베이에서 기관투자자 중 은 개도국 투자시 공공 참여자와 협력하지 않는다고 응답

일부 투자자는 자국 개발협력기관 개발금융기관 다자개발은행 와의 파트너쉽을 모색 개도국 정부와의 협력의사는 낮음

리스크 경감 협조융자 지식전수 자문이

공공참여자와 협력하는 주요 동기

(6)

정책 권고

▶ 임팩트 투자정책을 통한 지속가능성 확보도 SDG 달성에 중요 특히 국제사회는 ,

글로벌 지속가능 금융시장 구축을 위해 노력

4 혼합금융 역할

가 의의.

코로나 위기 이후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위한 재원 부족은 심화되는 가운데 기관투자자는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역량 보유

기관투자자는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하므로 재원부족 해소에 적합하며 현재 저금리 상황에서 개도국 투자는 수익률 향상에도 기여 혼합금융은 재원부족을 해소할 수 있는 해법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기관투자자의 개도국 투자 유도 가능

혼합금융은 사업위험 을 경감하고 수익률을 제고함으로써 현지 및 국제 기관투자자 자본 유치 증진

기관투자자의 혼합금융 참여는 저조하므로 이들의 참여 확대를 위한 노력 요구되며 공여국 정부의 역할이 중요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복잡한 금융구조 및 표준화 부족 대규모 투자기회 부족 투자적격 사업 부족 등 문제 해결 필요

(7)

최저개발국 최저소득국 에 동원된 민간재원은 에 불과하여 불균등하게 투자

신흥국 투자에 대한 관심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관투자자와 개발 금융 공여자와의 협력은 부진

(8)

정부 재단 개발금융기관 비영리자산운용사는 혼합금융 사업에 양허성 자본을 제공하는 주요 참여자

양허적 자본을 최소화하면서도 상업재원 동원을 최적화하되 동원 규모 확대와 개발임팩트 간의 적절한 균형 도출 필요

정책 권고 기관투자자의

리스크 인식 변환을 위해 혼합금융 활용

▶ 개발재원 공여자( ) 다수 사업의 포트폴리오화 및 기관투자자 동원규모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확대

공여국 기술지원 제공 등을 통해 ( , MDB, DFI)

적격투자 사업 발굴

효율적 혼합금융 사용을 위한

프레임워크 제공

기관투자자의

자산배분 투명성 강화를 통해 신뢰 구축 및 개도국 투자 촉진

붙임 기관투자자의 혼합금융 참여 사례 끝

(9)

붙임 기관투자자의 혼합금융 참여 사례

참조

관련 문서

효과적인 해외진출 전략은 현지 유헬스 사업자와 전략적 제휴를 하여 한국 기업 은 유헬스 관련 기기를 제공하고 현지 사업자는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중간/기말 대비

학생들이 현지 호텔에서 근무하고 있는 동안에는 학과 교수들이 현지 에 방문하여 학생들의 근황을 파악하고 호텔 인사담당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산학

6) GEDI의 제도/환경적 평가항목은 부패인식지수(Transparency International), 고등교육 등록자수, GDP 대비 연구개발투자 (UNESCO), 인프라,

유연한 섬유 단단한 섬유 가벼운 무게 무거운 무게 가늘고 부드러운 텍스처 거친 텍스처. 작고 약하며 미묘한 대비 아주 강하고

수도권은 경제성과 정책성만을 평가하는 것으로 변경하여 기존 대비 경제성에 대한 가중치를 높이고, 비수도권은 경제성, 정책성, 지역균형 을 평가하여 기존

자료: Umicore, 대신증권 Research Center.. 내연기관 대비 전기차의 경제성 우위 확보.. Laterite 대비 희귀한 sulphide 매장량 그림 51.. 정보전자소재)하여

외국어 구사능력 향상, 비자발급 등에 상당시간 소요 전공, 적성, 유망직종 등 고려. 해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