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2 노영혜님 원고 8.5 1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12 노영혜님 원고 8.5 11"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우수한 우리종이문화의 세계화와 문화창조력을 위한 전략(4)

전통 지혜지접기를 활용한 종이접기 창작 세계

노 영 혜

이사장 / 종이문화재단 목 차 1. 우리나라 종이문화의 역사와 세계화 2. 종이접기를 이용한 종이문화 3. 전통 지혜지접기로 만든 색실상자에 대해서 4. 지혜지접기를 활용한 실첩과 지갑만들기(실기) 5. 문화창조력을 위한 종이접기 창작세계 [인재로 키우는 종이접기 영재교실(실기)] 1. 우리나라 종이문화의 역사와 세계화 조상의 얼과 혼이 담긴 훌륭한 우리종이문화는 선조들이 물 려준 높은 문화유산이다. 일상생활 속에서는 문과 벽, 천 장 등에 종이를 사용한 나라는 있습니다만, 방바닥(장판)에 까지 종이를 사용한 나라는 세계에서 우리나라밖에 없습니 다. 종이를 접고, 오리고, 꼬고, 뭉치는 등 의.식.주를 중심 으로 생활속에서 밀접하게 이용해 온 종이문화는 신앙의식, 문필용, 화필용, 생활용품뿐 아니라 제기차기, 딱지치기, 종이배, 연날리기, 칠교놀이 등 즐거운 놀이문화였다. 또 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로켓이라고 부르는 신기전(神機 箭)의 발사체의 핵심기술은 한지가 원료였다고 하니 우수한 우리 종이문화는 과학기술에 이르기까지 영향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 사랑방의치례 ▲ 장판지 뜨는 모습 ▲<국조오례서례병기도설>에 실려있는 화차의 설계도 ▲ 신기전 화차에 장착한 화살 1

(2)

-지난 4월에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 산에 등재된 국보급 문화재 이조왕실문화 『외규장각 조 선왕실의궤』 가 145년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는데 훌륭한 한지 “초주지”로 만들어 수백년이 지나도 원형을 그대로 유 지하고 있어 조상의 슬기로운 지혜가 담긴 기록문화의 꽃으 로 우리나라 밖에 없는 유일본이다. 이렇듯 소중한 우리의 전통종이문화와 역사를 바로 알고 자긍심을 가지고, 더욱 발 전시켜 세계화시켜야 함은 이시대의 과제이며 소명이다. 2. 종이접기를 이용한 종이문화 닥나무라는 재료에서 만들어지는 자연의 멋! 질좋은 우리종이(한지: 韓紙)는 부드럽고 통풍이 잘되며 질 기고 냄새가 향긋하며 먹물을 잘 빨아들여 서화(書畵: 책 만 들기와 그림그리기)에 좋으며 가벼워 솜 대신 옷에 넣어 방 한용으로도 썼으며 옛 군인들의 갑옷으로 만들어 입기도 했 고, 일반인들도 옷감 대신에 옷을 만들어 입기도 했다. 이러한 한지를 주재료로 하여 음양오행설에 의해 오방색(적, 청, 황, 흑, 백)을 기본으로 조족등, 지통, 붓통, 찻상, 장, 함, 반짇고리(색실상자), 상보, 빗접, 담배쌈지, 혼례용으로 사 용되는 예단삼합상자 등 종이공예품은 일상 생활용품으로 생활문화로 다양하게 사용했다. ▲<외규장각> 조선왕족의 궤: 행렬도 ▲ 서화 (書畵: 책 만들기) ▲<외규장각> 조선왕족의 궤 ▲ 붓통 ▶반짇고리 ▲ 삼합오색상자 ▲ 반닫이 ▼ 조족등 2

(3)

-종이는 문화뿐 아니라 우리민족의 과학 기술력의 모델인 신기전(神機箭)의 핵심기술인 발사체의 원료로 한지를 사용했는데 안타깝게도 그 한지의 비밀은 아직도 재연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누구나 어릴 적에 소원과 꿈을 적어 종이 배를 접어 시냇물에 띄워 보내고, 딱지를 접어 따먹기 놀이 를 했고, 희망을 담은 종이비행기를 접어 하늘에 날려 보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종이접기를 이용한 전통종이문화를 살 펴보면 삼신모자, 종이꽃, 칠교놀이, 종이등, 복주머니, 혼 백, 지방, 종이 바수기, 연, 갈모, 부채, 우산, 봉투, 책, 서산, 빗접, 실첩, 색실상자 등 계속 발굴하여 보존하고 연구개발 및 재창조되어야 할 것이다. 3. 전통 지혜지접기로 만든 색실상자에 대하여 일찍이 인류가 기후에 적응하고 예를 갖추어 아름다움을 나 타내기 위해 의복을 입게 되면서 부터 바느질이 필요하게 되 었다. 바느질과 옷 손질은 옛 여성들의 생활의 대부분이었으 므로 귀중하고 필수적인 바느질도구(바늘, 골무, 바늘꽂이, 색실, 실타래, 실패, 실 상자, 가위, 인두, 헤라, 바느질보, 바 느질상자 등)인 반짇고리(실첩, 색실상자 등)를 잘 살펴보 면,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바느질 정리도구나 방법에 비해 훨씬 정서적이고 과학적이면서도 섬세하고 편리하게 사용했 으며, 전통 지혜지접기로 만든 색실상자는 바느질 도구 외에 귀중한 것을 담기도 하여 보물 상자로 불리기도 했다. 특히 도구와 상자는 화려하고 다채로운 여러가지 무늬의 문양들 로 구성되어 아름다운 조형예술 작품이었다. ▲ 칠교놀이 ▲ 갓집 ▲ 부채 ▲ 실첩 ▲ 삼신모자 ▲ 복주머니 ▲ 바느질도구 ▲ 색실상자 ▲ 갈모 ▲ 빗접 ▲ 실첩 3

(4)

-4. 지혜지접기를 활용한 실첩과 지갑만들기(실기) 우리 선조들은 종이를 많이 접으면 슬기로워진다며 한 장 으로 접은 딱지를 지혜지라고 부르며 전해 내려오고 있습 니다. 이 지혜지는 실, 바늘, 물건들을 넣는 색실상자, 실 첩 등 여러 가지 생활용품에 이용 되었습니다. ▲ 지혜지접기를 이용한 실첩, 색실상자 (작가: 김혜미자) 5. 문화창조력을 위한 종이접기 창작세계 [인재로 키우는 종이접기 영재교실(실기)] 지혜지접기를 활용한 새로운 종이접기(실첩, 지갑만들기 등) 을 통해서 우수한 우리 전통생활문화에 대한 지혜로움에 대 해 자부심과 긍지를 느낄 수 있다. 조상의 얼과 혼이 담긴 종 이접기와 종이문화를 부활시키고 나아가 새로운 창조작업 을 통해, 세계제일의 종이나라의 명성을 되찾아 가장 영향력 있는 문화민족으로 국가브랜드를 높이고 글로벌 리드로 힘 을 키워야 할 때이다. 이를 위해서, 한글학교 교육 과정에 종 이접기와 종이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채택되어야 할 것이며, 문 화 창 조 력 을 위 한 종 이 접 기 창 작 세 계 를 펼 쳐 나 가 기 위해서 『인재로 키우는 종이접기 영재교실』 수업을 전문성 을 가지고 적극 지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지혜지접기 도면 <전통 종이공예품 소장 장소> 종이나라 박물관, 국립중앙 박물관, 국립민속 박물관, 공주민속 박물관, 고려대학교 박물관, 서울대학교 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등 <참고 문헌>

◎ Dard Hunter (1958) My life with paper, Alfred A. Knopf, New York.

◎ 이영, 이혜숙, 임가혜 (1972) 우리나라 재래의 바느질 도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 노영혜 (1990) 재미있고 유익한 종이접기교실, 종이나라. ◎ 금광복, 장신홍 (1990) 색지공예, 대원사. ◎ 임영주, 상기호, 김병주 (1996) 종이공예문화, 대원사. ◎ 조영옥 (2003) 『종이문화』 67호. ◎ 정철진 (2008) 『종이나라 +』2호, 종이나라. ◎ 윤효정 (2011) 외규장각의궤, 역사. 예술적 가치 높다, MBC 뉴스. 4

참조

관련 문서

동결방지 조치를 취하여 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우려가 있는 곳은 보온재 드레인 호스 설치시 동결.

„ Steric (polymeric) stabilization.. 2.4 Electrostatic Stabilization 2.4.1 Surface Charge Density. „ 전해성 용매속의 고체표면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 Powerpoint로 작성한 파일은 교안 분량 외 별첨 가능하나, 전체 교안의 집필 은 지양하여 주시고, 부득이 Powerpoint로 전체 교안 작성시, 슬라이드 노트

Characteristics of Fuel Cell Charge Transport Resistance.. 차원석

도통 마음을 열지 않던 진우가 스스로 상담을 받고 배움 센터에서 만다라그림 색칠에도 놀라운 집중력을 보임. 하나도

그 외 사회 전반에 적용되는 광의의 플랫폼 - 공용플랫폼/ 디자인 플랫폼/ 브랜드 플랫폼 등. 플랫폼은 공용하고 차량의 스타일 등을 결정하는

■ 인접 플랫폼이나 신규 플랫폼을 상시 모니터링 하여 자사의 플랫폼 전략에 반영할 필요 있음. 외부 환경과 기업 상황에 맞는

http://blog.naver.com/op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