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EL: +82-42-220-8007 FAX: +82-42-220-8464 E-mail: sundh@korea.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2-9956-1937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TEL: +82-42-220-8007 FAX: +82-42-220-8464 E-mail: sundh@korea.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2-9956-1937"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골절의 치료는 최근 금속성 내고정물과 고정 기술의 발달로 견고 한 고정과 조기 운동 치료를 통하여 뛰어난 안전성을 보여왔다.1) 하지만, 여전히 내고정된 금속물로 인한 불편감, 건 유착과 파열,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7 Number 2 2022 Received March 7, 2021 Revised August 21, 2021

Accepted December 19, 2021 Correspondence to: Doohoon Su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Daejeon Sun Hospital, 29 Mokjung-ro, Jung-gu, Daejeon 34811, Korea

TEL: +82-42-220-8007 FAX: +82-42-220-8464 E-mail: sundh@korea.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2-9956-1937

상지 골절에서 생분해성 마그네슘 합금 나사못 및 K-강선을 이용한 치료 결과

이철형 • 선두훈 • 권준한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Results of a Bioabsorbable Magnesium Screw and K-Wire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an Upper Extremity Fracture

Chul-Hyung Lee, M.D., Ph.D., Doohoon Sun, M.D. , and Junhan Kwo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Daejeon Sun Hospital, Daejeon, Korea

Purpose: The treatment of fractures has shown excellent safety enabling solid fixation and early exercise treatment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al metal fixtures and fixation techniques. On the other hand, complications remain, such as secondary surgery for implant removal and, discomfort caused by internally fixed metal materials. Recently, a bioabsorbable magnesium implant with relatively high strength and low decomposition, manufactured using only body components,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screws and K-wire for use in orthopedic surgery. This study aimed to apply bioabsorbable magnesium screws and K-wires to upper extremity fracture surgery and investigate the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19 to September 2019, 46 cases (clavicle 11, humerus 4, olecranon 2, radial head 4, coronoid

process 3, radius 4, ulna 1, phalanx 8, metacarpals 8, and hamate 1) in 44 patients who agreed to use a bioabsorbable magnesium implant among patients requiring internal fixation using screws and K-wires for upper extremity fractures at the author’s orthopedic surgery department were enrolled. The U&I Corporation commissioned this study, and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he radiological findings and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hydrogen gas generation,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In comminuted fractures, the magnesium screws and K-wires were used for additional interfragmentary fixation with a conventional metal plate and screws in 22 cases. There were 24 cases of exclusive usage. The most common surgical method was intramedullary fixation of bioabsorbable magnesium K-wires in 10 cases.

Results: In all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on average 16 weeks (4–28 weeks) after surgery, and the mean DASH score at the last

follow-up was 45.0 (30–116). A hydrogen gas cavity produced around the absorbable magnesium implant was observed at an average of two weeks and six days, and the largest was noted at an average of 12 weeks. There were no interactive reactions with drugs, infection, osteolysis, tendon rupture and swelling with hydrogen gas. There were two cases of the loss of reduction, one case of implant breakage, two cases of urticaria.

Conclusion: Bioabsorbable magnesium screws and K-wires can be applied for upper extremity fractures, but caution is required.

Key words: upper extremity, upper extremity fracture, internal fixation, bioabsorbable, magnesium

(2)

근위축증과 골다공증 등과 같은 합병증 및 성장하는 뼈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들로 인하여 임플란트 제거를 위한 이차적 수술이 필 요하기도 하다.2-4)

이러한 금속성 임플란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일 환으로 잠재적으로 완전히 흡수 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임플란트 를 1960년대부터 개발해왔으며, 위와 같은 문제점 들을 해소시 킬 것으로 기대하였다.3,5,6) 그러나 polyglycolic acid, polylac- tic acid, poly L-lactic acid, poly DL-lactic acid (이하 PGA, PLA, PLLA, PDLA) 등과 같이 다양한 성분의 생분해성 고분자 임플란트가 개발되었지만 기대와는 달리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 고 그와 동반한 여러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고분자를 이용한 생 분해성 임플란트는 금속성 임플란트와 비교하여 기계적 강도가 충분치 않아 임플란트 삽입 시에 부러지기 쉽고, 흡수 속도가 너 무 빠른 경우 유합 전 급격한 강도의 소실로 재골절될 확률이 높 다. 또한 생체 내에서 흡수될 때 발생하는 산성으로 인해 주변 조 직에 악영향을 유발하고 생체 거부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3,7-9)

이에 따라, 금속성 임플란트와 생분해성 고분자 임플란트의 장 점을 강화하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 생분해성 마그네슘 을 기반으로 한 물질이 연구되고 있다. 생분해성 마그네슘을 기 반으로 한 임플란트는 생체 거부 반응이 없고, 생체 내에서 분해 되며, 생분해성 고분자보다 강성이 높으며 골 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1)

최근 국내에서 비교적 강도가 높고 분해율이 낮으며 체내 구성 물질만을 이용하여 제작한 마그네슘 합금이 나사못 및 K-강선 (ResometTM; U&I Corporation, Seoul, Korea) 형태로 개발 되 어 정형외과 수술에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 체 적합하고 일정한 강도와 흡수율이 유지되도록 디자인된 생분 해성 마그네슘 합금 나사못, K-강선을 상지 골절의 수술에 적용 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자의 선정기준 및 방법

2019년 5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상지 골절 로 나사못 및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이 필요한 자들 중 생분해 성 마그네슘 합금 재료의 사용에 동의한 44명, 46예(쇄골 11, 상 완골 4, 주구 2, 요골두 4, 갈고리 돌기 3, 요골 4, 척골 1, 지골 8, 중수골 8, 유구골 1)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 안전처로부터 2015년 허가를 받은 ResometTM (U&I Corpora- tion)을 시판 후 조사 의뢰를 받아 진행되었으며 본원 임상연구 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승인(IRB no. DSH- 기-19-1)을 받아 전향적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시판 후 조사 계 획에 따른 연구 대상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수근골, 중수골, 작은 손뼈, 손가락뼈 2) 관절 내 골절

3) 상완골의 근위부 및 원위부 4) 상완골의 근위부 및 원위부 5) 요골의 근위부 및 원위부 6) 척골의 근위부 및 원위부

생분해성 무두 나사, 피질골 나사, K-강선 등이 개발되어 있으 며 본 연구에서는 주로 2.7-mm 생분해성 무두 나사와 1.6-mm 생분해성 K-강선을 사용하였다(Fig. 1).

수술 후 영상의학적 검사로 골유합을 조사하였으며 The Dis- 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에 의 한 임상적 수행능력 평가를 확인하였다. 영상의학적 검사는 단순 방사선 전후, 측면, 양측 경사 사진을 기저 시점과 수술일 및 이 후 2±1주, 4±1주(1개월±1주), 12±2주(3개월±2주), 24±2주 (6개월±2주) 추시에 촬영하여 골절 및 골유합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 시 컴퓨터 단층촬영 등의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영상 의학적 검사상 3면 이상의 피질골에서 방사선 저음영선이 사라 진 시점을 골유합 시점으로 판단하였다.12) 임상적 수행능력 평가 를 위해 DASH 설문지를 술 후 6개월 때 본원 내원 시 평가하여 수술 후의 동작 수행능력 변화를 평가하였고 합병증 유무를 살펴 보았다.

2. 적용 사례 분석

생분해성 마그네슘 나사못 및 K-강선의 적용 사례를 분석해 보 면 장관골의 간부 및 원위부 혹은 근위부에 분쇄가 심한 골절에 서 기존의 금속판과 나사못으로 고정 후 작은 골편에 추가적인 고정을 위해 사용한 경우가 22예였으며(Table 1), 그 중 쇄골 골 절에서의 적용이 11예로 가장 많았다(Fig. 2). 함께 사용한 금속 판은 티타늄 재질로 마그네슘 나사못과 직접 접촉 시 흡수 정도 에 영향을 줄 수 있어 3–4 mm 정도 간격을 두고 적용 하였다. 골 편의 크기가 작을 때는 생분해성 마그네슘 K-강선을 사용하였

1.6 mm 2.7 mm

Headless screw Cortex screw K-wire & Pin

Figure 1. Bioabsorbable magnesium implants were developed in the form of screws and K-wire. This study used 2.7-mm headless screws and 1.6-mm K-wires (ResometTM; U&I Corporation, Seoul, Korea).

(3)

다.

단독으로 골절 고정을 위해 사용 된 경우는 24예였으며 그 중 수지골과 중수골이 13예였다. 수술 방법은 생분해성 마그네슘 K-강선을 골수강 내 고정한 경우(Fig. 3)가 10예로 가장 많았고, 경피적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가 5예, 관절 내 골절에서 생분해성 마그네슘 나사못을 사용한 경우도 4예 있었다.

3. 예상되는 이상 사례

예상되는 물리적 이상 사례로는 초기 응력, 활동 또는 하중 지지 에 의한 임플란트의 굽힘, 느슨해짐, 파단 또는 이동 발생 등이 예상되었다. 생화학적 이상 사례로는 생분해성 구성 성분으로 인 한 이식 이후 염증 및 거부 반응, 금속성 임플란트와 생분해성 임 플란트의 병합 사용 시의 이상 반응, 수소 가스 발생으로 인한 수 술 부위의 국소적인 종창, 감염, 골 용해, 관절 구축, 건파열 및 유 착 등이 예상되었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 소재와 임상적 병용 약 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부작용 유무를 판단하고자 수술 후 예방 적 목적의 항생제 및 통증 조절을 위한 진통제를 포함한 약물 사 용 후 합병증 사례를 조사하였다. 본 의료기기의 삽입술 이후 실 제로 발생한 이상 사례에 대해 이상 사례의 종류, 발생기간(발생 일 및 종료일), 증상, 경과 및 조치 등을 기록하였다.

결 과

전 예에서 술 후 평균 16주(4–28)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마지 막 추시에 시행한 DASH score는 평균 45 (30–116)였다. 수술 후 수소 기체강이 처음 발견되는 시점은 평균 술 후 2주 6일째였 고, 12주에서 가장 크게 관측되고 그 이후 점차 줄어들었다. 금속 물 고정 후 추가적 사용군에서 적용 사례가 가장 많았던 쇄골에 서의 골유합은 평균 20 (12–25)주, DASH는 평균 42.3 (30–87) 으로 관찰되었고, 단독 사용에서 사례가 가장 많았던 수지골 및 중수골에서의 골유합은 평균 18주(31–180), DASH는 평균 35 (30–42)로 관찰되었다.

물리적 이상 사례로 정복 소실이 2예, 생분해성 마그네슘 K- 강선 파단이 1예 있었으며, 생화학적 이상 사례로는 피부 발진 및 두드러기가 2예에서 관찰되었다. 이상 사례가 발생한 5예의 DASH 평균은 35.4로 일상 생활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마그네슘 합금 임플란트가 생분해되며 생성되는 수소 기체 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종 및 통증 등을 호소한 환자는 없었 다. 감염, 골용해, 관절 구축, 건 파열 및 유착 등의 합병증이 있는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함께 사용된 약물로는 크게 항생제(2세 대 Cefa),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위산억제제, Tramadol 등이었 으며, 그 외에 고혈압 및 당뇨 경구 약물, 항결핵제 1예, MgO 1 예, 항히스타민제 등이 있었다. 약물과 생분해성 임플란트의 상 호작용에 의한 특이적인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Table 1. Cases of Using Bioabsorbable K-wire and Screw for Upper Extremity Fractures

Case Site Method Count

Additional usage after fixation metalic implant

Clavicle 11

Humerus 4

Olecranon 2

Radius 2

Phalanx 3

Total 22

Exclusive usage Metacarpal bone IM 6

Peri 1

P 1

Proximal phalanx IM 2

P 1

Distal phalanx IM 2

Radius P 2

Coronoid Peri 3

Radial head I 4

Ulna P 1

Hamate Peri 1

Total 24

IM, intramedullary fixation; Peri, peri-articular fixation; P, percutaneous fixation; I, intra-articular fixation.

A

B

Figure 2. (A) Forty two-year-old female showed a maximum gas cavity on the clavicle shaft that underwent bioabsorbable K-wire fixation with a metal plate. (B) Gas cavity faded after one year.

(4)

1. 합병증 보고 1) 정복 소실

좌측 쇄골 간부 분쇄 골절에 금속판과 나사못으로 고정 후 분쇄 골절에 대하여 마그네슘 나사못으로 추가 고정한 환자에서 술 후 2개월 추시상 내측 제1번째 금속 나사못 파손에 의한 정복 소실 소견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샤워 중 수상부에서

소리가 났 다고 진술 했으며, 상기 환자는 재수술적 정복술 원하지 않아 보 전적 치료하였으며, 술 후 28주에 골유합 소견을 보여 금속물 제

거술을 시행하였다.

좌측 제4 중수골 간부 나선상 골절에 생분해성 마그네슘 나사 못과 생분해성 마그네슘 K-강선으로 고정한 환자가 술 후 1주 외 래 추시상 정복 소실이 관찰되었다(Fig. 4). 물건 들다가 수상하 였으며 보전적 치료 3개월 후 종창 및 압통 호전되어 임상적 골 유합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술 후 8개월째 방사선 검사상 영상의 학적 골유합이 확인되었다.

A B

D E F

C

Figure 3. (A) Twenty two-year-old male underwent intramedullary fixation on fourth metacarpal bone. (B) The initial finding of a gas cavity (arrows) was shown after a week. (C) The maximum gas cavity (arrows) was shown after one month. (D) Bone union and callus formation (arrows) were noted after three months. (E) The gas cavity faded (arrows) after six months.

(F) The gas cavity disappeared after one year.

A B C D E F

Figure 4. (A) Thirty seven-year-old male showed a percutaneus fixationon the 4th metacarpal shaft. (B) The picture showed an oblique view after a day. (C) He underwent a reduction loss after seven days. (D) The picture showed a reduction loss on the oblique X-ray after seven days. (E) After one year, bone union was achieved without a revision operation. (F) The picture showed a bone union oblique X-ray after one year.

(5)

2) 생분해성 임플란트 파단

우측 제4 중수골 간부 골절에서 마그네슘 K-강선으로 고정한 환 자에서 술 후 1일째 추시상 생흡수성 마그네슘 K-강선의 파단이 관찰되었다. 추가적 수술 없이 보존적 치료 하였으며, 술 후 9주 째 영상의학적 골유합이 확인되었다.

3) 피부 발적 및 두드러기(skin rash and urticaria)

좌측 5수지 근위지골 기저부 골절에 마그네슘 K-강선으로 골수 강 내 고정하였던 환자가 술 후 3일째 좌측 상지에 두드러기 증 상을 호소하였다(Fig. 5). 두드러기는 전완에서 상완에서 이행되 며 수술 부위인 좌측 팔에 국한되어서 의료기기와의 관련성이 의 심된다. 증상은 스테로이드 등 약물 및 연고 치료 후 12일 만에 회복되었다.

좌측 5수지 근위지골의 사선 골절에 2개의 생흡수성 마그네슘 K-강선으로 고정하였던 환자가 술 후 외래 추시 6주에 근위지골 전요측에 국소적인 두드러기 증상을 호소하였다. 가려움 등 불편 함은 없었으나 특별한 조치 없이 3주간 지속되었다. 생흡수성 마 그네슘 K-강선의 핀 삽입 부위와는 다른 제4 지간에 증상이 발 현되었고, 술 후 6주에 발현된 것 등으로 의료기기와의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고 찰

1970년 Dexon이라는 polyglicolide suture가 임상적으로 사용 된 이후 생분해성 고정물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13) 금속성 임플란트에 비해 제거를 위한 2차적인 수술이 필요 없다는 것이

생분해성 고정물의 주된 장점으로 PGA, PLA, PLLA, PDLA 등 의 생분해성 고분자 임플란트가 개발되었으나 흡수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급속한 강도의 소실로 재 골절 확률이 높고 생분해성 고분자가 생체 내에서 흡수될 때 발생하는 산으로 인해 주변 조 직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3,7,8,9)

본 연구에서는 상지 골절 부위의 고정을 위해 기존의 생분해성 고분자 임플란트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한 생분해성 마그 네슘 합금 나사못과 K-강선을 적용해 보았다. 마그네슘은 금속 성 재료로 우수한 강도를 지녔으며 인체 필수 영양소로 대부분이 골에 집중되어 있고 과다 투여되었다 하더라도 신장을 통해 체외 로 배출되는 생체적 합성이 우수한 소재이다. Waizy 등11)의 토끼 를 이용한 in vivo 실험에서 혈청 마그네슘 농도에는 문제가 없 었으며 다른 장기에 독성을 보이는 모습도 없었다. 생분해성 마 그네슘 임플란트는 기존의 금속물 고정술에 비해 내고정물 제거 가 불필요하고 조기 관절 운동을 방해하는 내고정물에 의한 자극 증상이 없으며, 핀 삽입 경로를 통한 감염의 위험성이 적다는 장 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전 예에서 술 후 평균 16주째에 골유합을 관찰하였 으며 쇄골에서는 평균 20주째에 골유합을 얻었다. Waizy 등11)과 Lee 등14)의 연구에 따르면 마그네슘 합금이 분해되며 발생하는 생체 유사성 석회화 매트릭스가 전통적인 티타늄 임플란트 고정 물에 비해 골 형성 과정 초기 골 치유를 돕는다고 알려져 있으나 Bang 등15)이 발표한 쇄골 간부에서의 관혈적 금속판 고정술에서 의 골유합 시기인 평균 14.9주에 비해 영상의학적 골유합은 빠르 지 않았다. 이는 형성되는 수소 가스가 단순 방사선 촬영에서 방 사선 저음영선을 도드라지게 보이게 하여 임상적 골유합보다 늦 은 영상의학적 골유합 소견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 주변으로 발생하는 수소 기체강이 골 치유 및 상처 치유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나,11,16) Lee 등14)의 연 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기체강으로 인한 골용해 등 의 다른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소 기체강은 평균 12주에 서 최대치를 보였고 점차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Lee 등14)의 연구에서 말한 2–3달에 최대치의 수소 기체강을 보인 경 향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다만, 수소 가스의 완전한 소실은 본 연구의 기간인 6개월 내에 확인할 수 없었다. 형성되는 수소 가 스는 대부분 술 후 2주 단순 방사선 촬영에서 관찰이 되었는데, 분쇄 골절이 심한 경우들에서 수소 기체강 형성이 늦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형성되는 수소 가스가 골 내부에 정체되지 못하 고 분쇄된 골 사이로 연부조직으로 빠져나감에 따라 그러리라 생 각된다.

적용 사례 분석에 의하면 쇄골 골절에서 금속물 고정 후 추가 고정에서의 사용이 제일 많았는데, 이는 티타늄 금속물과 사용 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금속 나사못을 사용하 는 것보다 장점이 있다고 할 수는 없다. 기존 금속 내고정물과 병

A B

Figure 5. (A) Thirty one-year-male underwent aintramedullary fixation on the 5th proximal phalanx. (B) Urticaria and itching sense occurred sense on the ipsilateral forearm after three days.

(6)

행하여 생흡수성 나사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연구 목적으로 사용 하여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나 일반적 피질골 나사못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흡수성 금속핀을 사용하는 것은 비용적 측면에서 생흡수성 나사못이 기존 나사보다 고가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단독 사용한 증례에서는 추후 기존 금속물 사용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골유합, 제거술이 필요치 않다는 비용적 측면에서 우열의 판단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이상 사례 5예 중 기존의 금속 나사못 파손에 의한 정복 소실 1 예, 생흡수성 마그네슘 임플란트와 직접적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 로 판단되는 두드러기 발생 1예를 제외하면 전체 46예 중 3예에 서 생흡수성 마그네슘 임플란트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 으로 판단되는 이상 사례가 발생하였다.

생흡수성 임플란트의 생역학적 강도는 중수골이나, 수지골 골 절의 조기 관절 운동을 진행하기에 큰 문제가 없었다. 술 후 4주 간 중수골 골절 정복 후 단상지 부목 고정(cock up splint)을, 수 지골 골절 시 단상지 부목 고정을 수지 끝까지 고정하였으나 침 상 안정 시 풀고 조기 능동적 수지 운동을 허용하였다. 골유합 전 임플란트 파손 경우나 정복 소실의 경우에도 각 변형이 허용 범 위 안에 있다면 생분해성 마그네슘 고정물의 추가적인 제거술 없 이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양한 부위에서의 수술과 나사못과 K-강 선으로 고정물도 다양한 점 등이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점이 단점으로 생각되고, 금속 임플란트와의 비교하지 못한 점이 단점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추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결 론

기존의 K-강선 고정 시 핀 고정부 염증으로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후 운동 제한으로 불편할 수 있다. 생분해성 마그네슘 임플란트의 사용은 치료 과정에서의 편리성과 금속물 제거가 필 요치 않아 환자의 만족도는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다만 일반적 피질골 나사못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흡수성 금속핀을 사용 하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지 골절에서 새롭 게 개발된 생분해성 마그네슘 나사못 및 K-강선을 적용할 수 있 으나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ORCID

Chul-Hyung Lee, https://orcid.org/0000-0003-4059-4969 Doohoon Sun, https://orcid.org/0000-0002-9956-1937

Junhan Kwon, https://orcid.org/0000-0001-6146-0631

REFERENCES

1. Roth JJ, Auerbach DM. Fixation of hand fractures with bicor- tical screws. J Hand Surg Am. 2005;30:151-3.

2. Diao E. Metacarpal fixation. Hand Clin. 1997;13:557-71.

3. Lee SG, Jupiter JB. Phalangeal and metacarpal fractures of the hand. Hand Clin. 2000;16:323-32, vii.

4. Melone CP Jr. Rigid fixation of phalangeal and metacarpal fractures. Orthop Clin North Am. 1986;17:421-35.

5. Cho JM, Eun SC, Baek RM. Treatment of metacarpal bone fracture using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J Korean Soc Plast Reconstr Surg. 2011;38:458-64.

6. Dhillon MS, Lokesh AV. Bioabsorbable implants in orthopae- dics. Indian J Orthop. 2006;40:205-9.

7. Kim YK, Kim SG. Treatment of mandible fractures using bioabsorbable plates. Plast Reconstr Surg. 2002;110:25-31;

discussion 32-3.

8. Bozic KJ, Perez LE, Wilson DR, Fitzgibbons PG, Jupiter JB.

Mechanical testing of bioresorbable implants for use in meta- carpal fracture fixation. J Hand Surg Am. 2001;26:755-61.

9. Hughes TB. Bioabsorbable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hand fractures: an update. Clin Orthop Relat Res. 2006;445:169-74.

10. Windhagen H, Radtke K, Weizbauer A, et al. Biodegradable magnesium-based screw clinically equivalent to titanium screw in hallux valgus surgery: short term results of the first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pilot study.

Biomed Eng Online. 2013;12:62. Erratum in: Biomed Eng Online. 2020;19:86.

11. Waizy H, Diekmann J, Weizbauer A, et al. In vivo study of a biodegradable orthopedic screw (MgYREZr-alloy) in a rabbit model for up to 12 months. J Biomater Appl. 2014;28:667-75.

12. Cha SM, Shin HD, Kim YK. Comparison of low-profile lock- ing plate fixation versus antegrade intramedullary nailing for unstable metacarpal shaft fractures--a prospective compara- tive study. Injury. 2019;50:2252-8.

13. Burns AE, Varin J. Poly-L-lactic acid rod fixation results in foot surgery. J Foot Ankle Surg. 1998;37:37-41.

14. Lee JW, Han HS, Han KJ, et al. Long-term clinical study and multiscale analysis of in vivo biodegradation mechanism of Mg alloy. Proc Natl Acad Sci U S A. 2016;113:716-21.

15. Bang JY, Park BO, Seo YM, et al. Surgical treatment of clav- icle midshaft fractures using a locking compression plate:

(7)

conventional open reduction and plating with internal fixa- tion versus minimal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J Korean Orthop Assoc. 2017;52:529-36.

16. Kuhlmann J, Bartsch I, Willbold E, et al. Fast escape of hydro- gen from gas cavities around corroding magnesium implants.

Acta Biomater. 2013;9:8714-21.

(8)

상지 골절에서 생분해성 마그네슘 합금 나사못 및 K-강선을 이용한 치료 결과

이철형 • 선두훈 • 권준한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목적:

골절 치료는 금속성 내고정물과 고정 기술의 발달로 견고한 고정과 조기 운동 치료를 가능하게 해 뛰어난 안전성을 보여왔 다. 하지만 임플란트 제거를 위한 이차적 수술, 내고정된 금속물로 인한 불편감등의 단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최근 비교적 강도가 높고 분해율이 낮으며 체내 구성물질만을 이용하여 제작한 마그네슘 합금이 나사못 및 K-강선 형태로 개발되어 정형외과 수술에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생분해성 마그네슘 합금 나사못과 K-강선을 상지 골절 수술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알 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9년 5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상지 골절로 나사못 및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이 필요한 환 자 중 생분해성 마그네슘 합금 재료의 사용에 동의한 44명, 46예(쇄골 11, 상완골 4, 주구 2, 요골두 4, 갈고리 돌기 3, 요골 4, 척 골 1, 지골 8, 중수골 8, 유구골 1)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U&I Corporation에 의뢰를 받아 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 술 후 골유합과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수소 가스 발생, 합병증 발생을 평가하였다.

분쇄 골절에서 기존의 금속판과 나사못으로 고정 후 작은 골편에 추가적인 고정을 위해 사용한 경우가 22예였다. 단독으로 골절 고정을 위해 사용 된 경우는 24예였다. 수술 방법은 생분해성 마그네슘 K-강선을 골수강 내 고정한 경우가 10예로 가장 많았다.

결과:

전 예에서 술 후 평균 16주(4–28)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마지막 추시에 시행한 DASH score는 평균 45.0 (30–116)이었다.

수술 후 수소 가스 처음 발견 시점은 평균 2주 6일 이었으며 평균 12주에 최대를 보였다. 약물과의 이상 상호작용, 수소 가스에 의 한 종창 및 통증, 감염, 골용해, 건 파열 등은 전 예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복 소실이 2예, 임플란트 파단 1예, 두드러기가 2예에 서 발견되었다.

결론:

상지 골절에서 생분해성 마그네슘 나사못 및 K-강선을 적용할 수 있으나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색인단어: 상지, 상지 골절, 내고정술, 생분해성, 마그네슘

접수일 2021년 3월 7일 수정일 2021년 8월 21일 게재확정일 2021년 12월 19일 책임저자 선두훈

34811, 대전시 중구 목중로 29,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TEL 042-220-8007, FAX 042-220-8464, E-mail sundh@korea.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2-9956-1937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대한정형외과학회지:제 57권 제 2호 2022

참조

관련 문서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본 연구원에서는 공개채용 서류접수와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채용업무

멘토링 과정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초지일관 자신 감과참을성을 가지고 끈질기게 멘토링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획된 멘토링에 진지하고 헌신적으로

coordinated Sr(1), 8-foldcoordinated Sr(2), and 4-fold-coordinated Al 3+ cation sites in

Characteristics of Fuel Cell Charge Transport Resistance.. 차원석

그 외 사회 전반에 적용되는 광의의 플랫폼 - 공용플랫폼/ 디자인 플랫폼/ 브랜드 플랫폼 등. 플랫폼은 공용하고 차량의 스타일 등을 결정하는

■ 인접 플랫폼이나 신규 플랫폼을 상시 모니터링 하여 자사의 플랫폼 전략에 반영할 필요 있음. 외부 환경과 기업 상황에 맞는

이렇게 작동을 하게 하려면 각 예제 폼들을 자식 윈 도우로 설정해야 하는데 그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자식으로 생성될 폼 들의 속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