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1 고쟁이 중학수학 3-1 답지 정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21 고쟁이 중학수학 3-1 답지 정답"

Copied!
8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실수와 그 계산

I

.

제곱근과 실수

01

00

1

-60

00

2

ㄷ, ㄹ

00

3

'Œ15`cm

00

4

;;Á4°;;

00

5

2x-1

00

6

0

00

7

1

00

8

63

00

9

2, 11, 14

0

10

15

0

11

11

0

12

'Œ1.5, 1, ®Â;1Á6;, -'2, -;3%;

0

13

1

0

14

3개

0

15

34

0

16

3

0

17

3개

0

18

0

19

90개

0

20

ㄱ, ㄴ, ㅁ

0

21

C<B<A

0

22

10

0

23

2-'Œ13

0

24

P(4-'8), Q(4+'8)

0

25

⑤ 본교재 007 ~ 010쪽 교과서를 정복하는

STEP

1

핵 심 유 형

00

1

-60 "(-81)Û`=81이므로 81의 양의 제곱근은 a='Œ81="9Û`=9 16 9 의 음의 제곱근은 b=-®É169 =-®É{43 }Û`=- 43 제곱근 25는 c='Œ25="5Û`=5 ∴ abc=9_{-43 }_5=-60

00

2

 ㄷ, ㄹ ㄱ. -49의 제곱근은 없다. ㄴ. 0.5의 제곱근은 Ñ'Œ0.5이고, 제곱근 0.5는 'Œ0.5이므로 같지 않다. ㄷ. 제곱근 aÛ`이 6이므로 "aÛ`=6, aÛ`=6Û`=36

∴ a=Ñ'Œ36=Ñ6 ㄹ. ¿·0.H1=®19 =®É{13 }Û`이므로 ®19 =13 의 제곱근은 Ñ®13 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ㄷ, ㄹ이다.

00

3

'Œ15`cm 두 정사각형의 닮음비가 1 : 3이므로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비는 1Û` : 3Û`=1 : 9이다. 작은 정사각형의 넓이를 S`cmÛ`라고 하면 큰 정사각형의 넓이는 9S`cmÛ` 이므로 S+9S=150, 10S=150 ∴ S=15 따라서 작은 정사각형의 넓이가 15`cmÛ`이므로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Œ15`cm이다.

00

4

 154 (주어진 식)=11-6_38 +10Ö(-2) =11-94 -5=154

00

5

2x-1 -2-x<0, 3-x>0이므로 (주어진 식) =-(-2-x)-(3-x) =2+x-3+x=2x-1

00

6

0 a-b>0이므로 a>b ab<0이므로 a>0, b<0 ∴ (주어진 식)=a-(a-b)-b=a-a+b-b=0

00

7

1 Ú 2a-1¾0, 즉 a¾ 12 일 때

2a-1=7이므로 2a=8 ∴ a=4

Û 2a-1<0, 즉 a< 12 일 때 -(2a-1)=7이므로 -2a+1=7 -2a=6 ∴ a=-3 Ú, Û에서 모든 정수 a의 값의 합은 4+(-3)=1

00

8

63 '¶252a="2Û`_3Û`_7_a가 자연수가 되려면 a=7_(자연수)Û` 꼴이어 야 하므로 a=7, 28, 63, 112, … 따라서 두 자리의 자연수 a의 값 중 가장 큰 수는 63이다.

00

9

2, 11, 14 '¶42-3x가 정수가 되려면 42-3x는 0 또는 42보다 작은 제곱수이어 야 하므로 42-3x=0, 1, 4, 9, 16, 25, 36 ∴ x=14, 413 , 383 , 11, 263 , 173 , 2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x의 값은 2, 11, 14이다.

0

10

15 '¶60x="2Û`_3_5_x가 자연수가 되려면 x=3_5_(자연수)Û` 꼴이 어야 한다. ®É240x =®É2Ý`_3_5x 가 자연수가 되려면 x는 240의 약수이면서 3_5_(자연수)Û` 꼴이어야 하므로 자연수 x의 값은 3_5, 2Û`_3_5, 2Ý`_3_5 따라서 가장 작은 자연수 x의 값은 3_5=15

0

11

11 '¶Ä31+a가 자연수가 되려면 31+a는 31보다 큰 제곱수이어야 하므로 31+a=36, 49, 64, y ∴ a=5, 18, 33, y 이때 가장 작은 자연수 a의 값은 5이고, 그때의 b의 값은 6이므로 a+b 의 값 중 가장 작은 값은 5+6=11

0

12

'ŒŒ1.5, 1, ®Â16 , -'2, -1 53 Ú 음수 : 53 =®Â259 이고 259 >2이므로 53 >'2 ∴ -53 <-'2

(3)

Û 양수 : 1='1이고 16 <1<1.5이므로 ®Â1 16 <1<'¶1.51 Ú, Û에서 큰 수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1.5, 1, ®Â16 , -'2, -1 53

0

13

1 5='¶25, 6='¶36이고 5<'¶29<6이므로 5-'¶29<0, 6-'¶29>0¿·(5-'¶29)Û`+¿·(6-'¶29)Û` =-(5-'¶29)+(6-'¶29) =-5+'¶29+6-'¶29 =1

0

14

3개 3<'¶2x+1<4의 각 변을 제곱하면 9<2x+1<16, 8<2x<15 ∴ 4<x<152 따라서 자연수 x의 개수는 5, 6, 7의 3개이다.

0

15

34 '1=1, '4=2, '9=3, '¶16=4, '¶25=5이므로 f(11)= f(12)=f(13)=f(14)= f(15)= f(16)=3 f(17)= f(18)=f(19)= f(20)=4 ∴ (주어진 식)=3_6+4_4=34

0

16

3 1.2<'x<2.5의 각 변을 제곱하면 1.44<x<6.25 ∴ a=2, b=6 따라서 ¾¨ ba _n='Œ3n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n은 3이다.

0

17

3개 '¶0.04=0.2, ¿·0.H1=®19 =13 , 3.H5H9는 유리수이다. 따라서 무리수는 0.1234 y, '6-2, p의 3개이다.

0

18

 ② ① 유한소수는 유리수이다. ③ 두 무리수 '2와 '3 사이에는 정수가 없다. ④ 수직선은 무리수에 대응하는 점들로 완전히 메울 수 없다. ⑤ 두 무리수 '2 와 -'2 의 합은 0이므로 유리수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②이다.

0

19

90개 'x가 무리수가 되려면 x는 제곱수가 아니어야 한다. 100 이하의 자연수 중 제곱수는 1, 4, 9, 16, 25, 36, 49, 64, 81, 100 의 10개이므로 'x가 무리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x의 개수는 100-10=90(개)

0

20

 ㄱ, ㄴ, ㅁ ㄷ. a=0, b='2일 때, ab=0 (유리수) ㄹ. a=0, b='2일 때, ab =0 (유리수) ㅂ. a=1, b='2일 때, aÛ`-bÛ`=1-2=-1 (유리수) 따라서 항상 무리수인 것은 ㄱ, ㄴ, ㅁ이다.

0

21

C<B<A A-B=(1-'8)-(-2)=3-'8='9-'8>0 ∴ A>B B-C=-2-('7-5)=3-'7='9-'7>0 ∴ B>C ∴ C<B<A

0

22

10 3<'Œ14<4이므로 -4<-'Œ14<-3 ∴ -1<3-'Œ14<0 3<'Œ10<4이므로 4<'Œ10+1<5 따라서 3-'Œ14와 'Œ10+1 사이에 있는 정수는 0, 1, 2, 3, 4이므로 0+1+2+3+4=10

0

23

2-'Œ13 ACÓ="3Û`+2Û`='Œ13 APÓ=ACÓ='Œ13이고 점 P에 대응하는 수가 2+'Œ13이므로 점 A에 대 응하는 수는 2이다. 따라서 AQÓ=ACÓ='Œ13이므로 점 Q에 대응하는 수는 2-'Œ13이다.

0

24

P(4-'8), Q(4+'8) 오른쪽 그림과 같이 OCÓ, ODÓ를 그으면

OBC에서 OCÓ="2Û`+2Û`='8

ODA에서 ODÓ="2Û`+2Û`='8 OPÓ=ODÓ='8이므로 P(4-'8) OQÓ=OCÓ='8이므로 Q(4+'8)

0

25

 ⑤ ABÓ="1Û`+3Û`='Œ10이고 ABÓ=PBÓ이므로 a=PQÓ=PBÓ+BQÓ='Œ10+1=3.162+1=4.162'Œ15<4이므로 'Œ15<a ② 95 +'5=1.8+2.236=4.036<a ③ 4.1<aa2 +2=4.1622 +2=4.081<a ⑤ a+12 =4.162+0.5=4.662이므로 a<a+12 <5 따라서 a와 5 사이에 있는 수는 ⑤이다. P 2A 4 6 QB 2 O C D

(4)

0

26

;2(;

0

27

15

0

28

40

0

29

4

0

30

2a

0

31

-a-b-1

0

32

-bc

0

33

ㄴ, ㄷ

0

34

;6!;

0

35

6개

0

36

8

0

37

0

38

3개

0

39

22

0

40

15

0

41

108

0

42

6개

0

43

0

44

162개

0

45

8

0

46

-1-'5

0

47

0

48

5+'Œ10

0

49

2-6'2p 본교재 013 ~ 016쪽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STEP

2

심 화 유 형

0

26

 92 제곱근 12116 은 ®É12116 =114 이므로 p=114 {-74 }Û`= 4916 의 제곱근은 Ñ®É4916 =Ñ74 이므로 q=Ñ74 Ú p= 114 , q=74 일 때, p-q=114 -74 =1 Û p= 114 , q=-74 일 때, p-q=114 -{-74 }=92 Ú, Û에서 p-q의 값 중 가장 큰 값은 92 이다.

0

27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A에서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BC의 넓이가 84 이므로 1 2 _14_AHÓ=84 ∴ AHÓ=12

ABH에서 BHÓ="Ã13Û`-12Û`='Œ25=5 따라서

AHC에서 HCÓ=14-5=9이므로 ACÓ="Ã12Û`+9Û`='Œ225=15

0

28

40 [1단계]의 정사각형의 넓이는 ('a)Û`=a [2단계]의 정사각형의 넓이는 12 _a=12 a [3단계]의 정사각형의 넓이는 12 _12 a=14 a [4단계]의 정사각형의 넓이는 12 _14 a=18 a 따라서 18 a=5이므로 a=40

0

29

4 조건 ㈎에서 a, b, c, d는 모두 제곱수이다. 조건 ㈐에서 a+d=65이고, 조건 ㈏에서 1<a<d이므로 a=16, d=49 16<25<36<49이고 조건 ㈏에서 a<b<c<d이므로 b=25, c=36 ∴ a-b-c+d=16-25-36+49=4 A B 13 H14 C

0

30

2a 0<a<1이므로 a>0, a >1 ∴ a+1 1a >0 이때 a >1이므로 a<1 1a ∴ a-a <01 ∴ (주어진 식)=a+1a -[-{a-1a }]

=a+1a +a-1a =2a

0

31

-a-b-1 점 (a, b)가 제 2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a<0, b>0 따라서 b+2>0, a-b<0, 1-a+b>0이므로 (주어진 식) =-a-(b+2)-{-(a-b)}+(1-a+b) =-a-b-2+a-b+1-a+b =-a-b-1

0

32

-bc

ab>0, ac<0이므로 a와 b의 부호는 같고, a와 c의 부호는 다르다.

즉 b와 c의 부호가 다르므로 bc<0 yy 30% 따라서 -bc>0, bc-1<0, 1-bc>0이므로 yy 30% (주어진 식) =-bc-{-(bc-1)}+(1-bc) =-bc+bc-1+1-bc =-bc yy 40%

0

33

 ㄴ, ㄷ ㄱ. x¾1이면 x-1¾0, x+1>0이므로 A=(x-1)-(x+1)=x-1-x-1=-2 ㄴ. -1Éx<1이면 x-1<0, x+1¾0이므로 A=-(x-1)-(x+1)=-x+1-x-1=-2x ㄷ. x<-1이면 x-1<0, x+1<0이므로 A=-(x-1)-{-(x+1)}=-x+1+x+1=2 ㄹ. Ú x¾1이면 A=-2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Û -1Éx<1이면 A=-2x이므로 -2x=1 ∴ x=- 12 Ü x<-1이면 A=2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Ú ~ Ü에서 A=1이면 x=- 12 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0

34

 16 모든 경우의 수는 6_6=36 'Œ50xy="2_5Û`_xy가 자연수가 되려면 xy=2_(자연수)Û` 꼴이어야 한다. ∴ xy=2, 8, 18, 32 (∵ 1ÉxyÉ36) Ú xy=2인 경우 : 순서쌍 (x, y)는 (1, 2), (2, 1)의 2가지 Û xy=8인 경우 : 순서쌍 (x, y)는 (2, 4), (4, 2)의 2가지 Ü xy=18인 경우 : 순서쌍 (x, y)는 (3, 6), (6, 3)의 2가지 Ý xy=32인 경우 : 순서쌍 (x, y)는 없다. Ú ~ Ý에서 'Œ50xy가 자연수가 되는 경우의 수는 2+2+2=6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36 =6 16

(5)

0

35

6개 ¾¨5600x =¾¨2Þ`_5Û`_7x =¾¨ 14_20Û`x 이 자연수가 되려면 x=14_mÛ` (m은 20의 약수) 꼴이어야 한다. 이때 20=2Û`_5이므로 20의 약수의 개수는 (2+1)_(1+1)=6(개) 따라서 자연수 x의 개수는 6개이다. [다른 풀이] ¾¨ 5600x =¾¨2Þ`_5Û`_7x 이 자연수가 되려면 x는 5600의 약수이면서 2_7_(자연수)Û` 꼴이어야 하므로 2_7, 2Ü`_7, 2Þ`_7`, 2_5Û`_7, 2Ü`_5Û`_7, 2Þ`_5Û`_7 따라서 자연수 x의 개수는 6개이다.

0

36

8 '¶54-x-'¶y+13이 가장 큰 정수가 되려면 '¶54-x는 가장 큰 자연 수, '¶y+13은 가장 작은 자연수이어야 한다. …… 30% '¶54-x가 가장 큰 자연수가 되려면 54-x는 54보다 작은 제곱수 중 가장 큰 수이어야 하므로 54-x=49 ∴ x=5 …… 30% '¶y+13이 가장 작은 자연수가 되려면 y+13은 13보다 큰 제곱수 중 가 장 작은 수이어야 하므로 y+13=16 ∴ y=3 …… 30% ∴ x+y=5+3=8 …… 10%

0

37

 ① ① a >1 1 ② 0<a<1 ③ 0<aÛ`<1 ④ 0<'a<1 ⑤ ®a >11 0<a<1일 때, 1a >®a 이므로 그 값이 가장 큰 것은 ①이다. 1

0

38

3개 '7 7 과 '33 사이에 있는 분수 중 분모가 21인 기약분수를 21 (x는 자x 연수)라고 하면 '7 7 <21 <x '33 이므로 {'77 }Û`<{ x21 }Û`<{ '33 }Û` 1 7 <441 <xÛ` 13 ∴ 63<xÛ`<147 …… 40% 이때 이 식을 만족하는 자연수 x는 8, 9, 10, 11, 12이다. …… 30% 그런데 21 , 9 1221 는 기약분수가 아니므로 구하는 기약분수는 21 , 8 1021 , 11 21 의 3개이다. …… 30%

0

39

22 '1=1, '4=2, '9=3, 'Œ16=4, 'Œ25=5, y이므로 f(1)= f(2)= f(3)=1 f(4)= f(5)= f(6)= f(7)= f(8)=2 f(9)= f(10)= f(11)=y= f(15)=3 f(16)= f(17)= f(18)=y= f(24)=4 이때 1_3+2_5+3_7+4_7=62이므로 주어진 식을 만족하는 자 연수 n의 값은 f(x)=4를 만족하는 7번째 값이다. ∴ n=22

0

40

15 조건 ㈎에서 4É'Œnx<5의 각 변을 제곱하면 16Énx<25 조건 ㈏에서 nx는 자연수이므로 nx=16, 17, 18, 19, 20, 21, 22, 23, 24 ∴ x=16n , 17n , 18n , 19n , 20n , 21n , 22n , 23n , 24n 이때 모든 x의 값의 합이 12이므로 16 n +17n +18n +19n +20n +21n +22n +23n +24n =12 180 n =12 ∴ n=15

0

41

108 14Û`<209<15Û`이므로 14<'¶209<15 3Û`<14<'¶209<15<4Û`이므로 a=3® n3 이 자연수가 되려면 n=3_(자연수)Û` 꼴이어야 하므로 n=3, 12, 27, 48, 75, 108, … 따라서 자연수 n의 값 중 100에 가장 가까운 수는 108이다.

0

42

6개 f(n)=¿·0.Hn=® n9 =®3Û`n= 'n3 이때 '3 이 유리수이려면 한 자리의 자연수 n은 제곱수이어야 하므로 n 1, 4, 9이어야 한다. 따라서 무리수는 f(2), f(3), f(5), f(6), f(7), f(8)의 6개이다.

0

43

 ㄷ BEÓ=BDÓ="1Û`+1Û`='2이므로 q=p+1, r=p+'2 ㄱ. p가 유리수이면 q는 유리수이고 r는 무리수이다. ㄴ. p가 무리수이면 q는 무리수이고 r는 유리수 또는 무리수이다. ㄷ. q가 유리수이면 p도 유리수이므로 r는 무리수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ㄷ이다.

(6)

0

44

162개 1과 2 사이에는 '2, '3의 2개 2와 3 사이에는 '5, '6, '7, '8의 4개 3과 4 사이에는 'Œ10, 'Œ11, 'Œ12, 'Œ13, 'Œ14, 'Œ15의 6개즉 n과 n+1 사이에는 2n개의 점이 있다. 따라서 40과 42 사이에 있는 무리수에 대응하는 점의 개수는 2_40+2_41=162(개)

0

45

8

a+b=4+('Œ26-1)='Œ26+3>0 a-b=4-('Œ26-1)=5-'Œ26='Œ25-'Œ26<0"(a+b)Û`-"(a-b)Û` =a+b-{-(a-b)} =a+b+a-b=2a =2_4=8

0

46

-1-'5

CFE에서 CEÓ="1Û`+1Û`='2 CQÓ=CEÓ='2이고 점 Q에 대응하는 수가 '2-2이므로 점 C에 대응 하는 수는 ('2-2)-'2=-2

ABF에서 FAÓ="1Û`+2Û`='5 따라서 점 F에 대응하는 수가 -2+1=-1이므로 점 P에 대응하는 수 는 -1-'5이다.

0

47

 ⑤

① a<0에서 a-1<0이므로 "(a-1)Û`=-(a-1)=-a+1 ② a>-1에서 a+1>0이므로 "(a+1)Û`=a+1

③ b<0에서 -b>0이므로 -"(-b)Û`=-(-b)=b ④ b>-1에서 b+1>0이므로 "(b+1)Û`=b+1 ⑤ b<0에서 -b>0이므로 1-b>0 ∴ "(1-b)Û`=1-b 이때 -1<b<a<0이므로 -1<b<a<0<b+1<a+1<-a+1<1-b 따라서 그 값이 가장 큰 것은 ⑤이다.

0

48

5+'Œ10

ABC에서 ACÓ="1Û`+3Û`='Œ10 이때 점 C는 다음 그림과 같이 이동하므로 점 C'에 대응하는 수는 1+'Œ10+1+3=5+'Œ10 10 B 1 3 C B' C' A A' 3 1 1

0

49

2-6'2p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원의 넓이가 2p이므로 prÛ`=2p, rÛ`=2 ∴ r='2 (∵ r>0) 이때 원을 세 바퀴 굴렸으므로 PQÓ=3_(2p_'2)=6'2p 따라서 점 P에 대응하는 수가 2이므로 점 Q에 대응하는 수는 2-6'2p 이다.

0

50

30

0

51

-20

0

52

6개

0

53

7

0

54

105

0

55

23, 27

0

56

81개

0

57

10 창 의 융 합

0

58

16

0

59

275`mÛ` 본교재 017 ~ 019쪽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STEP

3

최 고 난

0

50

30 '¶1+3='4="2Û`=2 '¶1+3+5='9="3Û`=3 '¶1+3+5+7='Œ16="4Û`=4 ⋮ 따라서 '¶1+3+5¶+…+(2n-1)=n이고 59=2_30-1이므로 n=30'¶Œ1+3+5+¶7+…+59=30

0

51

-20 (-5)Û`=25의 제곱근은 Ñ5이므로 p=5, q=-5 (∵ p>q) "(p-q+a)Û`="{5-(-5)+a}Û`="(10+a)Û`이므로 "(10+a)Û`=4 Ú 10+a¾0, 즉 a¾-10일 때, 10+a=4 ∴ a=-6 Û 10+a<0, 즉 a<-10일 때,

-(10+a)=4, -10-a=4, -a=14 ∴ a=-14 Ú, Û에서 모든 정수 a의 값의 합은 -6+(-14)=-20

0

52

6개

a.Hb=a+0.Hb=a+ b9 =9a+b9 이므로 ¿·a.Hb=®Â9a+b9 yy 30% ®Â 9a+b9 =®Â 9a+b3Û` 가 유리수가 되려면 9a+b가 제곱수이어야 한다.

yy 30% 이때 a와 b는 한 자리의 자연수이므로 순서쌍 (a, b)는 (1, 7), (2, 7), (3, 9), (5, 4), (7, 1), (8, 9)의 6개이다. yy 40%

0

53

7 소수 p에 대하여 'Œpa가 양의 정수가 되려면 a=p_(자연수)Û` 꼴이어야 한다. 이때 0<a<200을 만족하는 자연수 a의 개수가 5개이므로 a=p, 4p, 9p, 16p, 25p a의 값 중 가장 큰 값은 25p이므로 25p<200 ∴ p<8 이때 36p는 a의 값이 될 수 없으므로 36p¾200 ∴ p¾509 =5.5 y 따라서 5.5 y Ép<8을 만족하는 소수 p의 값은 7이다.

(7)

0

54

105

x=y-2, z=y+2이므로 x+y+z=(y-2)+y+(y+2)=3y x+y+z<250이므로 3y<250 ∴ y<2503 =83.3 y 자연수 n에 대하여 '¶x+y+z=n, 즉 '¶3y=n이므로 y=3_(자연수)Û` 꼴이어야 한다. 따라서 y의 값이 될 수 있는 수는 3, 12, 27, 48, 75이고 이 중 홀수는 3, 27, 75이므로 모든 y의 값의 합은 3+27+75=105

0

55

23, 27 ® yx É3의 각 변을 제곱하면 4Éx É9 ∴ 4xÉyÉ9xy 각 변에 x를 더하면 5xÉx+yÉ10x 이때 x+y=35이므로 5xÉ35É10x ∴ xÉ7É2x 위의 부등식을 만족하는 자연수 x의 값은 x=4, 5, 6, 7 Ú x=4일 때, x+y=35에서 y=31 이때 x, y는 서로소이므로 조건을 만족한다. Û`x=5일 때, x+y=35에서 y=30 이때 x, y는 서로소가 아니므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Ü x=6일 때, x+y=35에서 y=29 이때 x, y는 서로소이므로 조건을 만족한다. Ý x=7일 때, x+y=35에서 y=28 이때 x, y는 서로소가 아니므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Ú ~ Ý에서 x=4, y=31 또는 x=6, y=29이므로 |x-y|=|4-31|=27 또는 |x-y|=|6-29|=23

0

56

81개 Ú 'Œ3x가 유리수가 되는 경우 'Œ3x가 유리수가 되려면 x=3pÛ` (p는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3pÛ`É100에서 pÛ`É1003 =33.3y ∴ p=1, 2, 3, 4, 5 즉 자연수 x는 3_1Û`, 3_2Û`, 3_3Û`, 3_4Û`, 3_5Û`의 5개이다. Û 'Œ4x가 유리수가 되는 경우 'Œ4x가 유리수가 되려면 x=qÛ` (q는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qÛ`É100에서 q=1, 2, 3, …, 10 즉 자연수 x는 1Û`, 2Û`, 3Û`, …, 10Û`의 10개이다. Ü 'Œ5x가 유리수가 되는 경우 'Œ5x가 유리수가 되려면 x=5rÛ` (r는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5rÛ`É100에서 rÛ`É20 ∴ r=1, 2, 3, 4 즉 자연수 x는 5_1Û`, 5_2Û`, 5_3Û`, 5_4Û`의 4개이다. Ú ~ Ü에서 구한 x의 값은 중복되지 않으므로 'Œ3x, 'Œ4x, 'Œ5x가 모두 무리수가 되도록 하는 100 이하의 자연수 x의 개수는 100-(5+10+4)=81(개)

0

57

10 2<'7<3이므로 a+2<a+'7<a+3 -3<-'7<-2이므로 b-3<b-'7<b-2 ∴ a+'7<a+3ÉnÉb-3<b-'7 이때 위의 식을 만족하는 정수 n의 개수가 5개이므로 (b-3)-(a+3)+1=5 ∴ b-a=10

0

58

16 창 의 융 합 오른쪽 그림의 전개도에서 3과 마주 보는 면은 b이고, 조건 ㈎에서 b='3 또는 b=9 11과 마주 보는 면은 c이고, 조건 ㈎에서 c='Œ11 Ú b='3일 때, a<'3이고 11<㉠을 만족 하는 수 중 조건 ㈎를 만족하는 수는 없다. Û b=9일 때, a<9이고 11<㉠을 만족하는 수 중 조건 ㈎를 만족하는 수는 a=4, ㉠=16 Ú, Û에서 ㉠=16

0

59

275`mÛ` 창 의 융 합 정사각형 모양의 땅 A의 넓이가 40n`mÛ`이므로 한 변의 길이는 '¶40n`m 정사각형 모양의 땅 B의 넓이가 (115-n)`mÛ`이므로 한 변의 길이는 '¶115-n`m '¶40n="2Ü`_5_n이 자연수가 되려면 n=2_5_(자연수)Û` 꼴이어야 하므로 n=10, 40, 90, 160, … '¶115-n이 자연수가 되려면 115-n은 115보다 작은 제곱수이어야 하 므로 115-n=1, 4, 9, 16, 25, 36, 49, 64, 81, 100 ∴ n=114, 111, 106, 99, 90, 79, 66, 51, 34, 15 이때 '¶40n, '¶115-n을 모두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n의 값은 90이다. 따라서 땅 C의 가로의 길이는 '¶115-90='¶25=5 (m)이고, 세로의 길이는 '¶40_90-5='¶3600-5=60-5=55 (m)이므로 땅 C의 넓이는 5_55=275 (mÛ`)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0

2

0

60

13

0

61

7

0

62

0

63

④, ⑤

0

64

;2!;

0

65

12'2`cm

0

66

1

0

67

7

0

68

5'22

0

69

28

0

70

0.0861

0

71

0

72

-2

0

73

4'7-10

0

74

18'6`cm

0

75

3

0

76

'3+1

0

77

;1Á2;

0

78

-15

0

79

112 -'6 385

0

80

103

0

81

'3-2

0

82

4p-1

0

83

13개 본교재 021 ~ 024쪽 교과서를 정복하는

STEP

1

핵 심 유 형

3 11 a c b

(8)

0

60

13 'Œ108="6Û`_3=6'3이므로 a=6 ®É147 =®É15 49 =®É5 7Û`5= '7 이므로 b=75 ∴ a+b=6+7=13

0

61

7 'a_'2_'3_'Œ3a_'Œ50 ='¶a_2_3¶_3a_50 ="aÛ`_2Û`_3Û`_5Û` ="(30a)Û`=30a (∵ a는 자연수) 따라서 30a=210이므로 a=7

0

62

 ③ '¶252="2Û`_3Û`_7=3_('2)Û`_'7=3aÛ`b

0

63

 ④, ⑤ ① ab<0이므로 "aÛ`bÛ`="(ab)Û`=-ab ② -a>0이므로 "(-a)Û`b="(-a)Û`'b=-a'b ③ -®É b aÛ`=- 'b"aÛ`=- 'b-a ='baa <0이므로 ¾Ðb bÛ` aÛ`=®É{ ba }Û`=- ba ⑤ -ab>0이므로 "(-ab)Û`=-ab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 ⑤이다.

0

64

;2!; 2 b ®ba +3a ®ab =®ÉbÛ`4_ ba +®É 9 aÛ`_ ab =®Éab +®É4 ab 9 = 2 'Œab+ 3 'Œab =10 +2 10 3 = 510 =12

0

65

12'2`cm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삼각형 ABC의 꼭짓점 A 에서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ACÓ=x`cm라고 하면 BHÓ=CHÓ= 12 BCÓ=x2 (cm)

AHC에서 AHÓ=®ÉxÛ`-{ x2 }Û`= '32 x (cm)

ABC= 12 _x_'32 x='34 xÛ` (cmÛ`) 즉 '4 xÛ`=8'3이므로 xÛ`=8'3_3 4 '3=32 ∴ x='Œ32=4'2 (∵ x>0) 따라서 구하는 둘레의 길이는 3_4'2=12'2 (cm) A B H C x cm cm x -2 cm x -2

0

66

1 8 3'Œ32=3_48'2=3'22 =3'2_'22_'2 =2'26 ='23 이므로 a=13 21'2 'Œ14 =21'Œ14_'Œ14'2_'Œ14=2114 ='Œ28 6'72 =3'7이므로 b=3'Œab=®É13 _3=1

0

67

7 'Œ500 5'a =105'a'5=2'a'5 따라서 2'5 'a =2'Œ357 이므로 'a=2'5_2'Œ357 =7'5 'Œ35 =7'5_'Œ35 'Œ35_'Œ35=3535 ='7'7 ∴ a=7

0

68

 5'22

BCÓEFÓ이므로

ABC»

AEF (AA 닮음) 이때

AEF=

BCFE이므로

AEF :

ABC=1 : 2

AEF와

ABC는 닮음비가 1 : '2인 닮은 도형이다. EFÓ=x라고 하면 EFÓ : BCÓ=1 : '2이므로 x : 5=1 : '2, '2x=5 ∴ x= 5 '2='2_'25_'2 =5'22 ∴ EFÓ=5'22

0

69

28 '¶760 =2'¶190=2'¶100_1.9=20'¶1.9 =20_1.378=27.56 따라서 '¶760에 가장 가까운 정수는 28이다.

0

70

0.0861 '¶8.61=2.934이므로 0.2934= '¶8.6110 ∴ (0.2934)Û`=8.61100 =0.0861

0

71

 ⑤ ① '¶3.22=1.794'¶301='¶100_3.01=10'¶3.01=10_1.735=17.35 '¶0.033=®É100 =3.3 '¶3.310 =1.817 10 =0.1817'¶1240='¶400_3.1=20'¶3.1=20_1.761=35.22'¶28800='¶900_32=30'¶32 따라서 그 값을 구할 수 없는 것은 ⑤이다.

(9)

0

72

-2 'Œ27+3'Œ50-'6 ('2+'¶108) =3'3+15'2-2'3-18'2 =-3'2+'3 따라서 a=-3, b=1이므로 a+b=-3+1=-2

0

73

4'7-10 2-'7='4-'7<0, 3'7-8='Œ63-'Œ64<0이므로 ¿·(2-'7)Û`-¿·(3'7-8)Û` =-(2-'7)-{-(3'7-8)} =-2+'7+3'7-8 =4'7-10

0

74

18'6`cm 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각각 '6`cm, 'Œ24=2'6 (cm), 'Œ54=3'6 (cm)이다. 따라서 도형의 둘레의 길이는 2_('6+2'6+3'6)+2_3'6=12'6+6'6=18'6 (cm)

0

75

3 (2-4'2)a-(-3+'2)b =2a-4'2a+3b-'2b =(2a+3b)+(-4a-b)'2 즉 2a+3b=-1, -4a-b=7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 b-a=1-(-2)=3

0

76

'3+1 Ú 음수 : '3-5, -'3+1 ('3-5)-(-'3+1)=2'3-6='Œ12-'Œ36<0이므로 '3-5<-'3+1 Û 양수 : 2+'3, 2'3, 3 (2+'3)-2'3=2-'3='4-'3>0이므로 2+'3>2'3 2'3-3='Œ12-'9>0이므로 2'3>3 ∴ 3<2'3<2+'3 Ú, Û에서 '3-5<-'3+1<3<2'3<2+'3 따라서 왼쪽에서 두 번째에 오는 수는 -'3+1, 오른쪽에서 두 번째에 오는 수는 2'3이므로 (-'3+1)+2'3='3+1

0

77

121 f(12)+ f(13)+ f(14)+y+ f(47) ={ 1 'Œ12 -1 'Œ13}+{ 1 'Œ13 -1 'Œ14}+{ 1 'Œ14 -1 'Œ15}+y +{'Œ471 - 1 'Œ48} = 1 'Œ12-'Œ481 =2'31 -41'3 = '6 -3 '312 ='312 ∴ a=121

0

78

-15 (주어진 식) ='7(3-'Œ¶70)-{102 +'7 5'Œ102 }_15 =3'7-7'Œ¶10-'7- 'Œ2 10 =2'7-15'Œ102 따라서 m=2, n=-152 이므로 mn=2_{-152 }=-15

0

79

 112 -'6 385 A='Œ27+ 3 '2=3'3+ 3'2 2 이므로 2A-5B =2 {3'3+3'22 }-5{2'2-'35 } =6'3+3'2-10'2+'3=-7'2+7'3 ∴ 1 '2(2A-5B)+'3B = 1 '2(-7'2+7'3)+'3 {2'2- ' 3 5 } =-7+7'62 +2'6-35 =112 -'6 385

0

80

 103 3'2 {x-'24 }-'5 {2'Œ10- x3 '5 } =3'2x-12-10'2+53 x ={53 x-12}+(3x-10)'2 이때 이 식이 유리수가 되려면 3x-10=0이어야 하므로 3x=10 ∴ x=103

0

81

'3-2 8<'Œ75<9이므로 f(75)='Œ75-8=5'3-8 6<'Œ48<7이므로 f(48)='Œ48-6=4'3-6 ∴` f(75)- f(48) =(5'3-8)-(4'3-6) =5'3-8-4'3+6='3-2

0

82

4p-1 3<'Œ11<4이므로 p='Œ11-3 ∴ 'Œ11=p+3 13<'Œ176<14이므로 'Œ176의 소수 부분은 'Œ176-13 =4'Œ11-13=4(p+3)-13 =4p+12-13=4p-1

0

83

13개 'x의 정수 부분이 6이므로 6É'x<7 각 변을 제곱하면 36Éx<49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 x는 36, 37, 38, y, 48의 13개이다.

(10)

0

84

43

0

85

17

0

86

45

0

87

0

88

6

0

89

3'Œ11`cmÛ`

0

90

10

0

91

'5 5

0

92

5'Œ30

0

93

-0.2449

0

94

1.572

0

95

11

0

96

524 '6

0

97

7+23'2

0

98

(20+30'2)`cm

0

99

-;2!;

100

(3+'5)p

101

3'3-14

102

3+2'33

103

-1

104

- 'Œ330

105

3'3-'64

106

4'55 -1

107

7'7-18 본교재 026 ~ 029쪽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STEP

2

심 화 유 형

0

84

43 2'Ä25+a=6'3에서 2'Ä25+a="4(25+a)='Ä100+4a, 6'3='Œ108이므로 'Ä100+4a='Œ108, 100+4a=108 4a=8 ∴ a=2 'Ä57-b=7'2에서 7'2='Œ98이므로 'Ä57-b='Œ98, 57-b=98 ∴ b=-41 ∴ a-b=2-(-41)=43

0

85

17 'Œ2.16=®É216100 =¾Ð10Û`6Ü` =10 '6=6 35 '6이므로 x=35 yy 40% 'Œ0.005=®É1000 =®É5 200 =®É1 400 =®É2 20Û`2 = '202 즉 '2=20'Œ0.005이므로 y=20 yy 40% ∴ y-5x=20-5_35 =17 yy 20%

0

86

45 a'b'c="aÛ`bc='Œ700="2Û`_5Û`_7 이때 b, c의 최대공약수가 5이고 a+1, a<b<c이므로 a=2, b=5, c=35 ∴ ab+c=2_5+35=45

0

87

 ④ 'Œ0.5=®É10 =¾Ð5 50 =5Û` 'Œ505 = bÛ` d 'Œ0.3=®É10 =¾Ð3 30 =3Û` 3 'Œ30= a Û` c'Œ0.5-'Œ0.3= bÛ` d- a Û` c

0

88

6 넓이가 3p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prÛ`=3p, rÛ`=3 ∴ r='3 (∵ r>0) 내접하는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2'3이므로 (내접하는 정사각형의 넓이)=12 _2'3_2'3=6 외접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3이므로 (외접하는 정사각형의 넓이)=2'3_2'3=12 따라서 구하는 넓이의 차는 12-6=6

0

89

3'Œ11`cmÛ`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분의 성질에 의하여 PQÓ= 12 BDÓ=12 _4'3=2'3 (cm) CPÓ, CQÓ는 한 변의 길이가 4'3`cm인 정삼각형의 높이이므로 CPÓ=CQÓ=¿·(4'3)Û`-(2'3)Û`='Œ36=6 (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C에서 PQ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이등변삼각형 CPQ에서 PHÓ=HQÓ='3 (cm)이므로 CHÓ =¿·6Û`-('3)Û`='Œ33 (cm)

PCQ= 12 _2'3_'Œ33 ='Œ99=3'Œ11 (cmÛ`)

0

90

10 2a 'Œ3b+8=2a3b+8 ='Œ3b+8 4'Œ2613 이고 a, b가 1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2a 3b+8 =13 , 3b+8=264 따라서 a=4, b=6이므로 a+b=4+6=10

0

91

 '55 5x+2y 3x-2y =3에서 5x+2y=9x-6y 4x=8y ∴ x=2y yy 40%

∴ ¾Ð 2xÛ`-5yÛ`4xÛ`-yÛ` =¾Ð 2_(2y)Û`-5yÛ`4_(2y)Û`-yÛ` =¾Ð 3yÛ` 15yÛ` =®15 = 1 '5= ' 5 5 yy 60%

0

92

5'Œ30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3k, 2k (k>0)라고 하면 정사 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k이므로 (2k)Û`=30 4kÛ`=30, kÛ`=152 ∴ k=¾¨152 ='Œ15 '2 = 'Œ230 따라서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2(3k+2k)=10k=10_ 'Œ302 =5'Œ30`` C P H Q

(11)

0

93

-0.2449 'Œ0.24+'Œ2.94-'66 =®Â100 +®Â24 294100 -'6 =210 +'6 710 -'6 '6 =- '10 =-6 2.44910 =-0.2449

0

94

1.572 'Œ265='Č100_2.65=10'Œ2.65=10_1.628=16.28 이때 'Œ265-xÛ`=13.81이므로 xÛ`=16.28-13.81=2.47 ∴ x='Œ2.47=1.572 (∵ x는 양수)

0

95

11 'Œ8(a+b)=10.2=10_1.02=10'Œ1.04 ='¶100_1.04='Œ104 즉 8(a+b)=104이므로 a+b=13 yy ㉠ 'Œab=3.464='Œ12이므로 ab=12 yy ㉡ ㉠, ㉡에서 a=12, b=1 (∵ a>b) ∴ a-b=12-1=11

0

96

 524'6 1 '6 - 1 '6 - '61 = 1 '6 - 1 '6 - '66 = 1 '6 -  51'6 6 = 1 '6 - 56 '6 = 1 '6 - '56 = 1 4'6 5 = 5 4'6= 5'6 24

0

97

 7+23'2 AÕMÓ=BÕMÓ= 3+'2-(-1-'2)2 =4+22'2=2+'2 yy 40% 이때 MÕNÓ : NBÓ=2 : 1이므로 NBÓ=13 BMÓ=2+3'2 yy 30% 따라서 점 N에 대응하는 수는 3+'2-2+3'2=7+23'2 yy 30%

0

98

(20+30'2)`cm 한 변의 길이가 10`cm인 정사각형 안에 그린 세 정사각형의 넓이는 각 각 100_12 =50 (cmÛ` ), 50_12 =25 (cmÛ`), 25_12 =252 (cmÛ`)  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각각 'Œ50=5'2 (cm), 'Œ25=5 (cm), ®É252 =5'22 (cm)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의 합은 세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의 합과 같으므로 4_{5'2+5+5'22 }=4_{5+152 }=20+30'2 (cm)'2

0

99

-;2!; '¶504a="2Ü`_3Û`_7_a가 자연수가 되려면 a=2_7_(자연수)Û` 꼴이 어야 한다. 따라서 가장 작은 자연수 a는 2_7_1Û`=14 3<'Œ14<4이므로 -1<-4+'Œ14<0¿·(-4+'a)Û`-2b'a =¿·(-4+'Œ14)Û`-2b'Œ14 =-(-4+'Œ14)-2b'Œ14 =4-'Œ14-2b'Œ14 =4-(1+2b)'Œ14 이때 이 식이 유리수가 되려면 1+2b=0이어야 하므로 b=-;2!;

100

(3+'5)p 사분원 A의 반지름의 길이는 4 사분원 B의 반지름의 길이는 (5+'5)-4=1+'5 사분원 C의 반지름의 길이는 4-(1+'5)=3-'5 사분원 D의 반지름의 길이는 (1+'5)-(3-'5)=2'5-2 따라서 사분원 A, B, C, D의 호의 길이의 합은 ;4!;_2p_4+;4!;_2p_(1+'5)+;4!;_2p_(3-'5) +;4!;_2p_(2'5-2) =;4!;_2p_{4+(1+'5)+(3-'5)+(2'5-2)} =;4!;_2p_(6+2'5) =(3+'5)p

101

3'3-14 '2 (2'3-5)- '2= '3+4 '2 에서 2'6-5'2-  '2= '6+42 '2  '2 =2'6-5'2- ' 6+4'2 2 =4'6-10'2-'6-4'22 =3'6-14'22 ∴  =3'6-14'22 _'2 =6'3-282 =3'3-14

102

3+2'33 (2'3-1) ◎ '34 =(2'3-1)-'3_ 4 '3+(2'3-1)_'34 =2'3-1-4+8-4'33 =3+2'33

(12)

103

-1 'Œ12('6-'3)x+3'2<2('2-3)x-1에서 6'2x-6x+3'2<2'2x-6x-1 4'2x<-3'2-1 ∴ x<-34'2-1'2 =-6-8 '2 이때 1<'2<2이므로 -2<-'2<-1 -8<-6-'2<-7 ∴ -1<-6-8 '2<-78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하는 x의 값 중 가장 큰 정수는 -1이다.

104

- 'Œ303 a : b : c=('6-'2) : ('2+'5) : ('6-'5)이므로 a=('6-'2)k, b=('2+'5)k, c=('6-'5)k (k>0)라고 하면 ('6-'2)k+('2+'5)k+('6-'5)k='Œ10 ('6-'2+'2+'5+'6-'5)k='Œ10 2'6k='Œ10 ∴ k= 'Œ210 '6= 'Œ 15 6 ∴ a-b-c =('6-'2)k-('2+'5)k-('6-'5)k =('6-'2-'2-'5-'6+'5)k=-2'2k =-2'2_ 'Œ156 =-'Œ303

105

 3'3-'64 3<'Œ12<4이므로 2<'Œ12-1<3 ∴ f(x)=2, g(x)=('Œ12-1)-2='Œ12-3 3'2='Œ18이고 4<3'2<5이므로 6<3'2+2<7 ∴ f(y)=6, g(y)=(3'2+2)-6=3'2-4 f(x)-g(y)+32 g(x)+f(y) =2-(3'2-4)+3 2('Œ12-3)+6 = 9-3'2 4'3 =9'3-3'612 =3'3-'64

106

 4'55 -1 2'5='Œ20이고 4<2'5<5이므로 2<2'5-2<3 ∴ [ a ]=2 a a+[ a ] -[ a ]-a [ a ] = 2'5-2 (2'5-2)+2 -2-(2'5-2) 2 =2'5-2 2'5 -4-2'5 2 ` =10-210'5 -2+'5 =1- '5 -2+'5 5 =4'55 -1

107

7'7-18 조건 ㈎에서 'a, 'b, 'c, 'd가 모두 1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a, b, c, d는 모두 2 이상 100 이하의 제곱수이다. 조건 ㈏에서 2a+b=43이므로 a=9, b=25 d-3c=1이므로 c=16, d=49 5'¶c-a=5'7이고 13<5'7<14이므로 5'¶c-a의 소수 부분은 x=5'7-13 ¾Ð7(d-b)6 ='¶28=2'7이고 5<2'7<6이므로 ¾Ð7(d-b)6 의 소수 부분은 y=2'7-5 ∴ x+y=(5'7-13)+(2'7-5)=7'7-18

108

8

109

(2+'2)p

110

4

111

4개

112

6'2+10'3

113

5'24

114

16

115

5 창 의 융 합

116

27

117

[그림 1] 본교재 030 ~ 032쪽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STEP

3

최 고 난

108

8 "20ß`+4¡` "10ß`+4Þ` =¾Ð (2Û`_5)ß`+(2Û`)¡`(2_5)ß`+(2Û`)Þ`=¾Ð 2Ú`Û`_5ß`+2Ú`ß`2ß`_5ß`+2Ú`â` =¾Ð 2Ú`Û`(5ß`+2Ý`)2ß`(5ß`+2Ý`) ="2ß` ="(2Ü`)ÛÛ`=8

109

(2+'2)p

ABCD를 수직선을 따라 오른쪽으로 1회전 시키면 다음 그림과 같 다. A -3 -2 -1 0 1 2 3 4 5 6 7B D C A' B' D' C' 이때 ACÓ="2Û`+2Û`='8=2'2이므로 점 A가 움직인 거리는 2p_2'2_360 +2_{2p_2_90 360 } ='2p+2p 90 =(2+'2)p

110

4 104Û`=10816이므로 104='¶10816 ∴ 10.4=10410 ='Œ1081610 =®Â10816100 ='¶108.16 105Û`=11025이므로 105='¶11025 ∴ 10.5=10510 ='Œ1102510 =®Â11025100 ='¶110.25'¶108.16<'¶110<'¶110.25이므로 10.4<'¶110<10.5 따라서 '¶110을 소수로 나타내었을 때,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의 숫자는 4이다.

(13)

111

4개 'Œ175=5'7이므로 'x+'y=5'7 5'7은 무리수이고 x, y는 자연수이므로 주어진 식을 만족하는 x, y는 x=7mÛ`, y=7nÛ` (m, n은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이때 "7mÛ`+"7nÛ`=5'7이므로 m'7+n'7=5'7 ∴ m+n=5 m+n=5를 만족하는 두 자연수 m, n의 값은 m=1, n=4 또는 m=2, n=3 또는 m=3, n=2 또는 m=4, n=1 Ú m=1, n=4일 때 x=7_1Û`=7, y=7_4Û`=112 Û m=2, n=3일 때 x=7_2Û`=28, y=7_3Û`=63 Ü m=3, n=2일 때 x=7_3Û`=63, y=7_2Û`=28 Ý m=4, n=1일 때 x=7_4Û`=112, y=7_1Û`=7 Ú ~ Ý에서 구하는 순서쌍 (x, y)는 (7, 112), (28, 63), (63, 28), (112, 7)의 4개이다.

112

6'2+10'3 네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각각 '2, '3, '8=2'2, 'Œ12=2'3이고 겹치는 부분의 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각각 '22 , '32 , '2이다. ∴ (새로 만든 도형의 둘레의 길이) =(처음 네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의 합) -(겹치는 부분의 세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의 합) =4_('2+'3+2'2+2'3)-4_{ '2 +2 '32 +'2} =4_(3'2+3'3)-4_{3'22 +'32 } =12'2+12'3-6'2-2'3 =6'2+10'3

113

 5'24

[

 '2x+'3y=1 yy ㉠     '3x-'2y=-1 yy ㉡ 에서 ㉠_'3-㉡_'2를 하면 5y='3+'2 ∴ y=q='3+'25 yy 40% y= '3+5'2 를 ㉠에 대입하면 '2x+ '3 ('3+'2 )5 =1 '2x=2-5'6 ∴ x=p=2-'6 5'2 = ' 2-'3 5 yy 40% 따라서 p+q= '2-5'3+ '3+5'2=2'25 이므로 1 p+q =2'25 =5'24 yy 20%

114

16

일곱 자리의 자연수 a는 10ß`Éa<10à`이므로 1000É'a<1000'Œ10 따라서 'a의 정수 부분은 네 자리의 자연수이다.

∴ m=4

"xÛ`+yÛ`의 정수 부분이 6이면 6É"xÛ`+yÛ`<7이므로

36ÉxÛ`+yÛ`<49

이를 만족하는 x¾y인 두 자연수 x, y의 순서쌍 (x, y)는 (5, 4),

(6, 1), (6, 2), (6, 3)의 4개이므로 n=4 ∴ mn=4_4=16

115

5 nÛ`<nÛ`+1<(n+1)Û`이므로 n<"ÃnÛ`+1<n+1"ÃnÛ`+1의 정수 부분이 n이므로 aÇ="ÃnÛ`+1-n aªªªª="Ã2222Û`+1-2222이므로 (aªªªª+2222)Û` =("Ã2222Û`+1-2222+2222)Û` =("Ã2222Û`+1)Û` =2222Û`+1 따라서 일의 자리의 숫자는 5이다.

116

27 창 의 융 합 눈금 12는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Œ12인 위치를, 눈금 48은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Œ48인 위치를 나타내므로 두 눈금 12와 48 사이의 거리는 'Œ48-'Œ12=4'3-2'3=2'3 또, 눈금 3은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3인 위치를, 눈금 x는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x인 위치를 나타낸다. 그림에서 눈금 12와 48 사이의 거리는 눈금 3과 x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x-'3=2'3, 'x=3'3 ∴ x=27

117

 [그림 1] 창 의 융 합 [그림 1]을 이루는 각 조각에 번호를 붙이면 다음 그림과 같으므로 둘레 의 길이는 2_5+'2_6+2'2_2+4+(4-2'2)+(2'2-2)=16+10'2 212 212 4-212 212-2 12 12 12 12 12 12 2 2 2 2 2 4 ① ⑤ ④ ③ ⑥ ⑦ ② [그림 2]를 이루는 각 조각에 번호를 붙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둘레 의 길이는 2_4+'2_3+2'2_2+(2-'2) +(4-2'2)+4+(2'2-2) =16+6'2 이때 16+10'2>16+6'2이므로 [그림 1]의 둘레의 길이가 더 길다. 212 212 212-2 2-12 4-212 12 12 12 2 2 2 4 2 ① ⑤ ④ ③ ⑥ ⑦ ②

(14)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II

.

다항식의 곱셈

03

118

3

119

12xÛ`+7x-10

120

;8!;

121

18

122

-15

123

-16aÛ`+36ab-18bÛ`

124

2051

125

;3*;

126

16

127

-3

128

1

129

21

130

6+23'6

131

5'2-1

132

33-18'3

133

xÛ`-4yÛ`-4yz-zÛ` 

134

24-8'3

135

18

136

;5$;

137

-;1@1^;

138

47

139

13

140

'3-'2

141

40  본교재 035 ~ 038쪽 교과서를 정복하는

STEP

1

핵 심 유 형

118

3  xy항이 나오는 부분만 전개하면 3x_(-2y)+(-ay)_bx=(-6-ab)xy이므로 -6-ab=4 ∴ ab=-10 또, y항이 나오는 부분만 전개하면

(-ay)_5=-5ay이므로 -5a=10 ∴ a=-2 a=-2를 ab=-10에 대입하면 b=5 ∴ a+b=-2+5=3

119

12xÛ`+7x-10 (3x-k)(5x+4)=15xÛ`+(12-5k)x-4k=15xÛ`+2x-8이므로 12-5k=2, -4k=-8 ∴ k=2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3x-2)(4x+5)=12xÛ`+7x-10

120

;8!; {x-;6!;}(x+a)=xÛ`+{a-;6!;}x-;6!;a 이때 x의 계수가 상수항의 2배이므로

a-;6!;=2_{-;6!;a}, a-;6!;=-;3!;a, ;3$;a=;6!; ∴ a=;8!;

121

18 (x-1)(x+1)(xÛ`+1)(xÝÝ`+1)(x¡`+1) =(xÛ`-1)(xÛ`+1)(xÝ`+1)(x¡`+1) =(xÝ`-1)(xÝ`+1)(x¡`+1) =(x¡`-1)(x¡`+1)=xÚ`ß`-1 따라서 a=16, b=-1이므로 a-2b=16+2=18

122

-15 (x+a)(x+8)=xÛ`+(a+8)x+8a=xÛ`+5x+b이므로 a+8=5, 8a=b ∴ a=-3, b=-24

(cx-1)(3x+1)=3cxÛ`+(c-3)x-1=dxÛ`-1이므로 3c=d, c-3=0 ∴ c=3, d=9 ∴ a+b+c+d =-3+(-24)+3+9 =-15

123

-16aÛ`+36ab-18bÛ` BEÓ=BAÓ=3b이므로 ECÓ=4a-3b ECÓ=HDÓ=HFÓ이므로 EFÓ=3b-(4a-3b)=6b-4a

FECG =(4a-3b)(6b-4a) =24ab-16aÛ`-18bÛ`+12ab =-16aÛ`+36ab-18bÛ`

124

2051 2046_2054+2066 2050 =(2050-4)(2050+4)+20662050 =2050Û`-16+20662050 =2050Û`+20502050 =2050+1 =2051

125

;3*; (4-'7)Û`-m(10-3'7) =16-8'7+7-10m+3'7m =(23-10m)+(3m-8)'7 이때 유리수가 되려면 3m-8=0이어야 하므로 3m=8 ∴ m=;\3*;

126

16 (2+1)(2Û`+1)(2Ý`+1)(2¡`+1) =(2-1)(2+1)(2Û`+1)(2Ý`+1)(2¡`+1) =(2Û`-1)(2Û`+1)(2Ý`+1)(2¡`+1) =(2Ý`-1)(2Ý`+1)(2¡`+1) =(2¡`-1)(2¡`+1) =2Ú`ß`-1 ∴ a=16

127

-3 ('5+2)ß`('5-2)à` =('5+2)ß`('5-2)ß`('5-2) ={('5+2)('5-2)}ß`('5-2) =(5-4)ß`('5-2) ='5-2 따라서 a=-2, b=1이므로 a-b=-2-1=-3

(15)

128

1 1003_997+998Û` =(10Ü`+3)(10Ü`-3)+(10Ü`-2)Û` =10ß`-9+10ß`-4_10Ü`+4 =2_10ß`-4_10Ü`-5 따라서 a=2, b=4, c=5이므로 a+b-c=2+4-5=1

129

21 3 7+4'3-7-44'3 = 3(7-4'3) (7+4'3)(7-4'3)-(7-44(7+4'3)(7+4'3)'3) =(21-12'3)-(28+16'3) =21-12'3-28-16'3=-7-28'3 따라서 a=-7, b=-28이므로 a-b=-7-(-28)=21

130

 6+23'6 2<'6<3이므로 -3<-'6<-2 ∴ 2<5-'6<3 따라서 a=2, b=(5-'6)-2=3-'6이므로 a b =3-2'6=(3-2(3+'6)(3+'6) '6) =6+23'6

131

5'2-1 f(x)='x+'¶x+1에서 1  f(x) = 1 'x+'¶x+1=('x+'¶x+1)('x-'¶x+1)'x-'¶x+1 = 'x-'¶x+1 x-(x+1)= 'x -'¶x+1 -1 ='¶x+1-'x ∴ 1  f(1)+ 1  f(2)+ 1  f(3)+…+ 1  f(49) =('2-'1)+('3-'2)+('4-'3)+…+('Œ50-'Œ49) =-'1+'Œ50=5'2-1

132

33-18'3

ABFE와

EGHD의 넓이의 비가 4 : 3이므로 닮음비는 2 : '3이 다.

ABÓ=2a라고 하면 EDÓ='3a이고

ABCD의 둘레의 길이가 78이므

2{2a+(2a+'3a)}=78, (4+'3)a=39 ∴ a= 39 4+'3=(4+39(4-'3)(4-'3)'3) =39(4-13'3)=3(4-'3) ∴ GFÓ =2a-'3a=(2-'3)a =3(2-'3)(4-'3)=3(11-6'3) =33-18'3

133

xÛ`-4yÛ`-4yz-zÛ`  (x+2y+z)(x-2y-z)={x+(2y+z)}{x-(2y+z)} 2y+z=A로 놓으면 (x+A)(x-A) =xÛ`-AÛ`=xÛ`-(2y+z)Û` =xÛ`-(4yÛ`+4yz+zÛ`) =xÛ`-4yÛ`-4yz-zÛ`

134

24-8'3 (2x+3-'3)(2x-1-'3)={(2x-'3)+3}{(2x-'3)-1} 2x-'3=A로 놓으면 (A+3)(A-1)=AÛ`+2A-3 =(2x-'3)Û`+2(2x-'3)-3 =4xÛ`-4'3x+3+4x-2'3-3 =4xÛ`+(4-4'3)x-2'3 따라서 x의 계수는 4-4'3, 상수항은 -2'3이므로 (4-4'3)_(-2'3)=24-8'3

135

18 (x+1)(x+2)(x-3)(x-4) ={(x+1)(x-3)}{(x+2)(x-4)} =(xÛ`-2x-3)(xÛ`-2x-8) xÛ`-2x=A로 놓으면 (A-3)(A-8) =AÛ`-11A+24 =(xÛ`-2x)Û`-11(xÛ`-2x)+24 =xÝ`-4xÜ`+4xÛ`-11xÛ`+22x+24 =xÝ`-4xÜ`-7xÛ`+22x+24 따라서 xÜ`의 계수는 -4, x의 계수는 22이므로 -4+22=18

136

;5$; aÛ`+bÛ`=(a-b)Û`+2ab이므로 6=4Û`+2ab 6=16+2ab, 2ab=-10 ∴ ab=-5

∴ 1a -1b =b-aab =-(a-b)ab =-4-5 =45

137

-;1@1^;

(x-3)(y-3)=4에서 xy-3(x+y)+9=4 xy=-11을 대입하면

-11-3(x+y)+9=4, -3(x+y)=6 ∴ x+y=-2

x +y xy =xÛ`+yÛ`xy =(x+y)Û`-2xyxy =(-2)Û`-2_(-11)-11 =-2611

138

47 xÛ`+ 1 xÛ`= {x-1 x }Û`+2=('5)Û`+2=7이므로 xÝ`+ 1 xÝ`={xÛ`+ 1 xÛ` }Û`-2=7Û`-2=47

139

13 x= 1 5-2'6= 5+2'6 (5-2'6)(5+2'6)=5+2'6 x-5=2'6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xÛ`-10x+25=24, xÛ`-10x=-1 ∴ xÛ`-10x+14=-1+14=13

(16)

140

'3-'2 '¶x+1-'¶x-1 '¶x+1+'¶x-1 =('¶x+1+'¶x-1)('¶x+1-'¶x-1) ('¶x+1-'¶x-1)Û` = x+1-2x+1-(x-1)¿·xÛ`-1+x-1=2x-22¿·xÛ`-1 =x-"ÃxÛ`-1='3-"Ã('3)Û`-1 ='3-'2

141

40 x+0이므로 xÛ`-6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x-6+x =0 ∴ x+1 x =61 ∴ xÛ`+x+x +1 1 xÛ` ={x+ 1 x }Û`-2+{x+ 1x } =6Û`-2+6=40

142

7

143

15

144

145

;2#5^;

146

-208+112'7

147

32

148

11

149

4 

150

6

151

(6'3-9)배

152

360

153

xß`-xÝ`-xÛ`+1

154

-6

155

249

156

25716

157

140

158

'6+'22

159

75-30'6  본교재 040 ~ 042쪽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STEP

2

심 화 유 형

142

7 a=8p+3, b=8q+5 (p, q는 자연수)라고 하면 ab =(8p+3)(8q+5) =64pq+40p+24q+15 =8(8pq+5p+3q+1)+7 따라서 ab를 8로 나눈 나머지는 7이다.

143

15 ACÓ=12이므로 a+b=12

ADÓ=CDÓ= a+b2 이므로 BDÓ=b-a+b2 =-a+b2 이때 Sª-SÁ=15이므로 { a+b2 }2`-{-a+b2 }2`=15 aÛ`+2ab+bÛ` 4 - aÛ`-2ab+bÛ`4 =15 ∴ ab=15

144

④ (x+A)(x+B)=xÛ`+(A+B)x+AB=xÛ`+Cx-40이므로 A+B=C, AB=-40 이때 A, B는 정수이므로 AB=-40을 만족하는 순서쌍 (A, B)는 (-40, 1), (-20, 2), (-10, 4), (-8, 5), (-5, 8), (-4, 10), (-2, 20), (-1, 40), (1, -40), (2, -20), (4, -10), (5, -8), (8, -5), (10, -4), (20, -2), (40, -1)이다. A+B=C이므로 C의 값이 될 수 있는 수는 -39, -18, -6, -3, 3, 6, 18, 39 따라서 C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④ 12이다.

145

;2#5^; 3005Û`-2999_3011 3010Û`-3005_3015 =3005Û`-(3005-6)(3005+6)3010Û`-(3010-5)(3010+5) =3005Û`-(3005Û`-6Û`)3010Û`-(3010Û`-5Û`) =6Û`5Û` =3625

146

-208+112'7 (3+'7)(3-'7)=9-7=2이므로 (3+'7)Þ`(3-'7)Ý` =(3+'7){(3+'7)(3-'7)}Ý` =(3+'7)_2Ý`=48+16'7 (3+'7)Ý`(3-'7)ß` ={(3+'7)(3-'7)}Ý`(3-'7)Û` =2Ý`(16-6'7)=256-96'7 ∴ (3+'7)Þ`(3-'7)Ý`-(3+'7)Ý`(3-'7)ß` =(48+16'7)-(256-96'7) =-208+112'7

147

32 2(4+2)(4Û`+2Û`)(4Ý`+2Ý`)(4¡`+2¡`)+2Ú`ß` =(4-2)(4+2)(4Û`+2Û`)(4Ý`+2Ý`)(4¡`+2¡`)+2Ú`ß` =(4Û`-2Û`)(4Û`+2Û`)(4Ý`+2Ý`)(4¡`+2¡`)+2Ú`ß` =(4Ý`-2Ý`)(4Ý`+2Ý`)(4¡`+2¡`)+2Ú`ß` =(4¡`-2¡`)(4¡`+2¡`)+2Ú`ß` =(4Ú`ß`-2Ú`ß`)+2Ú`ß` =4Ú`ß`=(2Û`)Ú`ß`=2Ü`Û` ∴ x=32

148

11 "2Û`â` ('7+'8)¡` { '2 -'2`}7 Ú`â` =2Ú`â` ('7+'8)¡` { '2 -'2`}7 Ú`â` =('7+2'2)¡`_2Ú`â`_{ '2 -'2`}7 Ú`â` =('7+2'2)¡`('7-2'2)Ú`â` ={('7+2'2)('7-2'2)}¡`('7-2'2)Û` =(7-8)¡`(7-4'¶14+8) =(-1)¡`(15-4'¶14) =15-4'¶14 따라서 a=15, b=-4이므로 a+b=15+(-4)=11

(17)

149

4 x-'6 '6+2 +y-'6-2 '6 = (x-'6)('6-2) ('6+2)('6-2)+ (y-'6)('6+2) ('6-2)('6+2) = '6x-2x-6+22 '6+ '6y+2y-6-22 '6 =(-2x+2y-12)+(x+y)2 '6 이때 이 수가 유리수가 되려면 x+y=0이어야 한다.

x+y=0, 2x-3y=-10을 연립하여 풀면 x=-2, y=2

∴ y-x=2-(-2)=4

150

6 1 1+'2+'3 = (1+'2)-'3 {(1+'2)+'3 }{(1+'2)-'3 } = 1+'2-'3 (1+'2)Û`-3 = 1+'2-'3 2'2 =(1+'2-'3)_'2 2'2_'2 = 2+'2-'6 4 따라서 a=1, b=-1, c=6이므로 a+b+c=1+(-1)+6=6

151

(6'3-9)배

직육면체 A의 밑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고 하면 밑넓이가 aÛ`이므 로 정육면체 B의 밑넓이는 3aÛ`이고 한 모서리의 길이는 '3a이다. B의 부피는 ('3a)Ü`=3'3aÜ`이므로 A의 부피는

;3!;_3'3aÜ`='3aÜ`

즉 A의 높이는 '3a이다.

따라서 A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8a+4'3a, B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12'3a이므로 12'3a 8a+4'3a= 3'3 2+'3= 3'3(2-'3) (2+'3)(2-'3)=6'3-9 즉 정육면체 B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직육면체 A의 모든 모서리 의 길이의 합의 (6'3-9)배이다.

152

360 xÛ`+3x-40=0에서 xÛ`+3x=40 yy 20% ∴ (x-4)(x-2)(x+5)(x+7) ={(x-4)(x+7)}{(x-2)(x+5)} =(xÛ`+3x-28)(xÛ`+3x-10) yy 50% =(40-28)_(40-10) =12_30=360 yy 30%

153

xß`-xÝ`-xÛ`+1 1-xÜ`=A, x-xÛ`=B로 놓으면 (주어진 식) =(A+B)(A-B) =AÛ`-BÛ` =(1-xÜ`)Û`-(x-xÛ`)Û` =1-2xÜ`+xß`-(xÛ`-2xÜ`+xÝ`) =1-2xÜ`+xß`-xÛ`+2xÜ`-xÝ` =xß`-xÝ`-xÛ`+1

154

-6 x+y=2, xy=-4이므로 xÛ`+yÛ`=(x+y)Û`-2xy=2Û`-2_(-4)=12x-3 +y y-3 =x y(y-3)+x(x-3) (x-3)(y-3) = x Û`+yÛ`-3(x+y) xy-3(x+y)+9  =-4-3_2+9 =12-3_2 -1 =-6 6

155

249 두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 84`cm이므로 4x+4y=84 ∴ x+y=21 yy 30% 또,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이 345`cmÛ`이므로 xÛ`+yÛ`=345 이때 (x+y)Û`=xÛ`+2xy+yÛ`이므로 21Û`=345+2xy 2xy=96 ∴ xy=48 yy 40% ∴ (x-y)Û` =(x+y)Û`-4xy =21Û`-4_48=249 yy 30%

156

 25716 xÛ`+yÛ`=(x+y)Û`-2xy이므로 5=3Û`-2xy, 2xy=4 ∴ xy=2

xÝ`+yÝ`=(xÛ`+yÛ`)Û`-2xÛ`yÛ`=5Û`-2_2Û`=25-8=17 yÝ` xÝ`+ x Ý` yÝ` = x¡`+y¡` xÝ`yÝ` = (xÝ`+yÝ`)Û`-2xÝ`yÝ` xÝ`yÝ` =17Û`-2_2Ý` 2Ý` = 257 16

157

140 a-b=-4, ab=-2이므로 aÛ`+bÛ`=(a-b)Û`+2ab=(-4)Û`+2_(-2)=12 x+y=3, xy=-1이므로 xÛ`+yÛ`=(x+y)Û`-2xy=3Û`-2_(-1)=11 ∴ (ax+by)Û`+(bx+ay)Û` =aÛ`xÛ`+2abxy+bÛ`yÛ`+bÛ`xÛ`+2abxy+aÛ`yÛ` =(aÛ`+bÛ`)xÛ`+4abxy+(aÛ`+bÛ`)yÛ` =12xÛ`+4_(-2)_(-1)+12yÛ` =12(xÛ`+yÛ`)+8 =12_11+8=140

158

 '6+'22 x+y= '3+2'2+ '3-2'2=2'32 ='3 x-y= '3+2'2- '3-2'2=2'22 ='2 xy={ '2 +3 '22 }{'32 -'22 }=34 -24 =14'x+'y

'x-'y =('x-'y)('x+'y)('x+'y)Û` =x+2x-y'Œxy+y ='3+2® 1 4 '2 = ' 3+1 '2 = ' 6+'2 2

(18)

159

75-30'6 x= '6-2 '6+2= ('6-2)Û` ('6+2)('6-2) =10-42 '6=5-2'6 x-5=-2'6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xÛ`-10x+25=24 ∴ xÛ`+1=10x y=3'2+4 3'2-4= (3'2+4)Û` (3'2-4)(3'2+4) =34+242 '2=17+12'2 y-17=12'2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yÛ`-34y+289=288 ∴ yÛ`-34y=-1 ∴ (xÛ`+5x+1)(yÛ`-34y+2) =(10x+5x)(-1+2) =15x =15(5-2'6) =75-30'6

160

465`cmÜ`

161

31

162

16

163

3'2-42

164

-32+32'2

165

-4, 4

166

12

167

4 창 의 융 합

168

10개

169

2400aÛ`-600 본교재 043 ~ 045쪽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STEP

3

최 고 난

160

465`cmÜ` 직육면체 A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를 각각 x`cm, y`cm, z`cm라고 하면 직육면체 A의 부피는 xyz`cmÜ`이다. 직육면체 A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72`cm이므로 4(x+y+z)=72 ∴ x+y+z=18 직육면체 A의 겉넓이가 184`cmÛ`이므로 2(xy+yz+zx)=184 ∴ xy+yz+zx=92 한편 직육면체 B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는 각각 (x+3)`cm, (y+3)`cm, (z+3)`cm이므로 직육면체 B의 부피는 (x+3)(y+3)(z+3) =(xy+3x+3y+9)(z+3) =xyz+3xy+3xz+9x+3yz+9y+9z+27 =xyz+3(xy+yz+zx)+9(x+y+z)+27 =xyz+3_92+9_18+27 =xyz+465 (cmÜ`) 따라서 두 직육면체 A, B의 부피의 차는 (xyz+465)-xyz=465 (cmÜ`) 

161

31 {1+1x }{1+xÛ`1 }{1+xÝ`1}{1+x¡`1 }{1+xÚ`ß`1 } = xx-1 `{1-x }{1+1 x }{1+1 1 xÛ`}{1+ 1 xÝ`}{1+ 1 x¡`}{1+ 1 xÚ`ß`} = xx-1 `{1- 1 xÛ`}{1+ 1 xÛ`}{1+ 1 xÝ`}{1+ 1 x¡`}{1+ 1 xÚ`ß`} = xx-1 `{1- 1 xÝ`}{1+ 1 xÝ`}{1+ 1 x¡`}{1+ 1 xÚ`ß`} = xx-1 `{1- 1 x¡`}{1+ 1 x¡`}{1+ 1 xÚ`ß`} = xx-1 `{1- 1 xÚ`ß`}{1+ 1 xÚ`ß`} = xx-1 `{1- 1 xÜ`Û`} = xx-1 _xÜ`Û`-1 xÜ`Û` = xÜ`Û`-1 xÜ`Û`-xÜ`Ú` 따라서 a=1, b=32이므로 b-a=32-1=31

162

16 9_11_101_10001_100000001 =(10-1)(10+1)(100+1)(10000+1)(100000000+1) =(10-1)(10+1)(10Û`+1)(10Ý`+1)(10¡`+1) =(10Û`-1)(10Û`+1)(10Ý`+1)(10¡`+1) =(10Ý`-1)(10Ý`+1)(10¡`+1) =(10¡`-1)(10¡`+1) =10Ú`ß`-1 이때 10Ú`ß`은 17자리의 자연수이므로 10Ú`ß`-1은 16자리의 자연수이다. ∴ n=16

163

 3'2-42 xÁ=3'2='Œ18이고 4<'Œ18<5이므로 yÁ=3'2-4 ∴ xª=yÁ =1 1 3'2-4 = 3'2+4 (3'2-4)(3'2+4)=3'2+42 8<3'2+4<9에서 4<3'2+42 <92 이므로 yª=3'2+42 -4=3'2-42 ∴ x£=yª =1 2 3'2-4= 2(3'2+4) (3'2-4)(3'2+4)=3'2+4 8<3'2+4<9이므로 y£=(3'2+4)-8=3'2-4따라서 yÇ의 값은 3'2-4, 3'2-42 , 3'2-4, y가 반복되므로 y£¼¼¼=3'2-42

(19)

164

-32+32'2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이등변삼각형 ABC에서 ABÓ=ACÓ=x라고 하면 BCÓ="ÃxÛ`+xÛ`='2x 이때 처음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4이므x+'2x+x=4 (2+'2)x=4 ∴ x= 4 2+'2= 4(2-'2) (2+'2)(2-'2)=4-2'2 ∴ (정팔각형의 넓이) =(정사각형의 넓이)-4

ABC =4_4-4_[12 _(4-2'2)_(4-2'2)] =16-4_[12 _(24-16'2)] =16-4_(12-8'2) =16-48+32'2 =-32+32'2

165

-4, 4 xÛ`-yÛ`+1=0에서 xÛ`-yÛ`=-1 (x+y)µ``=A, (x-y)µ``=B로 놓으면 {(x+y)µ``+(x-y)µ``}Û`-{(x+y)µ``-(x-y)µ``}Û` =(A+B)Û`-(A-B)Û` =AÛ`+2AB+BÛ`-(AÛ`-2AB+BÛ`) =4AB =4(x+y)µ``(x-y)µ``=4{(x+y)(x-y)}µ`` =4(xÛ`-yÛ`)µ``=4_(-1)µ`` Ú m¾2인 홀수일 때, 4_(-1)µ``=4_(-1)=-4 Û m¾2인 짝수일 때, 4_(-1)µ``=4_1=4 Ú, Û에서 구하는 값은 -4, 4이다.

166

12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a, b라고 하자.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서로 같으므로 4x=2(a+b) ∴ x= a+b2 yy ㉠ 또, 넓이의 차가 36이므로 |xÛ`-ab|=36 yy ㉡ ㉠을 ㉡에 대입하면 |{ a+b2 }Û`-ab|=36 양변에 4를 곱하면 |(a+b)Û`-4ab|=144 |(a-b)Û`|=144 ∴ |a-b|=12 따라서 직사각형의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의 차는 12이다. 12x \A \B \C x x x 12x

167

4 x+0이므로 xÛ`-2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x-2-x =0 ∴ x-1 x =2 1 yy 20% xÛ`+1 xÛ= {x-1 x }Û`+2=2Û`+2=6 yy 20% xÝ`+ 1 xÝ`={xÛ`+ 1 xÛ}Û`-2=6Û`-2=34 yy 20% x¡`+ 1 x¡`={xÝ`+ 1 xÝ`}Û`-2=34Û`-2=1154 yy 20% 따라서 x¡`+ 1 x¡`의 값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4이다. yy 20%

168

10개 창 의 융 합 두 자리 자연수를 10a+b, 10c+d (a, b, c, d는 10보다 작은 자연수) 라고 하면 (10a+b)(10c+d)=(10b+a)(10d+c) 100ac+10ad+10bc+bd=100bd+10bc+10ad+ac 100ac+bd=100bd+ac 99ac=99bd ∴ ac=bd 즉 처음 두 수의 십의 자리의 숫자끼리의 곱과 일의 자리의 숫자끼리의 곱이 같으므로 이를 만족하는 a, b, c, d의 값은 다음과 같다. a=1, c=6일 때, b=2, d=3 또는 b=3, d=2이므로 (12, 63), (13, 62) a=1, c=8일 때, b=2, d=4 또는 b=4, d=2이므로 (12, 84), (14, 82) a=2, c=6일 때, b=3, d=4 또는 b=4, d=3이므로 (23, 64), (24, 63) a=2, c=9일 때, b=3, d=6 또는 b=6, d=3이므로 (23, 96), (26, 93) a=3, c=8일 때, b=4, d=6 또는 b=6, d=4이므로 (34, 86), (36, 84)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은 모두 10개이다.

169

2400aÛ`-600 창 의 융 합 (블록 한 개의 부피) =3(4a+2)(4a-2) =3(16aÛ`-4) =48aÛ`-12 세영이가 만든 입체도형은 다음 그림과 같으므로 블록의 총 개수는 50개 이다. ∴ (입체도형의 부피) =50(48aÛ`-12) =2400aÛ`-600

참조

관련 문서

[r]

이때 함수의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려면 그래프는.

따라서 일차함수 y=bx+a의 그 래프는 오른쪽 아래로 향하고 y절 편이 양수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a와 b의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제1 사 분면을 지나지 않으려면 오른쪽

[r]

09 삼각형의 외각의 성질을 이용 하여 각을 표시하면

이때 함수의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려면 그래프는.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