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8 집중연수 강의록.compressed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18 집중연수 강의록.compressed"

Copied!
10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4)

www.naks.org 편집 : 지수경 발행처 : 재미한국학교협의회 발행인 : 이승민 후원 : 재외동포재단 협찬 : 국립국어원 2018 NAKS 집중연수회 강의록 / 2018년 7월 발행

Copyright ⓒ2018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Schools, Inc. All rights reserved.

(5)

환영사 이승민 재미한국학교협의회 총회장 4 축 사 국립국어원장 원장 5 공통1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9

이운영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공통2 흥미롭고 효율적인 수업 꾸리기 22

나은주

뉴욕대학교 기초1 옛날이야기로 읽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35

이미향

영남대 국제학부 심화1 두 개의 문화사이에서 글쓰기 42

박기선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기초2 이런 글 어떻게 고쳐줄까? 48

박기선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심화2 빠른 읽기, 바른 읽기 어떻게 지도할까? 57

이미향

영남대 국제학부 공통 수업에서 바로 쓰는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육 자료 69

김은혜

국립국어원 한국어진흥과 연구원 공통 우리 아이들 글로벌 리더로 키우기 90

김경령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김경령 2018 집중연수회 그룹 편성 103

(6)

4

환영사

열정과 전문성을 아우르는

집중연수를 기대하며……

집행연수회에 참석하신 선생님들과 강사님들을 환영합니다. 집중연수회는 지난 2010년 시애틀 학술대회 때부터 시작되었고 올해로 9회 째를 맞이 하고 있습니다. 한국 어 교육을 선도하며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와 교원 재교육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국립국어원과 함께 집중연수를 준비하며 진행하게 되어 참여 선생님들에게 더욱 더 의미 있는 시간들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자녀들이 한국과의 연결 고리를 이어 갔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과 보무 교사들의 열정과 헌신을 기반으로 자 생적으로 형성된 한국학교는 동포사회와 모국을 이어주는 대표적 차세대 교육기관으로 현지 사정에 맞추어 설립 주체, 학생, 교사, 교육내용 등에 차별성을 두며 운영되고 있습니다. 미주 이민 역사와 함께 해온 한국 어 교육의 중심에는 열정적인 선생님들의 헌신과 봉사가 있었습니다. 여기에, 전문성을 아우르고자 노력하시 는 선생님들의 뜨거운 열정에 다시 한번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집중연수회가 짧은 기간으로 진행되지만 많은 시간 함께 고민하며 세심하고 철저한 준비를 해 주신 국립국 어원에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집중연수회를 통해 참여하시는 선생님들 모두 자신을 돌아 보고 학습자를 대 면할 때 좀 더 나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알찬 시간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이번 연수회의 구성과 교육과정으로 앞으로도 계속 집중연수회가 성장 발전한다면 앞으로 우리 NAKS 선생 님들께 매우 유익하고 모든 선생님들이 꼭 한번은 듣고 지나야 하는 교사 양성 프로그램으로 발전될 것입니 다. 그렇게 될 수 있도록 국립국어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다시 한번 집중연수회를 지원 해 주신 국립국어원에 감사드리며 참석하신 모든 선생님들과 교수님의 열정과 전문성이 아우러지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이 승 민 재미한국학교협의회 총회장

(7)

5 2018년 NAKS 집중연수

축사

학술대회 개최와 집중연수회를 축하하며

국립국어원장 재미한국학교협의회 제36차 학술대회와 함께 개최되는 이번 집중연수회에 참여하신 선생님 여러분께 반갑 고 기쁜 인사를 드립니다. 한국어교육을 위하여 누구보다 헌신적으로 애써 주실 뿐 아니라, 더 좋은 교육을 하고자 하는 열정을 품고 집중연수회까지 찾아와 주신 여러 선생님들께 진심어린 존경의 마음을 전합니다. 선 생님들의 애정 어린 수고가 자양분이 되어 한국어교육에 더욱 풍성한 성과가 맺히리라고 생각합니다. 국립국어원은 우리말의 보존과 전수에 힘쓰시는 여러 선생님들의 노력에 보답하고자 올해도 정성을 다해 집중연수회를 준비하였습니다. 특히 선생님들이 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담아 보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저명한 한국어교육 전문가 교수님을 여러 분 모셨으므로, 이번 연수회가 여러분들이 한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느끼셨을 갈증을 해소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아울러 이번과 같은 연수회가 앞으로 도 지속되어서 국립국어원과 재미한국학교협의회의 교류와 협력이 더욱 증진되기를 희망합니다. 국립국어원은 한국어교육을 선도하는 기관으로서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와 교재 개발, 그리고 교 원 재교육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와 교원을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한국어 교육 자 료와 온라인 교원 연수 자료 등을 집대성한 한국어교수학습샘터 등은 여러분의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알찬 수 업을 꾸려 나가는 데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집중연수회를 준비하시느라 애쓰신 여러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특히 재미한국학교협의회 이승민 총회장님, 지수경 간사님, 김윤희 편집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 멀리 한국에서 집중연수회 강의를 위해 오신 박기선 교수님, 이미향 교수님, 김경령 교수님과, 뉴욕대학교의 나은주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이번 집중연수회가 짧은 기간이기는 합니다만, 풍성한 열매 거두시기를 바라며, 연이어 있는 학술대회까지 편안하고 건강하게 마치시길 기원합니다.

(8)

6 주제 : 흥미롭고 효율적인 한국어 읽기 쓰기 수업 운영 일시 : 2018. 7. 18(수) 08:30~19:30 7. 19(목) 09:00~17:00 장소 : 시카고 샴버그 호텔 & 컨벤션 센터 목적 : 본 협의회(NAKS)가 학술대회와 각 지역협의회 교사 연수시 부분적으로 시행 해 오던 한국학교 교사 전문성 교 육을 보다 체계화하여 단계별 집중 교육을 통해 재외 한글학교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 하고자 2010 년에 “한글학 교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집중연수” 과정을 창설하여 매년 학술대회 하루 전에 실시하며, 현대 한국어 교수이 론과 한국어의 다양한 학습활동 학습과 교수법 등 유익한 강의로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수업일정표 일시 주요 내용 강사 [7월 18일(수)] 08:30-09:00 개회식 09:00-09:50 (공통 1)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한국어 어문 규범 총론 이운영 학예연구관(국립국어원) 10:10-11:30 (공통 2) 흥미롭고 효율적인 수업 꾸리기 학습 지도안과 수업 설계 나은주 교수(뉴욕대) 11:30-13:00 점심 13:00-14:20 (기초 1) 옛날이야기로 읽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 (심화 1) 두 개 문화 사이에서 글쓰기 이미향 교수 (영남대) 박기선 교수 (사이버한국외대) 14:30-15:50 (기초 2) 이런 글 어떻게 고쳐줄까? (심화 2) 빠른 읽기, 바른 읽기 어떻게 지도할까? 박기선(사이버한 국외대) 이미향 교수 (영남대) 16:00-17:00 수업에서 바로 쓰는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육 자료 김은혜 연구원(국립국어원) 17:00-18:30 그룹별 시간 (수업 시연 준비 및 교사 간 교류) 18:30-20:00 식사 및 간담회 [7월 19일(목)] 09:00-11:45 - 그룹별 수업 시연 - 전문가 피드백: 잘된 점과 다듬을 점 수강생, 이미향 교수, 박기선 교수, 나은주 교수, 이운영 학예연구관, 김은혜 연구원 11:50-12:30 수료식 12:30-13:10 점심 13:15-14:15 우리 아이들 글로벌 리더로 키우기 - 이중 언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특강 김경령 교수 (숙명여대)

집중연수회 소개 및 시간표

(9)

공통

이운영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10)
(11)

9 2018년 NAKS 집중연수 공통1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이운영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1. 어문 규범의 종류와 제정 취지

한국어와 한국어 어문 규범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국어기본법’에서 정하고 있다. ‘국어기본법’에서 한국어 를 한국의 국가 공식 언어로 규정하고 있고, 공문서는 어문 규범을 따라 적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한국어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뜻일 것이다. ‘국어기본법’에 나오는 어문 규범은 한국어를 제대로 표기하고 활 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세부적으로 정해 놓은 규정이다. ‘어문 규범’이라고도 하고 ‘어문 규정’이라고도 하 는데, 모두 동일한 것을 가리킨다. 여기서는 ‘국어기본법’에 나온 용어를 따라 ‘어문 규범’이라고 하였다. 한국어 어문 규범은 모두 4가지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고시로 제정되어 있으며, 각 규범의 제정 취지와 담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종류 제정 취지 내용(범위) 1. 표준어 규정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여러 형태나 발음의 단어 가운데 어떤 형태 나 발음을 표준으로 선정할 것인지 원칙을 제시함. 표준어 사정 원칙(형태) 표준 발음법(발음) 2. 한글 맞춤법 표준어를 한글로 어떻게 표기할 것인지에 대한 원칙을 제시함. 띄 어쓰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문장부호 규정도 있음. 철자법, 띄어쓰기, 문장부호 (부록) 3. 외래어 표기법 한국어의 외래어를 한글로 어떻게 표기할 것인지에 대한 원칙을 제 시함. 모두 21개 언어에 대한 표기 세칙이 마련되어 있음. 영어, 독일어 등 21개 언어의 표기 세칙 4. 국어의 로마자 표 기법 한국어의 표준 발음을 로마자로 어떻게 표기할 것인지에 대한 원칙 을 제시함. 국어의 로마자 표기 원칙 이제 각 규범의 주요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겠다.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 한국어 어문 규범 총론-

(12)

10

2. 표준어 규정(문체부 고시 제2017-13호)

‘표준어 규정’은 표준이 되는 형태나 발음 선정의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에 따라 크게 2가지 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여러 형태 중 어느 것을 표준어로 삼을지에 대한 원칙을 담고 있는 ‘표준어 사정 원 칙’이고, 2부는 형태는 동일하더라도 발음이 여럿 있을 때 어떤 발음을 표준으로 삼을지를 담고 있는 ‘표준 발 음법’이다. 각 규정이 담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총 26항) 제1장 총칙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예> 끄나풀(끄나불×), 살쾡이(삵괭이×), 사글세(삭월세×) 제2절 모음 <예> 오뚝이(오똑이×), 냄비(남비×), 미장이(미쟁이×) 제3절 준말 <예> 뱀(배암×), 무(무우×), 솔개(소리개×) 제4절 단수 표준어 <예> 아내(안해×), 봉숭아(봉숭화×, 봉선화○), -습니다(-읍니다×) 제5절 복수 표준어 <예> 고까/꼬까, 쬐다/쪼이다 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고어 <예> 자두(오얏×), 애달프다(애닯다×) 제2절 한자어 <예> 가루약(말약×), 겸상(맞상×), 양파(둥근파×) 제3절 방언 <예> 멍게/우렁쉥이, 빈대떡(빈자떡×)

(13)

11 2018년 NAKS 집중연수 공통1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제4절 단수 표준어 <예> 담배꽁초(담배꽁추×, 담배꽁치×), 술고래(술보×), 애벌레(어린벌레×) 제5절 복수 표준어 <예> 가뭄/가물, 가엾다/가엽다, 돼지감자/뚱딴지, 언덕바지/언덕배기 ㅇ 제2부 표준 발음법(총 30항) 제1장 총칙 제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 로 한다. 제2장 자음과 모음 - 자음: 19개(초성에 올 수 있는 것)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 모음: 21개(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 단모음(10개) ㅏ, ㅐ, ㅓ, ㅔ, ㅗ, , ㅜ, , ㅡ, ㅣ 이중 모음(11개)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 ‘ㅚ’와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함. 제3장 음의 길이 - 단어의 장단을 구별하여 적는다. 제4장 받침의 발음 - 받침은 7가지 소리만을 허용한다.(ㄱ, ㄴ, ㄷ, ㄹ, ㅁ, ㅂ, ㅇ) 제5장 음의 동화 - 구개음화: 굳이[구지], 밭이[바치], 굳히다[구치다] - 비음화: 국물[궁물], 읊는[음는], 강릉[강능] - 유음화: 신라[실라], 뚫는[뚤는] / 공권력[공꿘녁], 상견례[상견녜] 등 제6장 경음화 - 국밥[국빱], 앉고[안꼬], 맑고[말꼬], 넓게[널께], 할걸[할껄] 제7장 음의 첨가 - ㄴ 첨가: 홑이불[혼니불], 꽃잎[꼰닙], 옷 입다[온닙따] - 사이시옷이 들어간 말의 발음: 된소리 또는 ㄴ 첨가

(14)

12

3. 한글 맞춤법(문체부 고시 제2017-12호)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표기하는 옳은 방법에 대해 정해 놓은 규정으로, 띄어쓰기도 한글 맞춤법에 포함 되어 있다. 또한 부록으로 문장 부호를 포함하고 있다. 한글 맞춤법은 모두 6장, 총 57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구체적인 구성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한글 맞춤법 제1장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제2장 자모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오빠/국수/훨씬 제2절 구개음화: 해돋이, 같이 제3절 ‘ㄷ’ 소리 받침: 돗자리, 사뭇 제4절 모음: 혜택/게시판 제5절 두음 법칙: 이론/논리, 남녀/여자 제6절 겹쳐 나는 소리: 유유상종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1절 체언과 조사 제2절 어간과 어미: 불규칙 활용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웃음, 먹이다, 먹히다, 공부하다, 반짝거리다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사이시옷 첨가 제5절 준말 제5장 띄어쓰기 제1절 조사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3절 보조 용언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제6장 그 밖의 것

(15)

13 2018년 NAKS 집중연수 공통1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 부록: 문장 부호(2014년 개정) 주요 변경 사항 이전 규정 설명 가로쓰기로 통합 세로쓰기용 부호 별도 규정 그동안 세로쓰기용 부호로 규정된 ‘고리점(。)’과 ‘모점(、)’은 개정안에서 제 , ‘낫표(「 」,  )’는 가로쓰기용 부호로 용법을 수정하여 유지. 문장 부호 명칭 정리 ‘.’는 ‘온점’ ‘,’는 ‘반점’ 부호 ‘.’와 ‘,’를 각각 ‘마침표’와 ‘쉼표’라 하고 기존의 ‘온점’과 ‘반점’이라 는 용어도 쓸 수 있도록 함. ‘< >, ≪ ≫’ 명칭 및 용 법 불분명 부호 ‘< >, ≪ ≫’를 각각 ‘홑화살괄호, 겹화살괄호’로 명명하고 각각의 용법 규정. 부호 선택의 폭 확대 줄임표는 ‘……’만 사용 컴퓨터 입력을 고려하여 아래에 여섯 점(...)을 찍거나 세 점(…, ...)만 찍 는 것도 가능하도록 함. 가운뎃점, 낫표, 화살괄 호 사용 불편 - 가운뎃점 대신 마침표(.)나 쉼표(,)도 쓸 수 있는 경우 확대. - 낫표(「 」, 『 』)나 화살괄호(< >, ≪ ≫) 대신 따옴표(‘ ’, “ ”)도 쓸 수 있도 록 함. 조항 수 증가 (66개→94개) 조항 수 66개 소괄호 관련 조항은 3개에서 6개로, 줄임표 관련 조항은 2개에서 7개로 늘어 나는 등 전체적으로 이전 규정에 비해 28개가 늘어남. ※ (조항 수): [붙임], [다만] 조항을 포함함.

4. 외래어 표기법(문체부 고시 제2017-14호)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에서 들어온 말을 어떻게 적어야 할지 정해 놓은 규정이다.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 자 표기법’을 혼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두 규범 모두 외국어 또는 외국 문자와 관련이 있기 때문인 듯하다. 그러나 두 가지는 목적과 내용이 다른, 명백히 구분되는 규정이다.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어에서 들어온 말을 한글로 적는 방법을 정해 놓은 것이다. 예를 들어 ‘Richard’라 는 사람이 있을 때 이 사람의 이름을 한글로 ‘리차드’라고 적을지 ‘리처드’라고 적을지를 정하는 것이다. 따라 서 이것은 한글을 사용하는 사람들끼리 의사소통을 잘하기 위해 만든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는 24자모만을 사용하여 표기하여야 한다. 반면 ‘로마자 표기법’은 거꾸로, 한국 인명이나 지명을 로마 자로 어떻게 적을지를 정한 것이다. ‘인천, 설악’을 ‘Incheon, Seorak’이라고 적는 것이 ‘로마자 표기법’을 따른 것이다. 로마자 표기는 기본적으로 외국인을 위한 것이다. 한글을 모르는 외국인들이 한국에 왔을 때 장 소를 찾거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로마자’로 표기하는 법을 정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두 가지는 분명히 구 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외래어 표기법’은 기본 원칙과 표기 일람표, 세칙, 인·지명 표기 원칙 등을 담고 있다. 구체적인 구성 내용 은 다음과 같다.

(16)

14 ㅇ 외래어 표기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제2장 표기 일람표 표 1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표 2 에스파냐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3 이탈리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4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표 5 중국어의 주음 부호(注音符號)와 한글 대조표 표 6 ~ 표19: 폴란드어 ~ 러시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제3장 표기 세칙 ㅇ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에스파냐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중국어, 폴란드어 등 21개 언어에 대한 세 부 표기 원칙을 세칙으로 제시함.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제 1 절 표기 원칙 제 2 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ㅇ 중국 인명: 역사적 인물은 우리 한자음으로 표기하고(예> 공자, 맹자), 현대 인물은 중국어 원음대 로 표기함.(마오쩌둥, 시진핑) ㅇ 중국 지명: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지명은 우리 한자음으로 표기하고(예> 장안), 현재도 존재하는 지명은 원음대로 표기함.(예> 뤄양, 베이징, 상하이) 다만, 익숙한 지명은 두 가지 모두 인정함. (예> 베이징/북경, 상하이/상해, 옌볜/연변) ㅇ 일본 인명: 모두 일본어 발음을 따라 표기함. 우리 한자음 표기는 모두 잘못임.(예> 이토 히로부미 (이등박문×),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ㅇ 일본 지명: 일본어 발음을 따라 표기하되, 익숙한 지명은 두 가지 모두 인정함.(예> 도쿄/동경, 홋 카이도/북해도 등) 제 3 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17)

15 2018년 NAKS 집중연수 공통1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5.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문광부 고시 제2000-8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한국 인명이나 지명 등을 로마자로 어떻게 적을지를 정해 놓은 규정이다. 흔히 로 마자 표기를 ‘영어 표기’, ‘영문 표기’라고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영어’는 언어를 가리키는 말이고, ‘로마자’는 ‘한글’이나 ‘키릴 문자’ 등과 같은 문자의 이름이다. ‘a, b, c …’가 바로 로마자인데, 이 로마자는 영어뿐 아니라 유럽 많은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키릴 문자 표기법’이나 ‘아랍 문자 표기법’이 아니라 ‘로마자 표기법’을 정한 것도 이처럼 로마자가 널리 사용되기 때문이다. ‘로마자 표기법’은 한국어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일본어의 로마자 표기법도 있고 다른 언어의 로마자 표기법도 있다. 따라서 한국어를 로마자로 적는 법을 정해 놓은 규정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라고 하였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기본 원칙, 한글 자모와 로마자의 대응표, 그 외 표기상의 유의점 등 모두 3장으 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ㅇ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 1 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제 2 장 표기 일람 <자음>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g, k kk k d, t tt t b, p pp p ㅈ ㅉ ㅊ ㅅ ㅆ ㅎ ㄴ ㅁ ㅇ ㄹ j jj ch s ss h n m ng r, l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a eo o u eu i ae e oe wi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제 3 장 표기상의 유의점

ㅇ 동화, 구개음화, 거센소리되기 등은 표기에 반영하되, 체언에서는 ‘ㅎ’을 밝혀 적는다. <예> 백마[뱅마] Bangma, 해돋이[해도지] haedoji, 놓다[노타] nota, 묵호 Mukho

(18)

16

ㅇ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는 붙임표(-)를 쓸 수 있고 고유명사 첫 자는 대문자로 적는다. <예> 해운대 Hae-undae, 반구대 Ban-gudae

ㅇ 성과 이름은 띄어서 쓰고, 이름 안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예> 민용하 Min Yongha (Min Yong-ha), 홍빛나 Hong Bitna (Hong Bit-na)

[참고1] 추가 표준어 목록(2011년~2016년)

2011년(39항목)

기존표준어 추가 표준어 의미 구분 ~기에 ~길래 ‘~기에’를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 별도 표준어 간질이다 간지럽히다 살갗을 문지르거나 건드려 간지럽게 하다. 복수 표준어 괴발개발 개발새발 개의 발과 새의 발이라는 뜻으로, 글씨를 되는대로 아무렇게나 써 놓은 모양 을 이르는 말. 별도 표준어 거치적거리다 걸리적거리다 거추장스럽게 자꾸 여기저기 걸리거나 닿다. 별도 표준어 끼적거리다 끄적거리다 글씨나 그림 따위를 아무렇게나 자꾸 막 쓰거나 그리다. 별도 표준어 날개 나래 흔히 문학 작품 따위에서, ‘날개’를 이르는 말. ‘날개’보다 부드러운 어감을 준다. 별도 표준어 남우세스럽다 남사스럽다 남에게 놀림과 비웃음을 받을 듯하다. 복수 표준어 냄새 내음 코로 맡을 수 있는 나쁘지 않거나 향기로운 기운. 주로 문학적 표현에 쓰인다. 별도 표준어 눈초리 눈꼬리 귀 쪽으로 가늘게 좁혀진 눈의 가장자리. 별도 표준어 두루뭉술하다 두리뭉실하다 특별히 모나거나 튀지 않고 둥그스름하다. 별도 표준어 목물 등물 팔다리를 뻗고 엎드린 사람의 허리 위에서부터 목까지를 물로 씻겨 주는 일. 복수 표준어 떨어뜨리다 떨구다 시선을 아래로 향하다. 별도 표준어 뜰 뜨락 앞말이 가리키는 것이 존재하거나 깃들어 있는 추상적 공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별도 표준어 만날 맨날 매일같이 계속하여서. 복수 표준어 맨송맨송 맨숭맨숭/ 맹숭맹숭 몸에 털이 있어야 할 곳에 털이 없어 반반한 모양./ 몸에 털이 있어야 할 곳 이 벗어져 반반한 모양. 별도 표준어 먹을거리 먹거리 사람이 살아가기 위하여 먹는 온갖 것. 별도 표준어

(19)

17 2018년 NAKS 집중연수 공통1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기존표준어 추가 표준어 의미 구분 메우다 메꾸다 시간을 적당히 또는 그럭저럭 보내다. 별도 표준어 묏자리 묫자리 뫼를 쓸 자리. 또는 쓴 자리. 복수 표준어 바동바동 바둥바둥 덩치가 작은 것이 매달리거나 자빠지거나 주저앉아서 자꾸 팔다리를 내저으 며 움직이는 모양. ‘바동바동’보다 큰 느낌을 준다. 별도 표준어 복사뼈 복숭아뼈 발목 부근에 안팎으로 둥글게 나온 뼈. 복수 표준어 새치름하다 새초롬하다 조금 쌀쌀맞게 시치미를 떼는 태도가 있다. 별도 표준어 세간 세간살이 집안 살림에 쓰는 온갖 물건. 복수 표준어 손자(孫子) 손주 손자와 손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별도 표준어 쌉싸래하다 쌉싸름하다 조금 쓴 맛이 있는 듯하다. 복수 표준어 아옹다옹 아웅다웅 대수롭지 아니한 일로 서로 자꾸 다투는 모양. ‘아옹다옹’보다 큰 느낌을 준 다. 별도 표준어 야멸치다 야멸차다 자기만 생각하고 남의 사정을 돌볼 마음이 거의 없다. 별도 표준어 어수룩하다 어리숙하다 겉모습이나 언행이 치밀하지 못하여 순진하고 어리석은 데가 있다. 별도 표준어 연방 연신 잇따라 자꾸. 별도 표준어 오순도순 오손도손 정답게 이야기하거나 의좋게 지내는 모양. 별도 표준어 자장면 짜장면 중국요리의 하나. 고기와 채소를 넣어 볶은 중국 된장에 국수를 비벼 먹는다. 복수 표기 찌뿌듯하다 찌뿌둥하다 몸살이나 감기 따위로 몸이 무겁고 거북하다. 별도 표준어 치근거리다 추근거리다 조금 성가실 정도로 은근히 자꾸 귀찮게 굴다. 별도 표준어 태껸 택견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무예 가운데 하나. 유연한 동작을 취하며 움직이다가 순간적으로 손질ㆍ발질을 하여 그 탄력으로 상대편을 제압하고 자기 몸을 방어한다. 2011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무형 문 화재 제76호. 복수 표기 고운대 토란대 토란의 줄기. 주로 국거리로 쓴다. 복수 표준어 품세 품새 태권도에서, 공격과 방어의 기본 기술을 연결한 연속 동작. 복수 표기 허섭스레기 허접쓰레기 좋은 것이 빠지고 난 뒤에 남은 허름한 물건. 복수 표준어 힁허케 휭하니 중도에서 지체하지 아니하고 곧장 빠르게 가는 모양. 별도 표준어

(20)

18 기존표준어 추가 표준어 의미 구분 토담 흙담 흙으로 쌓아 만든 담. 복수 표준어

2014년(13항목)

기존표준어 추가 표준어 의미 구분 개개다 개기다 (속되게)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 별도 표준어 구안괘사 구안와사 얼굴 신경 마비 증상. 입과 눈이 한쪽으로 틀어지는 병이다. 복수 표준어 굽실 굽신 고개나 허리를 가볍게 구푸렸다 펴는 모양. 복수 표준어 꾀다 꼬시다 ‘꾀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 별도 표준어 장난감 놀잇감 놀이 또는 아동 교육 현장 따위에서 활용되는 물건이나 재료. 별도 표준어 눈두덩 눈두덩이 눈언저리의 두두룩한 곳. 복수 표준어 딴죽 딴지 일이 순순히 진행되지 못하도록 훼방을 놓거나 어기대는 것. 별도 표준어 삐치다 삐지다 성나거나 못마땅해서 마음이 토라지다. 복수 표준어 사그라지다 사그라들다 삭아서 없어져 가다. 별도 표준어 섬뜩 섬찟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섭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별도 표준어 속병 속앓이 속이 아픈 병. 또는 속에 병이 생겨 아파하는 일. 별도 표준어 작장초 초장초 괭이밥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3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세 갈래로 갈라지며, 작은 잎은 거꾸로 된 심장 모양이다. 7~8월에 노란 꽃이 산형(繖 形) 화서로 꽃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한다. 논밭이나 길가에 나는데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복수 표준어 허접스럽다 허접하다 허름하고 잡스럽다. 별도 표준어

2015년(11항목)

기존표준어 추가 표준어 의미 구분 ~고 싶다 ~고프다 ‘~고 싶다’가 줄어든 말. 복수 표준어 가오리연 꼬리연 긴 꼬리를 단 연. 별도 표준어 노라네 동그라네 조그마네 … 노랗네 동그랗네 조그맣네 … ㅎ 불규칙 용언이 어미 ‘-네’와 결합할 때는 어간 끝의 ‘ㅎ’을 탈락시키지 않 아도 됨. 복수 표준형

(21)

19 2018년 NAKS 집중연수 공통1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기존표준어 추가 표준어 의미 구분 마을 마실 이웃에 놀러 다니는 일. 복수 표준어 마 마라 마요 말아 말아라 말아요 ‘말다’에 명령형 어미 ‘-아’, ‘-아라’, ‘-아요’ 등이 결합할 때는 어간 끝의 ‘ㄹ’을 탈락시키지 않아도 됨. 복수 표준형 의논 의론 어떤 사안에 대하여 각자의 의견을 제기함. 또는 그런 의견. 별도 표준어 예쁘다 이쁘다 생긴 모양이 아름다워 눈으로 보기에 좋다. 복수 표준어 이키 이크 당황하거나 놀랐을 때 내는 소리. ‘이키’보다 큰 느낌을 준다. 별도 표준어 잎사귀 잎새 나무의 잎사귀. 주로 문학적 표현에 쓰인다. 별도 표준어 차지다 찰지다 ‘차지다’의 원말. 복수 표준어 푸르다 푸르르다 ‘푸르다’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별도 표준어

2016년(6항목)

기존표준어 추가 표준어 의미 구분 거방지다 걸판지다 ① 매우 푸지다. ② 동작이나 모양이 크고 어수선하다. 별도 표준어 건울음 겉울음 ① 드러내 놓고 우는 울음. ② 마음에도 없이 겉으로만 우는 울음. 별도 표준어 까다롭다 까탈스럽다 ① 조건, 규정 따위가 복잡하고 엄격하여 적응하거나 적용하기에 어려운 데가 있다. ‘가탈스럽다①’보다 센 느낌을 준다. ② 성미나 취향 따위가 원만하지 않고 별스러워 맞춰 주기에 어려운 데가 있 다. ‘가탈스럽다②’보다 센 느낌을 준다. 별도 표준어 실몽당이 실뭉치 실을 한데 뭉치거나 감은 덩이. 별도 표준어 에는 엘랑 표준어 규정 제25항에 따라 ‘에는’의 비표준형으로 다루어 온 ‘엘랑’을 표준 형으로 인정함. ‘엘랑’ 외에도 ‘ㄹ랑’에 조사 또는 어미가 결합한 ‘에설랑, 설 랑, -고설랑, -어설랑, -질랑’도 표준형으로 인정함. 복수 표준형 주책없다 주책이다 표준어 규정 제25항에 따라 ‘주책없다’의 비표준형으로 다루어 온 ‘주책이 다’를 표준형으로 인정함. ‘주책이다’는 ‘일정한 줏대가 없이 되는대로 하는 짓’을 뜻하는 ‘주책’에 서술격 조사 ‘이다’가 붙은 말로 봄. 복수 표준형

(22)

20 [참고 2] 틀리기 쉬운 말 목록 번호 맞는 말 틀린 말 1 가르마 가리마 2 가르치다 가르키다, 가리키다 3 갈는지(-는지) 갈런지 4 같아 같애 5 개비 개피 6 활짝 갠 날씨[개다] 개인 7 거친[거칠다] 거칠은 8 걸맞은[걸맞다] 걸맞는 9 게시판(揭示板) 계시판 10 고달파[고달프다] 고달퍼 10 고마워[고맙다] 고마와 12 곰곰이 곰곰히 13 곱빼기 곱배기 14 그러고 나서 그리고 나서 15 그윽이[그윽하다] 그윽히 16 금세 금새 17 깍두기 깎두기, 깎둑이 18 깎다 깍다 19 깨끗이 깨끗히 21 꽃봉오리 꽃봉우리 22 끼어들다 끼여들다 23 (새가) 나는 날으는 24 (병이) 나았다 (병이) 나섰다 25 나직이 나즉이 26 나지막이 나즈막이, 나지막히 27 난쟁이 난장이 28 날름거리다 낼름거리다 29 날아가다 날라가다 30 낭떠러지 낭떨어지 31 넓적다리 넙적다리 32 놀라다 놀래다(사동사) 33 (담장을) 높여라 높혀라 번호 맞는 말 틀린 말 34 높지막이 높지막히 35 눈곱 눈꼽 36 눈썹 눈섭 37 다르다 틀리다(의미 구분) 38 단출하다 단촐하다 39 담가[담그다] 담궈 40 대가(代價) 댓가 41 덮밥 덥밥 42 (눈으로) 덮였다 덮혔다 43 도와[돕다] 도워 44 돼/돼요/돼도/돼서/됐다 되/되요/되도/되서/됬다 45 되게 디게 46 두 살배기(-배기) 두 살박이 47 뒤쪽 뒷쪽 48 뒤치다꺼리 뒤치닥거리 49 들러/들렀다[들르다] 들려[*들리다] 50 디뎌/디뎠다[디디다] 딛어/딛었다[딛다] 51 떡볶이 떡복기, 떡볶기 52 떼려야 뗄 수 없는 뗄래야 뗄수 없는 53 뜨개질 뜨게질 54 띄어쓰기 띠여쓰기 55 (문제를) 맞히다 (문제를) 맞추다 56 맵시 맵씨 57 머리말 머릿말 58 머지않아 멀지 않아 59 먹습니다(-습니다) 먹읍니다 60 먹지 않다 먹지 안다 61 멋쟁이 멋장이 62 메밀 모밀 63 메스껍다 메시껍다 64 메슥거리다 메식거리다 65 메우다 메꾸다

(23)

21 2018년 NAKS 집중연수 공통1 한국어 바르게 이해하기 번호 맞는 말 틀린 말 66 며칠 몇일 67 모둠 회 모듬 회 68 몹시 몹씨 69 미숫가루 미수가루, 미싯가루 70 방귀를 뀌다 방구를 꾸다 71 벚나무 벗나무 72 베풂[베풀다] 베품 73 별의별 벼라별 74 볶음밥 뽂음밥/볶은밥 75 (내일) 봬요 (내일) 뵈요 76 부스럭거리다 부시럭거리다 77 부스스하다 부시시하다 78 불리다 불리우다 79 불은(국수)[붇다] 뿛은[뿛다] 80 (경례·따귀를)올려붙이다 올려부치다 81 비로소 비로서 82 사귀어[사귀다] 사겨 83 삼가고, 삼가야[삼가다] 삼가하고, 삼가해야 84 설렁탕 설농탕 85 설레는[설레다] 설레이는 86 성실하므로 성실하므로써 87 솔직히 솔직이 88 수놈 숫놈 89 스라소니 시라소니 90 실낱같은 실날같은 91 아귀탕 아구탕 92 아기 애기 93 아까워 아까와 94 아니에요 아니예요 95 예/아니요 예/아니오 96 아등바등 아둥바둥 97 아비 애비 98 안 먹다 않 먹다 99 알맞은[알맞다] 알맞는 번호 맞는 말 틀린 말 100 알아맞히다 알아맞추다 101 어떡하지 어떻하지 102 여태껏 여지껏 103 (회계) 연도 (회계) 년도 104 염두에 두다 염두해 두다 105 예스럽다 옛스럽다 106 오랜만(에) 오랫만 107 오랫동안 오랜동안 108 오십시오(-십시오) 오십시요 109 오이소박이 오이소백이 110 올바른[올바르다] 옳바른 111 왠지 웬지 112 우려먹다 울궈먹다 113 움큼 웅큼 114 웃어른 윗어른 115 웬일 왠일 116 육개장 육계장 117 으스스하다 으시시하다 118 이래 봬도 이레 뵈도 119 인사말 인삿말 120 있사오니(-사오-) 있아오니 121 있음 있슴 122 잠가[잠그다] 잠궈 123 재떨이 재털이 124 주웠다[줍다] 줏었다, 주섰다 125 집게 집개 126 김치찌개 김치찌게 127 치러[치르다] 치뤄 128 하고자 합니다(-고자) 하고저 합니다 129 할걸(-ㄹ걸) 할껄 130 할게(-ㄹ게) 할께 131 했고요(-고) 했구요

(24)

22 나은주 뉴욕대학교

흥미롭고 효율적인 수업 꾸리기

(25)

23

2018년 NAKS 집중연수

공통2 흥미롭고 효율적인 수업 꾸리기

(26)

24

(27)

25

2018년 NAKS 집중연수

(28)
(29)

27

2018년 NAKS 집중연수

(30)
(31)

29

2018년 NAKS 집중연수

(32)
(33)

31

2018년 NAKS 집중연수

(34)
(35)

기초·심화

기초1

이미향

옛날이야기로 읽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심화1

박기선

두 개의 문화사이에서 글쓰기

기초2

박기선

이런 글 어떻게 고쳐줄까?

(36)
(37)

35 2018년 NAKS 집중연수 기초1 옛날이야기로 읽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이미향 영남대 국제학부 <생각거리: 읽기에 대해 생각해 보다> - 우리가 하는 읽기 활동에 무엇이 있나? - 만약 읽기를 할 수 없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 읽기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1. 엄마들은 왜 옛날 이야기책을 읽어 주나?

1) 전래동화의 언어교육적 유용성 언어적 특성 + 문화적 특성 + 매체적 특성 (1) 어휘와 표현 학습 ① 의성어, 의태어, 관용어 등 → 문맥에서 의미 짐작하기 활동 가능

옛날이야기로 읽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38)

36 ② 옛날 옛날에, 어느 날, 결국, 마침내 등의 표현 → 이야기 흐름을 드러낼 특정 표현을 통해 내용 유추 가능 (2) 문화적 요소 학습 ① 오랜 시간 그 문화에서 구전됨 ② 친근성(동일한 내용의 동화들이 세계 각국에 널리 퍼져 있음) (3) 전래동화의 매체적 특성 - 옛이야기에 꼭 있는 것: ① 보편적 원형이 있다 ② 이야기 구조 및 문형의 반복성이 있다. ③ 의성어와 의태어가 많이 사용된다. ④ 한국 문화를 드러내는 표현이나 어휘가 많이 사용된다. 2) 읽기를 위해 알아야 할 전래동화의 특징 (1) 형식 ① 구전된 이야기로, 산문 형식으로 기록됨 ② 구연 기회를 제공함 ③ 사건 중심으로 구성됨 (2) 내용 ① 권선징악적 주제 ② 유머, 위트를 담은 내용 ③ 민족의 특성 반영 ④ 인간의 보편적 마음의 본질을 되새김

2. 전래동화를 이용한 읽기수업의 원리와 실제

1) 매체적 특성을 활용한 교육 원리 ① 서사구조를 활용하라 예) 영웅이야기: 비정상적 탄생 – 고난 – 위기 – 해소 – 행복한 결말

(39)

37 2018년 NAKS 집중연수 기초1 옛날이야기로 읽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 전개와 결말 추측하기 - 짧은 이야기로 되어 있어, 수업 중 완성할 수 있음 ② 보편적 원형을 활용하라 - 상징물을 해석하기 예) 주요 소재: 강, 호수, 알, 부러진 칼... ③ 비교 대조하라 예) 콩쥐팥쥐 – 신데렐라 흥부놀부 – 참새의 조롱박(일본 동화) ④ 문화적 요소를 찾아라 - 한국 문화를 드러내는 표현이나 어휘가 많이 사용됨 - 한국 문화를 찾아보기(그림 이용, 행위의 의미 등) - 의식주, 가치관, 생활 풍속, 습관, 사상, 신앙 등 예) 용의 의미 ⑤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이용하라 - 다양한 시청각 자료 확보 가능(동화책, 비디오 등) ⑥ 학습자의 눈높이를 맞춰라 - 윤색 가능(초, 중, 고급에 맞춰 표현 수정 가능) 2) 수업 단계별 교수 방안 ① 탐색 단계 - 시각 자료 보기 - 보편성 찾기 - 이야기 만들어 보기 ② 수용 단계 - 1차: 한국의 옛이야기 이해 - 2차: 학습한 동화와 비슷한 옛이야기 찾기 문화 간 비교 ③ 생산 단계 - 자기 문화로 스토리텔링하기 - 언어로 직접 표현하는 단계 예) 뒷이야기를 생각해 보기

(40)

38 3) 옛이야기를 활용한 기능 통합적 활동 ① 개인 활동(예시) 읽기 수업 <비교> 듣기 수업 목표 동화를 읽으며 내용을 파악하기 동화를 듣고 내용 파악하기 접근 방법 인쇄매체를 통한 읽기 CD, 동영상을 통한 듣기 학습 과정 전 장면에 대한 사전 지식 활성화 이야기 앞부분에 대해 알기 중 중요한 내용에 밑줄 그으며 읽기 주요 내용 요약하기 들려주기 내용 파악하기 주요 어휘 넣어보기 후 읽은 내용 확인하기 - 질문에 답하기 - 장면(그림)을 순서대로 배열하기 들은 내용 확인하기 - 질문에 답하기 - 장면(그림)을 순서대로 배열하기 이어질 내용 생각하여 말하기 주인공에게 하고 싶은 말을 편지로 쓰기 가장 인상 깊은 부분 말하기 독후감상화 그리기 등 ② 모둠 활동(예시) 읽기 수업 <비교> 듣기 수업 목표 동화에 나오는 어휘, 표현, 관용어를 학습 하기 동화를 들으며 자주 반복되는 어휘, 표현, 관 용어를 학습하기 접근 방법 새로운 어휘자원을 읽기로 습득 새로운 어휘자원을 듣기로 습득 학습 과정 전 모르는 어휘와 표현을 표시하며 읽기 중 표시한 어휘에 대해 모둠에서 이야기하기 교사와 새로운 표현을 학습하기 자신이 들은 것에 대해 이야기하기 친구의 이야기 중 자신이 못 들은 것에 대해 질문하기 교사와 새로운 표현을 학습하기 후 빈칸에 알맞은 어휘와 표현 넣어보기 그림을 보며, 새로운 어휘를 활용하면서 그 림을 설명하기 새로 배운 표현을 넣어 이야기 내용을 종합하기 새로운 어휘와 표현의 쓰임에 맞게 문장 생성하기 관용어로 상황극 만들어 비교하기 ‘내가 주인공이라면’이라는 가정으로 패러디하기 문화 수업으로 연계: 문화적 특징 찾기 현지 문화와 비교해서 말하기

(41)

39 2018년 NAKS 집중연수 기초1 옛날이야기로 읽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4) 수업의 실제 ① 권선징악에 대해 토론하기(읽기, 말하기, 쓰기 통합) 전 제목을 보며 내용 상상하기 권선징악을 주제로 한 다른 동화들을 보기(배경지식 활성화) 중 동화 읽기 선과 악에 따라 주인공 행위 파악하기 그룹으로 나누어 행위의 선악을 토론하기 후 권선징악적 관점에 대한 자기 의견 쓰기 ② 의성어, 의태어, 관용어 읽어내기(읽기, 말하기 통합) 전 의성어, 의태어, 관용어가 드러나는 그림 보기 해당 그림에 맞는 한국말 추측해서 말하기 중 동화를 읽으면서, 표시된 의성어, 의태어, 관용어의 의미를 문맥으로 짐작하기 문맥과 상황을 활용하여 의성어, 의태어, 관용어를 학습하기 후 빈칸에 알맞은 의성어, 의태어, 관용어를 채워 넣기 자신이 아는 언어와 한국어의 의성어, 의태어, 관용어를 비교하기 의성어, 의태어, 관용어에 드러나는 문화를 찾아서 발표하기 5) 국외 유아 및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읽기 교수-학습의 실제 ※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이중언어 교육의 원리 - 자연스러운 언어 환경의 노출 - 실생활과의 연관성 -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 - 유아의 인지 발달과 언어 발달 고려 - 유아의 발달 특성, 경험을 고려하여 놀이와 흥미를 중시 - 유아의 특성을 반영하여 반복, 심화 - 균형적・통합적 접근 - 정적・동적 활동, 개별・집단 활동의 균형 ① 국외 유아 학습자에게 적절한 주제 및 자료 선정하기 - 실생활 중심, 경험 중심과 관련된 주제

(42)

40 - 인지와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되는 주제 ※ 누리교육과정(2015)에서 <의사소통영역의 내용 체계> (만5세 기준) - 연령별, 수준별 특성을 고려 - 그림과 글자의 적절한 조합점 찾기 ②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 적용하기 -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균형적인 교수・학습 방법 적용 – 읽기에 흥미를 가지게 하기 주변에서 친숙한 글자를 찾아 읽어 보기 읽어 주는 글의 내용에 관심을 가지게 하기 - 책 읽기에 관심 가지기 책 보는 것을 즐기고 소중하게 다루기 책의 그림을 단서로 내용을 이해하기 궁금한 것을 책에서 찾아보기 ③ 외국어 교수법의 적용 가. 내용중심접근법(CBI) - 듣고 말하기, 읽기 활동과 연계를 시도할 수 있음 - 대상자에게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여, 주제를 알아내는 다양한 활동 모색 - 동화의 주요 그림을 활용, 그 내용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한국어 교육 시도 예) 그림 자료(그림책)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 상호의존성 원칙(커민스 제2원칙)을 적극적으로 활용 나. 총체적 언어접근법(WLA) - 읽기와 쓰기 중심 -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통합적 맥락에서 교육 - 핵심 문학을 통해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가르침 - 자연스러운 언어학습 환경을 만들어 이야기 예측력을 높임 예) 좋은 그림책 선정: 전체 이야기 -> 구 -> 단어 -> 글자 -> 음소 순 다. 협동학습법(CLL) - 번역 중심, 듣기와 말하기 중심이나 쓰기와 읽기로 연계 가능 - 이중언어 교사와 학습자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43)

41 2018년 NAKS 집중연수 기초1 옛날이야기로 읽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 학습자는 수업목표에 따라 생성할 문장에 대해 교사에게 번역 요청(Translation) - 교사가 번역한 문장을 학습자는 따라한 후 녹음기에 녹음함(Recoriding) - 학습자들이 녹음한 말이나 대화를 전사하여, 언어학적 연습이나 분석을 경험함 (Transcription) - 학습자들이 수업 경험에 대해 반성하고 관찰하게 함(Reflection, observation) - 녹음이 완료된 학습자의 말을 본문으로 삼아 듣기를 연습함, 수업 내용에 대한 교사의 독백 을 경청함(Listening)

- 자유 대화를 통해 학습에서 느낀 점을 토의함(Group work, Free conversation)

예) 옛이야기 선정 -> 특정 장면 보기 -> 등장 인물과 내용 짐작하기 -> 내용에 맞는 대화 생성하기 -> CLL을 통한 대화문 생성하기

-> 녹음 자료를 들으며 전사하기 -> 대화문을 다시 읽기 -> 그림 동화 완성하기

(44)

42 박기선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두 개 문화 사이에서 글쓰기” 강의는 한국문화를 현지 문화 환경 속에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쓰기와 연계하 는 글쓰기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글쓰기 동기에 대해 살펴 보고 문화와 쓰기의 통합 지도를 위한 효율 적인 방안을 모색해 본다.

• “두 개 문화 사이에서 글쓰기”란?

두 개의 문화사이에서 글쓰기

(45)

43 2018년 NAKS 집중연수 심화1 두 개의 문화사이에서 글쓰기

1. 글을 쓰는 동기에 대한 이해

내적 동기 외적 동기 정서적인 욕구 예) 시, 소설, 수필, 일기 등 장기 기억 욕구 예) 각종 메모 등 사회적인 욕구 예) 각종 경조사,봉투 등 인사 편지, 축하 카드, 온라인 쇼핑 등 정보 공유 욕구 예) 각종 SNS, 공공 정보 알림 등 자아실현 욕구 기타… 업무 수행 예) 각종 보고서, 협약서 등 학업 수행 예) 노트 필기, 발표문, 레포트 등 시험 대비 예) 각종 서술형 지필고사, 자기소개서, 시험 응서 원서, 각종 지원서 등 공적 업무 예) 여권/비자 신청, 출생/사망 신고, 병원 등록 서류 등 기타...

(46)

44

2. 두 개 문화 사이에서 글쓰기 수업 전개 방안

사고 글 내용 스키마 ➜ 형식 스키마 ➜ 문자로 표현 문화 내용 이해 ➜ 글의 표현 형식 이해 ➜ 문자로 표현 한국문화&타문화 ➜ 미시적 _ 맞춤법, 어휘 등 ➜ 문자로 표현 거시적 _ 담화 구조 등 도입 = ➜ 제시 및 설명 ➜ 과제 수행(글쓰기 활동) ➜ 마무리(글 완성) 수업 전 단계 ➜ 수업 본 단계 ➜ 수업 후 단계 <쓰기 수업 단계별 수업 전개 내용> 쓰기 수업의 전 단계 1) 호기심 고양 - 내용 : 친근감 & 의외성 화제(주제) 도입 - 형식 : 다양한 오감 자극 도구 활용 2) 주제 관련 배경 지식 활성화 쓰기 수업의 본 단계 1) 샘플 제시 _ 완성본 - 내용 : 주제 관련 내용 및 어휘에 대한 이해 - 형식 : 장르에 따른 문법&표현 지식, 글의 구조 이해 2) 글쓰기 과제 수행 방법에 대한 이해 - 누가? 개별 활동 : 그룹 활동 : 짝 활동 - 언제? 수업 시간 내 완성 : 주간, 월간 기간 내 완성 - 어떻게? 쓰기 단독 과제 : 읽기, 듣기, 말하기 통합 과제 : 문화 체험 중 쓰기 통합 과제 - 왜? 자아실현 과정 : 수행 평가 등등 - 어디서? 학교 : 가정 : 사회 등등 - 무엇을? 과제의 주제(자유 작문, 완성형 쓰기, 베껴쓰기 등) 3) 과제 수행 쓰기 수업의 후 단계 1) 쓰기 과제 보이기 : 교사에게 제출 : 쓰기 과제 발표 2) 피드백 : 교사 <-> 동료, 긍정 <-> 부정

(47)

45 2018년 NAKS 집중연수 심화1 두 개의 문화사이에서 글쓰기

3. 두 개 문화 사이에서 글쓰기 수업 사례

(1) 노래 활용 글쓰기 _ 초급, 유~초등 쓰기 수업의 전 단계 1) 호기심 고양 + 배경 지식 활성화 - 노래 듣기, 노래 가사 관련 그림 보며 이야기 나누기 예) 닮은 곳이 있대요, 참 좋은 말 괜찮아요, 넌 할 수 있어 등 쓰기 수업의 본 단계 1) 샘플 - 내용 : 주제 관련 내용 및 어휘에 대한 이해 - 형식 : 장르에 따른 문법&표현 지식 및 글의 구조에 대한 이해 2) 글쓰기 과제 수행 1) 기초 : 노래 들으면서 빈칸 채우기 2) 응용 : 빈 칸에 내용 채우고 나만의 노래 만들기 3) 심화 : 주제 관련 동요 문화 비교 예) 괜찮아요 – 겨울에 자주 부르는 동요 쓰기 수업의 후 단계 1) 쓰기 과제 보이기 1) 나만의 노래 발표하기(개별) 2) 양국의 겨울 노래 조사해서 발표하기(그룹) 2) 피드백 1) 내용 중심으로 피드백 2) 교사와 동료의 종합 피드백 (2) 미디어 및 읽기 자료 활용 글쓰기 _ 중급, 청소년 쓰기 수업의 전 단계 1) 호기심 고양 + 배경 지식 활성화 - 미디어 및 읽기 자료 활용 예) 청정공원 관련 기사 소원의 비는 한국인 한국의 경조사 예절 쓰기 수업의 본 단계 1) 샘플 제시 - 내용 : 주제 관련 한국 문화의 이해 - 형식 : 비교하는 글의 일반적인 구조와 표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정중심 글쓰기 이해. 짝활동이나 그룹 활동 가능함 2) 글쓰기 과제 수행 1) 기초 : 문화 관련 자료에 대한 내용 이해를 바탕으로 짧은 글쓰기 2) 응용 : 비교하는 글쓰기에 대한 표현 이해를 바탕으로 짧은 글쓰기 3) 심화 : 주제 관련 문화 비교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비교 표 만들고 발표문 작성하기 예) 주변 공원에 대한 조사 수험생의 시험 준비 소원을 비는 풍습 쓰기 수업의 후 단계 1) 쓰기 과제 보이기 1) 양국의 주변 공원의 이름, 사용 환경 등에 짧은 글 제출/발표 2) 양국의 수험생의 대입 준비 모습에 대한 간단한 수필 제출/발표 3) 양국의 소원을 비는 풍습에 대한 간단한 조사 보고서 제출/발표 + 나의 소원 제출 + 발표 2) 피드백 1) 내용 중심으로 피드백 2) 교사와 동료의 종합 피드백

(48)

46 (3) 기타 가. 화폐 관련 읽기 자료 활용 글쓰기 _ 초~중급, 초등~청소년 나. 역사 관련 애니메이션과 읽기 자료 활용 글쓰기 _ 초~중급, 초등~청소년 다. 전래동화 활용 글쓰기 _ 초~중급, 유아~초등 라. 뉴스 활용 글쓰기 _ 중급, 청소년

4. ‘두 개 문화 사이에서 글쓰기’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1) 글쓰기의 주요 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수업을 진행한다. 가. 문화에 대한 이해 나. 정확한 쓰기 다. 유창한 쓰기 라. 가~다 모두 * 수업 목표의 선정 시 수업 시수 및 시간 등 수업 환경을 고려함. 2) 학습자의 글쓰기 동기를 고양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 학습자의 특성(연령, 성향, 한국어숙달도, 학습 목적 등) 고려하여 흥미롭게 주제를 도입함. 나. 수업 단계별 적절한 보상을 고려.함 다. 수업 참여 극대화 방안을 모색함. 3) 쓰기와 다른 영역(말하기, 읽기, 듣기) 및 문화 체험과의 통합 활동을 고려한다. 가. 듣기 & 쓰기 _ 전화 대화 후 메모하기, 안내 방송 듣고 정보 선별 기록 등 나. 읽기 & 쓰기 _ 포스터, 안내문, 시 등 다양한 글 읽고 모방하여 쓰기 등 다. 말하기 & 쓰기 _ 글쓰기 완성 후 발표하기, 토론 후 정리하는 글쓰기 등 라. 문화체험 & 쓰기 _ 명절 예절 학습 후 새해 카드 쓰기 등 4) 두 문화에 대한 일상 문화부터 정신 문화, 전통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학습자 눈높이에 맞게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5) 학습자의 글쓰기 결과물에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꾸준히 ‘짧은 글~긴 글 쓰기’의 동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6) 문화에 대한 이해 후 그에 대한 간단한 생각이나 느낌부터 심도 있는 조사 활동을 통한 비교 보고서까지 다양한 글쓰기를 유도한다.

(49)

47 2018년 NAKS 집중연수 심화1 두 개의 문화사이에서 글쓰기 <참고 문헌> 박기선(2016),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문화와 타문화 이해’ 강의 자료 - (2017),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로 배우는 한국어’ 강의 자료 - (2017),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중급한국문화읽기’ 강의 자료 - (2018),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노래로 배우는 한국어’ 강의 자료 - (2018),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물 한국사’ 강의 자료

(50)

48 박기선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이런 글 어떻게 고쳐 줄까?” 강의는 현지 문화 환경 속에서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에 대한 동기를 먼저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쓰기 과정과 결과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실수와 오류를 구분하여 찾고 그에 대한 원인에 대해 논의한다. 그 다음으로 학습자의 쓰기 능력 고양을 위한 한국어 쓰기 오류의 효율적인 수정 방안에 대해 사례를 통해 살펴 본다.

• 이런 글 어떻게 고쳐 줄까요?

예1) 유치원생 한글 편지 예2) 초등 2학년생 한글 편지

이런 글 어떻게 고쳐줄까?

(51)

49 2018년 NAKS 집중연수 기초2 이런 글 어떻게 고쳐줄까? • 생각해 볼까요? 1. 왜 이 글을 썼을까? 2. 오류일까? 실수일까? 3. 무슨 오류일까? 4. 무엇 때문에 오류가 나타났을까? 5. 어떻게 오류를 고쳐 줄까? 6. 과연 나의 피드백은 효과가 있을까? 1. 왜 이 글을 썼을까? 2. 오류일까? 실수일까? 오류와 실수 • 학습자들의 잘못된 언어 사용 현상 • 실수는 일회적이며 학습자 스스로 자기 수정이 가능함 • 오류는 학습자가 체계적으로 범하는 잘못으로 언어 지식이 구조화되어 있음 • 오류와 실수의 구별은 다분히 교사의 주관이 개입되기 쉬움 오류 분석의 과정에서 오류와 실수는 구별되어야 한다. Corder(1967,1981)에 의하면 오류란 학습자가 체계적으로 범하 는 잘못으로서 오류에는 학습자의 언어지식이 구조화되어 나타나는 반면, 실수는 언어수행에서 발생하는 일회적인 잘못 을 말한다.

(52)

50 • 어떻게 써야 해요? 3. 무슨 오류일까? 어휘적 오류 예1) 우리 학교는 오빠 학교보다 더 좋아해요. 문법적 오류 예2) 그때 저는 회사원이라서 3일 계획로 갔어요. 담화적 오류 예3) 나는 사과를 좋아해요. 하지만 오늘은 사과도 먹었어요. 그런데 기분이 좋아요. 발음상 오류 예4) 고양이짐대위에안저요. 4. 무엇 때문에 오류가 나타났을까?

(53)

51 2018년 NAKS 집중연수 기초2 이런 글 어떻게 고쳐줄까? <영어권 학습자의 띄어쓰기 오류 원인(박소영, 2016;73)> 언어 간 전이 언어 내 전이(목표어 문법의 복잡성) 1 영어의 전치사나 부사에 해당하는 부사격조사와 보조사의 띄어쓰기 예) 집에와서 부모님한테 말씀 드리면 ---> 집에 와서 예) 고등학생은 공부를 뇌초과 될 때 까지 해서 ---> 때까지 조사나 어미로도 사용되는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예) 끊임없이 노력할뿐만 아니라 ---> 노력할 뿐만 예) 마실것과 먹을 것은 여기에 있어. ---> 마실 것과 먹을 것은 2 영어조동사 ‘can’의 한국어 대응표현 ‘-을/ㄹ수있다’, ‘will’의 한국어 대응표현 ‘-을/ㄹ것이다’, 그리고 ‘should’, ‘must’의 한국어 대응표현 ‘-아야/어야/여야한다’의 띄어쓰기 관형사형어미‘-은/ㄴ’, ‘-을/ㄹ’, ‘-는’, ‘-던’과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예) 칭찬과 보상을 원할것이고 ---> 원할 것이고 3 영어‘not’의 축약형 ‘n't’에 대응하는 부정부사 ‘안’, ‘못’과 서술어의 띄어쓰기 예) 더 이상 못기다리겠어. ---> 더 이상 못 기다리겠어. 본용언과‘-고’, ‘-게’, ‘-지’로 연결된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예) 더욱 하고싶게 만들것이다. ---> 하고싶게 만들 것이다. 5. 어떻게 오류를 고쳐 줄까? (1) 오류는 누가 고쳐 줄까?

(54)

52 교사의 오류 교정 방법 학습자 간 오류 교정 방법 1) 형태 중심의 연습에 목적을 둔 쓰기 활동에서는 목표 형 태를 정확하게 수정 2) 학습자가 글을 통해 무언가를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쓴 글 에서는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독창적이 고 창조적으로 글을 쓸 수 있도록 오류에 대해 관대해 져야 함 3) 대표적인 오류 몇 가지를 표시하고 이를 수업 시간에 다 룬다. 4) 글의 잘 된 부분에 대한 칭찬과 오류 교정을 함께 제공 한다. 5)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오류는 반복되는 오류이며, 실수 는 학습자 스스로 수정할 수 있으니 이에 대해서는 심각 하게 다루지 않는다. 6) 아직 학습하지 않은 내용에 대한 오류는 교사가 아무 말 없이 수정하는 것이 좋다. 수정되지 않는다면 학습자 들이 옳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학습자 전체를 대상으로 오류를 다룰 때는 누구의 오류 인지가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1) 학습자들은 글에 대한 생각을 나누는 상호적인 관계임 2) 다른 학습자의 글을 개별적, 그룹별로 읽고 의견 나누기 가 가능함 3) 글의 평가 기준을 마련한 질문지를 활용하여 주로 글의 내용과 구성 및 응집성 있는 논리적인 글 구성을 확인하 도록 유도함 (질문지 예시) 4) 평가 항목은 학습자의 수준, 수업 목적 등에 따라 선 택적으로 사용해야 함 <교사의 오류 교정 시 유의점> (2) 오류는 어떻게 고쳐 줄까? 1) 무엇에 대한 피드백을 할까?

(55)

53 2018년 NAKS 집중연수 기초2 이런 글 어떻게 고쳐줄까? 2) 어떻게 피드백을 할까? - 교사들은 어떤 방식으로 쓰기 피드백을 할까요? <교사 피드백 제공 양상, 장홍련(2016)>

(56)

54 - 쓰기 피드백 사례를 살펴 볼까요? 6. 과연 (교사의) 쓰기 피드백은 효과가 있을까? (1) 완전 수용_ 피드백 내용을 완성본에그대로 반영한 경우 예1) 초 본 : … 부모 옆에서… 아이가 부모의 짓을 따르고 일을 한다. 피드백 : … 부모 옆에서 … 아이가(는) 부모의 짓(행동)을 따르고 …… 완성본 : … 부모 옆에서 …… 아이는 부모의 행동을 따르고 …… 예2) 초 본 : 우리 집이 ……(중략) ……나는 너무 감동된다. 내가 지금 할 수있는 일은 열심히 공부밖에 없다. 나중에 나는 졸업하고 ……내가존경하는 사람은 위대하고 큰 성과가 있는 사람이 아니다. …… 피드백 : 너무 길어요. 두 문단으로 나누면 더 좋겠어요. 완성본 : 우리 집이 ……(중략) ……나는 너무 감동된다. 내가 지금 할 수있는 일은 열심히 공부밖에 없다. 나중에 나는 졸업하고 …… .내가 존경하는 사람은 위대하고 큰성과가 있는 사람이 아니다.…… (2) 수정 수용_ 피드백 내용을 변형하여 완성본에 반영한 경우 예3) 초 본 : ……예의가 없으면 사회생활 힘들다.(결말)…내가 부모라면 아마 제일 성공하는 방법은 아니지만…아이는

(57)

55 2018년 NAKS 집중연수 기초2 이런 글 어떻게 고쳐줄까? <참고 3> 학습자의 오류 교정 전략 배양을 위한 방법 어떻게 생각할까? 피드백 :마지막 단락 주제와 맞지 않음. 완성본 : (결말)…내가 부모라면 나는 아이가 성공하는데 예의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예4) 초 본 : (서두) 사람마다 행복한 하루가 있다. 그리고 사람의행복한 날이 다르다. 그것은 가능한 날이 입학한 날이다. …… 피드백 :… 그것은 가능한 날이 입학한 날이다. … ?입학하는 날이 제일 행복한 날이에요? 완성본 : …혹시 대학에 입학한 날 일 수 있고 …… (3) 거부_ 피드백을 완성본에 반영하지 않은 경우 예5) 초 본 : ...(생략) 부모님가 아이가 하고 싶은 일가 있으면 그냥돕아줄 것이다. 피드백 : ...(생략) 부모님이 아이가 하고 싶은 일가(?) 있으면 그냥도와 줄 것이다. 완성본 : …(생략) 부모님은 아이가 하고 싶은 일가 있으면 그냥 도와 줄 것이다. 예6) 초 본 : 누구에게나 행복한 날이 있을 것이다. … 그런데 나의행복한 하루는 장학금을 탄 날이다. 그 날은 나의 실력을증명했다.… 피드백 :왜 행복한지를 뒷받침 할 수 있는 내용을 쓰세요. 완성본 : 누구에게나 행복한 날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나의 행복한 하루는 장학금을 탄 날이다. …그 날은 나의 실력을증명했다.… (4) 삭제_ 피드백 내용에 대해완성본에 반영하지 않고 해당내용을 삭제한 경우 예7) 초본 : … 나는 나중에 우수한 선생님 되고 싶다. ……선생님은 모든 사람이 존경하는 직업이다.나는 이 소원을 위해 지금부터 공부에 열중하고…… 피드백 : 왜 선생님은 존경하는 직업이에요?좀 상세히 소개할래요? 완성본 : … 나는 우수한 선생님 되고 싶다. ……나는 이 소원을 위해 지금부터 공부에 열중하고…… 예8) 초 본 : ...(생략)우리 아버지는 보통한 회사원이다. 하루하루 조양을맞이 하고 달을 배웅한다. 아버지는…… 피드백 : ...하루하루 조양을 맞이하고 달을 배웅한다.이 부분 무슨 뜻이에요? 완성본 : ...(생략)우리 아버지는 보통한 회사원이다. 아버지는……

(58)

56

<참고 문헌>

박소영(2016),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띄어쓰기 교육 방안 연구, 동국대 석사학위 논문 장홍련(2016), 한국어 쓰기 교수에서의 피드백 양상과 효과에 관한 연구, 영남대 박사 학위 논문 Corder(1981), Error Analysis Interlanguage, London: Oxford University.

(59)

57 2018년 NAKS 집중연수 심화2 빠른 읽기, 바른 읽기 어떻게 지도할까? 이미향 영남대 국제학부 <생각거리: 읽기의 여러 가지 유형에 대해> - 다음 행위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지하철 타기 소설 읽기 간판 보고 가게 찾기 ATM에서 출금하기 신문 읽기 영화평 보고 영화표 예매하기 • 위의 행위를 수행할 때, 우리는 같은 사고 과정과 방법을 경험하는가? 만약 다르다면, 왜 다를까? • 학습자를 지도하는 교사로서, 학습자에게 가장 필요한 읽기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1. ‘읽기’를 제대로 읽기

1) ‘읽기’란 이름의 다양한 의미 (1) 읽기 학습자들의 과제 - 읽기란 독자가 다양한 언어학적 기호(문자, 형태, 음절, 단어, 구, 문법적 신호, 담화 표지 등)를 인식하고 그것을 언어학적 자료 처리 메커니즘, 그리고 독자 자신의 스키마와 배경 지식을 통해 그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 다.(Brown,1994) - 읽기는 자모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고, 어휘와 구조를 고립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문맥에서 이해할 수 있 는 것이다.(Rebecca,1977) - 읽기란 심리언어학적인 추측게임이다.(Goodman,1967, 1973)

빠른 읽기, 바른 읽기 어떻게 지도할까?

참조

관련 문서

 Goddard, C.(2005), The Languages of East and Southeast Asia: An Introduction, OUP...

② 한국어는 대명사의 사용이 제한된 언어, 대명사가가 발달하 지 않은 언어. 예) 우리 아버지는 강원도에서 태어나셨습니다..

시간이 자연적인 반면 시제는 인위적이고, 시간이 실재적 (real)이고 물리적인 반면 시제는 가상적이고 개념적이며, 시간이 객관적(언어 외적)인 반면 시제는 주관적(언어

인류학의 하위 분과로서 의 언어인류학은 ‘문화로서의 언어 연구’ 또는 다양한 언어 현상에 대한 인류 학적 연구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미국 인류학의 전통에서

그 리고 세계의 여러 언어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또는 그렇 다고 여기는) 법칙을 언어보편성(linguistic universals)이 라고 한다. 세계의 여러 언어를 대조함으로써

이시다 사키(2012)는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 연구(한국과 일본의 언어 정책 비교를 중 심으로)에서 최근 본격적으로 다문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 아이들은 어떠한 특별한 도움없이도 그들이 노출되는 언어 자극을 뛰어넘어 복잡한 문법을 습득함.. • 이것이 가능한 것은 그들이 UG를 활용할 수 있는

사춘기 이후에 여러 형태의 언어 발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