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0 개념해결의법칙 수학2 답지 정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20 개념해결의법칙 수학2 답지 정답"

Copied!
9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답과

해설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1

| 함수의 극한

002

2

| 함수의 연속

014

II

미분

3

| 미분계수와 도함수

021

4

| 도함수의 활용 ⑴

033

5

| 도함수의 활용 ⑵

041

6

| 도함수의 활용 ⑶

054

III

적분

7

| 부정적분

064

8

| 정적분

073

9

| 정적분의 활용

083

(2)

| 함수의 극한

1

1

함수의 극한

개념 확인 8쪽~12쪽 1 ⑴ -8 ⑵ 7 ⑶ -2 ⑷ 6 2 ⑴ 0 ⑵ 0 ⑶ -3 ⑷ 1 3 ⑴ M ⑵ -M 4 ⑴ M ⑵ M 5 ⑴ 2 ⑵ 3 ⑶ 존재하지 않는다.

1

f(x)=x-4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 래프에서 x의 값이 -4에 한없이 가 까워질 때, f(x)의 값은 -8에 한없 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4(x-4)=-8f(x)=x€-2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 래프에서 x의 값이 3에 한없이 가까 워질 때, f(x)의 값은 7에 한없이 가 까워지므로 lim x d 3(x€-2)=7f(x)= x€-1x+1 로 놓으면 x+-1일 때, f(x)= x€-1x+1 =(x+1)(x-1)x+1 =x-1 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 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x d -1lim x€-1x+1 =-2f(x)=6으로 놓으면 y=f(x)의 그래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 서 x의 값이 -3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6에 한없이 가까워지 므로 lim x d -36=6

2

f(x)=- 1x 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 래프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 로 lim x d M{- 1x }=0 x O 1 -1 -2 -1 y y=f(x) y=f(x) x O 6 y -3 ⑵ f(x)= 1x-1 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 래프에서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 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M 1 x-1 =0f(x)= 1x -3으로 놓으면 y=f(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 므로 lim x d M{;x!;-3}=-3f(x)= xx-2 =x-2 +1로 놓으2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 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 까워지므로 limx d -Mx-2 =1x

3

f(x)= 1 x€+1로 놓으면 y=f(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 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한없 이 커지므로 limx d 0{ 1 x€+1}=Mf(x)=- 1x€-2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 이 커지므로 limx d 0{- 1 x€-2}=-M

4

f(x)=x-5로 놓으면 y=f(x)의 그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 프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lim x d M(x-5)=Mf(x)=x€+1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 래프에서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lim x d -M(x€+1)=M y=f(x) x O -3 1 3 y y=f(x) x O 2 1 y y=f(x) x O -2 y y=f(x) O 1 y x x O 4 -4 -8 -4 y y=f(x) y=f(x) x O 1 -1 y y=f(x) x O -2 3 7 y x O 5 -5 y y=f(x) y=f(x) x O 1 y y=f(x) y x O

(3)

5

x의 값이 -1보다 작으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 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1-f(x)=2x의 값이 -1보다 크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1+f(x)=3 ⑶ lim x d -1-f(x)+ lim x d -1+f(x)이므로 lim x d -1f(x)의 값은 존재하 지 않는다. 개념 check 1-1 ⑴ -1, -1 ⑵ ;2!;, 0, 0 2-1 ⑴ 0, 0 ⑵ 1, 1 3-1 ⑴ 0, M ⑵ 음수, -M 4-1 ⑴ 0, 0 ⑵ 0, 0 ⑶ -1, 0, 존재하지 않는다.

개념 드릴

| 13쪽~14쪽 |

1

S

T

EP

스스로 check

1

-2

⑴ -3 ⑵ 2 ⑶ '2 ⑷ -;4!;f(x)=2x-1로 놓으면 y=f(x)의 그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 서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1(2x-1)=-3f(x)=-x€+2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 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0(-x€+2)=2f(x)='ß2x 로 놓으면 y=f(x)의 그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 프에서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 지므로 lim x d 1'ß2x='2f(x)= x+2 x€-4로 놓으면 x+-2일 때, f(x)= x+2x€-4=(x+2)(x-2)x+2 = 1x-2 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 의 값은 -;4!;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x O -1 -1 -3 y y=f(x) 1 2 y=f(x) O 2 y x x O 1 2 y y=f(x) y=f (x) x O 2 -2 y 1 4 -1 2 -lim x d -2 x+2 x€-4=-;4!;

2

-2

⑴ 0 ⑵ -1 ⑶ 1 ⑷ 2f(x)= 2x+3 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 프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x d Mx+3 =02f(x)=-;x!;-1로 놓으면 y=f(x)의 그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 서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 이 커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 까워지므로 lim x d -M{-;x!;-1}=-1f(x)=;x#;+1로 놓으면 y=f(x)의 그래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1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M{;x#;+1}=1f(x)= 2xx+1 =-x+1 +2로 놓으면2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M 2x x+1 =2

3

-2

⑴ -M ⑵ -Mf(x)=- 1|x| 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 프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 이 한없이 커지므로 lim x d 0{- 1|x| }=-Mf(x)=-x€+1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 프에서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 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 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lim x d -M(-x€+1)=-M y=f (x) x O -3 2 3 y y=f(x) x O -1 -1 y y=f (x) x O -3 1 y y=f(x) x O 2 -1 y y=f(x) x O 1 -1 -1 y y=f (x) O -1 1 1 y x

(4)

f(x)=-|x-2| 로 놓으면 1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이 2에 한 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 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lim x d 2 {-1 |x-2| }=-M

02

-1

⑴ -M ⑵ -1 ⑶ M ⑷ 2 |해결 전략|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x cd M 또는 x cd -M일 때 함수의 극한 을 조사한다. ⑴ f(x)=-x€+x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 프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 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lim x d M(-x€+x)=-Mf(x)=- 1x+1 -1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이 음수이면 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 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M{- 1x+1 -1}=-1f(x)='ß2-x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 프에서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한 없이 커지므로 lim x d -M'ß2-x=Mf(x)=2- 1 x€로 놓으면 y=f(x)의 그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 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M{2- 1x€ }=2

03

-1

 ⑴ 존재하지 않는다. ⑵ 존재하지 않는다. |해결 전략| 좌극한과 우극한을 각각 구하고 그 값이 같은지 다른지 파악한다. ⑴ 함수 y= |x+1|x+1 =[ 1 (x>-1) -1 (x<-1)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4 lim x d -1-|x+1| x+1 =-1, limx d -1+|x+1|x+1 =1 y=f(x) x O 1 y y=f(x) x O y -1 -2 -2 -1 y=f(x) x O 2 y 2 y=f(x) x O y 2 2 - 2 22 y= -1 -1 1 O x y |x+1| x+1

4

-2

⑴ 0 ⑵ 0 ⑶ 0 ⑷ 2 ⑸ 1 ⑹ 존재하지 않는다.x의 값이 -1보다 작으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1-f(x)=0x의 값이 -1보다 크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1+f(x)=0 ⑶ lim x d -1-f(x)= lim x d -1+f(x)=0이므로 lim x d -1f(x)=0x의 값이 1보다 작으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2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1-f(x)=2x의 값이 1보다 크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1+f(x)=1 ⑹ lim x d 1-f(x)+ lim x d 1+f(x)이므로 lim x d 1 f(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필수 유형

| 15쪽~17쪽 |

2

S

T

EP

01

-1

⑴ -4 ⑵ 1 ⑶ M ⑷ -M |해결 전략|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x cd a일 때 함수의 극한을 조사한다.f(x)= x€-2x-3x+1 으로 놓으면 x+-1일 때, f(x)= x€-2x-3x+1 = (x+1)(x-3)x+1 =x-3 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에서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4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d -1 x€-2x-3 x+1 =-4f(x)='ß2x+3으로 놓으면 y=f(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 래프에서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 워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 워지므로 lim x d -1'ß2x+3=1f(x)= 1 x€-3으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 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lim x d 0{ 1x€-3}=M y=f(x) O 3 -1 -4 -3 y x y=f(x) x O 3 -1 1 y 3 2 -y=f(x) x O 3 3 -y -3 3 3 y=f(x) x O y 2 1 2

(5)

따라서 limx d -1-|x+1|x+1 + limx d -1+|x+1|x+1 이므로 lim x d -1 |x+1| x+1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⑵ 함수 y= |x-2|x€-2x= |x-2|x(x-2) =

[

;x!; (x>2) -;x!; (x<2)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4 limx d 2-|x-2|x€-2x=-;2!;, limx d 2+|x-2|x€-2x=;2!; 따라서 limx d 2-|x-2| x€-2x +x d 2+lim |x-2| x€-2x이므로 limx d 2|x-2|x€-2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절댓값 기호가 포함된 함수의 극한을 조사할 때는 먼저 절댓값 기호 안 의 식의 값이 0이 되도록 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함수의 식을 정리한다. LECTURE y= |x-2|x€-2x 1 2 2 O x y 1 2 -⑵ lim x d M 2x€ x€+3= lim x d M 2 1+ 3x€ = 21+0 =2 ⑶ lim x d M(x€-x)= lim x d Mx€ {1-;x!;}=M ⑷ lim x d 0;x!; { 2x+2 -1}=lim x d 0{;x!;_ -xx+2 } =lim x d 0x+2-1 = -10+2 =-;2!;

2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개념 확인 18쪽~19쪽 1 ⑴ 14 ⑵ -7 ⑶ -15 ⑷ -;1¡0; 2 ⑴ ;2#; ⑵ 2 ⑶ M ⑷ -;2!;

1

⑴ lim x d 1{ f(x)+3g(x)}=lim x d 1f(x)+3lim x d 1g(x) =-1+3_5=14

⑵ lim x d 1{2f(x)-g(x)}=2lim x d 1f(x)-lim x d 1g(x)

=2_(-1)-5=-7 ⑶ lim x d 13f(x)g(x)=3lim x d 1f(x)_lim x d 1g(x) =3_(-1)_5=-15 ⑷ lim x d 1 f(x) 2g(x)= lim x d 1f(x) 2lim x d 1 g(x)= -12_5 =-;1¡0;

2

⑴ lim x d -1x€-x-2x€-1 = lim x d -1(x+1)(x-2)(x+1)(x-1) = lim x d -1x-2x-1 = -1-2-1-1 =;2#; 개념 check 1-1 ⑴ 2, 2, 5 ⑵ x+1, x, 3, -1 2-1 ⑴ x+5, 2, ;4&; ⑵ x-1, x+1, 1, 4 3-1 ⑴ ;x!;, -2 ⑵ 1x€, ;2!; 4-1 ⑴ 3x€, M ⑵ 1, 0 5-1 x-1, x-1, -1

개념 드릴

| 20쪽~21쪽 |

1

S

T

EP

스스로 check

1

-2

⑴ -3 ⑵ 6 ⑶ -3 ⑷ -;3!; ⑴ lim x d -1(-2x€+x)=-2 lim x d -1x€+ lim x d -1x =-2_(-1)€+(-1)=-3 ⑵ lim x d 3(x+3)(x-2)=lim x d 3(x+3)_lim x d 3(x-2) =(lim

x d 3x+lim x d 33)(lim x d 3x-lim x d 32)

=(3+3)(3-2)=6 다른 풀이 lim x d 3(x+3)(x-2)= lim x d 3(x€+x-6) = lim x d 3x€+ lim x d 3x- lim x d 36 =3€+3-6=6 ⑶ limx d 12x+1x-2 = lim x d 1(2x+1) lim x d 1(x-2) =2lim x d 1x+lim x d 11 lim x d 1x-lim x d 12 = 2_1+11-2 =-3 ⑷ limx d -2 x x€+2= lim x d -2x lim x d -2(x€+2) = x d -2limx lim x d -2x€+ limx d -22 = -2 (-2)€+2=-;3!;

(6)

2

-2

⑴ 2 ⑵ ;3!; ⑶ ;6!; ⑷ 2 ⑴ lim x d 1 x€+2x-3 x€-1 =limx d 1 (x+3)(x-1) (x+1)(x-1) =limx d 1x+3x+1 = 1+31+1 =2 ⑵ limx d -1 x+1 x‹+1= limx d -1 x+1 (x+1)(x€-x+1) = lim x d -1 1 x€-x+1 = 1 (-1)€-(-1)+1=;3!; ⑶ lim x d 9 'x-3 x-9 =limx d 9 ('x-3)('x+3) (x-9)('x+3) =limx d 9 x-9 (x-9)('x+3) =lim x d 9 1 'x+3 = 1 '9+3=;6!; ⑷ lim x d 0 x 'ßx+1-1=lim x d 0 x('ßx+1+1) ('ßx+1-1)('ßx+1+1) =lim x d 0 x('ßx+1+1) x =lim x d 0('ßx+1+1) ='1+1=2

3

-2

⑴ 5 ⑵ ;3$; ⑶ 3 ⑷ ;6!; ⑴ limx d Mx-6 = lim5x x d M 5 1-;x^;=5 ⑵ limx d M4x-33x-5 = limx d M4-;x#; 3-;x%;=;3$; ⑶ limx d M3x€-x+1 x€+5 = limx d M 3-;x!;+ 1x€ 1+ 5x€ =3 ⑷ limx d M x‹-1 6x‹+x+1= limx d M 1- 1 x‹ 6+ 1x€+ 1x‹ =;6!;

4

-2

⑴ M ⑵ 0 ⑴ limx d M(x›-x€+1)= limx d Mx›{1- 1 x€+ 1x› }=M ⑵ limx d M("ƒx€+4-x)= limx d M("ƒx€+4-x)("ƒx€+4+x) "ƒx€+4+x = limx d M 4 "ƒx€+4+x=0

5

-2

-;4!; lim x d 0;x!; { 1x+2 -;2!;}=limx d 0[;x!;_ -x2(x+2) ] =limx d 0 -1 2(x+2) = -12_2=-;4!;

필수 유형

| 22쪽~26쪽 |

2

S

T

EP

01

-1

 ;4#; |해결 전략| 2f(x)-g(x)=h(x)로 놓고 lim x d 2h(x)=4임을 이용한다. 2f(x)-g(x)=h(x)로 놓으면 g(x)=2f(x)-h(x)이고 lim x d 2h(x)=4이다. 4 lim x d 2 2f(x)+g(x)f(x)g(x) =lim x d 2 2f(x)+{2f(x)-h(x)}f(x){2f(x)-h(x)} =lim x d 2 2{ f(x)}€-f(x)h(x)4f(x)-h(x) = 2_3€-3_44_3-4 =;4#; 다른 풀이 2f(x)-g(x)=h(x)로 놓으면 g(x)=2f(x)-h(x)이고 lim x d 2h(x)=4이 므로 lim x d 2 g(x)= limx d 2 {2f(x)-h(x)} =2_3-4=2 4 lim x d 2 f(x)g(x) 2f(x)+g(x)= 3_22_3+2 =;4#;

01

-2

 ;3$; |해결 전략| 주어진 식을 lim x d 0 f(x) x =2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한다. lim x d 0f(x)+2x 2f(x)-x=lim x d 0 f(x) x +2 2_ f(x)x -1 = 2+22_2-1 =;3$;

02

-1

⑴ 12 ⑵ ;4!; ⑶ ;6!; ⑷ -4 |해결 전략| 분모, 분자가 모두 다항식이면 분모, 분자를 각각 인수분해하고, 분 모, 분자 중 무리식이 있으면 근호가 있는 쪽을 유리화한다. ⑴ lim x d -2 x‹+8 x+2 = lim x d -2 (x+2)(x€-2x+4) x+2 = lim x d -2(x€-2x+4) =(-2)€-2_(-2)+4=12

(7)

⑵ lim x d 1 x‹-2x+1 x€+2x-3=lim x d 1 (x-1)(x€+x-1) (x+3)(x-1) =lim x d 1 x€+x-1 x+3 = 1€+1-11+3 =;4!; ⑶ lim x d 0 'ß3+x-'3 '3x =lim x d 0 ('ß3+x-'3 )('ß3+x+'3 ) '3x('ß3+x+'3 ) =lim x d 0 x '3x('ß3+x+'3 ) =lim x d 0 1 '3 ('ß3+x+'3 ) = 1 '3 _2'3 =;6!; ⑷ lim x d 1 x€-4x+3 "ƒx€+3-2=lim x d 1 (x€-4x+3)("ƒx€+3+2) ("ƒx€+3-2)("ƒx€+3+2) =lim x d 1 (x€-4x+3)(x€-1"ƒx€+3+2) =lim x d 1 (x-1)(x-3)("ƒx€+3+2) (x+1)(x-1) =lim x d 1 (x-3)("ƒx€+3+2) x+1 = (1-3)('4+2) 1+1 =-4

03

-1

⑴ 0 ⑵ -M ⑶ 1 ⑷ -2 |해결 전략| 분모, 분자를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각각 나눈 후 lim x d M c xn=0(n은 자연수, c는 상수)임을 이용한다. ⑴ 분모, 분자를 x€으로 각각 나누면 limx d $x€-x+2x+1 = limx d $ ;x!;+ 1x€ 1-;x!;+ 2x€ =0 ⑵ 분모, 분자를 x€으로 각각 나누면 lim x d -$ 2x‹-3 x€-1 = limx d -$ 2x- 3x€ 1- 1x€ =-M ⑶ 분모, 분자를 x로 각각 나누면 limx d $"ƒx€+4x-4x-2 = limx d $æç1+;x$;-;x$; 1-;x@; =1x=-t로 놓으면 x cd -M일 때 t cd M이므로 lim x d -$ 2x+1 "ƒx€+x-1= limt d $ -2t+1 "ƒt€-t-1 = limt d $ -2+ 1t æç1- 1t -1t =-2 M M 꼴의 극한 ❶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극한값은 0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 극한값은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 ❸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 발산 LECTURE

04

-1

⑴ -M ⑵ 2 ⑶ ;2!; ⑷ -1 |해결 전략| 다항식이면 최고차항으로 묶고, 무리식이면 근호가 있는 쪽을 유리 화한다. ⑴ lim x d -M(-2x€-x+1)= lim x d -Mx€{-2-;x!;+ 1x€ } =-M ⑵ lim x d M 1 "ƒx€+x-x= lim x d M "ƒx€+x+x ("ƒx€+x-x)("ƒx€+x+x) = lim x d M"ƒx€+x+xx = lim x d M{æç1+;x!;+1} =1+1=2 ⑶ lim x d M("ƒ4x€+2x-1-2x) = lim x d M("ƒ4x€+2x-1-2x)("ƒ4x€+2x-1+2x) "ƒ4x€+2x-1+2x = lim x d M 2x-1 "ƒ4x€+2x-1+2x = lim x d M 2- 1x æç4+;x@;- 1x€+2 = 2 "4+2=;2!; ⑷ x=-t로 놓으면 x cd -M일 때 t cd M이므로 lim x d -M("ƒx€+2x+x)=lim t d M("ƒt€-2t-t) = lim t d M ("ƒt€-2t-t)("ƒt€-2t+t) "ƒt€-2t+t = lim t d M -2t "ƒt€-2t+t = lim t d M -2 æç1- 2t +1 = -2 1+1=-1 lim x d$ f(x)=M, limx d$ g(x)=M일 때, limx d$ { f(x)-g(x)}의 값은 f(x)-g(x)가 무리식이면 분모를 1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하여 구한다. LECTURE

(8)

05

-1

⑴ -;9!; ⑵ -;5¡4; ⑶ 2 ⑷ 1 |해결 전략| 통분하거나 유리화하여 ;0);, MM, M_c, Mc (c는 상수) 꼴로 변형 한다. ⑴ x d -1lim x+1 {1 x-21 +;3!;}= limx d -1[ 1x+1_ x+13(x-2) ] = lim x d -1 1 3(x-2) =3_(-1-2)1 =-;9!; ⑵ limx d 0;x!; { 1 'ßx+9-;3!;} =limx d 0{;x!;_ 3-'ßx+9 3'ßx+9 } =limx d 0[;x!;_ (3-'ßx+9 )(3+'ßx+9 )3 'ßx+9(3+'ßx+9 ) ] =limx d 0 -1 3'ßx+9(3+'ßx+9 ) = -1 3_'9_(3+'9 )=-;5¡4; ⑶ x d Mlim2x {1- 'ßx-1 'ßx+1} = limx d M{2x_ 'ßx+1-'ßx-1 'ßx+1 } = limx d M[2x_ ('ßx+1-'ßx-1)('ßx+1+'ßx-1) 'ßx+1('ßx+1+'ßx-1) ] = limx d M 4x x+1+"∂x€-1 = limx d M 4 1+;x!;+æç1- 1x€ = 4 1+1=2x=-t로 놓으면 x cd -M일 때 t cd M이므로 lim x d -Mx { x "ƒx€+2x+1} = limt d M[-t_{ -t "ƒt€-2t+1}] = limt d M{-t_ -t+"ƒt€-2t "ƒt€-2t } = limt d M[-t_ ("ƒt€-2t-t)("ƒt€-2t+t) "ƒt€-2t("ƒt€-2t+t) ] = limt d M 2t€ t€-2t+"ƒt›-2t‹ = limt d M 2 1- 2t +æç1-2t = 2 1+1=1

3

함수의 극한의 응용

개념 확인 27쪽~28쪽 1 ⑴ -2 ⑵ 2 2 ;3!;

1

⑴ limx d 2 ax+4x-2 =-2에서 limx d 2 (x-2)=0이므로

lim x d 2 (ax+4)=0 즉, 2a+4=0이므로 a=-2 ⑵ limx d -1 x€+3x+ax+1 =1에서 1+0이고 lim x d -1(x+1)=0이므로 lim x d -1(x€+3x+a)=0 즉, 1-3+a=0이므로 a=2

2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x-1 3x <f(x)<x+13x 이고 limx d M x-13x = limx d M x+13x =;3!;이므로 lim x d M f(x)=;3!; 개념 check 1-1 ⑴ 0, 0, 0, -3 ⑵ 0, 0, 0, -5 2-1 2, 2

개념 드릴

| 29쪽 |

1

S

T

EP

스스로 check

1

-2

⑴ -3 ⑵ 12 ⑶ -2 ⑷ 2 ⑴ lim x d -1 ax-3 x+1 =-3에서 limx d -1(x+1)=0이므로 lim x d -1(ax-3)=0 즉, -a-3=0이므로 a=-3 ⑵ lim x d 3 x€-7x+a x-3 =-1에서 limx d 3(x-3)=0이므로 lim x d 3(x€-7x+a)=0 즉, 9-21+a=0이므로 a=12 ⑶ limx d 2 x-2 x€-x+a=;3!;에서 ;3!;+0이고 lim x d 2(x-2)=0이므로 lim x d 2(x€-x+a)=0 즉, 4-2+a=0이므로 a=-2

(9)

⑷ limx d 1 x-1 x€+ax-3=;4!;에서 ;4!;+0이고 limx d 1(x-1)=0이므로 limx d 1(x€+ax-3)=0 즉, 1+a-3=0이므로 a=2

2

-2

⑴ 7 ⑵ 5 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4x-1<f(x)<x€+3이고 limx d 2(4x-1)=lim x d 2(x€+3)=7이므로 lim x d 2f(x)=7 ⑵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5-;x!;<f(x)<5+;x!;이고 lim x d M{5-;x!;}= limx d M{5+;x!;}=5이므로 lim x d Mf(x)=5

필수 유형

| 30쪽~32쪽 |

2

S

T

EP

01

-1

⑴ a=4, b=2 ⑵ a=5, b=-3 |해결 전략| ⑴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 cd 0이면 (분자) cd 0임을 이용한다. ⑵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자) cd 0이면 (분모) cd 0임을 이용한다. ⑴ lim x d -1 x€+ax+b+1 x+1 =2에서 limx d -1(x+1)=0이므로 lim x d -1(x€+ax+b+1)=-a+b+2=0 4 b=a-2 yy㉠ ㉠을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면 lim x d -1 x€+ax+a-1 x+1 = limx d -1 (x+1)(x+a-1) x+1 = lim x d -1(x+a-1)=a-2=2 4 a=4, b=2 ⑵ lim x d 2 x-2 'ß2x+a+b=3에서 3+0이고 limx d 2(x-2)=0이므로 limx d 2('ß2x+a+b)='ß4+a+b=0 4 b=-'ß4+a yy㉠ ㉠을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면 limx d 2 x-2 'ß2x+a-'ß4+a =limx d 2 (x-2)('ß2x+a+'ß4+a ) ('ß2x+a-'ß4+a )('ß2x+a+'ß4+a ) =limx d 2 (x-2)('ß2x+a+'ß4+a )2(x-2) =limx d 2 'ß2x+a+'ß4+a2 ='ß4+a=3 4 a=5, b=-3

02

-1

12 |해결 전략| 다항함수 f(x)의 차수를 파악한 후 미정계수를 구한다. lim x d M f(x) x€-x-1=1에서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또, lim x d -1 f(x) x+1 =4에서 limx d -1(x+1)=0이므로 lim x d -1f(x)=0 4 f(-1)=0 즉, f(x)=(x+1)(x+a)(a는 상수)로 놓을 수 있으므로 lim x d -1 f(x) x+1 = limx d -1 (x+1)(x+a) x+1 = lim x d -1(x+a) =-1+a=4 4 a=5 따라서 f(x)=(x+1)(x+5)=x€+6x+5이므로 f(1)=1+6+5=12

02

-2

f(x)=x(x-1)(3x-1) |해결 전략|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f(x)의 인수를 찾은 후 미정계수를 구한다. lim x d 0 f(x) x =1에서 limx d 0x=0이므로 lim x d 0f(x)=0 4 f(0)=0 또, limx d 1 x-1 =2에서 limf(x) x d 1(x-1)=0이므로 lim x d 1f(x)=0 4 f(1)=0 즉, f(x)=x(x-1)(ax+b)(a, b는 상수, a+0)로 놓을 수 있으 므로 lim x d 0 f(x) x =limx d 0 x(x-1)(ax+b) x =lim x d 0(x-1)(ax+b)=-b=1 4 b=-1 lim x d 1 f(x) x-1 =limx d 1 x(x-1)(ax-1) x-1 =lim x d 1x(ax-1)=a-1=2 4 a=3 따라서 f(x)=x(x-1)(3x-1)이다.

03

-1

1 |해결 전략| 주어진 부등식을 변형하여 x‹+1 f(x) 의 범위를 구한다.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x‹+1>0이므로 x‹-x€-2x+1<f(x)<x‹+x€-x+2의 각 변을 x‹+1로 나누면 x‹-x€-2x+1 x‹+1 < f(x)x‹+1< x‹+x€-x+2x‹+1 이때, limx d Mx‹-x€-2x+1 x‹+1 = limx d M x‹+x€-x+2 x‹+1 =1이므로 lim x d M f(x) x‹+1=1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f(x)는 x를 인수로 갖는다.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10)

유형 드릴

| 33쪽~35쪽 |

3

S

T

EP

1

-1

2 |해결 전략 | 좌극한과 우극한의 뜻을 생각한다. x<1일 때, |x-1|=-(x-1)이므로 lim x d 1-|x-1| x-1 = limx d 1--(x-1) x-1 =-1 4 a=-1 3<x<4일 때, $x&=3이므로 lim x d 3+[x]=3 4 b=3 4 a+b=-1+3=2 [x]가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일 때, 정수 n에 대하여 [x]=[ n (n<x<n+1) lfm lim x d n+[x]=n n-1 (n-1<x<n) lfm lim x d n-[x]=n-1 LECTURE

1

-2

-4 |해결 전략 |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범위를 나 누어 함수의 식을 구한다. x>2일 때, |x-2|=x-2이므로 lim x d 2+ |x-2| x€-4 = limx d 2+ x-2 (x+2)(x-2) = limx d 2+x+2 =;4!;1 4 a=;4!;

03

-2

4 |해결 전략| 주어진 부등식을 변형하여 x€+x+1{ f(x)}€ 의 범위를 구한다. 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x-1<f(x)<2x+3의 각 변은 양 수이므로 각 변을 제곱하면 (2x-1)€<{ f(x)}€<(2x+3)€ 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x+1>0이므로 각 변을 x€+x+1로 나누면 (2x-1)€ x€+x+1< { f(x)}€x€+x+1< (2x+3)€x€+x+1 이때, lim x d$ (2x-1)€ x€+x+1= limx d$ (2x+3)€ x€+x+1=4이므로 lim x d$ { f(x)}€ x€+x+1=4 1<x<2일 때, |x€-3x+2|=-(x€-3x+2)이므로 lim x d 2-|x€-3x+2| x-2 = limx d 2--(x€-3x+2) x-2 = lim x d 2- [-(x-1)(x-2) x-2 ] = lim x d 2-{-(x-1)}=-1 4 b=-1 4 ;aB;=-4

2

-1

-9 |해결 전략 | lim x d 3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x=3에서의 좌극한과 우극한이 서로 같아야 한다. lim x d 3-f(x)= lim x d 3-(-x€+x)=-6 lim x d 3+f(x)= lim x d 3+(x€-2x+a)=a+3

lim x d 3f(x)의 값이 존재하려면 lim x d 3-f(x)= lim x d 3+f(x)이어야 하므로

-6=a+3 4 a=-9

2

-2

 ① |해결 전략 | lim x d 1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x=1에서의 좌극한과 우극한이 서로 같아야 한다. lim x d 1-f(x)= lim x d 1-(-x€+x-2a)=-2a lim x d 1+f(x)= lim x d 1+(x‹+x+a+4)=a+6

lim x d 1f(x)의 값이 존재하려면 lim x d 1-f(x)= lim x d 1+f(x)이어야 하므로

-2a=a+6 4 a=-2

3

-1

 ① |해결 전략 | x cd 2일 때 f(x)의 극한값을 구한 후 f(x)=t로 놓고 g(t)의 극 한값을 구한다. x cd 2일 때 f(x) cd 4이므로 f(x)=t로 놓으면 lim x d 2g( f(x))=lim t d 4g(t) t cd 4일 때 g(t) cd 0이므로 lim t d 4 g(t)=0 4 lim x d 2g( f(x))=0

3

-2

 ⑤ |해결 전략 | x cd 2-, x cd3-일 때 f(x)의 극한값을 먼저 구한다. x cd 2-일 때 f(x) cd 2+이므로 lim x d 2-f( f(x))= lim f(x) d 2+f( f(x))=3 x cd 3-일 때 f(x)=3이므로 lim x d 3-f( f(x))=f(3)=2 4 lim x d 2-f( f(x))+ lim x d 3-f( f(x))=3+2=5

(11)

lim x d a- g( f(x))의 값을 구할 때는 x d a-일 때 f(x) d b-이면 ➡ limx d a- g( f(x))= lim f(x) d b- g( f(x)) f(x) d b+이면 ➡ limx d a- g( f(x))= lim f(x) d b+ g( f(x)) f(x)=b이면 ➡ limx d a- g( f(x))=g( b) LECTURE

4

-1

-;4#; |해결 전략 | 2f(x)+g(x)=h(x)로 놓고 f(x)+2g(x) 2f(x)-g(x)를 f(x), h(x)로 나타낸다. 2f(x)+g(x)=h(x)로 놓으면 g(x)=h(x)-2f(x)이고 lim x d 1h(x)=2이다. 4lim x d 1 f(x)+2g(x)2f(x)-g(x)=lim x d 1 f(x)+2{h(x)-2f(x)}2f(x)-{h(x)-2f(x)} =lim x d 1 -3f(x)+2h(x) 4f(x)-h(x) =lim x d 1 -3+2_ h(x)f(x) 4- h(x) f(x) =-;4#;

4

-2

1 |해결 전략 | f(x)-g(x)=h(x)로 놓고 f(x)+g(x) 3f(x)+g(x)를 f(x), h(x)로 나 타낸다. f(x)-g(x)=h(x)로 놓으면 g(x)=f(x)-h(x)이고 lim x d 2h(x)=M이다. 4lim x d 2 3f(x)+g(x)f(x)+g(x) =lim x d 2 3f(x)+{ f(x)-h(x)}f(x)+{ f(x)-h(x)} =lim x d 2 2f(x)-h(x) 4f(x)-h(x) =lim x d 2 2_ f(x)h(x)-1 4_ f(x)h(x)-1=1

5

-1

-;2!; |해결 전략 | 인수분해하거나 유리화하고 분모, 분자의 공통인수를 약분한다. lim x d -1 x‹+x+2 x€-1 = limx d -1 (x+1)(x€-x+2) (x+1)(x-1) = limx d -1x€-x+2x-1 =-2 4 a=-2 limx d 1'ßx+3-2x-1 =limx d 1('ßx+3-2)('ßx+3+2) (x-1)('ßx+3+2) =lim x d 1 x-1 (x-1)('ßx+3+2) =limx d 1 1 'ßx+3+2=;4!; 4 b=;4!; 4 ab=-2_;4!;=-;2!;

5

-2

 :¡2¡: |해결 전략 | 인수분해하거나 유리화하고 분모, 분자의 공통인수를 약분한다. lim x d 2 x‹-x-6 x€-4 =limx d 2 (x-2)(x€+2x+3) (x+2)(x-2) =limx d 2 x€+2x+3x+2 =:¡4¡: 4 a=:¡4¡: lim x d 1 "ƒx€+x+2-'ßx+3 x-1 =limx d 1("ƒx€+x+2-'ßx+3 )("ƒx€+x+2+'ßx+3 ) (x-1)("ƒx€+x+2+'ßx+3 ) =limx d 1 x€-1 (x-1)("ƒx€+x+2+'ßx+3 ) =limx d 1 (x+1)(x-1) (x-1)("ƒx€+x+2+'ßx+3 ) =limx d 1 x+1 "ƒx€+x+2+'ßx+3=;2!; 4 b=;2!; 4 ab=:¡4¡:/;2!;=:¡4¡:_2=:¡2¡:

6

-1

 ① |해결 전략| 분모, 분자를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각각 나눈 후 lim x d M c xn=0(n은 자연수, c는 상수)임을 이용한다. lim x d M x€+x-1 x‹+1 = limx d M ;x!;+ 1x€- 1x‹ 1+ 1x‹ =0 4 a=0 lim x d M x+1 "ƒx€+x+1+x= limx d M 1+ 1x æç1+;x!;+ 1x€+1=;2!; 4 b=;2!; x=-t로 놓으면 x cd -M일 때 t cd M이므로 lim x d -M 3x‹+2x€-1 x‹+x+1 = limt d M -3t‹+2t€-1 -t‹-t+1 = limt d M 3+ 2t -1 t‹ -1- 1 t€+ 1t‹ =3 4 c=3 4 a<b<c

(12)

M M 꼴의 극한에서 분모와 분자의 차수가 같으면 그 극한값은 최고차항 의 계수의 비와 같다. 이때, 근호가 포함된 식의 차수는 근호 안의 식의 차수에 ;2!;을 곱한 것으 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ƒ2x›+3x€+4에서 근호 안의 식의 차수 는 4이므로 "ƒ2x›+3x€+4의 차수는 4_;2!;=2, 그 계수는 '2 이다. 이를 이용하면 lim x d$ x+1 "ƒx€+x+1+x= 1'1+1=;2!;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다. LECTURE

6

-2

5 |해결 전략| 분모, 분자를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각각 나눈 후 lim x d M c xn=0(n은 자연수, c는 상수)임을 이용한다. lim x d$ 3x‹+2x x‹-x-1= limx d$ 3+ 2x€ 1- 1 x€- 1x‹ =3 4 a=3 x=-t로 놓으면 x cd -M일 때 t cd M이므로 lim x d-$ "ƒx€+1 x+1 =limt d$ "ƒt€+1 -t+1 =limt d$ æç1+ 1t€ -1+ 1t =-1 4 b=-1 lim x d$ 3x-1 "ƒx€+1+2x= limx d$ 3- 1x æç1+ 1x€+2=1 4 c=1 4 a-b+c=3-(-1)+1=5

7

-1

1 |해결 전략 | 분모를 1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한다. lim x d$("ƒx€-2x+2-x) = limx d$("ƒx€-2x+2-x)("ƒx€-2x+2+x) "ƒx€-2x+2+x = limx d$ -2x+2 "ƒx€-2x+2+x = limx d$ -2+ 2x æç1-;x@;+ 2x€+1=-1 4 a=-1 x=-t로 놓으면 x cd -M일 때 t cd M이므로 lim x d -$("ƒx€-4x+x)=limt d $("ƒt€+4t-t) = lim t d $ ("ƒt€+4t-t)("ƒt€+4t+t) "ƒt€+4t+t = limt d $ 4t "ƒt€+4t+t = lim t d $ 4 æç1+ 4t +1=2 4 b=2 4 a+b=-1+2=1

7

-2

1 |해결 전략 | MM 꼴은 분모, 분자를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각각 나누고, 무리식이 있는 M-M 꼴은 근호가 있는 쪽을 유리화한다. x=-t로 놓으면 x cd -M일 때 t cd M이므로 lim x d -$ "ƒx€-3+3x x-"ƒx€+2x= limt d $ "ƒt€-3-3t -t-"ƒt€-2t = limt d $ æç1- 3t€ -3 -1-æ√1- 2t =1 4 a=1 lim x d$("ƒx€+x-"ƒx€-x ) = limx d $("ƒx€+x-"ƒx€-x )("ƒx€+x+"ƒx€-x ) "ƒx€+x+"ƒx€-x = limx d $ 2x "ƒx€+x+"ƒx€-x = limx d $ 2 æç1+;x!;+æç1-;x!;=1 4 b=1 4 2a-b=2_1-1=1

8

-1

-2 |해결 전략 |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 cd 0이면 (분자) cd 0임을 이용한다. lim x d 2 x‹+x€+ax+b+2 x-2 =4에서 limx d 2(x-2)=0이므로 limx d 2(x‹+x€+ax+b+2)=2a+b+14=0 4 b=-2a-14 yy㉠ ㉠을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면

limx d 2 x‹+x€+ax-2a-12x-2 =limx d 2 (x-2)(x€+3x+a+6)x-2

=lim

x d 2(x€+3x+a+6)

=a+16=4

따라서 a=-12, b=10이므로

(13)

8

-2

-4 |해결 전략 |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자) cd 0이면 (분모) cd 0임을 이 용한다. limx d 1 x-1 ax€+x+b=;5!;에서 ;5!;+0이고 limx d 1(x-1)=0이므로

limx d 1(ax€+x+b)=a+1+b=0 4 b=-a-1 yy㉠ ㉠을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면

limx d 1 ax€+x-a-1x-1 =limx d 1 (x-1)(ax+a+1)x-1 =limx d 1 ax+a+11 = 12a+1 =;5!; 따라서 a=2, b=-3이므로 lim x d -1 x€-ax+bx+1 = limx d -1 x€-2x-3x+1 = limx d -1 (x+1)(x-3)x+1 = lim x d -1(x-3) =-4

9

-1

2 |해결 전략 |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lim x d M g(x) f(x)=L (L+0인 실수) 이면 f(x), g(x)의 차수가 같음을 이용한다. lim x d$ x€+x+2 f(x) =1에서 다항함수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 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또, limx d 2 x-2 =-1에서 limf(x) x d 2(x-2)=0이므로 lim x d 2f(x)=0 4 f(2)=0 즉, f(x)=(x-2)(x+a) (a는 상수)로 놓을 수 있으므로 limx d 2 x-2 =limf(x) x d 2 (x-2)(x+a)x-2

=lim x d 2(x+a) =2+a=-1 4 a=-3 따라서 f(x)=(x-2)(x-3)=x€-5x+6이므로 f(1)=1-5+6=2

9

-2

4 |해결 전략 | 먼저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를 이용하여 다항함수 f(x)의 차수와 최고차항의 계수를 구한다.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x€>0이므로 x€-2x-2<f(x)<x€+x-1의 각 변을 x€으로 나누면 1-;x@;- 2x€< f(x)x€ <1+;x!;- 1x€ 이때, limx d${1-;x@;- 2 x€ }= limx d${1+;x!;- 1x€ }=1이므로 lim x d$ f(x) x€ =1 따라서 다항함수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또, limx d 1 x-1 =3에서 limf(x) x d 1(x-1)=0이므로 lim x d 1f(x)=0 4 f(1)=0 즉, f(x)=(x-1)(x+a) (a는 상수)로 놓을 수 있으므로 lim x d 1 f(x) x-1 =limx d 1 (x-1)(x+a) x-1 =lim x d 1(x+a) =1+a=3 4 a=2 따라서 f(x)=(x-1)(x+2)=x€+x-2이므로 f(2)=4+2-2=4

10

-1

 ②

|해결 전략 | AP’ €, AQ’ €을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점 P(a, a+2)를 지나고 직선 y=x+2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y=-(x-a)+a+2=-x+2a+2 이므로 점 Q의 좌표는 (0, 2a+2) 이때, AP’ €={a-(-2)}€+{(a+2)-0}€=2a€+8a+8, AQ’ €={0-(-2)}€+{(2a+2)-0}€=4a€+8a+8 이므로 lim a d$ AQ’ €

AP’ €=lima d$ 4a€+8a+82a€+8a+8

=lima d$ 4+;a*;+ 8a€ 2+;a*;+ 8a€ =2

10

-2

 ④ |해결 전략 | PA’, PH’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H의 좌표는 (0, 't )이므로 PA’="ƒ(t-2)€+('t-0)€="ƒt€-3t+4, PH’=t 4 limt d$(PA’-PH’) =lim t d$("ƒt€-3t+4-t) =limt d$("ƒt€-3t+4-t)("ƒt€-3t+4+t) "ƒt€-3t+4+t =limt d$ -3t+4 "ƒt€-3t+4+t =limt d$ -3+ 4t æç1- 3t +t€4+1 =-;2#;

(14)

1

함수의 연속

개념 확인 38쪽~41쪽 1 lim x d 2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2 ⑴ (-M, M) ⑵ “;2#;, M} 3 ⑴ (-M, M) ⑵ (-M, -1), (-1, M)

1

lim x d 2- f(x)=1, lim x d 2+ f(x)=2이므로 lim x d 2-f(x)+ lim x d 2+f(x) 따라서 lim x d 2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2에 서 불연속이다.

2

⑴ 함수 f(x)=x€-1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M, M)이다. ⑵ 함수 f(x)='ß2x-3의 정의역은 2x-3>0, 즉 x>;2#;인 실수 의 집합이므로 “;2#;, M}이다.

3

⑴ 함수 f(x)=2x+1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 가 연속인 구간은 (-M, M)이다. ⑵ 함수 f(x)= xx+1 는 x+1+0, 즉 x+-1인 모든 실수 x에 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연속인 구간은 (-M, -1), (-1, M)이다. 개념 check 1-1 ⑴ 3, 3, 연속 ⑵ 1, 2, 불연속 2-1 ⑴ (-M, M) ⑵ 0, 3, (-M, 3&

개념 드릴

| 42쪽 |

1

S

T

EP

스스로 check

1

-2

 ⑴ 연속 ⑵ 불연속 ⑶ 연속 ⑷ 불연속 ⑴ f(1)=0, lim x d 1 f(x)=0이고 lim x d 1 f(x)=f(1)이므로 함수 f(x)x=1에서 연속이다. x=1에서의 함숫값 f(1)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f(1)='2, lim x d 1 f(x)='2이고 lim x d 1 f(x)=f(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필수 유형

| 43쪽~45쪽 |

2

S

T

EP

01

-1

 ⑴ 불연속 ⑵ 불연속 ⑶ 연속 ⑷ 불연속 |해결 전략| 함수가 연속이 되는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지 조사한다.x=-1에서의 함숫값은 f(-1)=2 lim x d -1 f(x)= lim x d -1 x€+3x+2 x+1 = lim x d -1(x+2)(x+1)x+1 = lim x d -1(x+2)=1 따라서 lim x d -1 f(x)+f(-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불 연속이다. ⑵ x=-1에서의 함숫값은 f(-1)=-1 lim x d -1- f(x)= lim x d -1-x€+x |x+1| = lim x d -1-x(x+1) -(x+1) = lim x d -1-(-x)=1 x d -1+lim f(x)= lim x d -1+|x+1|x€+x = lim x d -1+ x(x+1) x+1 = lim x d -1+x=-1 따라서 lim x d -1- f(x)+ lim x d -1+ f(x)이므로 함수 f(x)는 x=-1에 서 불연속이다. O 2 1 -2 -1 y=f(x) x y O -1 -1 1 y=f(x) x yf(1)=1, lim x d 1 f(x)=lim x d 1(x-2)=-1 따라서 lim x d 1 f(x)+f(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2

-2

⑴ (-M, M) ⑵ (-M, -3), (-3, M) ⑶ $-4, M) ⑷ (-M, M) ⑴ 함수 f(x)=2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연속 인 구간은 (-M, M)이다. ⑵ 함수 f(x)= 2x+1x+3 은 x+3+0, 즉 x+-3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연속인 구간은 (-M, -3), (-3, M)이 다. ⑶ 함수 f(x)='ßx+4 는 x+4>0, 즉 x>-4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연속인 구간은 $-4, M)이다. ⑷ 함수 f(x)=|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연 속인 구간은 (-M, M)이다.

| 함수의 연속

2

(15)

x=-1에서의 함숫값은 f(-1)=0 lim x d -1- f(x)= lim x d -1-x|x+1| = lim x d -1-{-x(x+1)} =0 lim x d -1+ f(x)= lim x d -1+ x|x+1| = lim x d -1+x(x+1) =0 4 lim x d -1 f(x)=0 따라서 lim x d -1 f(x)=f(-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 속이다. ⑷ x=-1에서의 함숫값은 f(-1)=-3 lim x d -1- f(x)= lim x d -1- (-x+2) =3 lim x d -1+ f(x)= lim x d -1+(-x€+2x) =-3 따라서 lim x d -1- f(x)+ lim x d -1+ f(x)이므로 함수 f(x)는 x=-1 에서 불연속이다.

02

-1

a=1, b=3 |해결 전략| 함수 y=f(x)의 그래프가 끊어져 있는 점의 x의 값에서 f(x)가 연 속인지 불연속인지 조사한다. 1 x=-1에서의 함숫값은 f(-1)=2 lim x d -1- f(x)=1, lim x d -1+ f(x)=1이므로 lim x d -1 f(x)=1 따라서 lim x d -1 f(x)+f(-1)이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 이다. 2 lim x d 0- f(x)=1, lim x d 0+ f(x)=-1이므로 lim x d 0- f(x)+ lim x d 0+ f(x) 따라서 lim x d 0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3 x=1에서의 함숫값은 f(1)=-1 lim x d 1- f(x)=-2, lim x d 1+ f(x)=-2이므로 lim x d 1 f(x)=-2 따라서 lim x d 1 f(x)+f(1)이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1, 2, 3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x의 값은 x=0이고, 불연속 이 되는 x의 값은 x=-1, x=0, x=1이므로 a=1, b=3

03

-1

a=5, b=-3 |해결 전략|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면 lim x d -2 f(x)=f(-2)임을 이 용한다.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lim x d -2 f(x)=f(-2) 4 limx d -2 2x€+ax+2 x+2 =b ……㉠ O -1 y=f(x) x y O -1 2 -3 3 y=f(x) x y ㉠에서 lim x d -2(x+2)=0이므로 lim x d -2(2x€+ax+2)=8-2a+2=0 4 a=5 a=5를 ㉠에 대입하면 lim x d -2 2x€+5x+2 x+2 = limx d -2 (x+2)(2x+1) x+2 = lim x d -2(2x+1)=-3 4 b=-3

03

-2

a=2, b=-2 |해결 전략|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면 lim x d 2 f(x)=f(2)임을 이용한다.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lim x d 2 f(x)=f(2)    4 lim x d 2 a'ßx-1+b x-2 =1 ……㉠ ㉠에서 lim x d 2(x-2)=0이므로 lim x d 2(a'ßx-1+b)=a+b=0 4 b=-a ……㉡ ㉡을 ㉠에 대입하면 lim x d 2 a'ßx-1-a x-2 =lim x d 2 a('ßx-1-1) x-2 =lim x d 2 a('ßx-1-1)('ßx-1+1) (x-2)('ßx-1+1) =lim x d 2 a(x-2) (x-2)('ßx-1+1) =lim x d 2 a 'ßx-1+1 =;2A;=1 4 a=2, b=-2

2

연속함수의 성질

개념 확인 46쪽~48쪽 1 ⑴ (-M, M) ⑵ (-M, M) ⑶ (-M, 1), (1, M) ⑷ (-M, -1), (-1, 1), (1, M) 2 ⑴ 최댓값: 2, 최솟값: 없다. ⑵ 최댓값: 3, 최솟값: 2 3 ㈎ 연속 ㈏ 사잇값의 정리

1

⑴ 함수 f(x)=2x€-2x-1은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연속인 구간은 (-M, M)이다. ⑵ 함수 f(x)=(x+3)(3x+4)는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 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연속인 구간은 (-M, M)이다.

(16)

⑶ 함수 f(x)= x+1x-1 은 유리함수이므로 x-1+0, 즉 x+1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연속인 구간은 (-M, 1), (1, M)이다. ⑷ 함수 f(x)= x x€-1는 유리함수이므로 x€-1+0, 즉 x+-1 이고 x+1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연속인 구간은 (-M, -1), (-1, 1), (1, M)이다.

2

x=2일 때 최댓값 2를 갖고, 최솟값은 없다.x=3일 때 최댓값 3, x=2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개념 check 1-1 ⑴ 연속, 3, -1 ⑵ 연속, 2, ;3@; 2-1 -1, 17

개념 드릴

| 49쪽 |

1

S

T

EP

스스로 check

1

-2

⑴ 최댓값: 0, 최솟값: -3 ⑵ 최댓값: ;4!;, 최솟값: -2 ⑶ 최댓값: 1, 최솟값: ;2!; ⑷ 최댓값: 2, 최솟값: 1 ⑴ 함수 f(x)=-3x는 닫힌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닫힌구간 $0, 1&에서 y=f(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주어진 구간에서 x=0일 때 최댓값 0, x=1일 때 최솟값 -3을 갖는다. ⑵ 함수 f(x)=-x€+x는 닫힌구간 $-1, 1&에서 연속이고, 닫힌구간 $-1, 1&에서 y=f(x)의 그래프는 오 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주어진 구간에서 x=;2!;일 때 최댓값 ;4!;, x=-1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⑶ 함수 f(x)= 1x-1 은 닫힌구간 $2, 3& 에서 연속이고, 닫힌구간 $2, 3&에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주어진 구간에서 x=2일 때 최댓값 1, x=3 일 때 최솟값 ;2!;을 갖는다. O 1 -3 y=f(x) x y O 1 1 4 -1 -2 y=f(x) x y 1 2 x O 1 2 2 1 1 3 y y=f(x) ⑷ 함수 f(x)='ßx+1은 닫힌구간 $0, 3& 에서 연속이고, 닫힌구간 $0, 3&에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다. 따라서 함수 f(x)는 주어진 구간에서 x=3일 때 최댓값 2, x=0일 때 최솟값 1을 갖는다.

2

-2

 풀이 참조 f(x)=x€-3x+1이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 이고 f(1)=-1<0, f(3)=1>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방정식 x€-3x+1=0은 열린구간 (1, 3)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 근을 갖는다.

필수 유형

| 50쪽~52쪽 |

2

S

T

EP

01

-1

 ㄱ, ㄴ, ㄷ, ㄹ |해결 전략| 다항함수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고, 유리함수는 (분모)+0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다. ㄱ. 2f(x)-g(x)=2(x€+1)-(x€-2x)=x€+2x+2 즉, 함수 2f(x)-g(x)는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 이다. ㄴ. 함수 g(x) f(x)= x€-2xx€+1 는 유리함수이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1+0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ㄷ. { f(x)}€=(x€+1)€=x›+2x€+1 즉, 함수 { f(x)}€은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ㄹ. f(g(x))=(x€-2x)€+1=x›-4x‹+4x€+1 즉, 함수 f(g(x))는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함수인 것은 ㄱ, ㄴ, ㄷ, ㄹ이다.

02

-1

⑴ 최댓값: 5, 최솟값: -4 ⑵ 최댓값: 2, 최솟값: 1 ⑶ 최댓값: 4, 최솟값: 0 ⑷ 최댓값: 4, 최솟값: 1 |해결 전략| 함수 f(x)의 그래프를 그린 후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다. ⑴ 함수 f(x)=x€+2x-3은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닫힌구간 $-1, 2&에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2일 때 최댓값 5, x=-1일 때 최솟값 -4를 갖는다. O -1 -4 2 5 y=f(x) x y O -1 1 2 3 x y=f(x) y

(17)

⑵ 함수 f(x)='ß4-x 는 닫힌구간 $0, 3&에서 연속이고, 닫힌구간 $0, 3& 에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다. 따라서 x=0일 때 최댓값 2, x=3일 때 최솟값 1을 갖는다. ⑶ 함수 f(x)= 5x+2 -1은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고, 닫힌구간 $-1, 3&에서 y=f(x)의 그래프는 오 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1일 때 최댓값 4, x=3일 때 최솟값 0을 갖는다. ⑷ 함수 f(x)=|x|+1은 닫힌구간 $-3, 1&에서 연속이고, 닫힌구간 $-3, 1&에서 y=f(x)의 그래프는 오 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3일 때 최댓값 4, x=0일 때 최솟값 1을 갖는다.

03

-1

 풀이 참조

|해결 전략|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a)f(b)<0임을 보 인다. ⑴ f(x)=x‹-2x-6이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0, 3&에서 연속이고 f(0)=-6<0, f(3)=15>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0, 3)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방정식 x‹-2x-6=0은 열린구간 (0, 3)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⑵ f(x)=x›+2x€-5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f(-1)=-2<0, f(2)=19>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2)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방정식 x›+2x€-5=0은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 나의 실근을 갖는다.

03

-2

3개 |해결 전략|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한다. 함수 f(x)는 연속함수이고 f(0)f(1)<0, f(1)f(2)<0, f(2)f(3)<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0, 1), (1, 2), (2, 3)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0, 3)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 을 갖는다. O -2 -1 4 -1 3 y=f(x) x y O 2 1 4 1 -3 y=f(x) x y O 1 2 3 4 y=f(x) x y

유형 드릴

| 53쪽~55쪽 |

3

S

T

EP

1

-1

2 |해결 전략 |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lim x d a- f(x)= lim x d a+ f(x)=f(a) 이어야 함을 이용한다. f(a)=2a이고, lim x d a- f(x)= lim x d a-(x€-3)=a€-3 lim x d a+ f(x)= lim x d a+2x=2a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lim x d a- f(x)= lim x d a+ f(x)=f(a) 이어야 하므로 a€-3=2a, a€-2a-3=0 (a+1)(a-3)=0 4 a=-1 또는 a=3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1+3=2

1

-2

3 |해결 전략 |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x d 1 f(x)=f(1)이어야 함을 이용한다.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x d 1 f(x)=f(1)이어야 하므로 f(1)=limx d 1 x‹-1x-1 =limx d 1 (x-1)(x€+x+1)x-1 =limx d 1(x€+x+1)=3

2

-1

7 |해결 전략 | 함수 y=f(x)의 그래프가 끊어져 있는 점의 x의 값에서 f(x)의 극 한값을 조사한다. 1 lim x d -1- f(x)=2, lim x d -1+ f(x)=0이므로 lim x d -1- f(x)+ lim x d -1+ f(x) 따라서 lim x d -1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에 서 불연속이다. 2 lim x d 0- f(x)=-1, lim x d 0+ f(x)=1이므로 lim x d 0- f(x)+ lim x d 0+ f(x) 따라서 lim x d 0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3 lim x d 1- f(x)=0, lim x d 1+ f(x)=-1이므로 lim x d 1- f(x)+ lim x d 1+ f(x) 따라서 lim x d 1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0); 꼴의 극한

(18)

4 x=2에서의 함숫값은 f(2)=-2 lim x d 2- f(x)=-1, lim x d 2+ f(x)=-1이므로 lim x d 2 f(x)=-1 따라서 lim x d 2 f(x)+f(2)이므로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1~4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x의 값은 x=-1, x=0, x=1 이고, 불연속이 되는 x의 값은 x=-1, x=0, x=1, x=2이므로 a=3, b=4 4 a+b=7

2

-2

 ㄴ, ㄷ

|해결 전략 | 함수 y=f(x)의 그래프가 x=a에서 끊어져 있으면 f(x)는 x=a 에서 불연속이다. ㄱ. lim x d -1- f(x)=2, lim x d -1+ f(x)=1이므로 lim x d -1- f(x)+ lim x d -1+ f(x) 즉, lim x d -1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ㄴ, ㄷ. 1 ㄱ에서 lim x d -1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2 lim x d 0- f(x)=1, lim x d 0+ f(x)=0이므로 lim x d 0- f(x)+ lim x d 0+ f(x) 따라서 lim x d 0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0에 서 불연속이다. 3 x=1에서의 함숫값은 f(1)=0 lim x d 1- f(x)=-1, lim x d 1+ f(x)=-1이므로 lim x d 1 f(x)=-1 따라서 lim x d 1 f(x)+f(1)이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1, 2, 3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x의 값의 개수는 x=-1, x=0의 2이고, 불연속이 되는 x의 값의 개수는 x=-1, x=0, x=1의 3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3

-1

 ㄱ |해결 전략 |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합성함수 f(g(x))가 x=a에서 연속 이려면 lim x d a-f(g(x))= lim x d a+f(g(x))=f(g(a))이어야 한다. ㄱ. lim x d 1- f(g(x))= lim g(x) d 1- f(g(x))=-1 ㄴ. lim x d 1- f(x)g(x)=-1_1=-1 lim x d 1+ f(x)g(x)=0_0=0    4 lim x d 1- f(x)g(x)+ lim x d 1+ f(x)g(x) 따라서 lim x d 1 f(x)g(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g(x)x=1에서 불연속이다. ㄷ. lim x d -1- g( f(x))=g(0)=0 lim x d -1+ g( f(x))=g(-1)=0 4 lim x d -1 g( f(x))=0 이때, g( f(-1))=g(-1)=0이므로 lim x d -1 g( f(x))=g( f(-1)) 즉, 함수 g( f(x))는 x=-1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3

-2

 ㄴ, ㄷ |해결 전략 | x=0에서의 좌극한과 우극한이 같은지 조사한 후 함숫값과 비교 한다. ㄱ. lim x d 0- { f(x)+g(x)}=-1+0=-1 lim x d 0+ { f(x)+g(x)}=1+0=1 4 lim x d 0- { f(x)+g(x)}+ lim x d 0+ { f(x)+g(x)} 따라서 lim x d 0{ f(x)+g(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ㄴ. lim x d 0- f(x)g(x)=-1_0=0 lim x d 0+ f(x)g(x)=1_0=0 4 lim x d 0 f(x)g(x)=0 이때, f(0)g(0)=0_0=0이므로 lim x d 0 f(x)g(x)=f(0)g(0) 즉, 함수 f(x)g(x)는 x=0에서 연속이다. ㄷ. lim x d 0- g( f(x))=g(-1)=0 lim x d 0+ g( f(x))=g(1)=0 4 lim x d 0 g( f(x))=0 이때, g( f(0))=g(0)=0이므로 lim x d 0 g( f(x))=g( f(0)) 즉, 함수 g( f(x))는 x=0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x=0에서 연속함수인 것은 ㄴ, ㄷ이다.

4

-1

 ;2%; |해결 전략 | lim x d 2- f(x)g(x)= limx d 2+ f(x)g(x)=f(2)g(2)를 만족시키는 a의 값을 구한다. 함수 f(x)g(x)가 x=2에서 연속이려면 lim x d 2- f(x)g(x)= lim x d 2+ f(x)g(x)=f(2)g(2)이어야 한다. 이때, lim x d 2- f(x)g(x)= lim x d 2-(-x€+1)(x€-ax+1)=-3(5-2a) lim x d 2+ f(x)g(x)= lim x d 2+(-x+1)(x€-ax+1)=-(5-2a) f(2)g(2)=-(5-2a)

(19)

이므로 -3(5-2a)=-(5-2a) 4 a=;2%;

4

-2

-;2!; |해결 전략 | lim x d 1-g(x) f(x)=x d 1+lim g(x) f(x)= g(1)f(1)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을 구 한다. 함수 g(x) f(x)x=1에서 연속이려면 lim x d 1-g(x) f(x)= limx d 1+ g(x) f(x)= g(1)f(1)이어야 한다. 이때, lim x d 1-g(x) f(x)= limx d 1-(-x+a)=-1+a lim x d 1+ g(x) f(x)= limx d 1+(-2x-a)=-2-a g(1) f(1)=-2-a 이므로 -1+a=-2-a 4 a=-;2!;

5

-1

2 |해결 전략 | 함수 f(x)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면 x=-1, x=1에서 연속이어 야 한다. f(x)=[ x€+ax+b (|x|<1)x+3 (|x|>1) =

[

x+3 (x>1) x€+ax+b (-1<x<1) x+3 (x<-1)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1, x=1에서도 연 속이다.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x d -1-(x+3)= limx d -1+(x€+ax+b)=f(-1) -1+3=1-a+b 4 a-b=-1 yy㉠ 또,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x d 1-(x€+ax+b)= limx d 1+(x+3)=f(1) 1+a+b=1+3 4 a+b=3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4 ab=2

5

-2

g(x)=x€-1 |해결 전략 | g(x)=x€+ax+b (a, b는 상수)라 하고 함수 f(x)g(x)를 구한 다. g(x)=x€+ax+b (a, b는 상수)라 하면 f(x)g(x)=[ -x€-ax-b (|x|>1) x€+ax+b (|x|<1) =

[

-x€-ax-b (x>1) x€+ax+b (-1<x<1) -x€-ax-b (x<-1) 함수 f(x)g(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1, x=1에서 도 연속이다.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x d -1-(-x€-ax-b)= lim x d -1+(x€+ax+b)=f(-1)g(-1)

-1+a-b=1-a+b

4 a-b=1 ……㉠

또,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x d 1-(x€+ax+b)= lim x d 1+(-x€-ax-b)=f(1)g(1)

1+a+b=-1-a-b 4 a+b=-1 ……㉡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1 4 g(x)=x€-1

6

-1

0 |해결 전략 | 함수 f(x)=[ g(x) (x+a) k (x=a) (k는 상수)가 x=a에서 연속이면 lim x d ag(x)=k임을 이용한다. 함수 f(x)가 x=b에서 연속이므로 lim x d b f(x)=f(b) 4 lim x d bx€-3x+ax-b =5 ……㉠ ㉠에서 lim x d b(x-b)=0이므로 lim x d b(x€-3x+a)=b€-3b+a=0 4 a=-b€+3b ……㉡ ㉡을 ㉠에 대입하면 lim x d b x€-3x-b€+3b x-b =lim x d b (x-b)(x+b-3) x-b =lim x d b(x+b-3) =2b-3=5 4 b=4 b=4를 ㉡에 대입하면 a=-4 4 a+b=-4+4=0

6

-2

 ;4&; |해결 전략 | 함수 f(x)=[ g(x) (x+a) k (x=a) (k는 상수)가 x=a에서 연속이면 lim x d ag(x)=k임을 이용한다.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 d 0이므로 (분자) d 0이다.

참조

관련 문서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제1 사 분면을 지나지 않으려면 오른쪽

이때 함수의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려면 그래프는.

서로 다른 클래스 객체들 사이의 대입 상속 관계인 객체와 포인터의 관계 가상 함수.. 가상

생성자와 소멸자의 호출 순서 디폴트 생성자와 디폴트 소멸자 멤버 초기화. 멤버

부울 함수의 간소화.

함수에 사칙 연산과 합성 연산을 적용하는 방법을

기함수는 x에서의 함수값과 –x에서의 함수값의 부호가 반대 à 원점에 대칭.. 2차 함수의 그래프와

함수의 극한과 연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