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답과 해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정답과 해설"

Copied!
6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답과 해설

Ⅰ . 함수의 극한과 연속 

2

. 미분 

17

. 적분 

47

(2)

1

-1 ⑴ limx Ú 0- f(x)=1

⑵ lim

x Ú 2- f(x)=3

⑶ lim

x Ú 2+ f(x)=0

⑷ lim

x Ú 10+ f(x)=0

1

-2 ⑴ limx Ú 0- f(x)=1

⑵ lim

x Ú 1- f(x)=0

⑶ lim

x Ú 1+ f(x)=1

⑷ lim

x Ú 3+ f(x)=3

2

-1 ⑴ limx Ú -1 f(x)=1

⑵ lim

x Ú 1- f(x)=-1, lim

x Ú 1+ f(x)=1이므로

lim

x Ú 1- f(x)+ lim

x Ú 1+ f(x) 따라서 lim

x Ú 1 f(x)는 존재하지 않는다.

2

-2 ⑴ limx Ú 1 f(x)=2

⑵ lim

x Ú 2- f(x)=1, lim

x Ú 2+ f(x)=0이므로 lim

x Ú 2- f(x)+ lim

x Ú 2+ f(x) 따라서 lim

x Ú 2 f(x)는 존재하지 않는다.

3

-1 ⑴ f(x)=;[%;로 놓으면 함수

x y=f{x}

y

O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한 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0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x Ú ¦ ;[%;=0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01 함수의 극한

교과서 개념

확인 테스트

본문 10~11 쪽

1

1 -1 ⑴ 1 ⑵ 3 ⑶ 0 ⑷ 0 1 -2 ⑴ 1 ⑵ 0 ⑶ 1 ⑷ 3 2 -1 ⑴ 1 ⑵ 존재하지 않는다.

2 -2 ⑴ 2 ⑵ 존재하지 않는다.

3 -1 ⑴ 0 ⑵ -¦ 3 -2 ⑴ 0 ⑵ ¦ 4 -1 12 4 -2 ⑴ 21 ⑵ 10 5 -1 ⑴ 2 ⑵ ;4!; 5 -2 ⑴ 2 ⑵ ;4!;

6 -1 1 6 -2 ;3!;

⑵ f(x)=112x+12 -x로 놓으

x y

O y=f{x}

면 함수 y=f(x)의 그래프 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 이 한없이 커지므로

x limÚ ¦{112x+12 -x}=-¦

3

-2 ⑴ f(x)=112x+23 으로 놓으면

x y

O -2 y=f{x}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 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 므로

lim

x Ú ¦ 112x+23 =0

f(x)=2x2-10으로 놓으

-10

y=f{x}

x y

O

면 함수 y=f(x)의 그래프 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 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lim

x Ú -¦(2x2-10)=¦

4

-1 lim x Ú -2{3 f(x)-2 g(x)}

= lim

x Ú -23 f(x)- lim

x Ú -22 g(x)

=3 lim

x Ú -2 f(x)-2 lim

x Ú -2 g(x)

=3_2-2_(-3)=12

4

-2 ⑴ limx Ú 1{5 f(x)-4}=lim

x Ú 15 f(x)-lim

x Ú 14

=5 lim

x Ú 1 f(x)-4

=5_5-4=21

⑵ lim

x Ú 1{ f(x)g(x)}=limx Ú 1 f(x)lim

x Ú 1 g(x)

=5_2=10

5

-1 ⑴ limx Ú 11125xx-12-1 =lim

x Ú 1

(x+1)(x-1) 1121111x-1

=limx Ú 1(x+1)=2

⑵ lim

x Ú 0

'Äx+4-2 11211x =lim

x Ú 0

('Äx+4-2)('Äx+4+2) 11211111111x('Äx+4+2)

=limx Ú 0

1121112x('Äx+4+2)x

=limx Ú 0

112123'Äx+4+21 =;4!;

2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3)

1

-1 ⑴ limx Ú 1- f(x)=1

⑵ lim

x Ú 2+ f(x)=0

1

-2 ⑴ lim x Ú 1- f(x)=2

⑵ lim

x Ú 2+ f(x)=2, lim

x Ú 3- f(x)=2이므로 lim

x Ú 2+ f(x)+ lim

x Ú 3- f(x)=4 기출

기초 테스트

2

본문 12~15 쪽

1 -1 ⑴ 1 ⑵ 0 1 -2 ⑴ 2 ⑵ 4 2 -1 ⑴ -1 ⑵ -3 2 -2 ⑴ 2 ⑵ 2 3 -1 존재하지 않는다. 3 -2 2 4 -1 ⑴ 2 ⑵ 0 4 -2 ⑴ 0 ⑵ 2 5 -1 ⑴ 10 ⑵ 8 5 -2 13 6 -1 ⑴ -12 ⑵ -2 6 -2 ⑴ 15 ⑵ 1 7 -1 ⑴ -6 ⑵ -5 7 -2 ⑴ 3 ⑵ -;3@;

8 -1 ⑴ ;2!; ⑵ ;4!; 8 -2 ⑴ ;4!; ⑵ -8 9 -1 ⑴ 2 ⑵ 1 9 -2 ⑴ 2 ⑵ 3 10 -1 a=3, b=2

10 -2 ⑴ a=3, b=2 ⑵ a=-2, b=3

11 -1 a=-1, b=;2!; 11 -2 a=3, b=4 12 -1 ;2!; 12 -2 ;5!;

2

-1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x y

-2 O -1 -3

y=f{x}

른쪽 그림과 같다.

⑴ lim

x Ú -2- f(x)=-1

⑵ lim

x Ú -2+ f(x)=-3

2

-2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x y=f{x}

y 2

O 1

른쪽 그림과 같다.

⑴ lim

x Ú 1- f(x)=2

⑵ lim

x Ú 1+ f(x)=2

3

-1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x y=f{x}

y 1

-1 O 1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 limÚ 1- f(x)=-1,

x Ú 1+lim f(x)=1

∴ lim

x Ú 1- f(x)+ lim

x Ú 1+ f(x) 따라서 lim

x Ú 1 f(x)는 존재하지 않는다.

3

-2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x O

y 2 1

1 y=f{x}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 limÚ 1- f(x)=2,

x limÚ 1+ f(x)=2

∴ lim

x Ú 1 f(x)=2

4

-1f(x)=;[!;+2로 놓으면

O x 2 y

y=f{x}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으므로 lim

x Ú¦{;[!;+2}=2

⑵ f(x)=11251-x3 으로 놓으면

O x 1 y

y=f{x}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으므로 lim

x Ú -¦

11251-x3 =0

4

-2f(x)=1125x-15 로 놓으면

O x 1 y

y=f{x}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으므로

x lim Ú -¦

1125x-15 =0

⑵ f(x)=1125x+31 +2로 놓으면

O x 2 -3

y

y=f{x}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으므로

x limÚ ¦{1125x+31 +2}=2

5

-2 ⑴ limx Ú 21121xx22-2x-4 =lim

x Ú 2

(x+2)(x-2) 1121111x(x-2)

=limx Ú 2

112x+2 x =2

⑵ lim

x Ú 1

'Äx+3-2 112113x-1

=limx Ú 1

('Äx+3-2)('Äx+3+2) 112111111113(x-1)('Äx+3+2)

=limx Ú 1

112111111(x-1)('Äx+3+2)x-1

=limx Ú 1

112123'Äx+3+21 =;4!;

6

-1 limx Ú 1(2x-1)=limx Ú 1 x2=1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 소 관계에 의하여 lim

x Ú 1 f(x)=1

6

-2 limx Ú ¦11223x+2x+1 = lim

x Ú ¦

11223x+1x+1 =;3!;이므로 함수의 극한 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x Ú ¦lim f(x)=;3!;

(4)

5

-1 ⑴ limx Ú 2 5 f(x)=5 lim

x Ú 2 f(x)=5_2=10

⑵ lim

x Ú 2{ f(x)-2 g(x)}=limx Ú 2 f(x)-2 lim

x Ú 2 g(x)

=2-2_(-3)=8

5

-2 limx Ú 1111142 f(x)+3g(x)-1 =lim

x Ú 1{2 f(x)+3}

11111123lim

x Ú 1{ g(x)-1}

=2 lim

x Ú 1 f(x)+3 111111lim

x Ú 1 g(x)-1

=11124 2_5+32-1 =13

6

-1 ⑴ limx Ú 1{(x+5)(x2-3)}=(1+5)(1-3)=-12

⑵ lim

x Ú 0

111 5x-6x2+3=122 -63 =-2

6

-2 ⑴ limx Ú 2{(x2-1)(x2+1)}=(22-1)(22+1)=15

⑵ lim

x Ú -1

111 2x+4x2+1=11112 (-1)-2+4 2+1 =1

7

-1 ⑴ limx Ú -2 11111 x2-2x-8x+2 = lim

x Ú -2

(x+2)(x-4) 1111112 x+2

= lim

x Ú -2(x-4)=-6

⑵ lim

x Ú -1

x2-3x-4 11111 x+1 = lim

x Ú -1

(x+1)(x-4) 1111112 x+1

= lim

x Ú -1 (x-4)=-5

7

-2 ⑴ limx Ú 211111 x2-x-2x-2 =lim

x Ú 2

(x+1)(x-2) 1111112 x-2

=limx Ú 2(x+1)=3

⑵ lim

x Ú -1

x2-1 111 x3+1= lim

x Ú -1

(x+1)(x-1) 111111112 (x+1)(x2-x+1)

= lim

x Ú -1

11112 x2-x+1x-1 =-;3@;

8

-1 ⑴ lim x Ú 1 111 'x-1 x-1 =lim

x Ú 1

('x-1)('x+1) 111111125 (x-1)('x+1)

=lim

x Ú 1

111111225 (x-1)(x-1'x+1)

=lim

x Ú 1

1122 'x+11 =;2!;

⑵ lim

x Ú 2

'Äx+2-2 111125 x-2

=lim

x Ú 2

('Äx+2-2)('Äx+2+2) 1111251111124 (x-2)('Äx+2+2)

=lim

x Ú 2

1111251111 (x-2)('Äx+2+2)x-2

=lim

x Ú 2

111125 'Äx+2+21 =;4!;

8

-2 ⑴ lim x Ú 4 1115 'x-2 x-4 =lim

x Ú 4

('x-2)('x+2) 11111112 (x-4)('x+2)

=lim

x Ú 4

11111113 (x-4)(x-4'x+2)

=lim

x Ú 4

111 'x+21 =;4!;

⑵ lim

x Ú -1

x2-1 111125 'Äx+5-2

= lim

x Ú -1

(x2-1)('Äx+5+2) 111111111123 ('Äx+5-2)('Äx+5+2)

= lim

x Ú -1

(x+1)(x-1)('Äx+5+2) 111111111111 x+1

= lim

x Ú -1 {(x-1)('Äx+5+2)}

=-8

9

-1 ⑴ lim x Ú ¦1111 4x2x2+3x2+3 = lim

x Ú ¦

4+;[#;

1112 2+13 x32

=2

⑵ lim

x Ú ¦("Ãx2+x-"Ãx2-x)

= lim

x Ú ¦

("Ãx2+x-"Ãx2-x)("Ãx2+x+"Ãx2-x) 1111111111111111 "Ãx2+x+"Ãx2-x

= lim

x Ú ¦

11111111 "Ãx2+x+2x"Ãx2-x

= lim

x Ú ¦

11111111 2

®É1+;[!;+®É1-;[!;=1

9

-2 ⑴ lim x Ú ¦1111122 10x5x2+3x-72+2 = lim

x Ú ¦

10+;[#;- 713 x2 111111

5+13 x22

=2

⑵ lim

x Ú ¦("Ãx2+4x-"Ãx2-2x)

= lim

x Ú ¦

("Ãx2+4x-"Ãx2-2x)("Ãx2+4x+"Ãx2-2x) 11111111111111112 "Ãx2+4x+"Ãx2-2x

= lim

x Ú ¦

111111112 "Ãx2+4x+"Ãx6x 2-2x

= lim

x Ú ¦

111111112 6

®É1+;[$;+®É1-;[@; =3

10

-1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 로 (분자) Ú 0이다.

즉 lim

x Ú -1 (x2+ax+b)=0이므로 1-a+b=0

∴ b=a-1

b=a-1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 limÚ -1

x2+ax+a-1 1111112 x+1 = lim

x Ú -1

(x+1)(x+a-1) 111111113 x+1

= lim

x Ú -1(x+a-1)

=a-2 a-2=1이므로 a=3, b=2

4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5)

10

-2 ⑴ x Ú -2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 하므로 (분자) Ú 0이다.

즉 lim

x Ú -2(x2+ax+b)=0이므로 4-2a+b=0

∴ b=2a-4

b=2a-4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 lim Ú -2

x2+ax+2a-4 1111111 x+2

= lim

x Ú -2

(x+2)(x+a-2) 11111111 x+2

= lim

x Ú -2 (x+a-2)=a-4 a-4=-1이므로 a=3, b=2

x Ú 2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 로 (분자) Ú 0이다.

즉 lim

x Ú 2(x2-x+a)=0이므로 4-2+a=0

∴ a=-2

a=-2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b=lim

x Ú 2

x2-x-2 11112 x-2

=limx Ú 2

(x+1)(x-2) 1111112 x-2

=lim

x Ú 2(x+1)=3

11

-1 x Ú 2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즉 lim

x Ú 2('Äx+a-1)=0이므로 'Ä2+a-1=0

∴ a=-1

a=-1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b=lim

x Ú 2

'Äx-1-1 11112 x-2

=limx Ú 2

('Äx-1-1)('Äx-1+1) 11111111112 (x-2)('Äx-1+1)

=limx Ú 2

111111112 (x-2)(x-2'Äx-1+1)

=limx Ú 2

11112 'Äx-1+11 =;2!;

11

-2 x Ú 1일 때 (분자) Ú 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 재하므로 (분모) Ú 0이다.

즉 lim

x Ú 1('Äx+a-2)=0이므로 'Ä1+a-2=0

∴ a=3

a=3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b=lim

x Ú 1

11112 'Äx+3-2x-1

=limx Ú 1

(x-1)('Äx+3+2) 11111111112 ('Äx+3-2)('Äx+3+2)

=limx Ú 1

(x-1)('Äx+3+2) 1111111123 x-1

=limx Ú 1('Äx+3+2)=4

01

limx Ú 1- f(x)=2, lim

x Ú 2+ f(x)=0이므로

x Ú 1-lim f(x)+ lim

x Ú 2+ f(x)=2+0=2

02

⑴ limx Ú -1- f(x)=a+1에서 a+1=3 ∴ a=2

⑵ lim

x Ú -1+ f(x)=a-1=2-1=1

03

limx Ú 1- f(x)=0, lim

x Ú 1+ f(x)=0, lim

x Ú 1+ g(x)=1이므로

x limÚ 1- f(x)+ lim

x Ú 1+ { f(x)g(x)}

= lim

x Ú 1- f(x)+ lim

x Ú 1+ f(x) lim

x Ú 1+ g(x)

=0+0_1=0

04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1 O 1 3 y

y=f{x}

x

쪽 그림과 같으므로

x Ú -1- lim f(x)=1,

x Ú -1+lim f(x)=3

∴ lim

x Ú -1- f(x)+ lim

x Ú -1+ f(x)

=1+3=4 교과서

기본 테스트

3

본문 16~19 쪽

01 ② 02 ⑴ 2 ⑵ 1 03 ③ 04 4 05 ③ 06 ⑴ ¦ ⑵ -¦ 07 ④ 08 ④ 09 b<c<a 10 ⑴ 8 ⑵ 0 11 11 12 ⑴ 4 ⑵ -6 13 ⑤ 14 a=3, b=;6!;

15 1 16 ① 17 5 18 5 19 -2 20 ② 21 2 22 a=-1, b=3

23 f(x)=2x(x+1)

12

-1 limx Ú ¦1112 x2x2+2x2+2= lim

x Ú ¦

x2+4x+1

111212 2x2+1 =;2!;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x lim Ú ¦ f(x)=;2!;

12

-2 limx Ú ¦1112 5xx2+x2+3= lim

x Ú ¦

x2+3x+1

111212 5x2+2 =;5!;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x lim Ú ¦ f(x)=;5!;

(6)

05

f(x)=à-x+1x-1 (x<-1)(x>-1)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x y

-1 O

2

-2 y=f{x}

쪽 그림과 같으므로 a= lim

x Ú -1- f(x)=2, b= lim

x Ú -1+ f(x)=-2

∴ a+2b=2-4=-2

06

f(x)=|x-1|111 2 로 놓으면

f(x)=

( { 9

-113x-12 113x-12

(x<1) (x>1) 함수 y=f(x)의 그래프는

O 1 x y

y=f{x}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limx Ú 1

111 2

|x-1|=¦

⑵ f(x)=5-15 x12로 놓으면

x 5 y

y=f{x}

O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limx Ú 0{5-15 x12}=-¦

07

limx Ú 1111 'x-1x2-1=limx Ú 1111111132 ((x'x-1)('x+1)2-1)('x+1)

=limx Ú 1

(x+1)(x-1)('x+1) 11111111113x-1

=limx Ú 1{(x+1)('x+1)}=4

08

limx Ú -111112 x2x-x-22-1 = limx Ú -11111113 (x+1)(x-1) (x+1)(x-2)

= lim

x Ú -1

x-1 112 x-2 =;3@;

09

a=limx Ú 1(x+1)=1+1=2 b= lim

x Ú -1

x2-1 111 x+1 = lim

x Ú -1

(x+1)(x-1) 1111113 x+1

= lim

x Ú -1(x-1)=-2

c= lim

x Ú ¦

111 x+31 =0

∴ b<c<a

10

⑴ limx Ú ¦ 11111112 (2x+1)(4x-1) x2-x+5 =lim

x Ú ¦

8x2+2x-1 111112 x2-x+5

=lim

x Ú ¦

8+;[@;- 113 x2 111112

1-;[!;+ 513 x2

=8

⑵ lim

x Ú ¦

2x+1 1112 3x2+5=lim

x Ú ¦

;[@;+ 113 x2 1111

3+13 x52

=0

11

limx Ú ¦ (Á°9x2+x-Á°9x2-4x)

= lim

x Ú ¦

(Á°9x2+x-Á°9x2-4x)(Á°9x2+x+Á°9x2-4x) 111211111111111111

Á°9x2+x+Á°9x2-4x

= lim

x Ú ¦

1111111113 5x Á°9x2+x+Á°9x2-4x

= lim

x Ú ¦

111111112 5

®É9+;[!;+®É9-;[$; t=;6%;

따라서 p=6, q=5이므로 p+q=11

12

⑴ limx Ú 0{ f(x)+2 g(x)}

=limx Ú 0 f(x)+lim

x Ú 0 2 g(x)

=limx Ú 0 f(x)+2 lim

x Ú 0 g(x)

=-2+2_3=4

⑵ lim

x Ú 0 { f(x)g(x)}=limx Ú 0 f(x)lim

x Ú 0 g(x)

=-2_3=-6

13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즉 lim

x Ú 1(x2+ax+b)=0이므로 1+a+b=0

∴ b=-a-1

b=-a-1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limx Ú 1

x2+ax+b 111122 x-1 =lim

x Ú 1

x2+ax-a-1 1111211 x-1

=limx Ú 1

(x-1)(x+a+1) 111121112 x-1

=limx Ú 1(x+a+1)=a+2 a+2=5이므로 a=3, b=-4

∴ a2+b2=9+16=25

14

x Ú 0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즉 lim

x Ú 0('Äx+9-a)=0이므로 3-a=0

∴ a=3

6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

a=3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b=lim

x Ú 0

'Äx+9-3 111123 x

=limx Ú 0

('Äx+9-3)('Äx+9+3) 111121111115

x('Äx+9+3)

=limx Ú 0

11112123 x x('Äx+9+3)

=limx Ú 0

11112 'Äx+9+31 =;6!;

15

limx Ú 0- f(x)= limx Ú 0-(2x2+1)=1

x limÚ 0+ f(x)= lim

x Ú 0+k=k 이때 lim

x Ú 0 f(x)가 존재하려면

x limÚ 0- f(x)= lim

x Ú 0+ f(x)이어야 하므로 k=1

16

limx Ú 1- f(x)= limx Ú 1- (x2-3x+2)=0

x limÚ 1+ f(x)= lim

x Ú 1+(-x+k)=k-1 이때 lim

x Ú 1 f(x)가 존재하려면

x limÚ 1- f(x)= lim

x Ú 1+ f(x)이어야 하므로 0=k-1 ∴ k=1

17

limx Ú ¦{5-;[!;}=limx Ú ¦{5+;[!;}=5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x limÚ ¦ f(x)=5

18

x>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을 x로 나누면 5x+2

111 x É f(x) 1123 x É 5x+3 111 x

x limÚ ¦

5x+2 111 x = lim

x Ú ¦

5x+3

111 x =5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x limÚ ¦

112 f(x)x =5

19

x Ú -¦lim f(x)=1, 즉 lim

x Ú -¦{112 x+a1 +b}=1이므로 b=1

x=3에서의 극한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x limÚ 3- f(x)+ lim

x Ú 3+ f(x)

따라서 a=-3이므로 a+b=-2

20

4 f(x)-2 g(x)=h(x)로 놓으면 g(x)=111111 4 f(x)-h(x) 2 이고 lim

x Ú ¦h(x)=1이다.

∴ lim

x Ú ¦

f(x)+3 g(x) 11111125 9 f(x)-5 g(x)

= lim

x Ú ¦

f(x)+3_1111114 f(x)-h(x)2 1111112111123 9 f(x)-5_1111114 f(x)-h(x)2

= lim

x Ú ¦

14 f(x)-3 h(x) 11111112 -2 f(x)+5 h(x)

= lim

x Ú ¦

14-3_112 h(x)f(x) 11111125 -2+5_112 h(x)f(x)

=-7 {∵ limx Ú ¦112 h(x)f(x)=0}

21

lim x Ú 011112 'Äx+1-1x =lim x Ú 0111111111123 ('Äx+1-1)('Äx+1+1)x('Äx+1+1)

=lim

x Ú 0

x('Äx+1+1) 1111115 x

=lim

x Ú 0('Äx+1+1)=2

22

x Ú 2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즉 lim

x Ú 2(x2+ax-2)=0이므로 4+2a-2=0

∴ a=-1

a=-1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b=lim

x Ú 2

x2-x-2 11111 x2-3x+2

=limx Ú 2

(x+1)(x-2) 11111123 (x-1)(x-2)

=limx Ú 2

1125 x+1 x-1=3

23

limx Ú ¦111112 2x2+3x-1f(x) =1에서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2인 이차식이다.

limx Ú 0

f(x)

112 x =2에서 x Ú 0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 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f(0)=0

f(x)=2x(x+a) (a는 상수)로 놓을 수 있으므로 limx Ú 0

f(x) 112 x =lim

x Ú 0

2x(x+a) 111125 x

=limx Ú 0 2(x+a)=2a 2a=2이므로 a=1

∴ f(x)=2x(x+1)

(8)

1

-1 ⑴ limx Ú -2 f(x)=f(-2)=0

이므로 f(x)는 x=-2에서 연속이다.

⑵ lim

x Ú 0 f(x)=f(0)=2

이므로 f(x)는 x=0에서 연속이다.

⑶ lim

x Ú 2 f(x)=4, f(2)=2이므로 limx Ú 2 f(x)+f(2)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1

-2 ⑴ limx Ú 0 f(x)=limx Ú 0(x2+1)=1, f(0)=1에서 limx Ú 0 f(x)=f(0)이므로 f(x)는 x=0에서 연속 이다.

⑵ lim

x Ú 1 f(x)=lim

x Ú 1(x2+1)=2, f(1)=0에서

limx Ú 1 f(x)+f(1)이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

이다.

2

-1 ⑴ [-2, 3] ⑵ [1, 5)

⑶ (-5, 2] ⑷ (4, ¦)

2

-2 ㄱ. [-2, 1] ㄴ. [-2, ¦) 따라서 서로 같은 것은 ㄱ과 ㄹ, ㄴ과 ㄷ이다.

3

-1 ⑴ 함수 y='Äx+1 은 x¾-1,

즉 반닫힌 구간 [-1, ¦)에서 연속이다.

⑵ 함수 y=131x-3x 는 x+3인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3), (3, ¦)에서 연속이다.

3

-2 ⑴ 함수 y="Ãx2+1 은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에서 연속이다.

교과서 개념

확인 테스트

본문 24~25 쪽

1

1 -1 ⑴ 연속 ⑵ 연속 ⑶ 불연속 1 -2 ⑴ 연속 ⑵ 불연속

2 -1 ⑴ [-2, 3] ⑵ [1, 5) ⑶ (-5, 2] ⑷ (4, ¦) 2 -2 ㄱ과 ㄹ, ㄴ과 ㄷ

3 -1 ⑴ [-1, ¦) ⑵ (-¦, 3), (3, ¦)

3 -2 ⑴ (-¦, ¦) ⑵ (-¦, -2), (-2, 2), (2, ¦) 4 -1 ⑴ (-¦, ¦) ⑵ (-¦, 1), (1, ¦)

4 -2 ⑴ (-¦, ¦) ⑵ (-¦, ¦)

5 -1 ⑴ 최댓값: 1, 최솟값: 0 ⑵ 최댓값: 1, 최솟값: 없다.

5 -2 ⑴ 최댓값: 4, 최솟값: 0 ⑵ 최댓값: 2, 최솟값: ;4%;

6 -1 연속, >, 사잇값의 정리 6 -2 연속, <, 하나

02 함수의 연속

1

⑴ 감소한다.

⑵ lim

r Ú ¦F=lim

r Ú ¦G 113 Mmr2 =0

F=G 113 Mmr2 에서 r가 감소함에 따라 F가 증가하므 로 만유인력의 크기는 증가한다.

2

⑴ I(1)=4

⑵ lim

t Ú 8-I(t)=4

⑶ lim

t Ú 8+I(t)=0이므로 lim

t Ú 8-I(t)+ lim

t Ú 8+I(t) 따라서 lim

t Ú 8I(t)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3

⑴ P>0, V>0이므로 k>0

O V P

P= k1V

따라서 P=15 Vk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⑵ 일정한 온도에서 풍선이 높이 올라가면 압력은 낮아 지므로 부피가 커진다. 따라서 풍선의 크기는 커진다.

⑶ 높이가 올라갈수록 풍선의 크기가 점점 커지다가 일 정한 높이에서 풍선이 더 이상 팽창을 견디지 못해서 터진다.

4

⑴ ㉢

⑵ lim

x Ú ¦

111 x

;[!;-1+ lim

x Ú ¦ (-x)

⑶ lim

x Ú ¦ {111 1-xx2 +x}= limx Ú ¦ 1111125 x2+(x-x1-x 2)

= lim

x Ú ¦

1125 1-xx

= lim

x Ú ¦

111 1

;[!;-1=-1 1 ⑴ 감소한다. ⑵ 0 ⑶ 증가한다.

2 ⑴ 4 ⑵ 4 ⑶ 존재하지 않는다.

3 ⑴ 풀이 참조 ⑵ 커진다. ⑶ 풀이 참조 4 ⑴ ㉢ ⑵ 풀이 참조 ⑶ -1, 풀이 참조

창의력·융합형·서술형·코딩

본문 20~21 쪽

8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9)

⑵ y=1123x2-4x =1311111(x-2)(x+2)x

함수 y=1123x2x-4 는 x+-2, x+2인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2), (-2, 2), (2, ¦)에서 연속이다.

4

-1f(x)g(x)=(x2+2)(x-1)에서 두 함수 x2+2, x-1이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g(x)는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 에서 연속이다.

⑵ 112g(x)f(x)=1312xx-12+2

함수 112g(x)f(x) 는 x+1인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1), (1, ¦)에서 연속이다.

4

-2f(x)+2g(x) =x+1+2(x2+1)

=2x2+x+3

이므로 함수 f(x)+2g(x)는 모든 실수, 즉 열린 구간 (-¦, ¦)에서 연속이다.

⑵ 112g(x)f(x)=1312xx+12+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1+0이므로 함수 112f(x)g(x) 는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에서 연속이다.

5

-1 ⑴ f(x)=-x2+2x=-(x-1)2+1 함수 f(x)=-x2+2x는 y

x 1 2 O

1 y=f{x}

닫힌구간 [0, 2]에서 연속

이고 이 구간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f(x)는 x=1에서 최댓값 f(1)=1, x=0 또는 x=2에서 최솟값 f(0)=f(2)=0을 갖는다.

⑵ 함수 f(x)=1312x+13y

x 2

-1 1

5 O

y=f{x}

;2!;

반닫힌 구간 [2, 5)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함 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f(x)는 x=2에서 최댓값 f(2)=1을 갖고 최솟값은 없다.

5

-2 ⑴ f(x)=x2-2x+1=(x-1)2 함수 f(x)=x2-2x+1은

y

1 x

-1 O 2

1 4

y=f{x}

닫힌구간 [-1, 2]에서 연 속이고 이 구간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f(x)는 x=-1에서 최댓값 f(-1)=4, x=1에서 최솟값 f(1)=0을 갖는다.

⑵ f(x)=1314x-1x =1314x-11 +1 함수 f(x)=1314x-1x 는 닫 y

x 1 2

2

1 5

O

y=f{x}

힌구간 [2, 5]에서 연속 ;4%;

이고 이 구간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f(x)는 x=2에서 최댓값 f(2)=2, x=5 에서 최솟값 f(5)=;4%;를 갖는다.

6

-1 f(x)=x3+3x2-1이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0, 1]에서 연속 이고

f(0)<0, f(1)> 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 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 구간 (0, 1)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방정식 x3+3x2-1=0은 열린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6

-2 f(x)=2x3+x-1이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0, 1]에서 연속 이고

f(0)< 0, f(1)> 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 구간 (0, 1)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방정식 2x3+x-1=0은 열린구간 (0, 1)에서 적 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기출

기초 테스트

2

본문 26~29 쪽

1 -1 ⑴ 연속 ⑵ 불연속 1 -2 ⑴ 불연속 ⑵ 불연속

2 -1 6 2 -2 5

3 -1 ⑴ 연속 ⑵ 불연속 3 -2 ⑴ 연속 ⑵ 불연속 4 -1 연속 4 -2 불연속 5 -1 -3 5 -2 1 6 -1 ⑴ {-¦, ;2#;] ⑵ [-2, 2]

6 -2 ⑴ [2, ¦) ⑵ (-¦, -1), (-1, ¦) 7 -1 ⑴ (-¦, ¦) ⑵ (-¦, -2), (-2, ¦) 7 -2 ⑴ (-¦, ¦) ⑵ (-¦, 1), (1, ¦)

8 -1 ③ 8 -2 ④ 9 -1 -3 9 -2 11 10 -1 최댓값: 2, 최솟값: -2

10 -2 ⑴ 최댓값: 1, 최솟값: -3 ⑵ 최댓값: ;2#;, 최솟값: ;7#;

11 -1 풀이 참조 11 -2 풀이 참조 12 -1 풀이 참조 12 -2 풀이 참조

1

-1 ⑴ limx Ú -1 f(x)=f(-1)=0

이므로 f(x)는 x=-1에서 연속이다.

(10)

⑵ lim

x Ú 0 f(x)=1, f(0)=0이므로 limx Ú 0 f(x)+f(0)

즉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1

-2 ⑴ limx Ú -1- f(x)=0, lim

x Ú -1+ f(x)=2이므로

x Ú -1-lim f(x)+ lim

x Ú -1+ f(x) 즉 lim

x Ú -1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⑵ lim

x Ú 2- f(x)=0, lim

x Ú 2+ f(x)=2이므로

x limÚ 2- f(x)+ lim

x Ú 2+ f(x) 즉 lim

x Ú 2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2에 서 불연속이다.

2

-1 Ú x=-2일 때의 함숫값은 f(-2)=-1 x``Ú`-2일 때의 극한값은

x Ú -2-lim f(x)= lim

x Ú -2+ f(x)=0이므로

x limÚ -2 f(x)=0 따라서 lim

x Ú -2 f(x)+f(-2)이므로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Û x``Ú`-1일 때의 극한값은

x Ú -1-lim f(x)=1, lim

x Ú -1+ f(x)=-1이므로

x Ú -1-lim f(x)+ lim

x Ú -1+ f(x) 따라서 lim

x Ú -1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Ü x``Ú`1일 때의 극한값은

x Ú 1-lim f(x)=-1, lim

x Ú 1+ f(x)=1이므로

x limÚ 1- f(x)+ lim

x Ú 1+ f(x) 따라서 lim

x Ú 1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Ý x=2일 때의 함숫값은 f(2)=-1 x``Ú`2일 때의 극한값은

x Ú 2-lim f(x)= lim

x Ú 2+ f(x)=0이므로

limx Ú 2 f(x)=0 따라서 lim

x Ú 2 f(x)+f(2)이므로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Ú~Ý에서 x=-1, x=1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a=2

x=-2, x=-1, x=1, x=2일 때 불연속이므로 b=4

∴ a+b=6

2

-2 Ú x``Ú`-1일 때의 극한값은

x Ú -1-lim f(x)=1, lim

x Ú -1+ f(x)=-1이므로

x Ú -1-lim f(x)+ lim

x Ú -1+ f(x) 따라서 lim

x Ú -1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Û x=0일 때의 함숫값은 f(0)=-1 x``Ú`0일 때의 극한값은

x limÚ 0- f(x)= lim

x Ú 0+ f(x)=0이므로 limx Ú 0 f(x)=0

따라서 lim

x Ú 0 f(x)+f(0)이므로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Ü 함숫값 f(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에 서 불연속이다.

Ú~Ü에서 x=-1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으므 로 a=1

x=1일 때 함숫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b=1 x=-1, x=0, x=1일 때 불연속이므로 c=3

∴ a+b+c=5

3

-1 ⑴ x=2에서의 함숫값은 f(2)=0 x``Ú`2일 때의 극한값은 limx Ú 2 f(x)=lim

x Ú 2 (x-2)=0 따라서 lim

x Ú 2 f(x)=f(2)이므로 f(x)는 x=2에서 연속이다.

⑵ 함숫값 f(2)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2 에서 불연속이다.

3

-2 ⑴ x=1에서의 함숫값은 f(1)=2 x``Ú`1일 때의 극한값은 limx Ú 1 f(x)=lim

x Ú 1 (3x2-x)=2 따라서 lim

x Ú 1 f(x)=f(1)이므로 f(x)는 x=1에서 연속이다.

⑵ 함숫값 f(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 에서 불연속이다.

4

-1 f(2)=2, lim

x Ú 2 f(x)=lim

x Ú 2 {13122xx-2 }2-2x =lim

x Ú 2 x=2 따라서 lim

x Ú 2 f(x)=f(2)이므로 f(x)는 x=2에서 연 속이다.

4

-2 lim

x Ú 2- f(x)= lim

x Ú 2-(1-x)=-1,

x limÚ 2+ f(x)= lim

x Ú 2+(x2-1)=3이므로

x limÚ 2- f(x)+ lim

x Ú 2+ f(x) 따라서 lim

x Ú 2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2 에서 불연속이다.

10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11)

5

-1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x limÚ -1 f(x)=f(-1)이어야 하므로

x limÚ -1

x2-x-2 131221x+1 = lim

x Ú -1

(x+1)(x-2) 13122111x+1

= lim

x Ú -1(x-2)

=-3

∴ a=-3

5

-2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x Ú 1 f(x)=f(1)이어야 하므로 limx Ú 1

a(x2-x) 131221x-1 =lim

x Ú 1

ax(x-1) 1312213x-1

=limx Ú 1 ax

=a

∴ a=1

6

-1 ⑴ 함수 f(x)='Ä3-2x의 정의역은

[x|xÉ;2#;]이므로 구간의 기호로 나타내면 {-¦, ;2#;]

⑵ 함수 f(x)=¿¹4-x2의 정의역은

4-x2¾0, (x+2)(x-2)É0, -2ÉxÉ2에서 {x|-2ÉxÉ2}이므로 구간의 기호로 나타내면 [-2, 2]

6

-2 ⑴ 함수 f(x)='Äx-2의 정의역은 {x|x¾2}이므 로 구간의 기호로 나타내면 [2, ¦)

⑵ 함수 f(x)=1312x+11 의 정의역은

{x|x+-1인 모든 실수}이므로 구간의 기호로 나타내면 (-¦, -1), (-1, ¦)

7

-12f(x)-g(x) =2x2-(x+2)

=2x2-x-2

이므로 함수 2f(x)-g(x)는 모든 실수, 즉 열린 구간 (-¦, ¦)에서 연속이다.

⑵ 112g(x)f(x)=131x+2x2

함수 112g(x)f(x) 는 x+-2인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2), (-2, ¦)에서 연속이다.

7

-2f(x)g(x)=(-x2+1)(x-1)에서 두 함수 -x2+1, x-1이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g(x)는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 에서 연속이다.

⑵ 112g(x)f(x)=13112-xx-12+1

함수 112g(x)f(x) 는 x+1인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1), (1, ¦)에서 연속이다.

8

-1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1 에서도 연속이어야 한다.

즉 lim

x Ú 1 f(x)=f(1)이어야 하므로 limx Ú 1

x2+ax-2

13122134x-1 =b yy ㉠

x``Ú`1일 때 (분모)``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0이다.

즉 lim

x Ú 1 (x2+ax-2)=0이므로 1+a-2=0

∴ a=1 yy ㉡

㉡을 ㉠에 대입하면 b=lim

x Ú 1

x2+x-2 1312214x-1 =lim

x Ú 1

(x-1)(x+2) 13121111x-1 =3

∴ a2+b2=10

8

-2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2 에서도 연속이어야 한다.

즉 lim

x Ú 2 f(x)=f(2)이어야 하므로 limx Ú 2 1312213412x2+ax+a-1x-2 =b yy ㉠

x``Ú`2일 때 (분모)``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0이다.

즉 lim

x Ú 2(x2+ax+a-1)=0이므로

4+2a+a-1=0

∴ a=-1 yy ㉡

㉡을 ㉠에 대입하면 b=lim

x Ú 2

x2-x-2 1312214x-2 =lim

x Ú 2

(x+1)(x-2) 13121111x-2 =3

∴ f(2)+f(3)=3+4=7

9

-1 두 함수 f(x), g(x)가 연속함수이므로 limx Ú 1 f(x)=f(1)=1, lim

x Ú 1 g(x)=g(1)=-2

∴ lim

x Ú 1{ f(x)+2g(x)}=limx Ú 1 f(x)+2 lim

x Ú 1 g(x)

=1+2_(-2)=-3

9

-2 두 함수 f(x), g(x)가 연속함수이므로 limx Ú 0 f(x)=f(0)=1, lim

x Ú 0 g(x)=g(0)=-3

∴ lim

x Ú 0+ f(x)=1, lim

x Ú 0+ g(x)=-3

∴ lim

x Ú 0+{2 f(x)-3 g(x)}

=2 lim

x Ú 0+ f(x)-3 lim

x Ú 0+ g(x)

=2_1-3_(-3)=11

(12)

10

-1 f(x) =-x2+2x+1 y

1 x -1

-2 2 O 2 1

y=f{x}

=-(x-1)2+2 함수 f(x)=-x2+2x+1은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 이고 이 구간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f(x)는 x=1에서 최댓값 f(1)=2, x=-1 에서 최솟값 f(-1)=-2를 갖는다.

10

-2 ⑴ f(x)=x2-4x+1=(x-2)2-3 함수 f(x)=x2-4x+1은 y

4x O 2

1

-3

y=f{x}

닫힌구간 [2, 4]에서 연속 이고 이 구간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f(x)는 x=4에서

최댓값 f(4)=1, x=2에서 최솟값 f(2)=-3을 갖는다.

⑵ 함수 f(x)=131x+23 은 닫힌 y

x

-2 O 5

y=f{x}

;7#; ;2#;

구간 [0, 5]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함수 y=f(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다.

따라서 f(x)는 x=0에서 최댓값 f(0)=;2#;, x=5 에서 최솟값 f(5)=;7#;을 갖는다.

11

-1 함수 f(x)는 닫힌구간 [0, 2]에서 연속이고 f(0)=-1<0, f(2)=1>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 구간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1

-2 함수 f(x)는 닫힌구간 [0, 2]에서 연속이고 f(0)=0, f(2)=2, 즉 f(0)+f(2)이므로

f(0)<1<f(2)인 1에 대하여 f(c)=1인 c가 열린 구간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2

-1 f(x)=x3-2x2-1이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 간 [2, 3]에서 연속이고

f(2)=-1<0, f(3)=8>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 구간 (2,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방정식 x3-2x2-1=0은 열린구간 (2, 3)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교과서

기본 테스트

3

본문 30~33 쪽

01 ① 02 ④ 03 4 04 ;2#; 05 ② 06 ② 07 ② 08 ;2(; 09 a=-2, b=-3 10 ③ 11 ② 12 (-¦, -1), (-1, 2), (2, ¦) 13 ㄱ, ㄴ, ㄷ 14 ② 15 ④

16 ⑴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⑵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17 ㄴ, ㄷ 18 ② 19 4개 20 ④ 21 풀이 참조 22 불연속 23 풀이 참조

01

Ú 함숫값 f(-2)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Û lim

x Ú -1- f(x)=0, lim

x Ú -1+ f(x)=-1이므로

x Ú -1- lim f(x)+ lim

x Ú -1+ f(x) 따라서 lim

x Ú -1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Ü f(2)=1, lim

x Ú 2 f(x)=2이므로

limx Ú 2 f(x)+f(2)

따라서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Ú ~ Ü에서 함수 f(x)가 불연속이 되는 x의 값은 -2, -1, 2이므로 그 합은 -1이다.

02

함수 f(x)=112x+1x-a 은 x=a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f(x)는 x=a에서 불연속이다.

∴ a=2

03

함수 f(x)=11232x+1x+a 은 x=-a에서 정의되지 않으므 로 f(x)는 x=-a에서 불연속이다.

즉 -a=1이므로 a=-1

12

-2 f(x)=x3+3x-1이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 간 [0, 2]에서 연속이고

f(0)=-1<0, f(2)=13>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 구간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방정식 x3+3x-1=0은 열린구간 (0, 2)에서 적 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12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참조

관련 문서

이때 함수의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려면 그래프는.

Mathematics 서술형

서로 다른 클래스 객체들 사이의 대입 상속 관계인 객체와 포인터의 관계 가상 함수.. 가상

생성자와 소멸자의 호출 순서 디폴트 생성자와 디폴트 소멸자 멤버 초기화. 멤버

부울 함수의 간소화.

함수에 사칙 연산과 합성 연산을 적용하는 방법을

기함수는 x에서의 함수값과 –x에서의 함수값의 부호가 반대 à 원점에 대칭.. 2차 함수의 그래프와

여기에서 b와 a는 각각 시스템 함수의 분자와 분모 다항식의 계수이고, x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