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0 셀파 미적분 답지 정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20 셀파 미적분 답지 정답"

Copied!
9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n={;2!;} n-1 의 각 항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수열 {an}은 0 으로 수렴 ⑵ an=-n의 각 항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수열 {an}은 음 의 무한대로 발산

1-1

본문 | 11, 13 쪽 개념 익히기

1.

수열의 극한

lim n Ú`¦an=3, limn Ú`¦bn=-2이므로 ⑴ lim

n Ú`¦(2an+bn) =2 limn Ú`¦an+limn Ú`¦bn =2_3+(-2)=4

⑵ lim

n Ú`¦(3an-bn) =3 limn Ú`¦an-limn Ú`¦bn =3_3-(-2)=11 ⑶ lim n Ú`¦2anbn =2 limn Ú`¦an_limn Ú`¦bn =2_3_(-2)=-12 ⑷ lim n Ú`¦ an 3bn= lim n Ú`¦an 3`lim n Ú`¦bn =3_(-2) =-;2!;3

2-2

⑴ lim

n Ú`¦(3an+2bn) =3`limn Ú`¦an+ 2 limn Ú`¦bn =3_2+2_3= 12

⑵ lim

n Ú`¦(5-2an) =limn Ú`¦5- 2 limn Ú`¦an

= 5 -2_2=1 ⑶ lim n Ú`¦anbn=limn Ú`¦an_limn Ú`¦bn=2_ 3 =6

2-1

⑴ 분모, 분자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인 n 으로 나 누면 limn Ú`¦ 4n+5 3n-1 =limn Ú`¦ 4+;n%; 3-;n!;= 4+lim n Ú`¦;n%; 3-lim n Ú`¦;n!; = 4+  0 3-0 = 4 3 ⑵ lim n Ú`¦("Ãn 2+n-n) =lim n Ú`¦ ("Ãn2+n-n)("Ãn2+n+n) "Ãn2+n+n =lim n Ú`¦ n "Ãn2+n+n =limn Ú`¦ 1 ¾Ð1+;n!;+1= 1 2

3-1

⑴ 분모와 분자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인 n2으로 나누면 lim n Ú`¦ -2n+3 4n2+1 =limn Ú`¦ -;n@;+ 3n2 4+ 1 n2 = lim n Ú`¦{-;n@;}+limn Ú`¦ 3 n2 4+lim n Ú`¦ 1 n2 =0+04+0 =0

3-2

an=2의 각 항을 좌표평면 위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수열 {an}은 2로 수렴 ⑵ 수열 an=(-1)n의 각 항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오른 쪽 그림과 같이 진동하므로 수열 {an}은 발산`(진동)

1-2

O 2 1 2 3 4 5 n aÇ=2 O -1 1 1 3 5 2 4 n aÇ=(-1)Ç ⑷ lim n Ú`¦ 3an2 bn ‌‌= 3 lim n Ú`¦an_limn Ú`¦an lim n Ú`¦bn = 3_2_2 3 =4 O 1 1 1 -2 1 -2 1 -4 2 3 4 5 n aÇ=¦ ¥Ç ÑÚ O -1 -2 -3 -4 -5 1 2 3 4 5 n aÇ=-n

(2)

⑵ lim n Ú`¦ 1 "Ãn2-3n-n =limn Ú`¦ "Ãn2-3n+n ("Ãn2-3n-n)("Ãn2-3n+n) =lim n Ú`¦ "Ãn2-3n+n -3n =lim n Ú`¦ ¾Ð1-;n#;+1 -3 =-;3@; lim n Ú`¦ 3n-1 n-1 = 3 , limn Ú`¦ 3n+4 n-1 = 3 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n Ú`¦an= 3

4-1

lim n Ú`¦ -n n2+1=0, limn Ú`¦ n2n2+1=0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n Ú`¦an=0

4-2

본문 | 14~29 쪽 확인 문제 ⑴ n이 한없이 커질 때, an의 값의 변화 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 과 같다. 따라서 수열 {an}은 발산 (진동)한다. ⑵ n이 한없이 커질 때, an의 값의 변화 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 과 같다. 따라서 수열 {an}은 수렴하고, 그 극 한값은 0이다.n이 한없이 커질 때, an의 값의 변화 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 과 같다. 따라서 수열 {an}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O -1 3 5 -1 1 -2 1 -3 2 4 n n aÇ=1123(-1)Ç O -1 -2 -3 -4 1 2 3 4 5 n aÇ=1-n

0

1-1

셀파 그래프를 이용하여 수열 {an}의 수렴, 발산을 조사한다. O1 1 2 3 4 5 -8 -2 4 16 n aÇ=(-2)Ç ÑÚn이 한없이 커질 때, an의 값의 변화 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 과 같다. 따라서 수열 {an}은 수렴하고, 그 극 한값은 2이다. O 1 2 2 3 5 -2 3 4 5 n aÇ=2+1-n lim n Ú`¦an=-2, limn Ú`¦bn=2이므로 lim n Ú`¦ 2an-bn anbn+1 = lim n Ú`¦(2an-bn) lim n Ú`¦(anbn+1) = 2`lim n Ú`¦an-limn Ú`¦bn lim n Ú`¦an_ limn Ú`¦bn+1 =2_(-2)-2-2_2+1 =2

0

2-1

셀파 limn Ú`¦ an bn= lim n Ú`¦an lim n Ú`¦bn (bn+0, limn Ú`¦bn+0)을 이용한다.

두 수열 {an}, {bn}이 수렴하므로 limn Ú`¦an=a, limn Ú`¦bn=b로 놓으면 lim

n Ú`¦(an+bn)=limn Ú`¦an+limn Ú`¦bn=a+b=-3 lim

n Ú`¦anbn=limn Ú`¦an_limn Ú`¦bn=ab=2 ∴ lim

n Ú`¦(an 2+b

n2) =limn Ú`¦an2+limn Ú`¦bn2

=lim

n Ú`¦an_limn Ú`¦an+limn Ú`¦bn_limn Ú`¦bn =a2+b2=(a+b)2-2ab =(-3)2-2_2=5 | 다른 풀이 | lim n Ú`¦(an+bn)=-3, limn Ú`¦anbn=2이므로 lim n Ú`¦(an 2+b

n2) = limn Ú`¦{(an+bn)2-2anbn}

= limn Ú`¦(an+bn)_ limn Ú`¦(an+bn)-2 limn Ú`¦anbn

=-3_(-3)-2_2=5

0

2-2

셀파 곱셈 공식 x2+y2=(x+y)2-2xy를 이용한다. ⑴ 분모, 분자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n2으로 나누면 lim n Ú`¦ -2n3+3n2-n n2-2 =limn Ú`¦ -2n+3-;n!; 1- 2 n2 = -¦-0 1-0 =-¦ (발산)

0

3-1

셀파 ¦¦ 꼴의 극한값은 분모, 분자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으로 나눈다.

(3)

⑵ 분모, 분자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n2으로 나누면 lim n Ú`¦ (n-1)(n-2) (n+1)(3n+2)=limn Ú`¦ n2-3n+2 3n2+5n+2 =limn Ú`¦ 1-;n#;+ 2n2 3+;n%;+ 2n2 =1-0+03+0+0 =;3!; (수렴) ⑶ n3 12+22+32+ y +n2 = n 3 n(n+1)(2n+1) 6 = 6n2 (n+1)(2n+1) 이므로 분모, 분자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n2으로 나누면 limn Ú`¦ n3 12+22+32+ y +n2 =limn Ú`¦ 6n 2 (n+1)(2n+1) =lim n Ú`¦ 6n2 2n2+3n+1 =lim n Ú`¦ 6 2+;n#;+ 1n2 =2+0+0 =36 (수렴) ⑷ 분모, 분자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n으로 나누면 lim n Ú`¦ 2n2+n "Ãn2-1+'¶3n =limn Ú`¦ 2n+1 ¾Ð1- 1n2+¾Ð;n#; =1+0 ¦ (발산) | 참고 | "Ãn2-1+'§3n n ="Ãn 2-1 n +'§3nn =¾Ðn 2-1 n2 +¾Ð 3nn2 =¾Ð1- 1n2+¾;n#; ⑴ lim n Ú`¦ 1 "Ãn2+3n-n =lim n Ú`¦ "Ãn2+3n+n ("Ãn2+3n-n)("Ãn2+3n+n) =lim n Ú`¦ "Ãn2+3n+n n2+3n-n2=limn Ú`¦ "Ãn2+3n+n 3n =lim n Ú`¦ ¾Ð1+;n#;+1 3 =1+13 =;3@; (수렴)

0

4-1

셀파 무리식을 포함한 경우 ⇨ 분모 또는 분자를 유리화한다. 무리식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 최고차항으로 묶는다. ⑵ lim n Ú`¦(n-"Ãn 2+2n) =lim n Ú`¦ (n-"Ãn2+2n)(n+"Ãn2+2n) n+"Ãn2+2n =lim n Ú`¦ n2-(n2+2n) n+"Ãn2+2n =limn Ú`¦ -2n n+"Ãn2+2n =lim n Ú`¦ -2 1+¾Ð1+;n@;= -2 1+1 =-1 (수렴) ⑶ lim n Ú`¦ 'Än+3-'n 'Än+1-'n =lim n Ú`¦ ('Än+3-'§n )('Än+3+'§n )('Än+1+'§n ) ('Än+1-'§n )('Än+1+'§n )('Än+3+'§n ) =lim n Ú`¦ (n+3-n)('Än+1+'§n ) (n+1-n)('Än+3+'§n ) =3 lim n Ú`¦ 'Än+1+'§n 'Än+3+'§n=3 limn Ú`¦ ¾Ð1+;n!;+1 ¾Ð1+;n#;+1 =3_1+1 1+1=3 (수렴) ⑷ lim n Ú`¦(2n 3-n+3) = lim n Ú`¦n 3{2- 1 n2+ 3n3} (발산) 본문 | 18 쪽 집중 연습 분모, 분자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나눈다. ⑴ lim n Ú`¦ 6n2+n 2n2+1 =limn Ú`¦ 6+;n!; 2+ 1 n2 =6+02+0 =3 (수렴) ⑵ lim n Ú`¦ 2n+3 1-n =n limÚ`¦ 2+;n#; ;n!;-1= 2+0 0-1 =-2 (수렴) ⑶ lim n Ú`¦ 3n-1 n2+2n+4 =limn Ú`¦ ;n#;- 1n2 1+;n@;+ 4n2 =1+0+0 =00-0 (수렴)

0

1

(4)

⑴ lim n Ú`¦ 1 "Ãn2+n-n=limn Ú`¦ "Ãn2+n+n ("Ãn2+n-n)("Ãn2+n+n) =lim n Ú`¦ "Ãn2+n+n n2+n-n2=limn Ú`¦ "Ãn 2+n+n n =lim n Ú`¦ ¾Ð1+;n!;+1 1 =1+11 =2 (수렴) ⑵ lim n Ú`¦ 1 "Ãn2+2n-1-n =lim n Ú`¦ "Ãn2+2n-1+n ("Ãn2+2n-1-n)("Ãn2+2n-1+n) =lim n Ú`¦ "Ãn2+2n-1+n n2+2n-1-n2=limn Ú`¦ "Ãn 2+2n-1+n 2n-1 =lim n Ú`¦ ¾Ð1+;n@;- 1n2+1 2-;n!; = 1+1 2 =1 (수렴) ⑶ 분모를 1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하면 lim n Ú`¦('Än-2-'Än+2) =lim n Ú`¦ ('Än-2-'§Än+2)('Än-2+'§Än+2) 'Än-2+'§Än+2 =lim n Ú`¦ (n-2)-(n+2) 'Än-2+'§Än+2 =limn Ú`¦ -4 'Än-2+'§Än+2 =lim n Ú`¦ -4 '§n ¾Ð1-;n@;+¾Ð1+;n@;= 0 1+1 =0 (수렴)

0

2

⑷ lim n Ú`¦ 3n-1 n2+2n=limn Ú`¦ ;n#;- 1n2 1+;n@; = 0-0 1+0 =0 (수렴) ⑸ lim n Ú`¦ n2+2 3n+5 =limn Ú`¦ n+;n@; 3+;n%;= ¦+0 3+0 =¦ (발산) ⑹ lim n Ú`¦ -2n2+3n n+1 =limn Ú`¦ -2n+3 1+;n!; = 1+0 =-¦ (발산) ⑷ 분모를 1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하면 lim n Ú`¦("Ãn 2+4n-n) =lim n Ú`¦ ("Ãn2+4n-n)("Ãn2+4n+n) "Ãn2+4n+n =lim n Ú`¦ n2+4n-n2 "Ãn2+4n+n=limn Ú`¦ 4n "Ãn2+4n+n =limn Ú`¦ 4 ¾Ð1+Ð;n$;+1= 4 1+1 =2 (수렴) ⑸ lim n Ú`¦ 'Än+1-'Än-1 'Än+2-'§n =lim n Ú`¦ ('Än+1-'§Än-1)('Än+1+'ħn-1)('Än+2+'§n) ('Än+2-'§n)('Än+2+'§n)('Än+1+'§Än-1) =lim n Ú`¦ 2('Än+2+'§n) 2('Än+1+'§Än-1)=limn Ú`¦ 'Än+2+'§n 'Än+1+'§Än-1 =lim n Ú`¦ ¾Ð1+;n@;+1 ¾Ð1+;n!;+¾Ð1-;n!;= 1+1 1+1 =1 (수렴) ⑹ lim n Ú`¦(5+2n-n 2) =lim n Ú`¦n 2{ 5 n2+;n@;-1}=-¦ (발산) ⑴ lim n Ú`¦ an2-bn+4 2n-1 에서 a+0이면 발산한다. ∴ a=0 limn Ú`¦ an2-bn+4 2n-1 =limn Ú`¦ -bn+4 2n-1 =;2#;이므로 -;2B;=;2#; ∴ b=-3 ∴ a+b=0-3=-3

0

5-2

셀파 극한값이 0이 아닌 값으로 수렴하므로 (분모의 차수)=(분자의 차수)이어야 한다. lim n Ú`¦ n-1 "Ãn2-2n+5+an=limn Ú`¦ 1-;n!; ¾Ð1-;n@;+ 5n2+a =1+a1 이므로 1

1+a =;6!;, 1+a=6 ∴ a=5

(5)

⑵ lim n Ú`¦ 3n2-2n+1 an3+bn2+3n-1에서 a+0이면 0으로 수렴한다. ∴ a=0 lim n Ú`¦ 3n2-2n+1 bn2+3n-1=-3이므로 ;b#;=-3 ∴ b=-1 ∴ a+b=0-1=-1 ⑴ 2aan-3 n+1 =bn으로 놓으면 2an-3=bn(an+1), 2an-3=anbn+bn an(2-bn)=bn+3 ∴ an=b2-bn+3 n 이때 lim n Ú`¦bn=;4#;이므로 lim n Ú`¦an =limn Ú`¦ bn+3 2-bn= lim n Ú`¦bn+3 2-lim n Ú`¦bn =;4#;+3 2-;4#;=3 ⑵ (n+2)an=bn으로 놓으면 an=n+2bn 이때 lim n Ú`¦bn=4이므로 lim n Ú`¦(3n-1)an =limn Ú`¦(3n-1)_ bn n+2 =lim n Ú`¦ 3n-1 n+2 _n limÚ`¦bn=3_4=12

0

7-1

셀파 ⑴ 2an-3 an+1 =bn으로 놓는다. ⑵ (n+2)an=bn으로 놓는다. lim n Ú`¦("Ãn 2+an-n)=lim n Ú`¦ ("Ãn2+an-n)("Ãn2+an+n) "Ãn2+an+n =lim n Ú`¦ n2+an-n2 "Ãn2+an+n =lim n Ú`¦ an "Ãn2+an+n =lim n Ú`¦ a ¾Ð1+;nA;+1 =1+1 =;2A;a 이때 lim n Ú`¦("Ãn

2+an-n)=2이므로 ;2A;=2 ∴ a=4

0

6-1

셀파 "Ãn2+an-n에서 분모를 1로 보고 분모, 분자에 "Ãn2+an+n을 곱한다. lim n Ú`¦("Ãan 2+bn-n)=lim n Ú`¦ ("aÃn2+bn-n)("Ãan2+bn+n) "Ãan2+bn+n =lim n Ú`¦ an2+bn-n2 "Ãan2+bn+n =lim n Ú`¦ (a-1)n2+bn "Ãan2+bn+n yy ㉠ 이때 a-1+0이면 발산하므로 a-1=0 ∴ a=1 a=1을 ㉠에 대입하면 lim n Ú`¦ bn "Ãn2+bn+n=limn Ú`¦ b ¾Ð1+;nB;+1=;2B; ;2B;=-2이므로 b=-4 ∴ a+b=1-4=-3

0

6-2

셀파 "Ãan2+bn-n에서 분모를 1로 보고 분모, 분자에 "Ãan2+bn+n을 곱한다. n-1 2n+3 <an<2n+3n+1 에서 lim n Ú`¦ n-1 2n+3Élimn Ú`¦anÉlimn Ú`¦ n+1 2n+3 이때 lim n Ú`¦ n-1 2n+3 =;2!;, limn Ú`¦ n+1 2n+3 =;2!;이므로 lim n Ú`¦an=;2!; 확인 체크

01

셀파 특강 2n<an<2n+1에서 각 변을 n으로 나누면 2n n <an <n 2n+1n 이때 lim n Ú`¦ 2n n =2, limn Ú`¦ 2n+1 n =2이므로 lim n Ú`¦ an n =2 ∴ lim n Ú`¦ 4n+an 4n-an=limn Ú`¦ 4+an n 4-an n =4+24-2 =3

0

8-1

셀파 lim n Ú`¦ 4n+an 4n-an의 분모와 분자를 각각 n으로 나눈다.

(6)

-1Écos`nhÉ1이므로 부등식의 각 변에 2+n n2 을 곱하면 - 2+nn2 É (2+n)cos`nhn2 É 2+nn2 이때 lim n Ú`¦{- 2+nn2 }=0, limn Ú`¦ 2+n n2 =0이므로 lim n Ú`¦ (2+n)cos`nh n2 =0

0

8-2

셀파 -1Écos`nhÉ1임을 이용한다. ⑴ 공비가 5이고, 5>1이므로 lim n Ú`¦5 n(발산) ⑵ 공비가 -0.3이고, -1<-0.3<1이므로 lim n Ú`¦(-0.3) n=0 (수렴) ⑶ 3n 22n= 3 n 4n={;4#;} n 에서 공비가 ;4#;이고, -1<;4#;<1이므로 limn Ú`¦232nn=0 (수렴) ⑷ {-;4!;}1-n={-;4!;}_{-;4!;}-n={-;4!;}_(-4)n에서 공비가 -4이고, -4<-1이므로 진동 (발산)

0

9-1

셀파 등비수열 {rn}에서 -1<rÉ1이면 수렴한다. 분모, 분자를 각각 3n으로 나누면 lim n Ú`¦ 2n-3n+1a n 2n+1-3n =limn Ú`¦ {;3@;}n-3an 2_{;3@;}n-1 = lim n Ú`¦{;3@;} n -3 lim n Ú`¦an 2 lim n Ú`¦{;3@;} n -1 =3 lim n Ú`¦an 이때 3 lim n Ú`¦an=3이므로 limn Ú`¦an=1

10-2

셀파 분모, 분자를 각각 3n으로 나눈다. ⑴ 분모, 분자를 각각 3n으로 나누면 lim n Ú`¦ (-3)n+2 2n+3n+1 =limn Ú`¦ 9_(-1) n {;3@;}n+3 따라서 진동하므로 발산한다. ⑵ 분모, 분자를 각각 4n으로 나누면 lim n Ú`¦ 22n-3n+2 3n+1-4n+2 =limn Ú`¦ 1-9_{;4#;}n 3_{;4#;}n-16 = 1-9 lim n Ú`¦{;4#;} n 3 lim n Ú`¦{;4#;} n -16 =0-16 =-;1Á6;1-0 (수렴) ⑶ lim n Ú`¦(2 2n-3n) =lim n Ú`¦(4 n-3n) =lim n Ú`¦4 n[1-{;4#;}n] (발산)

10-1

셀파 밑의 절댓값이 가장 큰 거듭제곱으로 분모, 분자를 각 각 나누거나 묶는다. ⑴ 공비는 ;3!;이고, -1<;3!;É1이므로 수열 [{;3!;}n]은 수렴 ⑵ 공비는 -5이고, -5<-1이므로 수열 {(-5)n}은 진동 (발산) ⑶ 공비는 -;7^;이고, -1<-;7^;É1이므로 수열 [{-;7^;}n-1]은 수렴 확인 체크

02

셀파 특강 ➊ r>1일 때, r=1+h (h>0)라 하면 `rn=(1+h)n>1+nh (n¾2) 가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그런데 h>0이므로 lim n Ú`¦(1+nh)=¦ `∴ limn Ú`¦r n ➋ r=1일 때, 수열 {rn}의 모든 항이 1이므로 lim n Ú`¦r n=lim n Ú`¦1=1 ➌ -1<r<1일 때 Ú r=0이면 수열 {rn}의 모든 항이 0이므로 lim n Ú`¦r n=lim n Ú`¦0=0 Û r+0이면 |r| >11 이므로 ➊에 의하여 lim n Ú`¦ 1 |rn| =lim n Ú`¦{ 1 |r| } n 따라서 lim n Ú`¦|r n|=0이므로 lim n Ú`¦r n=0 ➍ rÉ-1일 때 Ú r=-1이면 수열 {rn}은 -1, 1, -1, 1, y이므로 진동 한다. Û r<-1이면 |r|>1이므로 ➊에 의하여 lim n Ú`¦|r n|=lim n Ú`¦|r| n=¦이고, 수열 {rn}의 각 항의 부 호가 교대로 바뀌므로 수열 {rn}은 진동한다. 세미나 등비수열 {rn}의 수렴과 발산

(7)

등비수열 {(x-2)2n}에서 공비가 (x-2)2이므로 이 수열이 수 렴하려면 -1<(x-2)2É1 이때 (x-2)2¾0이므로 (x-2)2É1이 성립하는 정수 x의 값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x2-4x+3É0, (x-1)(x-3)É0 ∴ 1ÉxÉ3 따라서 구하는 정수 x의 값의 개수는 1, 2, 3의 3

11-2

셀파 주어진 등비수열의 공비는 (x-2)2이다.

an+1-a=;3!;(an-a)로 놓으면 an+1=;3!;an+;3@;a ;3@;a=12이므로 a=18 ∴ an+1-18=;3!;(an-18) 따라서 수열 {an-18}은 첫째항이 a1-18=3-18=-15, 공비;3!;인 등비수열이므로 an-18=-15_{;3!;} n-1 ∴ an=18-15_{;3!;} n-1 ∴ lim n Ú`¦an=limn Ú`¦[18-15_{;3!;} n-1 ]=18-0=18 | 다른 풀이 | an+1=;3!;an+12에서 -1<;3!;<1이므로 수열 {an}은 수렴한다. lim

n Ú`¦an+1= limn Ú`¦[;3!;an+12]이므로 limn Ú`¦an+1=;3!; limn Ú`¦an+12 이때 limn Ú`¦an=a로 놓으면 limn Ú`¦an+1=a이므로

a=;3!;a+12, ;3@;a=12 ∴ a=18

13-1

셀파 먼저 일반항 an을 구한다.

an+1-a=4(an-a)로 놓으면 an+1=4an-3a -3a=3이므로 a=-1 ∴ an+1+1=4(an+1) 따라서 수열 {an+1}은 첫째항이 a1+1=0+1=1,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이므로 an+1=1_4n-1 ∴ an=4n-1-1 ∴ lim n Ú`¦ an 4n=lim n Ú`¦ 4n-1-1 4n =lim n Ú`¦[;4!;-{;4!;} n ]=;4!;

13-2

셀파 먼저 일반항 an을 구한다. Ú 0<r<1일 때, lim n Ú`¦r n=0이므로 lim n Ú`¦ 4rn-3 2rn+1 =0-30+1 =-3 Û r=1일 때, lim n Ú`¦r n=1이므로 lim n Ú`¦ 4rn-3 2rn+1 =4-32+1 =;3!; Ü r>1일 때, lim n Ú`¦ 1 rn=0이므로 lim n Ú`¦ 4rn-3 2rn+1 =lim n Ú`¦ 4- 3rn 2+ 1 rn =4-02+0 =2

12-1

셀파 r의 값의 범위를 0<r<1, r=1, r>1로 나누어 구한다. Ú |r|>1일 때, lim n Ú`¦ 1 rn=0, lim n Ú`¦ 1 r2n=0이므로 lim n Ú`¦ rn-2 1+r2n=limn Ú`¦ 1 rn- 2r2n 1 r2n+1 =0-00+1 =0 Û |r|<1일 때, lim n Ú`¦r n=0, lim n Ú`¦r 2n=0이므로 lim n Ú`¦ rn-2 1+r2n=0-21+0 =-2 Ü r=1일 때, lim n Ú`¦r n=1, lim n Ú`¦r 2n=1이므로 lim n Ú`¦ rn-2 1+r2n=1-21+1 =-;2!; Ú, Û, Ü에서 r=1

12-2

셀파 r의 값의 범위를 |r|>1, |r|<1, r=1로 나누어 구 한다. ⑴ 수열 [(3x+1) n 2n ]=[{3x+12 } n ]은 첫째항과 공비가 모두 3x+1 2 인 등비수열이므로 이 수열이 수렴하려면 -1<3x+12 É1, -2<3x+1É2 -3<3xÉ1 ∴ -1<xÉ;3!; ⑵ 수열 [(x+1){x-23 }n-1]은 첫째항이 x+1, 공비가 x-2 3 인 등비수열이므로 이 수열이 수렴하려면 x+1=0 또는 -1<x-23 É1 Ú x+1=0에서 x=-1 Û -1<x-23 É1에서 -3<x-2É3 ∴ -1<xÉ5 Ú, Û에서 -1ÉxÉ5

11-1

셀파 ⑵ 등비수열 {arn-1}이 수렴하려면 a=0 또는 -1<rÉ1 이어야 한다.

(8)

ㄱ. lim n Ú`¦ n-1 3 =¦ (발산) ㄴ. lim n Ú`¦[1+{-;2!;} n ]‌‌=1+limn Ú`¦{-;2!;}n=1+0=1 (수렴) ㄷ. lim n Ú`¦ 1 n2+10= 1¦ =0 (수렴) ㄹ. 2 '§3>1이므로 limn Ú`¦{ 2 '§3} n =¦ (발산) 따라서 수렴하는 것은 ㄴ, ㄷ

0

1

셀파 등비수열 {rn}에서 -1<r<1이면 lim n Ú`¦r n =0 본문 | 30~31 쪽 연습 문제 ⑴ lim n Ú`¦{;n!;-2}=limn Ú`¦;n!;-2=0-2=-2 ⑵ lim n Ú`¦ 1+;n!; 1-;n!; = 1+lim n Ú`¦;n!; 1-lim n Ú`¦;n!; =1+01-0 =1

0

2

셀파 lim n Ú`¦;n!;=0을 이용한다. 이차방정식 x2+nx-n2+1=0의 두 근이 a n, bn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an+bn=-n, anbn=-n2+1 ∴ lim n Ú`¦{ bn an+ an bn} =lim n Ú`¦ an2+bn2 anbn =limn Ú`¦ (an+bn)2-2anbn anbn =lim n Ú`¦ (-n)2-2(-n2+1) -n2+1 =limn Ú`¦ 3n 2-2 -n2+1 =limn Ú`¦ 3- 2n2 -1+ 1 n2 =-1+0 =-33-0

0

3

셀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OPnÓ=¿¹n2+('n)2="Ãn2+n, OQnÓ=n이므로 lim n Ú`¦(OPnÓ-OQnÓ`) =lim n Ú`¦("Ãn 2+n-n) =lim n Ú`¦ ("Ãn2+n-n)("Ãn2+n+n) "Ãn2+n+n =lim n Ú`¦ n "Ãn2+n+n=limn Ú`¦ 1 ¾Ð1+;n!;+1 =1+1 =;2!;1

0

4

셀파 두 점 (x1, y1), (x2, y2) 사이의 거리는 "Ã(x2-x1)2+(y2-y1)2이다. lim n Ú`¦ 1 "Ãn2+kn-n-k =lim n Ú`¦ "Ãn2+kn+(n+k) {"Ãn2+kn-(n+k)}{"Ãn2+kn+(n+k)} =lim n Ú`¦ "Ãn2+kn+(n+k) n2+kn-(n2+2kn+k2) =lim n Ú`¦ "Ãn2+kn+(n+k) -kn-k2 =lim n Ú`¦ ¾Ð1+;nK;+1+;nK; -k- kn2 =1+1+0 -k-0 =-;k@; 이때 -;k@;=2이므로 k=-1

0

5

셀파 분모, 분자에 "\Ãn2+kn+(n+k)를 각각 곱한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곱셈 공식의 변형 ➊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차방정식 ax2+bx+c=0 (a, b, c는 상수)의 두 근을 a, b라 할 때, a+b=-;aB;, ab=;aC; ➋ 곱셈 공식의 변형

a2+b2=(a+b)2-2ab=(a-b)2+2ab a3+b3=(a+b)3-3ab(a+b) a3-b3=(a-b)3+3ab(a-b) LEC TURE 3aan-4 n-1 =bn으로 놓으면 3an-4=bn(an-1), 3an-4=anbn-bn an(bn-3)=bn-4 ∴ an=bbn-4 n-3 이때 lim n Ú`¦bn=2이므로 lim n Ú`¦an =limn Ú`¦ bn-4 bn-3 = lim n Ú`¦bn-4 lim n Ú`¦bn-3 =2-42-3 =2

0

6

셀파 3an-4 an-1 =bn으로 놓는다.

(9)

3n2-nÉ(n+1)2a nÉ3n2+n에서 3n2-n (n+1)2ÉanÉ 3n 2+n (n+1)2 이때 lim n Ú`¦ 3n2-n (n+1)2=3, limn Ú`¦ 3n 2+n (n+1)2=3이므로 lim n Ú`¦an=3

0

8

셀파 부등식의 각 변을 (n+1)2으로 나눈다. 수열 [{x 2+x 2 } n ]은 첫째항과 공비가 모두 x2+x2 인 등비수열 이므로 이 수열이 수렴하려면 -1<x2+x2 É1 Ú -1< x2+x2 에서 x2+x>-2 즉, x2+x+2>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Û x2+x2 É1에서 x2+xÉ2 x2+x-2É0, (x+2)(x-1)É0 ∴ -2ÉxÉ1 Ú, Û에서 정수 x는 -2, -1, 0, 1이므로 모든 정수 x의 값의 합은 -2-1+0+1=-2

12

셀파 공비가 x 2+x 2 인 등비수열이다. 3n-2n<(3n-1+2n)a n<3n+2n에서 3n-2n 3n-1+2n<an< 3 n+2n 3n-1+2n 이때 lim n Ú`¦ 3n-2n 3n-1+2n=limn Ú`¦ 3-2_{;3@;}n-1 1+2_{;3@;}n-1= 3-0 1+0 =3, lim n Ú`¦ 3n+2n 3n-1+2n=limn Ú`¦ 3+2_{;3@;}n-1 1+2_{;3@;}n-1= 3+0 1+0 =3이므로 lim n Ú`¦an=3

10

셀파 부등식의 각 변을 3n-1+2n 으로 나눈다. lim n Ú`¦ an+4n+1-5n-1 4n+5n =limn Ú`¦ an 5n+4_{;5$;} n -;5!; {;5$;}n+1 =2+4_0-0+1 ;5!;=;5(;

0

9

셀파 분모, 분자를 각각 5n으로 나눈다. ⑴ 등비수열 1, -3r, 9r2, -27r3, y에서 공비가 -3r이므로 이 수열이 수렴하려면 -1<-3rÉ1 ∴ -;3!;Ér<;3!; ⑵ 등비수열 1, ;2R;, r42, r 3 8, y에서 공비가 ;2R;이므로 이 수열이 수렴하려면 -1<;2R;É1 ∴ -2<rÉ2

11

셀파 등비수열 {rn}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1<rÉ1이다. an-bn=xn으로 놓으면 bn=an-xn 이때 lim n Ú`¦an=¦에서 limn Ú`¦ 1 an=0이므로 lim n Ú`¦ bn-2 2an+2 =limn Ú`¦ an-xn-2 2an+2 =lim n Ú`¦ 1-xn an -2 an 2+a2 n =1-0-02+0 =;2!;

0

7

셀파 an-bn=xn으로 놓는다.  f {;3!;}=limn Ú`¦ {;3!;} n+1 -1 {;3!;}n+1 = 0-1 0+1 =-1f (3) =lim n Ú`¦ 3n+1-1 3n+1 =limn Ú`¦ 3-{;3!;}n 1+{;3!;}n= 3-0 1+0 =3  ∴ f {;3!;}+f(3)=-1+3=2

13

셀파 0<r<1일 때, lim n Ú`¦r n =0 채점 기준 배점 f {;3!;}의 값을 구한다. 40% f(3)의 값을 구한다. 40% f {;3!;}+ f(3)의 값을 구한다. 20%

(10)

주어진 급수의 제n항을 an이라 하면 an=n(n+1)1 =;n!;- 1 n+1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n이라 하면 Sn ={1-;2!;}+{;2!;-;3!;}+ y +{;n!;-n+11 } =1- 1n+1= n n+1 ∴ lim n Ú`¦SÇ=limn Ú`¦ n n+1= 1

1-1

⑴ 수열 ;2!;, {;2!;}2, {;2!;}3, {;2!;}4, y은 첫째항이 ;2!;,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제 n 항까지의 부분합을 Sn이라 하면 Sn= ;2!;[1-{;2!;}n] 1-;2!; =1-{;2!;} n ∴ lim n Ú`¦ Sn=limn Ú`¦[1-{;2!;} n ]=1 ⑵ 주어진 급수의 제 n 항을 an이라 하면 an=n(n+2)4 =2{;n!;- 1n+2 }n 항까지의 부분합을 Sn이라 하면 Sn=2[{1-;3!;}+{;2!;-;4!;}+{;3!;-;5!;} + y +{ 1n-1- 1 n+1 }+{n -1 n+2 }]1 =2{1+;2!; - 1n+1- 1n+2 } ∴ limn Ú`¦ Sn =limn Ú`¦ 2{;2#; - 1 n+1- 1n+2 } =2_;2#;=3

1-2

본문 | 35, 37 쪽 개념 익히기

2.

급수

⑴ Á¦ n=1 2에서 an=2라 하면 lim n Ú`¦an=limn Ú`¦2=2 따라서 lim n Ú`¦an+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⑵ Á¦ n=1'Än+2에서 an='Än+2 라 하면 lim n Ú`¦an=limn Ú`¦'Än+2=¦ 따라서 lim n Ú`¦an+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⑶ Á¦ n=13n2+1 n2+3 에서 an= 3n 2+1 n2+3 이라 하면 lim n Ú`¦an=limn Ú`¦ 3n2+1 n2+3 =limn Ú`¦ 3+ 1 n2 1+ 3n2 =;1#;=3 따라서 lim n Ú`¦an+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⑷ Á¦ n=1n2 n-1에서 an= n 2 n-1이라 하면 lim n Ú`¦ an=limn Ú`¦ n2 n-1=limn Ú`¦ n 1-;n!;= ¦1 따라서 lim n Ú`¦an+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2-2

⑴ Á¦ n=1 2n+12n 에서 an= 2n+12n 이라 하면   limn Ú`¦an=limn Ú`¦ 2n+1 2n =limn Ú`¦ 2+;n!; 2 = 1 따라서 lim n Ú`¦an+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⑵ Á¦ n=1n2-2 3n+1에서 an= n 2-2 3n+1라 하면 lim n Ú`¦an=limn Ú`¦ n2-2 3n+1=limn Ú`¦ n-;n@; 3+;n!;= ¦ 3 따라서 lim n Ú`¦an+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2-1

무한급수의 수렴, 발산 ➊ 무한급수 Á¦ n=1an이 수렴하면 limn Ú`¦an=0이다. (이것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➋ lim n Ú`¦an+0이면 무한급수 ¦ Á n=1an은 발산한다. (이것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LEC TURE

(11)

⑴ 첫째항이 0.3, 공비가 0.1인 등비급수이다. 이때 |0.1|<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0.3 1-0.1= 0.30.9=;3!; ⑵ 첫째항이 1, 공비가 -'2인 등비급수이다. 이때 |-'2|>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발산한다.

4-2

⑴ Á¦ n=1(an+2bn) = ¦ Á n=1 an+ ¦ Á n=1 2bn =Á¦ n=1 an+2 ¦ Á n=1 bn =3+2_(-4)=-5 ⑵ Á¦ n=1(2an-3bn) = ¦ Á n=1 2an -¦ Á n=1 3bn =2Á¦ n=1 an-3 ¦ Á n=1 bn =2_3-3_(-4)=18

3-2

⑴ 첫째항이 1 , 공비가 -;2!;인 등비급수이다. 이때 |-;2!;| < 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수렴하 고, 그 합은 1 1-{-;2!;}= 1;2#;=;3@; ⑵ 첫째항이 '5 2 , 공비가 '52 인 등비급수이다. 이때 | '5 2 | > 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발산 한다.

4-1

본문 | 38~49 쪽 확인 문제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n이라 하면 ⑴ Sn = n Á k=11 (3k-1)(3k+2)= n Á k=1 ;3!;{ 1 3k-1-3k+2 }1 =;3!;[{;2!;-;5!;}+{;5!;-;8!;}+{;8!;-;1Á1;} + y +{ 13n-1- 1 3n+2 }] =;3!; {;2!;- 13n+2 } ∴ lim n Ú`¦Sn=limn Ú`¦;3!; {;2!;- 13n+2 }=;6!; (수렴) ⑵ Sn= n Á k=11 'k+'Äk+1= n Ák=1 ('Äk+1-'k) =('2-1)+('3-'2 )+(2-'3 )+ y +('Än+1-'n) ='Än+1-1 ∴ lim n Ú`¦Sn= limn Ú`¦('Än+1-1)=¦ (발산)

0

1-1

셀파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의 수렴, 발산을 조사한다.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n이라 하면 Ú S1=1, S3=1-1+2=2, S5=1-1+2-2+3=3, y, S2n-1=n ∴ lim n Ú`¦S2n-1=¦ Û S2=1-1=0, S4=1-1+2-2=0, S6=1-1+2-2+3-3=0, …, S2n=0 ∴ lim n Ú`¦S2n=0 Ú, Û에서 lim n Ú`¦S2n-1+limn Ú`¦S2n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0

2-1

셀파 S2n과 S2n-1의 극한값을 서로 비교한다. ⑴ Á¦ n=13n n+1에서 an=n+13n 이라 하면 limn Ú`¦an=limn Ú`¦ 3n n+1 =3+0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확인 체크

01

셀파 특강 ⑴ Á¦ n=1 (3an-bn) = 3 ¦ Á n=1  an -¦ Á n=1  bn =3_(-2)-3=-9 ⑵ Á¦ n=1 { an 2 +b6 } =;2!;n ¦ Á n=1 an+ 1 6 ¦ Á n=1 bn =;2!;_(-2)+ 16 _3=-;2!;

3-1

(12)

주어진 급수가 수렴하므로 lim n Ú`¦{an- 1 2+22+32+ y +n2 n3 }=0 이때 12+22+32+ y +n2=n(n+1)(2n+1) 6 이므로 lim n Ú`¦[an -(n+1)(2n+1) 6n2 ]=0 ∴ lim n Ú`¦an =limn Ú`¦ (n+1)(2n+1) 6n2 =lim n Ú`¦ 2n2+3n+1 6n2 =limn Ú`¦ 2+;n#;+ 1n2 6 =;6@;=;3!;

0

3-2

셀파 급수 Á¦ n=1{an-f(n)}이 수렴하면 lim n Ú`¦{an-f(n)}=0이다. 급수 Á¦ n=1{ an n -4}가 수렴하므로 lim n Ú`¦{ an n -4}=0에서 limn Ú`¦ an n =4 ∴ lim n Ú`¦ an 2n+1 =limn Ú`¦ an n 2+;n!;= lim n Ú`¦ an n lim n Ú`¦{2+;n!;} =;2$;=2

0

3-1

셀파 Á¦ n=1{ an n -4}=6이므로 ¦ Á n=1{ an n -4}는 수렴한다. 두 급수 Á¦ n=1 an, ¦ Á n=1 bn이 수렴하므로 ¦ Á n=1 an=a, ¦ Á n=1 bn=b로 놓으면 ¦ Á n=1 (an+bn)=6에서 ¦ Á n=1 an+ ¦ Á n=1 bn=6 ∴ a+b=6 yy ㉠ ¦ Á n=1 (an-bn)=2에서 ¦ Á n=1 an -¦ Á n=1 bn=2 ∴ a-b=2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2 ∴ Á¦ n=1 (2an+3bn) =2` ¦ Á n=1 an+3` ¦ Á n=1 bn =2a+3b =2_4+3_2=14

0

4-1

셀파 Á¦ n=1an=a, ¦ Á n=1bn=b로 놓는다. 명제 ‘급수 Á¦ n=1 an이 수렴하면 limn Ú`¦an=0이다.’에 대하여 ➊  명제의 대우 ‘lim n Ú`¦an+0이면 급수 ¦ Á n=1 an은 발산한다.’는 항 상 참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lim n Ú`¦Sn을 조사하지 않고도 급수가 발산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 lim n Ú`¦ n n+2=1+0이므로 급수 ¦ Á n=1n n+2은 발산한다.’ ➋  명제의 역 ‘lim n Ú`¦an=0이면 급수 ¦ Á n=1 an은 수렴한다.’는 일반 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즉, lim n Ú`¦an=0이지만 급수 ¦ Á n=1 an은 수렴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급수 Á¦ n=1 ('Än+3-'n)에서 an='Än+3-'n이라 하면 lim n Ú`¦an=limn Ú`¦('Än+3-'n)=limn Ú`¦ 3 'Än+3+'n=0이 지만 Á¦ n=1 ('Än+3-'n)=¦이므로 급수 ¦ Á n=1 ('Än+3-'n) 은 발산한다. 세미나 급수 ¦ Á n=1 an의 수렴, 발산과 limn Ú`¦an의 관계 3an+bn=cn으로 놓으면 3an=-bn+cn ∴ an=-;3!;bn+;3!;cn 주어진 조건에서 Á¦ n=1 bn=2, ¦ Á n=1 cn=-4이므로 ¦ Á n=1 an = ¦ Á n=1 {-;3!;bn+;3!;cn} =-;3!; Án=1¦ bn+;3!; ¦ Á n=1 cn =-;3!;_2+;3!;_(-4)=-2

0

4-2

셀파 3an+bn=cn으로 놓는다. ⑵ Á¦ n=1('Än+2-'n)에서 an='Än+2-'n이라 하면 an='Än+2-'n='Än+2+'n2 ∴ lim n Ú`¦an=limn Ú`¦ 2 'Än+2+'n=0 이때 Á¦ n=1 an의 부분합 Sn을 구하면 Sn = n Á k=1 ('Äk+2-'k ) =('3-1)+('4-'2 )+('5-'3 ) + y +('Än+1-'Än-1 )+('Än+2-'n) =-1-'2+'Än+1+'Än+2 ∴ lim n Ú`¦Sn=limn Ú`¦(-1-'2+'Än+1+'Än+2)=¦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13)

⑴ Á¦ n=1('2-1) n = '2-1 1-('2-1)= '2-2-1'2 =('2-1)(2+'2 ) (2-'2 )(2+'2 )= ' 2 2 | 참고 | Á¦ n=1('2-1) n은 공비가 '2-1인 등비급수이다. 이때 |'2-1|<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수렴한다.

0

5-1

셀파 -1<r<1일 때, Á¦ n=1ar n-1= a 1-r OP1Ó=1, P1P2Ó=;2!;, P2P3Ó=;4!;, P3P4Ó=;8!;, P4P5Ó=;1Á6;, P5P6Ó=;3Á2;, y에서 점 Pn의 좌표를 (xn, yn)으로 놓고, 점 Pn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x, y)라 하면 x =limn Ú`¦xn=OP1Ó+P2P3Ó+P4P5Ó+ y =1+;4!;+;1Á6;+ y= 1 1-;4!;=;3$; y =lim n Ú`¦yn=-P1P2Ó-P3P4Ó-P5P6Ó- y =-;2!;-;8!;-;3Á2;- y= -;2!; 1-;4!;=-;3@; 따라서 점 Pn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는 {;3$;, -;3@;}

0

7-1

셀파 OP1Ó, P1P2Ó, P2P3Ó, P3P4Ó, y을 구해 본다. P1P2Ó=1, ∠OP1P2=60ù이므로 P2P3Ó=P1P2Ó`sin`60ù =1_ '2 =3 '32 P3P4Ó=P2P3Ó`sin`60ù = '2 _3 '32 ={'32 }2 y O 30ù PÁ P£ P° P¦ P¢ P¤ Pª

0

8-1

셀파 규칙에 따라 생기는 도형의 길이의 합 문제에서는 첫 째항과 공비를 구한다. ⑵ Á¦ n=1[{;2!;} 2n +{;3!;}n+1]=Án=1¦{;2!;}2n+Án=1¦{;3!;}n+1 =Án=1¦{;4!;}n+;3!;`Án=1¦{;3!;}n = ;4!; 1-;4!;+ ;3!;_ ;3!; 1-;3!; =;3!; + ;3!;_;2!;=;6#;=;2!; ⑶ Á¦ n=11 2ncos`np=;2!; cos`p+;4!;`cos`2p+;8!;`cos`3p+ y =-;2!;+;4!;-;8!;+ y = -;2!; 1-{-;2!;} = -;2!; ;2#; =-;3!; ⑷ Á¦ n=2(2 2n-1+3){;5!;}n=Á¦ n=22 2n-1_{;5!;}n+Á¦ n=23_{;5!;} n =;2!;`Á¦ n=2 {;5$;} n +3`Á¦ n=2 {;5!;} n =;2!;_ ;2!5^; 1-;5$;+3_ ;2Á5; 1-;5!; =;2!;_;;Á5¤;; +3_;2Á0; =;5*;+;2£0;=;4&; | 주의 | 등비급수 Á¦ n=2{;5$;} n 은 {;5$;}2+{;5$;}3+{;5$;}4+ … 으로 첫째항이 {;5$;}2=;2!5^;이다. 마찬가지로 등비급수 Á¦ n=2{;5!;} n 의 첫째항은 {;5!;}2=;2Á5;이다. ⑴ 공비가 x2-x+1이므로 이 등비급수가 수렴하려면 -1<x2-x+1<1 Ú -1<x2-x+1일 때 x2-x+2>0에서 {x-;2!;}2+;4&;>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Û x2-x+1<1일 때 x2-x<0에서 x(x-1)<0 ∴ 0<x<1 Ú, Û에서 0<x<1 ⑵ 첫째항이 x-3, 공비가 x+2이므로 이 등비급수가 수렴하려면 x-3=0 또는 -1<x+2<1 Ú x-3=0일 때, x=3 Û -1<x+2<1일 때, -3<x<-1 Ú, Û에서 -3<x<-1 또는x=3

0

6-1

셀파 첫째항과 공비를 구한다.

(14)

⑴ Á¦ n=11 1+2+3+ y +n에서 1+2+3+ y +n=Ák=1n k=n(n+1) 2 이므로 1 1+2+3+ y +n=n(n+1)2 =2{ 1n- 1n+1 } 따라서 주어진 급수의 부분합 Sn을 구하면 Sn= n Ák=1 2{1k- 1k+1 } =2[{1-;2!;}+{;2!;-;3!;}+ y +{ 1n- 1 n+1 }] =2{1- 1n+1 }= 2n n+1 ∴ lim n Ú`¦Sn=limn Ú`¦ 2n n+1=2

0

1

셀파 주어진 급수의 제n항을 구한다. 본문 | 50~51 쪽 연습 문제 원 O1의 반지름의 길이는 r, 원 O2의 반지름의 길이는 ;2R;, 원 O3 의 반지름의 길이는 ;4R;, y 각각의 원의 넓이를 S1, S2, S3, y이라 하면 S1=pr2, S2=p{;2R;} 2 =pr2{;2!;}2, S 3=p{;4R;} 2 =pr2{;2!;}4, y ∴ S1+S2+S3+ y=pr2+pr2{;2!;} 2 +pr2{;2!;}4+ y = pr2 1-{;2!;}2=;3$;`pr 2

0

9-1

셀파 각각의 원의 넓이를 구하여 첫째항과 공비를 찾는다. ⑴ 주어진 순환소수를 등비급수로 나타내면 0.H1H5=0.15+0.0015+0.000015+ y =;1Á0°0;+ 151002+ 151003+ y = ;1Á0°0; 1-;10!0;=;9!9%;=;3°3;

10-1

셀파 등비급수의 합을 이용한다. a1=2, a2=0, a3=4, a4=2, a5=0, a6=4, y ∴ Á¦ n=1 an 3n=;3@;+ 032+ 433+ 234+ 035+ 436 + 2 37+ 038+ 439+ y={;3@;+ 234+ 237+ y}+{ 433+ 436+ 439+ y}= ;3@; 1-;2Á7;+ ;2¢7; 1-;2Á7;=;1»3;+;1ª3;=;1!3!;

10-2

셀파 0.H20H4=0.204204y에서 a1, a2, a3, a4, y의 값을 구 한다. ∴ P1P2Ó+P2P3Ó+P3P4Ó+ y=1+ '2 +{3 '32 } 2 + y = 1 1- '23 = 2 2-'3 =4+2'3 | 다른 풀이 | 오른쪽 그림과 같이 PnPn+1Ó=an, Pn+1Pn+2Ó=an+1 이라 하면 an+1=an_cos`30ù ∴ an+1='32 an 즉, 수열 {an}은 a1=P1P2Ó=1, 공비 r='32 인 등비수열이므로 ¦ Á n=1an= 1 1-'32 =4+2'3 O 30ù 30ù PÁ PÇ*ª PÇ*Á aÇ*Á Pª ⑵ 주어진 순환소수를 등비급수로 나타내면 0.3H6=0.3+0.06+0.006+0.0006+ y =0.3+{ 6 102+ 6103+ 6104+ y} =;1£0;+ ;10^0; 1-;1Á0;=;1£0;+;9¤0;=;3!0!;

(15)

0

3

셀파 괄호가 있는 급수는 괄호로 묶인 항을 하나의 항으로 생 각한다. ㄱ. 급수 1-1+1-1+1-1+ y에서 S2n+1=1-1+1-1+ y +1-1+1=1 S2n=1-1+1-1+ y +1-1=0 lim n Ú`¦S2n+1+limn Ú`¦S2n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0

4

셀파 limn Ú`¦an=k`(k는 상수)로 놓는다. 급수 Á¦ n=1{ an+3 an2 -2}가 수렴하므로 lim n Ú`¦{ an+3 an2 -2}=0 yy`㉠ 이때 lim n Ú`¦an=k (k는 상수)로 놓으면 ㉠에서 lim n Ú`¦(an+3) lim n Ú`¦an 2 -2=0 즉, k+3 k2 -2=0이므로 2k2-k-3=0, (k+1)(2k-3)=0 ∴ k=-1 또는 k=;2#; 그런데 수열 {an}의 각 항이 양수이므로 k=;2#; ∴ lim n Ú`¦an=;2#;

0

5

셀파 3an+2bn=cn 으로 놓으면 an=-;3@;bn+;3!;cn이다. 3an+2bn=cn으로 놓으면 3an=-2bn+cn ∴ an=-;3@;bn+;3!;cn 주어진 조건에서 Á¦ n=1 bn=6, ¦ Á n=1 cn=18이므로 ¦ Á n=1 an= ¦ Á n=1 {-;3@;bn+;3!;cn} =-;3@;`Án=1¦bn+;3!;` ¦ Á n=1cn =-;3@;_6+;3!;_18=2

0

2

셀파 ¦ Á

n=1(an+1-an)=(a2-a1)+(a3-a2)+(a4-a3)+ y

n Á

k=1(ak+1-ak) =(a2-a1)+(a3-a2)+(a4-a3)

+ y +(an+1-an) =an+1-a1 ∴ Á¦ n=1(an+1-an) =limn Ú`¦ n Á k=1(ak+1-ak) =lim n Ú`¦(an+1-a1) =lim n Ú`¦an+1-limn Ú`¦a1 =lim n Ú`¦an-a1 =8-3=5 ⑵ Á¦ n=1  log`[1-1 (n+1)2]에서 log`[1-(n+1)1 2]=log`(n+1) 2-1 (n+1)2 =log` n2+2n (n+1)2 =log` n(n+2)(n+1)2 따라서 주어진 급수의 부분합 Sn을 구하면 Sn= n Á k=1 log` k(k+2)(k+1)2 =log` 1_3 2_2+log` 2_43_3+ y +log`(n+1)(n+1)n(n+2) =log`{ 1_32_2_ 2_43_3_ y _(n+1)(n+1) }n(n+2) =log` n+2 2(n+1) ∴ lim

n Ú`¦Sn=limn Ú`¦log` n+22(n+1)=log`;2!;

ㄴ. 급수 (1-1)+(1-1)+(1-1)+ y에서 Sn=0+0+0+ y +0=0 lim n Ú`¦Sn=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수렴한다. ㄷ. 급수 1-(1-1)-(1-1)-(1-1)- y에서 Sn=1-0-0-0- y -0=1 lim n Ú`¦Sn=1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수렴한다. 따라서 수렴하는 급수는 ㄴ, ㄷ이다.

(16)

a1=0.H5=;9%;, a3=0.0H2=;9ª0;=;4Á5;에서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a3=a1_r2=;9%;r2 이때 a3=;4Á5;이므로 ;9%;r2=;4Á5; r2=;2Á5; ∴ r=Ñ;5!; 각 항이 모두 양수이므로 r=;5!; ∴ Á¦ n=1an =;9%;+;9%;_;5!;+;9%;_{;5!;} 2 + y = ;9%; 1-;5!;=;3@6%;

0

7

셀파 0.H5=0.555y, 0.0H2=0.0222y ⑴ 1-;3{;+x9 -2 27 +x3 … 은 첫째항이 1, 공비가 -;3{;이므로 이 등비급수가 수렴하려면 -1<-;3{;<1 ∴ -3<x<3x+x(x-2)+x(x-2)2+x(x-2)3+ … 은 첫째항이 x, 공비가 x-2이므로 이 등비급수가 수렴하려면 x=0 또는 -1<x-2<1x=0 또는 1<x<3

0

8

셀파 첫째항과 공비를 구한다.  Ú Á¦ n=1{ x+12 } n-1 은 첫째항이 1, 공비가 x+1 2 이므로 이 등비급수가 수렴하려면 -1< x+1 2 <1, -2<x+1<2 ∴ -3<x<1  Û Á¦ n=1(1-x 2)n은 첫째항과 공비가 모두 1-x2이므로 이 등비급수가 수렴하려면 -1<1-x2<1, 0<x2<2 ∴ -'2<x<0 또는 0<x<'2  Ú, Û에서 -'2<x<0 또는0<x<1

0

9

셀파 등비급수 Á¦ n=1r n-1의 수렴 조건은 -1<r<1이다. 채점 기준 배점 Án=1¦{x+12 }n-1이 수렴하도록 하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40% Án=1¦(1-x2)n이 수렴하도록 하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40% 두 등비급수가 수렴하도록 하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20% ⑴ Á¦ n=1 { 1 2n-41n}= ¦ Á n=1 {;2!;} n -Á¦ n=1 {;4!;} n = ;2!; 1-;2!; -;4!; 1-;4!; =1-;3!;=;3@; ⑵ Á¦ n=1 1+2n-1 5n = ¦ Á n=1{;5!;} n +Á¦ n=1 2n-1 5n =Á¦ n=1{;5!;} n +Á¦ n=1`;2!;_{;5@;} n =Án=1¦{;5!;}n+;2!;`Án=1¦{;5@;}n = ;5!; 1-;5!;+;2!;_ ;5@; 1-;5@; =;4!;+;3!;=;1¦2; ⑶ Á¦ n=1(3 n+1-1){;9!;}n =Á¦ n=13_{;9#;} n -n=1Á¦{;9!;}n   =3`Án=1¦{;3!;}n-Án=1¦{;9!;}n  =3_ ;3!; 1-;3!; -;9!; 1-;9!; =;2#;-;8!;=:Á8Á:

0

6

셀파 급수의 성질과 등비급수의 합의 공식을 이용한다. 순환소수와 등비급수 ⑴ 0.Ha1a2 y Han=a199 y 9a2 y an 0.H5=;9%;, 0.H1H2=;9!9@;=;3¢3; ⑵ 0.a1a2 y amHb1b2 y Hbn=a1a2 y a99 y 900 y 0mb1b2 y bn-a1a2 y am 0.2H5=25-2 90 =;9@0#; 0.12H3=123-12900 =;9!0!0!;=;3£0¦0; n개 m개 n개 LEC TURE

(17)

A B C 1 3 n번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an이라 하면 a1 : (1-a1)=3 : 1, a1=3-3a1 ∴ a1=;4#; a2 : (a1-a2)=3 : 1, a2=3a1-3a2 ∴ a2=;4#;a1 a3 : (a2-a3)=3 : 1, a3=3a2-3a3 ∴ a3=;4#;a2 y an+1 : (an-an+1)=3 : 1, an+1=3an-3an+1 ∴ an+1=;4#;an 즉, 수열 {an}은 첫째항이 ;4#;,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이므로 a1=;4#;, a2=;1»6;, a3=;6@4&;, y 따라서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a12+a22+a32+ y ={;4#;} 2 +{;1»6;}2+{;6@4&;}2+ y =;1»6;+{;1»6;}2+{;1»6;}3+ y = ;1»6; 1-;1»6;=;7(;

12

셀파 n번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an이라 하고 an과 an+1 사이의 관계를 찾는다.

13

셀파 0.H1, 0.HH1H0, 0.H10H0을 분수로 고쳐서 일반항 an을 구한다. a1=0.H1=;9!;= 10 0 10-1, a2=0.H1H0=;9!9);= 10 1 102-1, a3=0.H10H0=;9!9)9);= 10 2 103-1, y에서 an= 10 n-1 10n-1이므로 a1 n= 10 n-1 10n-1 ∴ Á¦ n=1 { 1 an+1 -1 an} = ¦ Á n=1 { 10n+1-1 10n - 10 n-1 10n-1 } =Án=1¦109n= ;1»0; 1-;1Á0;=1 수직선에서 P1P2Ó=l로 놓으면 P2P3Ó=;3@;l, P3P4Ó={;3@;} 2 l, P4P5Ó={;3@;} 3 l, y 이므로 점 Pn(xn)을 살펴보면 x3=P1P2Ó-P2P3Ó=l-;3@;l x4=P1P2Ó-P2P3Ó+P3P4Ó=l-;3@;l+{;3@;} 2 l x5=P1P2Ó-P2P3Ó+P3P4Ó-P4P5Ó=l-;3@;l+{;3@;} 2 l-{;3@;}3l y ∴ lim n Ú`¦xn=P1P2Ó-P2P3Ó+P3P4Ó-P4P5Ó+ y =l-;3@;l+{;3@;}2l-{;3@;}3l+ y = l 1-{-;3@;}=;5#;l 이때 l=100이므로 lim n Ú`¦xn=;5#;_100=60

10

셀파 규칙적으로 한없이 움직이는 선분의 길이는 등비수열을 이룬다. 공이 지면에 n번째 닿은 후 n+1번째 닿을 때까지 움직인 거리를 an m라 하면 a1=2_;5$;, a2=2_{;5$;} 2 , a3=2_{;5$;} 3 , y 이므로 an=2_{;5$;} n =;5*;_{;5$;}n-1 공이 처음으로 지면에 닿을 때까지 움직인 거리가 1`m이므로 공 이 한없이 운동한다고 가정할 때, 공이 움직인 거리는 1+Án=1¦ an =1+ ¦ Á n=1;5*;_{;5$;} n-1 =1+ ;5*; 1-;5$;=9(m)

11

셀파 처음에 낙하한 거리는 1`m, 다시 올라간 거리는 ;5$;`m, 다 시 올라간 거리는 {;5$;}2`m, y

(18)

⑴ 3>1이므로 lim x Ú`¦3 x ⑵ 3>1이므로 limx Ú`-¦3 x= 0 ⑶ 0<;3!;<1이므로 limx Ú`¦{;3!;}x= 0 ⑷ 0<;3!;<1이므로 limx Ú`-¦{;3!;}x 3>1 3>1 ;3!;<1 ;3!;<1

1-1

⑴ 5>1이므로 lim x Ú`¦5 x ⑵ 5>1이므로 lim x Ú`-¦5 x=0 ⑶ 0<;3@;<1이므로 limx Ú`¦{;3@;}x=0 ⑷ 0<;3@;<1이므로 limx Ú`-¦{;3@;}x5>15>1 ;3@;<1 ;3@;<1

1-2

본문 | 55 쪽 개념 익히기

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⑴ lim x Ú`0(1+x) ;[@;=lim x Ú`0{(1+x) ;[!;}2`=e2 ⑵ lim x Ú`¦{1+;[@;} 2x =lim x Ú`¦[{1+;[@;} ;2{; ]4`=e4

2-2

⑴ lim x Ú`0(1+2x) ;[!;=lim x Ú`0{(1+2x) ;2Á[;}2 = e2 ⑵ lim x Ú`¦{1+;[!;} 2x =lim x Ú`¦[{1+;[!;} x ] 2 =e2 ⑶ lim x Ú`¦{1+;2Á[;} x =lim x Ú`¦[{1+;2Á[;} 2x ];2!;=e;2!;='e ⑷ -x=t로 치환하면 x Ú 0일 때 t Ú 0이므로 lim x Ú`0(1-x) ;[!; =lim t Ú`0(1+t) -;t!; =lim t Ú`0{(1+t) ;t!;}-1=e-1=;e!;

2-1

본문 | 56~67 쪽 확인 문제 ⑴ lim x Ú`-¦ 5x 4x= limx Ú`-¦{;4%;} x =0 ⑵ lim x Ú`¦ 2x-1 2x+1=limx Ú`¦ 1-{;2!;}x 1+{;2!;}x= 1-01+0=1 ⑶ lim x Ú`¦(4 x-2x)=lim x Ú`¦4 x[1-{;2!;}x]=¦

0

1-1

셀파 a>1일 때 lim x Ú`¦a x=¦, lim x Ú`-¦a x=0 0<a<1일 때 lim x Ú`¦a x=0, lim x Ú`-¦a x lim x Ú`¦(8 x+9x);2Á[; =lim x Ú`¦[9 x[{;9*;}x+1]];2Á[; =3 lim x Ú`¦[{;9*;} x +1];2Á[; =3(0+1)0=3

0

1-2

셀파 9x으로 묶어낸다. ⑴ lim x Ú`2log3` x 3+1 x-1 =log3` 8+12-1 =log3`9=2 ⑵ lim x Ú`¦{log3`(9x+3)-log3`x} =lim

x Ú`¦log3` 9x+3x =limx Ú`¦log3`{9+;[#;}=log3`9=2

⑶ lim

x Ú`¦{log;3!;`(3x+1)-log;3!;`x} =lim

x Ú`¦log;3!;` 3x+1x =limx Ú`¦log;3!;`{3+;[!;}=log;3!;`3=-1

0

2-1

셀파 lim

x Ú`¦{loga` f(x)-loga` g(x)} 꼴 ⇨ limx Ú`¦loga`

f(x) g(x) ⑶ lim x Ú`0(1+2x) -;[!;=lim x Ú`0{(1+2x) ;2Á[;}-2`=e-2= 1 e2 ⑷ -;2Á[;=t로 치환하면 x Ú ¦일 때 t Ú 0이므로 lim x Ú`¦{1-;2Á[;} x =lim t Ú`0(1+t) -;2Á t; =lim t Ú`0{(1+t) ;t!;}-;2!;=e-;2!;= 1 'e

(19)

⑴ lim x Ú`0(1+2x) ;[@; =lim x Ú`0(1+2x) ;2Á[;_4 =lim x Ú`0{(1+2x) ;2Á[;}4=e4 ⑵ lim x Ú`¦{1+;2ÒÁ[;} -x =lim x Ú`¦{1+;2ÒÁ[;} 2x_{-;2!;} =lim x Ú`¦[{1+;2ÒÁ[;} 2x ]-;2!;=e-;2!;= 1 'e

0

3-1

셀파 lim ⦁ Ú`0(1+⦁) 1=e, lim ▲ Ú`¦{1+ 1}=e-x=t로 치환하면 x Ú`-¦일 때 t Ú`¦이므로 lim x Ú`-¦`{1-;[!;} -3x =lim t Ú`¦`{1+ ;t!;} 3t =lim t Ú`¦[{1+ ;t!;} t ]3=e3x-1=t로 치환하면 x Ú`1일 때 t Ú`0이므로 lim x Ú`1x 3 2x-2=lim t Ú`0(1+t) 3 2t=lim t Ú`0{(1+t) 1 t};2#;=e;2#;

0

3-2

셀파 lim ⦁ Ú`0(1+⦁) 1=e, lim ▲ Ú`¦{1+ 1}=e 본문 | 61 쪽 집중 연습 ⑴ lim x Ú`0 ln`(1+x) 3x =limx Ú`0[ ln`(1+x) x _;3!;] =;3!;`limx Ú`0 ln`(1+x)x =;3!;_1=;3!; ⑵ lim x Ú`0 ln`(1+3x) x =limx Ú`0[ ln`(1+3x) 3x _3] =3`lim x Ú`0 ln`(1+3x) 3x =3_1=3 ⑶ lim x Ú`0 ln`(1+2x) 8x =limx Ú`0[ ln`(1+2x) 2x _;4!;] =1_;4!;=;4!; ⑷ lim x Ú`0 ln`(1+4x) 2x =limx Ú`0[ ln`(1+4x) 4x _2]=1_2=2 ⑸ lim x Ú`0 ln`(1-2x) x =limx Ú`0[ ln`(1-2x) -2x _(-2)] =1_(-2)=-2

0

1

⑴ lim x Ú`0 ex-1 2x =limx Ú`0{ ex-1 x _;2!;} =;2!;`limx Ú`0 ex-1x =;2!;_1=;2!; ⑵ lim x Ú`0 e2x-1 x =limx Ú`0{ e2x-1 2x _2} =2`lim x Ú`0 e2x-1 2x =2_1=2 ⑶ lim x Ú`0 e3x-1 x =limx Ú`0{ e3x-1 3x _3}=1_3=3 ⑷ lim x Ú`0 e-2x-1 x =limx Ú`0[ e-2x-1 -2x _(-2)]=1_(-2)=-2 ⑸ lim x Ú`0 e1-x-e x =limx Ú`0 e(e-x-1) x =e`lim x Ú`0[ e-x-1 -x _(-1)] =e_1_(-1)=-e

0

2

⑴ lim x Ú`0(1+3x) ;[!;=lim x Ú`0{(1+3x) ;3Á[;}3=e3` ⑵ lim x Ú`0(1+x) ;2Á[;=lim x Ú`0{(1+x) ;[!;};2!;=e;2!;='e ⑶ lim x Ú`¦{1+;[#;} x =lim x Ú`¦[{1+;[#;} ;3{; ]3=e3` ⑷ lim x Ú`¦{1+;[!;} 3x =lim x Ú`¦[{1+;[!;} x ]3=e3` 확인 체크

01

셀파 특강 ⑷ lim x Ú`1(log2`|x 4-1|-log 2`|x2-1|) =limx Ú`1log2` |x 4-1| |x2-1|=limx Ú`1log2`

|

(x2-1)(x2+1) x2-1

|

=lim x Ú`1log2`(x 2+1)=log 2`2=1

(20)

⑴ lim x Ú`0 log3`(1+3x) 9x =limx Ú`0 log3`(1+3x) 3x _;3!; =3`ln`31 ⑵ lim x Ú`0 3x-1 2x =limx Ú`0 3x-1 x _;2!;=;2!; ln`3 ⑶ lim x Ú`0 3x log2`(1+9x) ‌‌=lim x Ú`0 9x log2`(1+9x) _;3!; =;3!;`limx Ú`0 log 1 2`(1+9x) 9x =;3!;_ 11 ln`2 =;3!;ln`2 ⑷ lim x Ú`0 3x-5x x =limx Ú`0 (3x-1)-(5x-1) x =lim x Ú`0 3x-1 x -limx Ú`0 5x-1 x =ln`3-ln`5=ln`;5#;

0

4-1

셀파 lim ◼ Ú`0 loga`(1+◼)= 1ln`a , lim⦁ Ú`0 a-1=ln`ax-2=t로 치환하면 x Ú`2일 때 t Ú`0이고, x=t+2이므로 lim x Ú`2 ln`(x-1) x-2 =limt Ú`0 ln`(t+1) t =1e-x=t로 치환하면 x Ú`¦일 때 t Ú`0이고, ex= 1 t이므로 lim x Ú`¦e x`ln(1+e-x) =lim t Ú`0 1 t `ln(1+t)=1x-1=t로 치환하면 x Ú`1일 때 t Ú`0이고, x=t+1이므로 lim x Ú`1 log10`x x-1 =limt Ú`0 log10`(1+t) t = 1 ln`10

0

5-1

셀파 치환한 다음 공식을 이용한다. ⑴, ⑵ lim ▲ Ú`0 ln`(1+▲)=1 ⑶, ⑷ lim ■ Ú`0 loga`(1+■)= 1ln`a , lim● Ú`0 e-1=1 x Ú`0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즉, lim x Ú`0(e x+3p+q)=0, e3p+q=0 ∴ e3p=-q yy`㉠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lim x Ú`0 ex+3p+q 3x =limx Ú`0 ex_e3p+q 3x =limx Ú`0 -qex+q 3x =-q3lim x Ú`0 ex-1 x =-q 3 따라서 -q3=2이므로 q=-6

0

6-1

셀파 lim x Ú`03x=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lim x Ú`0(e x+3p +q)=0 x Ú`0일 때 (분자) Ú`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모) Ú`0이다. 즉, lim x Ú`0(e ax+b-1)=0, eb-1=0 ∴ b=0 b=0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lim x Ú`0 ln`(1+cx) eax-1 =limx Ú`0[ ln`(1+cx)cx _ axeax-1_;aC;] =1_1_;aC;=;aC; 따라서 ;aC;=5이므로 c=5a ∴ b+c a = 0+5aa =5

0

6-2

셀파 lim x Ú`0ln`(1+cx)=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므 로 lim x Ú`0(e ax+b-1)=0x+1=t로 치환하면 x Ú`-1일 때 t Ú`0이고, x=t-1이므로 limx Ú`-1 x3+ex+1 x+1 =lim t Ú`0 (t-1)3+et t =limt Ú`0 t3-3t2+3t-1+et t =lim t Ú`0{ t 3-3t2+3t t + e t-1 t } =lim t Ú`0(t 2-3t+3)+lim t Ú`0 et-1 t =3+1=4

(21)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2에서 연속이다. 즉, f(2)= lim x Ú`2-f(x)에서 4p-7=1+q yy ㉠ 함수 f(x)의 도함수 f '(x)는 f '(x)= 2px-3 (x>2)ex-2 (x<2)f(x)의 x=2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하므로 lim x Ú`2+ f '(x)= limx Ú`2- f '(x) 4p-3=1 ∴ p=1 p=1을 ㉠에 대입하면 q=-4

0

8-1

셀파 f(2)= lim x Ú`2- f(x), limx Ú`2+ f '(x)= limx Ú`2- f '(x)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즉, f(1)= lim x Ú`1- f(x)에서 0=a+b yy ㉠ 함수 f(x)의 도함수 f '(x)는 f '(x)= ;[!; (x>1) a (x<1) 또 f(x)의 x=1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하므로 lim x Ú`1+ f '(x)= limx Ú`1- f '(x) ∴ a=1 a=1을 ㉠에 대입하면 b=-1

0

8-2

셀파 f(1)= lim x Ú`1-f(x), limx Ú`1+f '(x)= limx Ú`1-f '(x)

⑴ y'=(xex)'=(x)'_ex+x_(ex)'=ex+xex=(x+1)ex

⑵ y'‌‌={(x-3)2x}'=(x-3)'2x+(x-3)(2x)'‌ =2x+2x`ln`2_(x-3)={(x-3)`ln`2+1}2x`

⑶ y'‌‌=(ex`ln`x)'=(ex)'`ln`x+ex(ln`x)'‌ =ex`ln`x+ex_;[!;=ex{ln`x+;[!;}

⑷ y' =(x`log5`3x)'=(x)'`log5`3x+x(log5`3x)'‌ =log5`3x+x(log5`3+log5`x)'‌‌

=log5`3x+x_ 1x`ln`5=log5`3x+ 1ln`5

0

7-1

셀파 (ex)'=ex

, (ax)'=ax`ln`a, (ln`x)'= 1

x, (loga`x)'= 1 x`ln`a 을 이용한다.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➊ lim x Ú`a f(x) g(x)=k`(k는 상수)이고, limx Ú`ag(x)=0이면 lim x Ú`a f(x)=0이다. ➋ lim x Ú`a f(x) g(x)=k`(k는 0이 아닌 상수)이고, lim

x Ú`a f(x)=0이면 limx Ú`a g(x)=0이다.

해설 ➊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a일 때 (분모) Ú`0이면 (분자) Ú`0이어야 한다. 만약 (분자) Ú`0이 아니라고 하면 극한값은 (0이 아닌 상수) (0에 가까운 값) Ú`¦`(또는 -¦) 가 되어 극한값이 존재한다는 조건에 모순이기 때문이다. 예 lim x Ú`0 ex-a 2x =b`(a, b는 상수)에서 극한값 b가 존재하고, x Ú`0일 때 (분모) Ú`0이므로 (분자) Ú`0 이어야 한다. 즉, lim x Ú`0(e

x-a)=0, 1-a=0 ∴ a=1 이때 a=1을 주어진 식의 좌변에 대입하면 lim x Ú`0 ex-1 2x =limx Ú`0{ ex-1 x _;2!;} =1_;2!;=;2!; ∴ b=;2!;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a일 때 (분자) Ú`0이면 (분모) Ú`0이어야 한다. 예 lim x Ú`0 bx ln`(a+x) =3`(a, b는 상수)에서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0일 때 (분자) Ú`0이므로 (분모) Ú`0이어야 한다. 즉, lim

x Ú`0`ln`(a+x)=0, ln`a=0 ∴ a=1

이때 a=1을 주어진 식의 좌변에 대입하면 lim x Ú`0 bx ln`(1+x) =limx Ú`0[ x ln`(1+x) _b] =1_b=b ∴ b=3 | 주의 | lim x Ú`a f(x) g(x)=0인 경우 x Ú`a일 때 f(x) Ú`0이면 g(x)가 어떤 값을 가져도 된다. 따라서 극한값이 0이 아닌 경우에만 x Ú`a일 때 (분자) Ú`0이면 (분모) Ú`0이다. 세미나 분수 꼴 함수의 극한값이 존재하는 경우

참조

관련 문서

답지

http://zuaki.tistory.com

http://hjini.tistory.com 답지

that 이하의 내용이 놀라움을 느끼게 하는 것이므로 현재분사 5 나는 그녀의 지시에 혼란스러워져서 다시 물어봐야 했다.. dessert 가 만족스럽게 하는 것이므로 현재분사

http://hjini.tistory.com 답지

답지

다만, 개설 영역에 반드시 개설되어 야 하는 교과목의 경우 학장의 승인을 거쳐 예외로 한다. 제12조(추가개설) 영역별 교육목표에 적합한 교과목이 부족하거나

삼각함수의 최대, 최소와 주기... 삼각함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