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농촌에 대한 2014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업‧농촌에 대한 2014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Copied!
14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연구자료. D394│2014. 12.. 농업 농촌에 대한 2014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김 동 원 박 혜 진. 연 구 위 원 연 구 조 원.

(2) 연구 담당 김동원 박혜진. 연구위원 연구조원. 조사기획 및 집필 책임 조사진행 및 조사결과 정리. 자 문. 박대식, 마상진, 정학균, 황윤재, 채광석.

(3) i 머 리 말. 2014년 우리 농업계는 한-중 FTA 체결과 쌀 관세화 등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고 이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논의가 다각도 로 이루어졌다. 한편으로는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등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와 여건 조성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처럼 농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 변화와 정책방향에 대해 국민들은 어 떻게 인식하고 있고, 어떤 정책을 주문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연구에 반영 하는 것은 정책실효성을 제고시킨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일이다. 생산자인 농업인도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국민들의 소비패턴 또는 의식변화 를 반영해 수요자 중심의 농산물 생산과 마케팅 전략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 이 커지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이같은 이유로 매년 말 농업 농촌에 대한 국민의 식조사를 실시하여 발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 수년간 일관되게 실시 해 온 의식변화 지표를 포함해 정책현안에 대한 인식, 농업 농촌에 대한 수 요 등을 조사문항으로 설계하였다. 특히, 농업 농촌에 대한 한-일 국민의식 비교 문항을 처음으로 추가하여 양국의 의식차이를 파악하였다.. 2014년 10월 하순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으며, 도시민 1,500명과 1,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조사는 농업인. 이 조사 보고서에는 도시민과 농업인의 다양한 정책 건의와 농업 농촌 발전을 위한 제언도 함께 수록하였다. 이 자료가 국민들의 의식 변화에 기. 초한 농업 농촌 정책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 고 조사에 응해 주신 전국의 도시민과 현지통신원 농업인 여러분께 감사드 린다.. 2014.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세 균.

(4)

(5) iii 요. 약. 농업 농촌에 대한 의식과 가치 인식 우리 국민들은 현재와 미래에 농업 농촌이 지닌 중요한 역할로 ‘안전한 식. 품의 안정적 공급’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자연환경 보전’을 꼽았. 음. 미래에는 농촌관광과 전원생활 공간에 대한 수요가 커질 것으로 전망되었음. 도시민. 10명 중 6명이 농업. 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인정하고 있으며, 공익. 적 기능을 유지 보전하기 위한 세금 추가 부담에는 ‘찬성’(50.9%)하는 의견. 이 ‘반대’(38.1%)하는 의견보다 많았음. 농촌복지 관련 예산 확대에 대해서. 는 ‘찬성’(54.2%) 의견이 ‘반대’(7.1%) 의견보다 7배나 많았으나 과거에 비 해 찬성 비율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임. 올해 농사에 ‘만족한다’는 농업인은. 33.3%, ‘불만이다’는 35.0%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불만족 요인으로는 농산물 수입 증가로 인한. 가격경쟁력 저하와 소득 감소를 꼽았음. 농업인들은 농가경영의 위협요인을. ‘FTA 등 개방 확대 > 농업 생산비 증가 > 일손부족’ 순으로 꼽았으며, 성장 잠 재력이 높은 품목으로는 ‘특용작물’을 1순위로 꼽았음. 농업인의 직업만족도는 일의 내용(57.4점)에 비해 수입에 대한 만족(46.2점) 정도가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 았음.. ‘75세 이상’(45.4%)을 가장 많 이 꼽았으며, 농사를 상속받을 후계 인력이 ‘없다’는 응답이 67.8%로 과반수 가 넘었음. 고용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농업인은 68.7%에 달했으나, 이 중 원 활한 수급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이 70.6%로 대다수가 고용 노동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10년 전 대비 현재 우리나라의 농업상황에 대해 농업인보다 도시민이 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앞으로 농촌에 계속 살겠다는 농 업인은 85.7%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 농촌 생활여건에 대해 농업인 농업인은 향후 영농활동의 예상 기간으로.

(6) iv 43.8%가 ‘만족한다’고 응답함. 불만족 요인으로는 의료환경(33.7%) > 문화 여가시설(27.0%) > 자녀 교육여건(21.3%) 순으로 나타났으며, 농촌지역의 각종 시설과 환경 안전에 불안감을 느끼는 농업인도 4명 중 1명으로 나타나 환경 개선과 안전 점검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 농업인들은 현재 노후대책이 ‘불충분’(50.3%)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대 부분 노후대책을 ‘스스로 마련’(73.0%)하고 있고, 향후 노후 생활에 대한 전 망은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음. 농업 농촌에 대한 수요. 19.2%, 농업인 11.8%로 7.4%p의 차이를 보였음. 도시민 39.0%는 향후 농촌 거주의향이 ‘있다’고 응답해 귀농 귀촌 희향이 뚜렷이 감소하고 있음. 농촌에서 생활하고 싶은 가장 큰 이유 로 ‘자연 속에서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50.1%)를 꼽았음. 귀농·귀촌을 한 다면 ‘생활을 할 수 있는 소득원’(58.1%)이 가장 필요하며, 귀농·귀촌을 위한 여러 가지 기능과 역할 중 가장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정부 지원정책과 프로그램’을 꼽았음. 도시민은 농축산물 구입 시 채소, 육류, 수산물은 ‘안전성’을, 과일과 외식 은 품질과 맛을, 곡물은 원산지를 가장 우선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남. 수 입산이 국내산보다 저렴하더라도 곡류와 채소류, 해조류, 닭고기, 과일류, 일 반 생선/활어, 돼지고기는 도시민의 50% 이상이 ‘국산을 구입’할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쇠고기와 가공식품/유제품은 ‘국산구입’ 의사가 40% 이하로 나타남. 최근 5년간 농식품 안전성이 ‘개선되었다’는 의견이 60.6%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농산물 생산과 유통단계에서의 안전성 인식에서 ‘우리농산물 이 수입농산물보다 더 안전하다’는 평가는 7점 만점에 각 5.3점, 5.0점으로 집계됨. 도시민들은 농산물 시장이 현재보다 더 개방된다면 ‘국산이든 수입 산이든 품질(안전성 포함) 우수성을 우선 고려해 구입할 것’(35.4%)이라고 응답해 식품 안전성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관광을 목적으로 농촌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도시민은 5명 중 1명 이하로 삶의 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도시민.

(7) v 나타났으며, 방문경험이 있는 경우 평균 방문 횟수는 5회, 평균 방문 일수는. 5일로 조사됨. 2~3년 전에 비해 농촌관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아진 (43.6%)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농촌지역 방문 시 가장 해보고 싶은 것으로 는 ‘편안한 휴식’(30.9%)을 꼽아 힐링을 위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됨. 농업정책과 농정현안에 대한 인식 농업인들은 가장 관심 있는 농식품분야 이슈를 농산물 가격(19.4%). >소 득안정 대책(12.5%) > 쌀 관세화 유예 종료(10.8%) > 창조경제(10.0%) > 농 촌 일손 부족(9.2%) 순으로 꼽았음. 최근 가장 관심 있는 농식품정책 분야로 는 농업인은 ‘농업정책’(27.5%)을, 도시민은 ‘농촌정책’(24.7%)을 꼽았음. 한국 농업이 기술과 아이디어를 융복합해서 부가가치를 높이고 시장을 창 출하는 미래성장산업으로의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한 가운데 농업인(35.2%)보다 도시민(44.0%)이 긍정적인 전망 비율이 높았음.. 50.9%는 농업·농촌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응답해 지지 도가 높았음. 최근 정책이슈로 떠오른 통일문제에 대해 ‘관심 있다’는 농업인은 71.2%, 도시민은 31.3%로 농업인이 도시민보다 2배 이상의 관심도를 보였음. 통일 후 남한의 농업 변화에 대해서도 농업인(62.5%)이 도시민(39.1%)보다 긍정 적으로 전망하는 비율이 뚜렷이 높았음. 농산물 시장개방에 대한 정부의 역할에 대해 농업인은 ‘수입개방 확대로 인한 농가피해 보상’(54.1%)을, 도시민은 ‘경쟁력 있는 농가 육성 등 농업경 쟁력 제고’(43.7%)를 가장 많이 꼽았음. 도시민 88.9%는 농촌의 고령화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남. 10년 전과 비교한 우리나라 농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농업인(56.0%)과 도시민(61.2%) 모두 긍정적으로 전망하였고, 지속가능한 농법의 채택에 대해 농업인(84.4%)과 도시민(78.0%) 대부분이 ‘중요하다’고 응답함. 도시민 중. 농업 농촌 국민의식 한-일 비교 농업 농촌에 대한 한-일 간 국민의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조사.

(8) vi 에서 한국은 수입산과 비교한 국산농산물 7개 평가 항목 중 안전성, 신선도,. 90% 이상 우수성을 인정했지만, 가격경쟁력, 브랜드화, 원산지 표 시 등은 우수하다는 평가가 70%를 넘지 못함. 일본은 전 항목에서 한국보다 자국농산물의 우수성을 높게 평가했는데, 항목의 격차는 ‘브랜드화 정도 (31.5%p) > 원산지표시(21.5%p) > 구매 용이성(16.4%p)’ 순으로 나타남. 장래 식량 수급에 대해 ‘불안하다’는 응답은 한국 71.4%, 일본 79.8%로 한국보다 일본이 8.4%p 높게 나타났으며, 농업이 다원적 기능을 담당하는 것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응답은 한국 36.1%, 일본은 63.0%로 나타나 한국 보다 일본이 26.9%p나 인지도가 높았음. 농촌경관, 농촌의 다양한 동식물 등 5개 항목의 농촌 자원과 가치가 미래 에도 유지될 것인가를 묻는 질문에 일본 국민의 90% 정도가 긍정적으로 전 망하였으나, 한국은 70%대의 긍정인식을 보여 양국의 인식차가 크게 나타 나고 있음을 보여줌. 맛 항목은. 시사점 이번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국민들의 우리 농업 농촌에 대한 가치인식과 지지도는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와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이 우세함. 다만 농산물 시장개방이 확대되고 과거에 비해 외국산 농산물에 대한 거 부감이 줄어들면서 국산 농산물 구매 충성도가 하락하고 있고, 농촌복지예. 산 증액에 찬성하는 비율도 감소하는 등 주목할 만한 변화도 나타나고 있음. 농업인의 직업만족도가 정체되고 있고, 도시민의 귀농 귀촌 의향도 감소. 하고 있어 농산물 시장개방 대책과 소득안정 방안, 일손부족 해소 등의 정책 적 관심과 다양한 도시민 유인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9) vii ABSTRACT. 2014 Public Opinion Survey o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e 2014 Public Opinion Survey o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as conducted to about 2,700 people including 1,500 urbanites and 1,209 farmers by face-to-face interviews and mail for a month from late October 2014. The survey focused on the respondents’ recognition of the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changes in awareness of rural life, and demand for agricultural policie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a positive evaluation of the value and role of agriculture and rural villages prevailed. The support rate for more taxes for public value and function maintenanc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ncreased, and 50.9% of city people agreed to expanding investment in farming and rural communities. Moreover, most respondents positively evaluated the traditional role of agriculture and farm villages including their value and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economy. Nevertheless, a favorable environment is weakening as purchase loyalty to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is falling. 67.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 more the agricultural market is opened,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consumers,” and those who answered that they would buy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despite expensive prices decreased to 29.5%. The support rate for expanding the welfare budget for rural areas is 54.2%, much higher than the opposition rate. However, the support rate is on the decline. The respondents had a positive outlook on agriculture’s future growth industrialization and Korean agriculture’s sustainability. Special crops were pointed out as an item with the highest growth potential, followed by fruit and vegetables.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domestic agrifood safety and rural tourism conditions were improving. Farmers were very interested in the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income stabilization plans, and although farmers’ satisfaction with life was on the rise, satisfaction with their job dropped. They showed the most interest in the issue of farm prices, and 68.7% of farms said that they needed to hire workers, and 70.6% of the farms answered that they had.

(10) viii difficulties in securing manpower. The respondents considered agricultural market opening, increased production costs, and labor shortage as important factors threatening management. Farmers who were satisfied with rural life quadrupled to 43.8% in 10 years, but only 19.9%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ir job. When Korean and Japanese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ere compared, the outlook on rural resources and value maintenance was much more positive in Japan than in Korea. Japan’s support was also higher in assessment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excellence compared to imports than Korea’s. However, the Japanese were more anxious over future food supply and demand than the Koreans.. Researchers: Kim Dong-weon and Park Hye-jin Research period: 2014. 1. ~ 2014. 12. E-mail address: dongweon@krei.re.kr, frog78@krei.re.kr.

(11) ix 차. 례. 제1장 조사개요 1. 조사목적 ·································································································· 1 2. 조사방법 ·································································································· 2 3. 자료처리 및 분석 ··················································································· 8 제2장 조사결과 1. 농업 농촌에 대한 의식과 가치 인식 ··················································· 9 2. 농업 농촌에 대한 수요 ······································································· 37 3. 농업정책과 농정현안에 대한 인식 ···················································· 49 4. 농업 농촌 국민의식 한-일 비교 ························································· 60 제3장 농정에 대한 건의 및 제안 1. 자유의견을 통해 제시된 정책 건의 요지 ········································· 67 2. 정책 건의를 통해 본 농업 농촌에 대한 기대 ·································· 69 3. 정책 건의 전문 ···················································································· 70 제4장 요약 및 시사점 요약 및 시사점 ························································································· 99 부록: 조사표 참고 문헌. ································································································ 103. ····································································································· 127.

(12) x 표 차례. 제1장 표 표 표 표. 1111-. 1. 2. 3. 4.. 제2장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2- 1. 2- 2. 2- 3. 2- 4. 2- 5. 2- 6. 2- 7. 2- 8. 2- 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 3 조사문항 상세 내용(농업인 도시민) ········································ 3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분포 ······················································ 7 자료처리 절차 ··············································································· 8 조사개요. ··································· 12 올해 농사 만족도 ······································································· 14 올해 농사에 불만족하는 이유 ·················································· 15 농업종사 직업만족도 ································································· 16 농업인의 직업만족도 비교 ························································ 16 농업종사 직업에 불만족하는 이유 ··········································· 17 다른 직업과 비교한 농업의 경쟁력 ········································· 18 농업 농촌에 대한 애착심 ·························································· 20 농업경영 활동의 예상 기간 ······················································ 20 농사에 자가 노동력 외에 고용 노동력 필요성 ······················ 22 고용 노동력의 원활한 수급 여부 ············································ 22 농촌 생활 만족도 ······································································· 23 농촌생활에 대해 불만족하는 이유 ··········································· 24 농촌지역의 각종 시설과 환경 안전성에 대한 인식 ·············· 25 향후 농촌 거주 의향 ································································· 25 노후대책 정도(농업인) ······························································· 27 노후 준비 주체(농업인) ····························································· 28 노후생활 전망(농업인) ······························································· 29 농업 농촌에 대한 전반적인 의식 변화.

(13) xi 표 표 표 표 표 표. 2-19. 2-20. 2-21. 2-22. 2-23. 2-24.. ··························································· 29 건강 관리 여부(농업인) ····························································· 30 농업·농촌의 사회문화적 공익적 가치에 대한 의견 ··············· 32 농업·농촌 공익적 기능 유지를 위한 세금 추가부담 의향 ··· 33 농촌복지예산 확대에 관한 인식(도시민) ································ 35 육체적 건강상태(농업인). 농촌복지예산 확대를 위해 본인 추가 비용 부담에 대한. ······················································································ 36 표 2-25. 나와 우리 가족의 삶의 질 수준 ·············································· 37 표 2-26. 은퇴 후 귀농 귀촌 여부 ··························································· 38 표 2-27. 구체적 귀농 귀촌 시기 ····························································· 40 표 2-28. 최근 5년간 농식품 안전성 개선 정도 인식 ··························· 44 표 2-29. 농산물 시장개방에 대한 의식 ·················································· 45 표 2-30. 시장 개방 확대에 따른 농산물 구입 의향 ····························· 46 표 2-31. 올해 농촌 방문 경험 여부 ························································ 47 표 2-32. 2~3년 전 대비 농촌 관광의 전반적인 만족도 ····················· 48 표 2-33. 농촌의 고령화가 우리 농업에 미치는 문제 ··························· 55 표 2-34. 현재 우리나라의 농업경쟁력 수준 인식 ································· 56 표 2-35. 농업 농촌의 투자확대에 대한 의견 ········································· 57 표 2-36. 수입농산물과 비교한 국산농산물 평가(한 일 비교) ············· 61 표 2-37. 수입농산물과 비교, 국산농산물의 평가 ·································· 61 표 2-38. 장래 식량수급 전망에 대한 인식(한 일 비교) ······················· 62 표 2-39. 장래 식량 수급에 대한 인식 ···················································· 62 표 2-40. 다원적 기능 생산에 대한 인지 정도(한 일 비교) ················· 63 표 2-41. 다원적 기능 생산에 대한 인지 정도 ······································· 63 표 2-42. 농촌의 자원과 가치 미래 유지 정도 인식(한 일 비교) ········ 64 표 2-43. 농업의 당면과제에 대한 미래 유지 정도 ······························· 65 제3장 표 3- 1. 농정건의 요지 집계(도시민 1,203건, 농업인 862건) ············· 68 찬반의견.

(14) xii 그림 차례. 제2장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2- 1. 2- 2. 2- 3. 2- 4. 2- 5. 2- 6. 2- 7. 2- 8. 2- 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 ·········· 10 과거 10년 전과 비교한 농업상황 ········································ 13 성장 잠재력이 가장 높은 품목 인식 ··································· 13 올해 농사 만족도 ··································································· 14 농업경영 위협요소 인식 ························································ 19 영농 활동의 자녀 상속여부 ·················································· 21 농촌 생활 만족도(만족 응답) ··············································· 23 농촌을 떠나려는 가장 큰 이유 ············································ 26 농업·농촌 문제 관심 정도(도시민) ······································ 31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 및 세금 부담 의향 ···················· 31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도시민) ············································ 33 타 산업과 비교한 농업·농촌 관련 사회적 인식 ················ 34 농촌복지예산 확대에 대한 의향 ··········································· 35 나와 우리 가족의 삶의 질 수준 ·········································· 38 은퇴 후 귀농 귀촌 의향 ························································ 39 귀농 귀촌을 하고 싶은 사유 ················································ 39 귀농 귀촌에 필요한 조건 ······················································ 41 귀농 귀촌을 위해 필요한 개선사항(복수응답) ··················· 42 식품 구입 또는 외식 시 고려 요인 ····································· 42 국내산 농식품보다 저렴한 수입산 농식품 구매 의향 ······· 43 현재와 미래의 농업 농촌의 중요한 역할(복수응답). 생산/유통 단계에서 우리 농산물과 수입산 농산물의 안전성 인식 비교. ··································································· 44.

(15) xiii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2-22. 시장 개방 확대에 따른 농산물 구입 의향 ························· 46 2-23. 농촌지역 방문 시 가장 하고 싶은 것(복수응답) ··············· 48 2-24. 가장 관심 있는 농식품분야 이슈(농업인) ··························· 50 2-25. 가장 관심 있는 농식품정책 분야 ········································· 50 2-26. 한국 농업의 미래성장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에 대한 전망 ·· 51 2-27. 통일문제 관심 정도 ······························································· 52 2-28. 통일 후 남한의 농업 변화에 대한 인식 ····························· 52 2-29. 농산물 시장개방과 관련한 정부의 필요한 역할 ················ 53 2-30. 우리 농업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 ······································· 53 2-31. 10년 전에 비해 우리 농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인식 ··· 54 2-32. 우리나라의 지속가능 농법 채택에 대한 중요성 ················ 54 2-33. 평소 농업 농촌에 대한 동의 여부 ······································· 58 2-34. 평소 우리 농산물에 대한 의견 ············································ 58 2-35. 최근 1년간 정부(농림축산식품부)가 실시한 홍보활동 인지 정도 ······························································· 59 2-36. 농림축산식품부의 홍보에 대한 평가 ··································· 59.

(16)

(17) 1 제. 1. 장. 조 사 개 요. 1.. 조사목적.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연구에 필요한 현장조사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 하여 1978년 개원 이래 현지통신원 제도를 운영해 오고 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매년 말 농업 여건 변화 등을 포함한 농촌생활 전반에 대한 농 업인의 의식 변화를 파악하고 있음.. ○ 이 조사는 현장 중심의 연구를 강화하고, 매년 조사된 결과를 비교·분석 하여 농업정책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음. ○ 2006년부터 조사대상을 도시민까지 확대하여 생산자인 농업인과 소비자 이면서 납세자인 도시민의 농업 농촌에 대한 의식변화를 종합적으로 추 적하고 정책수요를 파악함으로써 조사결과의 정책 활용도를 높였음..

(18) 2. 2.. 조사방법. 2.1. 조사 시기 및 대상. ○ 이 조사는 2014년 10월 하순부터 11월 중순까지 약 한 달 간에 걸쳐 도시 민 1,500명과 농업인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도시민은 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방문면접 조사를 실시하였고, 농업인은 한국농촌 경제연구원이 자체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음.1 ○ 도시민의 경우, 전국(제주 포함) 도시지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 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표본크기는 1,500명으로 지역 성 연령별 인구비례 할당 표본추출을 실시하였고, 신뢰수준은 95%, 최대허용 표본오차는 ±2.5%p임. ○ 농업인의 경우, 우리 연구원 현지통신원2 3,000명을 대상으로 전수 우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조사에 충실하게 응답한 1,209명(응답률 40.3%)의 조사표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음.. 1 이 조사는 1978년부터 농업인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해 오다가 2006년부터 도시민을 대상에 포함하여 국민의식 조사로 확대하였음. 연구 활용이라는 조사 목적에 부합하고 과거 조사 연계 등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일반 여론조사와 패널 형태의 조사를 병행함. 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현지통신원들은 농촌에서 독농가로 인정되는 농업인과 각 지역 농‧축‧ 임협 및 농업기술센터로부터 추천을 받은 농업인들로, 지역별 분포나 경작규모, 연령, 학력 등의 분포로 볼 때 농촌사회의 평균 수준을 다소 상회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함..

(19) 3. 표 1-1. 조사개요. 구 분 농업인 도시민 조사 기간 2014년 10월 21일 ∼ 11월 19일 2014년 10월 30일 ∼ 11월 19일 조사 대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현지통신원 전국 도시지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조사 방법 우편조사 면접조사(face-to-face interview) 조사 지역 전국(제주 포함) 전국(제주 포함) 표본 크기 1,209명(응답자) 1,500명 표본추출 방법 전국 읍면 독농가 지역/성/연령별 할당표본추출 표본 오차 ±2.5%p (95% 신뢰수준) 자료 수집 도구 구조화된 질문지(Structured Questionnaire) 2.2. 조사 문항 구성. ○ 조사문항은 지난 2013년에 실시한 문항 재설계 작업에 기초하여, 고정문 항과 주기에 맞춰(매년, 격년, 3년) 조사할 문항을 선정하고 올해 해당되 는 조사 문항 중심으로 설계함. 또한, 올해는 일본국민 의식과 비교 문항 도 추가하였음. 농업인은 고정문항 및 정책현안 등 56개 문항을, 도시민 은 50문항으로 구성되었음.. 분야. 표 1-2. 조사문항 상세 내용(농업인 도시민) 세부항목. 농업ㆍ농촌 문제 관심 정도 현재와 미래의 농업ㆍ농촌의 중요한 역할 농업ㆍ농촌의 사회문화적 공익적 가치에 대한 의견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 유지/보전을 위한 세금추가부담에 대한 찬반 의견 가치에 대한 농업ㆍ농촌과 관련한 12가지 의견에 대한 찬반 의견 의식 농촌의 긍정적/부정적 이미지 농업ㆍ농촌에 대한 인식 타 산업과 비교한 농업ㆍ농촌 관련 사회적 인식 농업 관련 직종의 사회 전반적인 인식. 농업인 도시민 O O O O O O O O O O O.

(20) 4. 분야. 농업·농촌에 대한 수요. 농업정책과 농정현안에 대한 인식. 세부항목. 농업인 도시민 농촌복지예산 확대에 관한 인식 O 농촌복지예산 확대를 위해 본인 추가 비용 부담 찬반 의견 O 과거 10년 전과 비교한 농업상황 O O 성장 잠재력이 가장 높은 농업 품목 O O 은퇴 후 귀농·귀촌 여부 O 귀농·귀촌하고 싶은 이유 O 구체적 귀농·귀촌 시기 O 귀농·귀촌에 필요한 조건 O 귀농·귀촌을 위해 필요한 개선사항 O 나와 우리 가족의 삶의 질 수준 O O 식품 구입 또는 외식 시 고려 요인 O 국내산 농식품보다 저렴한 수입산 농식품 구매 의향 O 최근 5년간 농식품 안전성 개선 정도 인식 O 생산ㆍ유통 단계에서 우리 농산물과 수입산 농산물의 안전 O 성 인식 비교 농산물 시장개방에 대한 의식 O 시장 개방 확대에 따른 농산물 구입 의향 O 올해 농촌 방문 경험 여부 O 농촌 방문 횟수 및 일수 O 2∼3년전 대비 농촌 관광의 전반적인 만족도 O 농촌지역 방문 시 가장 하고 싶은 것 O 가장 관심 있는 농식품정책 분야 O O 한국 농업의 미래성장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에 대한 전망 O O 통일문제 관심 정도 O O 통일 후 남한의 농업 변화에 대한 인식 O O 농산물 시장개방과 관련한 정부의 필요한 역할 O O 우리 농업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 O O 10년 전에 비해 우리 농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인식 O O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농법 채택에 대한 중요성 O O 농촌의 고령화가 우리 농업에 미치는 문제 O 현재 우리나라의 농업경쟁력 수준 O 농업ㆍ농촌의 투자확대에 대한 의견 O 평소 농업ㆍ농촌에 대한 의견 동의 여부 O O 평소 우리 농산물에 대한 의견 O O.

(21) 5. 분야. 세부항목. 최근 1년간 정부(농림축산식품부)가 실시한 홍보활동 인지 정도 농림축산식품부의 홍보에 대한 평가 가장 관심 있는 농식품분야 이슈 9대 핵심과제 성과 평가 올해 농사 만족도 올해 농사에 불만족하는 이유 농업종사 직업만족도 농업종사 직업에 불만족하는 이유 직업과 비교한 농업의 경쟁력 농업경영에 다른 대한 농업경영에 가장 큰 위협요소 의식변화 타산업과 비교한 농업 농촌 관련 사회적 인식 농업관련 직종의 사회 전반적인 인식 농업·농촌에 대한 애착심 농업경영 활동의 예상 기간 영농 활동의 자녀 상속여부 농사에 자가 노동력 외에 고용 노동력 필요성 고용 노동력의 원활한 수급여부 농촌 생활 만족도 농촌생활에 대해 불만족하는 이유 농촌지역의 각종 시설과 환경 안전성에 대한 인식 향후 농촌 거주 의향 농촌생활에 농촌을 떠나려는 가장 큰 이유 대한 의식변화 노후 대책 정도 노후 준비 주체 노후 생활 전망 건강상태 건강 관리 여부 식품 구매 시 항목별 중요 정도 수입농산물과 비교, 국산농산물의 평가 국외조사 장래 식량 수급에 대한 인식 비교문항 다원적 기능 생산에 대한 인지정도 농업의 당면과제에 대한 미래 유지 정도 농업ㆍ농촌 문제에 대해 하고 싶은 말. 농업인 도시민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22) 6 2.3.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도시민의 지역별 분포는 특별/광역시 거주자가 55.4%, 일반시 거주자가 44.6%이었으며, 직업별로는 블루칼라가 26.1%로 가장 많았고, 주부 25.1%, 화이트칼라 21.0% 등으로 분포함. 농업인의 연령대는 60세 이상 이 55.5%, 학력별 분포는 고졸 이하 70.9%, 영농경력은 20년 이상은 70.1%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영농형태로는 수도작이 30.9%로 가장 비 중이 많았음..

(23) 7. 표 1-3.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분포. 농업인(n=1,209) 구분 빈도 도시근교 245 269 지역형태별 평야지대 산간지대 609 무응답 86 60세 미만 473 연령별 60세 이상 671 무응답 65 고졸 이하 857 교육수준별 대재 이상 284 무응답 68 20년 미만 284 영농경력별 20년 이상 847 무응답 78 수도작 373 과수 236 노지 채소 93 축산 110 영농형태별 시설원예 170 특작 118 기타 39 무응답 70 소농 493 522 영농규모별 중농 대농 120 무응답 74 2천만원 미만 506 연평균소득 2천만원 이상 629 무응답 74 2명 이하 658 3명 218 가구원수별 4명 124 5명 이상 116 무응답 93. 비율 20.3 22.2 50.4 지역별 7.1 39.1 55.5 5.4 70.9 지역규모별 23.5 5.6 성별 23.5 70.1 6.5 30.9 연령별 19.5 7.7 9.1 14.1 교육수준별 9.8 3.2 5.8 40.8 가구원수별 43.2 9.9 6.1 월평균 41.9 생활비 52.0 6.1 54.4 18.0 직업별 10.3 9.6 7.7 농촌 거주경험 농업인가족 존재여부별. 도시민(n=1,500) 구분 서울 인천/경기 부산/경남/울산 대구/경북 광주/전라 대전/충청 제주/강원 특별/광역시 일반시 남 자 여 자 19 ∼ 29세 30 대 40 대 50 대 60세 이상 중졸 이하 고 졸 대재 이상 2명 이하 3 명 4 명 5명 이상 100만원 미만 100만원∼150만원 150만원∼200만원 200만원 이상 농/임/어업 화이트칼라 블루 칼라 자영업 주 부 학 생 있 다 없 다 있 다 없 다. 빈도 364 460 237 136 129 125 49 831 669 735 765 284 296 330 293 297 181 679 640 324 305 752 119 410 337 310 443 4 315 391 290 377 123 720 780 467 1033. 비율 24.3 30.7 15.8 9.1 8.6 8.3 3.3 55.4 44.6 49.0 51.0 18.9 19.7 22.0 19.5 19.8 12.1 45.3 42.7 21.6 20.3 50.1 7.9 27.3 22.5 20.7 29.5 0.3 21.0 26.1 19.3 25.1 8.2 48.0 52.0 31.1 68.9.

(24) 8. 3.. 자료처리 및 분석. ○. 수집된 자료는 편집. SPSS 21.0을. → 부호화 → 정제 과정을 거쳐 통계프로그램인. 이용하여 기초 통계처리 하였음.. ○ 도시민, 농업인 조사결과는 빈도분석을 통하여 그룹 간 공통문항 중심의 주요 사안에 대한 인식차이를 정리하였으며,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각 문항을 종속변수로, 응답자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교차분석을 통해 계 층간 인식을 비교하였음. ○ 또한, 이번 조사 결과와 1994년 이후 조사 결과를 일부 대비하여 연도별 의식변화 추세를 분석하였음.. 표 1-4. 자료처리 절차 Editing. Coding. Data Cleaning. Data Processing. 기록상의 오류 및 누락 검증. 설문내용의 부호화 및 자료입력. 입력 자료의 오류 검색. ∙ Intel Core i5 ∙ SPSS 21.0.

(25) 9 제. 2. 장. 조 사 결 과. 1.. 농업 농촌에 대한 의식과 가치 인식. ○. 도시민과 농업인을 대상으로 현재와 미래의 농업 농촌의 중요한 역할,. ·. ·. 농업 농촌에 대한 전반적인 의식 변화(12문항), 과거. 10년. 전과 비교한. 농업상황, 성장 잠재력이 가장 높다고 보는 품목 등을 조사하였음.. ○ 농업인에게는 올해 농사 만족도, 직업만족도, 농업경영 위협요소, 농업경 영 활동의 예상 기간, 고용 노동력의 필요성 및 수급 정도, 농촌 생활 만 족도, 농촌지역의 각종 시설과 환경 안전성 인식, 향후 농촌 거주 의향, 노후 준비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음. ○ 도시민에게는 농업 농촌 문제 관심 정도, 공익적 가치 여부 및 세금추가 부담 의향, 복지예산 확대에 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음..

(26) 10 1.1. 현재와 미래 농업·농촌의 중요한 역할로‘안전한 식품 공급’꼽아. ○ 현재와 미래의 농업ㆍ농촌 역할 중 현재의 경우에 농업인, 도시민 모두 ‘안전한 식품의 안정적 공급’(각각 44.9%, 42.6%)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자연환경 보전’(각각 22.7%, 21.1%)을 꼽았음. ○. 미래도 현재와 마찬가지로 ‘안전한 식품의 안정적 공급’(각각. 25.9%)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꼽았고, 18.0%, 18.6%) 순으로 응답하였음.. 이어서 ‘자연환경. 22.3%, 보전’(각각. ○ 특히, 미래에는 ‘관광 및 휴식장소 제공’, ‘전원생활 공간 제공’이 중요해 질 것이라는 응답이 현재보다 2~3배 높게 나타나 향후 수요가 커질 것으 로 봄.. 그림 2-1. 현재와 미래의 농업·농촌의 중요한 역할(복수응답). 단위: %. 현재 ◀ 44.9 42.6 현재 ◀ 44.9 42.6. ▶ 미래 22.3 25.9. 안전한 식품의 안정적 공급 ▶ 미래. 14.8 14.4. 14.5 13.8. 국토의 균형발전. 22.3 25.9. 안전한 식품의 안정적 공급. 22.7 21.1. 1 4.8 1 4.4. 자연환경 보전. 국토의 균형발전. 3.4. 22.7 21 .1. 전통문화의 계승. 7.2 자연환경 보전 7.2. 3.4. 4.3 6.1. 8.4. 전원생활 0.8 공간제공. 0.1. 기타. 2.3 2.3. 모름/무응답. 18.0 18.6. 7.6. 1 8.0 12.0 1 8.6. 4.3 7.6 관광 및 휴식 장소 제공 전통문화의 계승 6.1 1 2.0 관광 6.7 및 휴식 장소 제공 공간 제공 전원생활. 6.7 8.4. 1 4.5 1 3.8. 15.6 14.9. 1 5.6 1 4.9. 16.1 14.7. 1 6.1 0.9 1 4.7. 기타. 0.2. 0.9 0.2. 모름/무응답. 4.9. 4.9. 농업인 농업인. 도시민. 도시민.

(27) 11 1.2. 농업·농촌 관련 주요 의식변화 긍정인식 감소. ○ 농업. 농촌에 대한 가치와 국민경제 기여도, 발전가능성 등. 12개 질문 항 목에서 긍정적인 답변 항목은 농업인 8개, 도시민 10개로 조사됨. - 농업의 전통적인 가치나 지원에 대해서는 농업인이, 농업의 발전가능 성과 전망은 도시민이 상대적으로 긍정비율이 높았음. - 농업인과 도시민 공통적으로 긍정보다 부정적인 응답비율이 높은 항 목은 ‘자녀의 농업종사’와 ‘우리나라 농업 전망’이었음. - ‘발전가능성’과 ‘국제경쟁력’ 항목에 대해 농업인은 부정적인 반면 도 시민은 긍정적으로 평가해 인식에 차이를 보였음. - ‘초 중 고 교과과정에 농촌체험 의무화’는 농업인 73.1%, 도시민 60.1%가 찬성한 반면 반대는 10% 미만으로 찬성의견이 뚜렷함. - ‘농산물 가격은 공산품에 비해 싸다’는 의견과 ‘우리 농산물이 외국산 농산물에 비해 안전하다’는 의견에는 도시민과 농업인 전체적으로 과 반수 이상의 찬성을 보였고, 반대는 15% 미만에 그쳤음. - 특히, ‘농업은 타 산업에 비해 효율성이 낮으므로 투자를 대폭 줄여야 한다’는 의견에는 농업인 58.9%, 도시민 48.2%가 반대한 반면 찬성 은 각 16.1%, 16.5%로 나타남. - ‘농사가 잘못되면 국가경제 전체가 잘못될 가능성이 크다’는 항목과 ‘농업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기여해 온 바가 크다’는 항목에 찬성하 는 비율은 농업인과 도시민 각 70.2%, 59.3%가 찬성 의견을 보인 반 면 반대는 농업인 5%대, 도시민 10%대 미만에 그침. - 한편, 이 같은 결과를 2007년과 2012년 조사치와 비교하면 대부분의 항목에서 농업인과 도시민 모두 긍정답변 비율이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8) 12. 표 2-1. 농업 농촌에 대한 전반적인 의식 변화 문항. ① 초 중 고 교과과정에 농촌체험을 의무화해야 한다 ②농사가잘못되면국가경제전체가잘못될가능성이높다 ③ 자녀가 원한다면 농업에 종사하도록 하겠다 ④ 농업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기여해 온 바가 크다 ⑤ 우리나라 농업 농촌이 앞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⑥ 우리나라 농업은 국제경쟁력이 있다 ⑦ 농산물 가격은 공산품 물가에 비해 싸다 ⑧ 우리 농산물은 외국농산물에 비해 안전하다 ⑨ 농업은 타 산업에 비해 효율성이 낮으므로 투자를 대폭 줄여야 한다 ⑩ 농업과 농촌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세금을 더 걷을 수도 있다 ⑪ 농산물 가격이 생산비에 미치지 못한다면 국가가 농가소득을 보상해 줘야 한다 ⑫ 우리나라 농업전망은 밝다. 2014년 농업인 도시민. 2012년. 단위: % 2007년. 농업인. 도시민. 농업인. 도시민. 73.1. 60.1. 80.7. 66.7. 81.9. 73.9. 70.2. 59.3. 78.3. 68.5. 90.0. 79.1. 29.8. 27.9. 35.3. 28.0. 39.6. 45.7. 73.8. 58.1. 74.4. 62.7. 81.8. 79.1. 16.0. 38.4. 23.7. 41.3. 19.6. 35.8. 14.9. 34.1. 27.8. 39.3. 26.6. 35.2. 68.5. 46.0. 72.0. 46.7. 85.7. 63.0. 69.2. 68.7. 79.0. 76.0. 85.3. 86.5. 16.1. 16.5. 14.4. 17.5. 19.1. 16.0. 47.5. 32.5. 48.3. 38.7. 60.2. 49.5. 83.2. 52.4. 87.7. 63.2. 94.5. 77.7. 12.0. 26.9. 16.0. 30.1. -. -. 1.3. 과거 10년 전과 비교한 농업상황, 도시민이 더 긍정적으로 인식. ○ 10년 전 대비 현재 우리나라의 농업상황에 대해 농업인(긍정 38.9%, 부 정 43.3%)보다 도시민(긍정 55.9%, 부정 13.1%)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특히, ‘매우 나빠졌다’는 의견은 농업인(17.8%)이 도시민(3.5%)보다 무려 5배에 달해 인식차이가 컸음..

(29) 13. 그림 2-2. 과거 10년 전과 비교한 농업상황. 매우 좋아졌다. 약간 좋아졌다. 비슷하다. 약간 나빠졌다. 단위: %. 매우 나빠졌다. 모름/무응답. 5점 평균 농업인. 9.5. 도시민. 9.9. 29.4. 16.1. 25.5. 45.9. 17.8. 30.9. 1.7. 9.7. 2.9점. 3.5. 3.5점. 0.1. 매우 좋아졌다. 약간 좋아졌다. 비슷하다. 약간 나빠졌다. 매우 나빠졌다. 모름/무응답 5점 평균. 농업인. 9.5. 29.4. 16.1. 25.5. 17.8. 1.7. 2.9점. 1.4. 성장 가장 높은 품목 ‘특용작물 ’ 꼽아 도시민잠재력 9.9 45.9 30.9 ’ , ‘ 과일 9.7 3.5. 3.5점. 0.1. ○. 성장 잠재력이 높은 품목으로 농업인과 도시민 모두 ‘특용작물’(각각 26.2%, 31.3%)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과일’(각각 15.7%, 17.8%)을 꼽았음. 그 외에 농업인은 채소(14.3%)를, 도시민은 쌀(16.0%) 을 꼽았음.. ○ 특히, ‘축산’의 경우에 농업인(11.5%)이 도시민(5.2%)보다 2배 정도의 성 장 잠재력이 있다고 전망해 인식 차이를 보였음.. 그림 2-3. 성장 잠재력이 가장 높은 품목 인식. 단위: %. 31 .3 26.2 1 6.0 1 3.6. 1 4.3 1 2.8. 1 5.71 7.8 7.7. 쌀(수도). 채소. 과일. 특용작물 (인삼 등). 1 0.4. 화훼. 1 1 .5. 9.4 6.4. 전작 (콩류, 서류). 5.2 1 .7 축산. 농업인. -. 모름/ 무응답 도시민.

(30) 14 1.5. 올해 농사 불만족 사유, ‘가격경쟁력 저하’ 꼽아. ○ 올해(2014년) 농사에 ‘만족한다’는 농업인은 33.3%, ‘불만이다’는 응답은 35.0%로 나타나 전년과 비슷한 만족도를 유지하였음. - ‘만족한다’는 의견은 영농형태별로 ‘수도작 > 과수 > 노지채소 > 시 설원예 > 특작 > 축산’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2-4. 올해 농사 만족도. 단위: %. 50.0 40.0 30.0. 29.1. 20.0. 25.0. 23.3. 201 1 년. 201 2년. 33.0. 33.3. 201 3년. 201 4년. 1 4.3. 1 0.0 0.0 2009년. 201 0년. 표 2-2. 올해 농사 만족도 구분 항목. 단위: %. 보기항목 (사례수). ①. ② ①+②. 그저 만족 그렇다. 매우 약간 만족한다 만족한다 전체 1,209 5.3 28.0 33.3 수도작 373 7.2 31.9 39.1 과수 236 6.4 28.4 34.7 노지채소 93 2.2 26.9 29.0 축산 110 3.6 23.6 27.3 영농 형태별 시설원예 170 2.9 25.9 28.8 특작 118 3.4 24.6 28.0 기타 39 2.6 23.1 25.6 무응답 70 8.6 27.1 35.7 주: *p<.05, **p<.01, ***p<.001. 31.1 35.4 27.5 26.9 34.5 22.9 35.6 41.0 27.1. ④. ⑤ ④+⑤. 약간 매우 불만족 불만이다 불만이다 23.9 11.1 35.0 18.5 7.0 25.5 23.7 11.9 35.6 30.1 14.0 44.1 26.4 10.9 37.3 35.3 12.9 48.2 20.3 16.1 36.4 17.9 15.4 33.3 22.9 11.4 34.3. 모름/ 무응답. 계. 0.7 2.1 0.9 2.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평균 (점). t/F. 2.9 3.1 2.9 2.7 2.8 4.08*** 2.7 2.8 2.8 3.0.

(31) 15. ○ ‘불만족한다’는 농업인(N=423)은 ‘농산물 수입 증가로 가격경쟁력 저 하’(45.4%), ‘소득 감소’(26.5%), ‘농자재 값 상승 등 농사 여건이 나빠졌 다’(17.3%), ‘정부의 관심과 지원 감소’(5.2%) 등의 순으로 불만족 이유 를 들었음. - 특히 ‘농사여건이 나빠졌다’는 응답에 대해 영농경력 20년 이상 (13.9%)보다 20년 미만(27.5%)에서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음.. 표 2-3. 올해 농사에 불만족하는 이유 구 항목 전체. 분. 보기항목 소득이 농사 정부의 농산물 소비자의 줄었다 여건이 관심과 수입증가로 요구가 (사례수) 나빠졌다 지원 감소 가격경쟁력 까다로워 저하 졌다 423. 26.5. 20년 미만 109 26.6 영농 20년 이상 288 27.8 경력별 무응답 26 11.5 주: *p<.05, **p<.01, ***p<.001. 기타. 단위: % 모름/ 무응답. 계. 0.9. 100.0 100.0. 17.3. 5.2. 45.4. 0.7. 4.0. 27.5. 3.7. 33.0. 1.8. 7.3. -. 13.9. 5.2. 49.0. 0.3. 2.4. 1.4. 11.5. 11.5. 57.7. -. 7.7. -. t/F. 100.0 29.473a** 100.0. 1.6. 농업인의 직업만족도는 한국인 전체 평균에 비해 11점 낮아. ○. 농업인의 직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만족한다(높음)’는 응답이. 19.9%로 ‘불만이다(낮음)’는. 응답. 32.9%에. 비해. 13.0%p. ○. 일의 내용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 현재 얻고 있는 수입에 대해 ‘불만이다’는 응답이. 다’. 29.6%보다 8.0%p. 8.5%에. 낮음.. 비해 압도적으로 높음.. 낮았음.. 21.6%로 ‘불만이. 55.2%로 ‘만족한다’.

참조

관련 문서

❍ 국내 농산물 가격 국제가격보다 높은 현상 가공기업으로 하여금 수입농산물로 국내 원 료를 대체하게 만들었으며, 가격왜곡에 따른 수입량이 증대됨. 식량 등 주요

¡ 농촌 청정에너지 건설 공정을 실시하고 농촌 전력망 건설에 속도를 내며, 농촌 전력 보장 수준을 전면적으로 공고히 하고 향상시킴.. 농촌에 천연가스를 도입하고

최근 들어 전자상거래 경매시장 등 다양한 농산물 유통채널이 발전하고 있으나 도시지역 농산물 , 소비의 70~80% 는 여전히 농산물 도매시장 유통채널을 통해

◦주요 조사 내용은 농업인과 도시민의 의식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정 문항과 정책 현안 등을 포함한 비고정 문항으로 구성되었음... – ‘주요 농산물

그 외에도 주요 식량 품종에 대한 최저수매가격제도와 대량 농산물 임시저장정책을 실시하는 등 식량 및 농업생산 정책에 질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점차

산업 집중화를 목표로 농산물 우수 생산지와 산업지대에서 농산물 자원조건에 따라 농 산물 가공산업의 단계 전환을 실시하고, 농산물 가공업이 우수 생산지에 집중되도록

 중앙당과 국무원은 농산물 브랜드 발전을 특별히 중시하여 브랜드 설립 확대와 현대화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략적 조치를 수립하였음...  2014년 농산물

다만 본 연구 에서는 생산자조직의 역할 제고를 통한 농산물 유통정책의 개선 방안 제시를 위해 생산자조직 실태 분석(설문조사), 농산물 산지유통 및 수급정책 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