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서부 간척지에서 동계맥류의 생육과 건물수량 특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중서부 간척지에서 동계맥류의 생육과 건물수량 특성"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9년 한국작물학회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114 -PA-76 중서부 간척지에서 동계맥류의 생육과 건물수량 특성 최범식1, 장영미1, 이수환2, 정남진3, Xiao-Xia Zou4, 조진웅1* 1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

2국립식량과학원, 3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4Qingdao Agricultural University

[서론] 국내에서 육성된 사료용보리, 트리티케일 및 사료용귀리를 대상으로 간척지에서의 생육과 조사료 수랴 및 사료가치의 차이를 알아 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배방법 본 시험은 충남 아산시 석문간척지 논에서 수행하였다. 공시된 맥류는 유연보리, 다청보리, 트리티케일 및 귀리를 사용하였다. 파종은 2018년 10월 16일에 실시하였으며, 파종양식은 30x5cm의 세조파로 하여 10a당 20kg을 파종하였다. 생육조사 생육특성은 최고분얼기, 출수기 및 수확시기인 호숙기에 초장, 분얼수, 엽면적 및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사료가치분석

조단백질(CP) 함량은 켈달장치(KjeltecTM 2400 Auto-sampler System)을 이용하여 AOAC(1990)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 다. ADF 및 NDF 함량은 Ankom fiber analyzer(Ankom technology, 2005a; 2005b)로, TDN은 계산식 88.9-(0.79ADF%)를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출수기의 맥류별 간장은 다청보리가 63.3cm로 가장 크고 귀리가 55.8cm로 가장 작았다. 호숙기의 초장은 트리티케일이 79.5cm로 가장 크고 귀리가 59.6cm로 가장 작았다. 단위면적당 분얼수는 귀리가 출구기 및 호숙기에 549.7 ~ 573개로 가장 많았고 보리나 트리티케일은 상대적으로 적은 분얼수를 보였다. 엽면적지수는 유진보리가 가장 높아 호숙기에 6.3을 보였고 귀리가 4.5로 가장 낮았다. 건물생산성은 호숙기에 트리티케일이 983.3g을 가장 높았으나 귀리가 가장 적은 건물생산성을 보 였다. ADF와 NDF 함량은 등숙이 진행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조단백질과 TDN함량은 감소하였다. 맥종별 조단백 질함량과 TDN 함량은 유진보리가 호숙기에 가장 높아 중서부 간척지에서의 조사료용 맥류로 가장 적합하였다. [사사]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아젠다사업 (과제번호:PJ01388203)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참조

관련 문서

학습자들의 특성 중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 영역에 대한 사전 지식의 정도가 교수프로그램의 성공 여 부를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가장 경쟁력 있는 자원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가장 잘 활용.

가장 광범위한

 수퍼 시니어 트랜치(super senior tranche)라는 가장 등 급이 높은 트랜치는 가장 먼저 현금 지급이 완료되기 때 문에 위험이 가장 작음. 

본 표준품셈은 정보통신공사업법의 적용을 받는 정보통신공사중 가장 대표적이고 보편적인 공종 , 공법을 기준하였으며 지역이나 기후의 특성 및 기타조건에

性別에 따른 痛症은 여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남자 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日常生活 어려움은 남자집단이 가장 높게

(C) 의 경우 기계적 특성 변 화에 가장 큰 역할을 하며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와 경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 일반적인 강판에 비해 첨가물이 많아 비저항이 매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바이러스가 발견된 초기 에는 바이러스를 가장 단순한 형태의 생물체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오늘날 대부분의 생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