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북한지역 환경오염원 현황 분석 및 남북환경협력 방안 : 대기오염을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북한지역 환경오염원 현황 분석 및 남북환경협력 방안 : 대기오염을 중심으로"

Copied!
14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20-10-02 북한지역 환경오염원 현황 분석 및 남북환경협력 방안 명 수 정 외

북한지역 환경오염원 현황 분석 및

남북환경협력 방안

대기오염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DPRK and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Measures - Focusing on Air Pollution

(2)

❚연구진 연구책임자 명수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참여연구원 김재훈 (그린에코스 연구소장) 김 준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교수) 여민주 (이화여자대학교 연구교수) 빙현지 (산업연구원 연구원) 추장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연구자문위원 (가나다순) 김대종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우정헌 (건국대학교 교수) 이석기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장영기 (아주대학교 교수) ⓒ 202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발행인 윤 제 용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과학·인프라동 전화 044-415-7777 팩스 044-415-7799 http://www.kei.re.kr 인 쇄 2020년 12월 26일 발 행 2020년 12월 31일 등 록 제 2015-000009호 (1998년 1월 30일) ISBN 979-11-5980-487-8 94530 979-11-5980-485-4 (전8권) 인쇄처 (주)승림디엔씨 02-2271-2581 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를 표시해 주십시오. 명수정 외(2020), 「북한지역 환경오염원 현황 분석 및 남북환경협력 방안 – 대기오염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값 7,000원

(3)

“북한 환경상태 조사 및 남북 환경협력사업 개발 연구”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명 (연구책임) 목차 (제1권) 사업보고서 2020-10-01 북한 환경상태 조사 및 남북 환경협력 사업 개발 연구: 총괄보고서 (강택구) 1. 서론 2. 2020년 연구사업 추진 실적 3. 향후 계획 (제2권) 사업보고서 2020-10-02 북한지역 환경오염원 현황 분석 및 남북환경협력 방안: 대기오염을 중심 으로 (명수정) 1. 서론 2. 북한의 대기환경 현황 고찰 3. 북한지역의 대기오염원 추정 4. 대기질 개선을 위한 남북협력 5. 결론 및 제언 (제3권) 사업보고서 2020-10-03 한강하구 상태평가 및 환경정보 공유 플랫폼 개발 연구 (김충기) 1. 서론 2. 한강하구의 현황 및 상태평가 체계 사례 분석 3. 한강하구 상태평가 4. 환경정보 공유 플랫폼 개발 방안 5. 결론 및 제언 (제4권) 사업보고서 2020-10-04 DMZ 일원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방안: 강원권 DMZ 및 접경지역을 중심 으로 (전동준) 1. 서론 2. 강원권 DMZ 접경지역 현황 3. 강원권 DMZ 접경지역 개발계획 및 개발사업 현황 4. 강원권 DMZ 접경지역 개발계획 유형별 환경영향평가 중점 검토 사항 5. 결론

(4)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명 (연구책임) 목차 (제5권) 사업보고서 2020-10-05 북한 개발 투자사업의 환경사회 세이프 가드 구축 방안 (조공장) 1. 서론 2. 남북한 환경영향평가제도 3. 국제협력기구의 세이프가드 4. 시사점 (제6권) 사업보고서 2020-10-06 북한 환경법제 입법동향 및 DB 구축(Ⅰ) (한상운) 1. 서론 2. 북한 환경법제 체계와 김정은 정권 이전의 환경법제 변화 3. 김정은 정권 이후 북한 환경법제의 변화 4. 북한의 국제 환경협력 현황 및 변화 5. 결론 및 제언 (제7권) 사업보고서 2020-10-07 KEI 북한환경동향 2020년 (강택구) 1. 북한 매체 보도 동향 2. 국내 매체 보도 동향 (별책부록) 사업보고서 2020-10-08 위성영상기반 북한 주요 지역 토지피복 현황 및 토지피복도 구축 (추장민) 1. 서론 2. 남북 토지피복도 분류체계 통일화 및 북한 토지피복도 분류항목 선정 3. 중분류 토지피복도 시범 구축 4. 중분류 토지피복도 기반 개발 압력 높은 지역 분석 5. 결론

(5)

한국전쟁 70주년이 되는 2020년은 휴전을 넘어 평화로 넘어가기 위해 노력한 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새해 신년사를 통해 남북한은 ‘생명공동체’라는 점을 강조 하고 남북관계를 진전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습니다. 이는 한반도 터전에서 살아가는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우리 시대의 안보이자 평화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남북한 환경협력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 수집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여 남북한 교류·협력을 증대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KEI 북한환경정보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반도 차원에서 남북한 환경공동 체를 실현하고 북한 환경문제를 해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남북한이 환경 분야에서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수행한 연구가 북한의 환경 현황을 파악하고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 결정에 기초적이고 중요한 자료로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본 연구를 책임 맡아 수행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명수정 선임연구위원을 비롯하여 김재훈 그린에코스 소장, 연세대학교 김준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여민주 연구교수, 산업연구 원 빙현지 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추장민 선임연구위원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 고 심도 싶은 자문을 주신 김대종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 원, 우정헌 건국대학교 교수, 이석기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장영기 아주대학교 교수께도 감사드리며, 더불어 과제를 도와주신 연세대학교 대기복사연구실 안다현, 정희성 학생에게 도 감사드립니다. 2020년 12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 장

윤 제 용

(6)
(7)

요 약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 연구의 추진 배경 ㅇ 전 세계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북한에는 다양한 환경오염원이 있음 - 북한의 환경오염은 대기, 물, 폐기물, 화학물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며, 배출원도 산업시설과 같은 점오염원과 주거지역과 같은 비점오염원 등 다양함 - 이 중에서도 대기오염 물질은 주민들이 직접 숨 쉬는 공기 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대기환경의 관리와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환경협력은 시급성이 특히 큼 ㅇ 이에 대응의 시급성과 관련 자료의 수집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대기 분야를 중심으로 북한의 환경오염원 현황을 파악하는 연구 추진 2. 연구의 목적 ❏ 북한의 환경오염 현황 파악을 위한 오염원 관련 기초 자료 수집과 환경협력사업 도출 ㅇ 대기오염원을 중심으로 북한지역 환경오염원을 파악하고 남북협력의 기초자료 구축 ㅇ 수집한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북한의 대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남북 환경협력사업 도출

(8)

Ⅱ. 북한의 대기환경 현황과 북한의 대기오염원 추정

1. 북한의 대기환경 현황 ❏ 북한의 전반적 대기질 추정 ㅇ 북한은 석탄 위주의 에너지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가정의 난방과 취사 활동 시 주로 땔감을 활용해 왔을 뿐 아니라 연료부족으로 인해 저품질 연료를 사용하여 대기질 저하를 초래하였음 ㅇ 가정의 난방 및 취사 과정에서 저품질 연료사용과 겨울이 춥고 긴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실내 공기질이 특히 나쁜 것으로 추측됨 ㅇ 북한은 인구밀도와 산업활동 정도에 따라 지역별로 대기질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화력발전소와 같은 대기오염 다배출 시설과 인구가 밀집한 서부지역이 상대적으로 대기질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북한의 대기환경 관련 주요 이슈 ㅇ 북한은 근래들어 대기오염을 포함하여 환경오염 예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와 같은 다양한 에너지원 사용을 장려해 옴 ㅇ 북한은 대기질 개선을 위해 2012년 「대기오염방지법」을 채택하였으며, 유엔기후변 화협약에 자발적기여(NDC)를 제출하여 국제사회에 에너지 산업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원을 요청하기도 하였음 2. 북한의 대기오염원 추정 ❏ 북한의 주요 대기환경 오염원의 추정 ㅇ 북한의 주요 대기오염원으로는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각종 점오염원을 비롯하여 가정에서 주로 배출되는 면오염원이 있으며, 기타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이 있음 - 북한의 자동차 보유는 대기환경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으로 추측되며, 비점오

(9)

염원이자 면오염원인 가정에서 기인하는 오염원 현황은 자료가 부재하여 추정에 한계가 큼 ㅇ 이에 본 연구는 대기오염원 중 주로 점오염원인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다룸 - 본 연구는 자료의 가용성과 대기오염 배출 영향을 감안하여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점오염원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지도를 작성함 ❏ 북한의 주요 대기오염원 – 산업시설(점오염원) ㅇ 북한의 주요 대기오염원으로는 산업시설에 의한 대기오염이 있으며, 이는 크게 경공 업, 중화학공업, 그리고 에너지산업을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음 (a) 경공업시설 분포 (b) 중화학공업시설 분포 (c) 에너지산업 분포 자료: 저자 작성. <그림 1> 산업시설에 의한 대기오염원의 분포 ㅇ 북한은 전반적으로 대기오염원이 평양 등 서부지역에 밀집하여 있음 ㅇ 산업시설에 의한 대기오염원의 상위 시군구는 함흥, 청진, 신의주, 해주, 사리원 등의 순으로 나타남 ㅇ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선 환경협력 지역 선정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10)

자료: 저자 작성. <그림 2> 산업시설에 의한 대기오염 상위 10개 시군구 ❏ 가정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 면·비점 오염원 ㅇ 가정의 취사 및 난방활동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인구 밀접지역에서 많이 배 출되며, 이는 인구밀도에 비례할 것으로 추정됨 ㅇ 북한은 도시지역에서는 주로 석탄을, 농촌지역에서는 주로 땔감을 연료로 사용하나 이에 대한 별다른 오염 저감장치가 없어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주대기오염원 이 될 것으로 추측됨 ❏ 기타 대기오염원 ㅇ 산림훼손이 심각한 북한은 황폐산림지의 표토 날림과 비산먼지 또한 대기오염원의 하나가 됨 ㅇ 중국의 빠른 산업화에 따른 외부의 미세먼지도 북한의 대기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됨

(11)

<표 1> 북한의 주요 대기오염원 오염원 분류 내용 산업시설 (발전소 포함) 점오염원 각종 산업활동 및 전력 생산 과정에서의 배기가스 가정 면오염원 취사 및 난방 활동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산림자원 황폐화 비점오염원 바람에 의한 표토 날림과 비산먼지 자료: 저자 작성. ❏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한 대기오염 수준 검토 ㅇ 본 연구는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북한의 대기오염 수준을 검토 - 활용 자료는 OMI 위성 자료로 2011~2019년에 이르는 9년간의 누적된 자료임 ㅇ 그 결과 북한지역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분포는 대체로 산업시설이 밀집한 서부 지역과 인구가 밀집한 평양 지역, 그리고 발전시설이 밀집한 북창 등의 지역이 대기오 염 수준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의 대기오염원 추정 결과가 타당한 것으로 사료됨

(a) CO (b) NO2 (c) SO2

자료: OMI(2011~2019년)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저자 작성.

(12)

Ⅲ. 환경오염 저감을 위한 남북협력 방안

❏ 대기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사업 ㅇ 대기오염 측정망의 설치 등 - 대기오염 측정망 구축을 통해 대기질의 기초 현황 파악 ㅇ 대기오염 배출 인벤토리 구축 ❏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협력사업 ㅇ 대기오염 제어 - 산업단지의 대기오염 방지시설 도입 - 가정용 고효율 난방 및 취사기구 지원 ㅇ 에너지원 개선 - 산업단지 및 가정의 연료를 대기오염 저배출 연료로 개선 ❏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역량 강화 ㅇ 공동 연구 및 기술개발 사업 - 동아시아 대기오염을 개선하기 위한 공동 연구 및 협력 - 남북 및 동북아 지역 대기 분야 공동 연구 ㅇ 대기오염 저감과 대기환경 관리를 위한 역량 배양 사업 - 대기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역량 배양 -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하기 위한 인벤토리 관련 역량 배양 - 대기환경 관리를 위한 역량 배양 ❏ 기타 ㅇ 남북한 배출권 거래제 ㅇ 산림 복구 등

(13)

❏ 우선 협력 대상지 ㅇ 시도 단위: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등 ㅇ 시군구 단위: 평양직할시 평천구역, 함경남도 흥남구역, 함경북도 청진시 등 <표 2> 우선 협력 대상지(안) 분류 대분류 시도 ․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시군구 ․ 평양직할시 평천구역, 선교구역, 동대원구역, 보통강구역, 모란봉구역, 서성구역, 대동강구역, 중구역, 만경대 구역 ․ 함경남도 흥남구역 ․ 함경북도 청진시, 평안북도 신의주시, 강원도 원산시, 함경남도 흥남구역, 황해남도 해주시, 황해북도 사리원시, 평양직할시 낙랑구역, 남포특별시 항구구역, 와우도구역, 함경남도 함흥시, 평양직할시 만경대구역 자료: 저자 작성.

Ⅳ. 결론

ㅇ 북한의 주요 대기오염원은 산업시설 에너지 연소 및 가정의 취사 및 난방활동에서 주로 배출되는 것으로 추정됨 ㅇ 따라서 북한의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에너지원 개선과 대기오염 제어시설 및 관련 기술 도입 등 환경협력이 시급함 ㅇ 본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과 협력사업을 도출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으 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환경 현황을 파악하고 기초 자료 구축을 위한 관련 연구와 환경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는 계속되어야 함 ㅇ 향후 보다 다양한 접근법으로 연구의 한계를 극복해나가야 할 것이며, 대기 분야 외 수질과 폐기물, 토양, 생태 등 타 분야의 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음 주제어: 환경오염, 대기오염, 환경협력,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남북협력

(14)
(15)

요 약 ···ⅰ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기대 효과 ···2 제2장 북한의 대기환경 현황 고찰 ···5 1. 북한의 대기질 추정 ···5 2. 북한의 대기환경 관련 주요 이슈 ···15 제3장 북한의 대기오염원 추정 ···20 1. 주요 대기오염원의 추정 - 점오염원 ···20 2. 가정 및 그 밖의 대기오염원 ···34 3. 위성영상을 통한 북한의 대기오염 분포 추정 ···40 제4장 대기질 개선을 위한 남북협력 ···54 1. 북한의 대기질 관리 현황 ···54 2.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남북협력 사업과 우선 대상지 ···66 제5장 결론 및 제언 ···80 1. 결론 ···80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81

(16)

부 록 ···91

Ⅰ. 북한의 시도별 대기오염원(산업시설) 분포 ···93

(17)

<표 2-1> 대기오염에 기인한 질병별 북한의 인구 십만 명당 사망률(2016년) ···8 <표 2-2> 지역 분류에 따른 북한의 지역별 연평균 PM2.5 노출농도 ···11 <표 2-3> 북한의 보도 매체에 실린 대기오염 관련 기사 ···16 <표 2-4> 북한 신년사에서 언급된 대기 및 환경과 관련된 내용 ···17 <표 3-1>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북한 대기오염원(산업시설)에 대한 주요 자료 ···22 <표 3-2> 북한의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소비 추이 ···28 <표 3-3> 북한의 수요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구조 변화추이 ···30 <표 3-4> 남한의 업종별 대기오염원 배출시설 ···31 <표 3-5> 남한의 대기오염원 업종별 배출오염물질 ···33 <표 3-6> 북한의 주요 대기오염원 ···40 <표 3-7> 북한 대기질 분석에 이용된 에어로졸 및 기체의 종류 ···41 <표 4-1> 남한과 북한의 대기질 관리 현황 추정 지표 비교(2000년) ···55 <표 4-2> 북한의 서부 및 동부 계통망 연계 석탄화력발전소 발전량과 연료 사용량 ···59 <표 4-3> 북한의 「대기오염방지법」의 주요 조항 ···63 <표 4-4> 북한이 INDC에 제시한 온실가스 감축사업 목록 ···65 <표 4-5> CAPSS 배출원 산정 방법 요약 ···69 <표 4-6> 우선 협력 대상지(안) ···79

(18)

<그림 1-1> 연구 흐름도 ···3 <그림 2-1> 평양 공업지역 월별 입자상 먼지 침전량 ···6 <그림 2-2> 실내 및 실외 대기오염에 의한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2016년) ···7 <그림 2-3> 전 세계 NO2 농도 분포(2005~2014년) ···9 <그림 2-4> 2000, 2012, 2015년 북한의 지역별 PM2.5 노출농도 분포 ···10 <그림 2-5> 서울과 평양의 시정 추이(1981~2018년) ···13 <그림 2-6> 북한의 지역 그룹별 연평균 시정과 시정 구간별 빈도분율 추이 (1981~2018년) ···14 <그림 2-7> NASA의 수도권 대기질 영상 사례 ···19 <그림 3-1> 대기오염원 자료 구축 절차 ···21 <그림 3-2> 경공업 업종의 오염원 분포 ···23 <그림 3-3> 중화학공업 업종의 오염원 분포 ···23 <그림 3-4> 에너지(화력발전소) 업종의 오염원 분포 ···24 <그림 3-5> 북한의 시도별 오염원 지도 예시 ···25 <그림 3-6> 북한의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공급 추이 ···27 <그림 3-7> 북한의 전원별 발전실적 추이 ···28 <그림 3-8> 북한의 석탄자원 분포 ···29 <그림 3-9> 북한의 가정에서의 대기오염 배출원(시가화지역) 분포 ···35 <그림 3-10> 북한의 지역별 취사용 연료 ···36 <그림 3-11> 북한의 지역별 난방용 연로 ···36 <그림 3-12> 북한의 전국, 도시, 농촌 지역의 시정 평균과 빈도분율 추이 (1981~2017년) ···37 <그림 3-13> 북한의 2010년대 말 산림 황폐화지역 분포 ···39 <그림 3-14> 북한지역의 GOCI 550nm AOD(2011~2019년) ···42

(19)

<그림 3-17> 북한지역의 NH3 VCD(2007~2019년) ···48 <그림 3-18> 북한지역의 CO VCD(2007~2019년) ···50 <그림 3-19> 북한지역의 Tropospheric O3 Column(2017~2019년) ···52 <그림 4-1> 북한의 주요 석탄화력발전소 위치 ···58 <그림 4-2> 청정개발체제 사업계획서에 제시된 북한 석탄화력발전소의 시설별 발전량과 설비용량, 가동률(2005~2009년) ···61 <그림 4-3> CDM 사업계획서 자료에 기반한 북한의 이산화탄소 배출강도(2007~2009년)와 주요 국가의 배출강도 비교 ···62 <그림 4-4> 우리나라의 굴뚝원격감시체계 운영도 ···68 <그림 4-5> 대기오염 배출 저감을 위한 대기오염물질 제어 사례 ···70 <그림 4-6> 북한의 업종별 산업시설 ···73 <그림 4-7> 북한지역 시도별 산업시설 분포 ···74 <그림 4-8> 상위 5개 시도별 산업시설 대분류 업종 분포 ···74 <그림 4-9> 상위 10개 지역의 시군구별 대기오염원(산업시설) 분포 ···75 <그림 4-10> 시도별 전체 산업시설 분포 ···76 <그림 4-11> 시군구별 전체 산업시설의 분포 ···76 <그림 4-12> 시도별 경공업시설 분포 ···77 <그림 4-13> 시도별 중화학공업시설 분포 ···77 <그림 4-14> 시군구역별 경공업시설 분포 ···78 <그림 4-15> 시군구역별 중화학공업시설 분포 ···78

(20)

AOD Aerosol Optical Depth (에어로졸 광학 깊이)

CAPSS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대기정책지원시스템)

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청정개발체제)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미 환경보호청) FGD Flue Gas Desulfurization (배연탈황설비)

GBD Global Burden of Disease (세계질병부담)

GTS Global Telecommunication Service (전 세계 기상통신망) NEACAP Northeast Asia Clean Air Partnership (동북아청정대기파트너십) 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미국항공우주국) 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자발적 기여)

OMI Ozone Monitoring Instrument (오존 모니터링 위성 센서)

PDD Project Design Document (사업계획서)

SEMS Stack Emission Management System (대기오염배출원 관리시스템) TEMM Tripartite Environment Ministers Meeting Among Korea, China and

Japan(한중일 환경장관회의)

TMS Tele-Monitoring System (굴뚝원격감시체계)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 유기화합물)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세계보건기구)

(21)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의 질을 확보하지 않고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할 수 없다는 점에 따라 경제개발을 하더라도 환경을 고려 하는 친환경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발전 을 위해서도 환경에 대한 고려와 환경개선을 위한 협력 추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환경오염 분포와 환경오염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북한은 그간 주로 중공업과 국방 위주의 정책을 추구하여 환경 분야에는 별다른 투자를 하지 않아 환경 상태가 그다지 양호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주민들의 일상생활 및 건강과 관련된 환경의 질이 좋지 못한 것으로 추측이 되는데, 대기오염과 수질오염 및 폐기 물에 대한 처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환경 개선을 위한 관련 인프라 조성 등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명수정, 2017). 환경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인근 지역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남한뿐 아니리 북한의 환경 개선과 관리를 위한 협력 또한 필요하다. 환경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요 환경 매체별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환경 개선사업을 도출해야 한다. 그러나 남북은 오랜 단절로 인해 환경협력 구상에 필요한 현황 자료와 구체적인 정보 축적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남북 간 환경 협력사업을 자유로이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 될 때에 대비하여 북한의 환경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환경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협력 사업 을 구상해 나갈 필요가 있다. 환경오염원을 파악하고 이를 처리하여 오염을 저감하는 것은

(22)

환경 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따라서 대기, 수질, 폐기물 등 주요 환경분야를 중심으 로 오염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나갈 필요가 있다. 환경오염 중 대기오염의 경우 매체의 특성상 빠르게 주변으로 확산되므로 특정 국가나 지역의 노력을 통해서만 대기 상태가 개선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지역 내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북한은 동북아지역의 대기오염에 대한 노력의 사슬에서 빠진 고리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1) 최근 미세먼지는 중요한 사회문제로 떠올 랐다. 미세먼지는 국내 배출원뿐 아니라 주변 국가에서 발생한 미세먼지와 그 전구물질의 수송이 농도 상승을 유발할 수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 북한의 경우 남한과 인접하므로 남한 의 대기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여민주 외, 2019; Choi et al., 2019; Kim et al., 2019; Kim et al., 2018; Kim et al., 2016; Kim et al., 2013). 오염된 대기는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약자와 가난한 주민들에게 가장 먼저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대기환경의 개선은 환경협력 있어 우선적인 중요성을 가진다. 환경은 우리가 숨 쉬고 마시는 공기와 물, 그리고 토양과 하천, 바다, 생태계 등 다양한 매체를 총칭한다. 환경협력을 위해서는 환경 현황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물, 대기, 폐기물, 생태 등 주요 매체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해나갈 필요가 있다. 수질이 나 폐기물의 경우 현장조사와 모니터링 등 직접적인 자료 수집 없이는 현황 파악이 극도로 어렵다. 대기오염의 경우 수질오염이나 토양오염과 같이 하천이나 토양과 같이 매체가 특정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를 통해 대기권 전체로 서서히 오염이 확산 되는 특성이 있어 현황을 파악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기오염을 중 심으로 북한의 환경오염원을 추정하고 관련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범위 및 기대 효과

본 연구는 대기 분야를 중심으로 오염 현황을 고찰하여 북한의 환경오염원을 추정하고 남북환경협력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자료 및 위성영상

1) The Diplotmat(2019.6.11), “North Korea: The Missing Link in Northeast Asia’s Air Pollution Fight”, 검색일: 2020.6.10.

(23)

과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북한의 전반적인 대기환경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러한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북한의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남북 간 환경협력사업을 모색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산업단지를 비롯하여 가정 등 북한의 주요 대기 오염원과 관련된 자료 조사 및 수집된 자료의 공간정보화와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남북환경협력 방안이다. 본 연구의 범위와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ㅇ 북한의 대기환경 현황 고찰 - 북한의 대기환경 상태 추정 ㅇ 북한의 주요 대기환경 오염원 추정 - 산업시설: 산업단지 등 주요 환경오염 유발시설에 대한 가용 자료 수집2) - 기타 오염원: 가정 등 그 밖의 대기오염 배출원에 대한 문헌조사 -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북한 주요 대기오염원의 공간정보화 ㅇ 대기질 개선을 위한 남북환경협력 제안 다음 <그림 1-1>은 본 연구의 흐름도이다. 자료: 저자 작성. <그림 1-1> 연구 흐름도 2) 본 연구는 대상 지역에 대한 접근성의 한계로 대기오염 배출시설의 활동 정도나 배출량에 대한 정보 수집은 할 수 없음을 명확히 밝히는 바이다.

(24)

본 연구의 북한지역 대기오염원 추정은 향후 지역별 우선 사업과 대상지역 선정 과정에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북한의 대기질의 개선은 북한주민들의 건 강 상태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며, 대기오염의 경우 남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북한의 대기질 개선은 남한의 대기환경 개선에도 도움이 되며,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발전에도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5)

제2장

북한의 대기환경 현황 고찰

본 장에서는 북한의 대기질에 대한 추정과 북한의 주요 대기오염 관련 이슈 등 대기환경 현황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1. 북한의 대기질 추정

가. 북한의 전반적 대기질 상태 맑고 깨끗한 공기와 토양과 물은 인간을 비롯하여 모든 생물들이 살아가는 데 가장 기본 적인 조건이다. 그러나 북한의 경우 그간 국방과 중공업 위주의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환경 을 보존하고 환경 상태를 개선하는 데에는 우선순위를 두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석탄 위주의 에너지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난방과 취사용 연료로 땔감과 같은 낮은 품질의 연료 를 사용하여 대기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인다(명수정, 2017). 특히 가정에서의 저품질 연료 사용과 효율이 낮은 난방 및 취사기구의 사용은 실내 대기오염을 초래하여 주민건강에 위협이 되고 있다. 유엔기구와 북한이 작성한 보고서(UNEP, DPRK, 2012)에서도 평양지 역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의 성상이 대부분 재라는 점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은 에너지 부족으로 인해 대기오염을 배출하는 연료연소 활동이 활발하지 않아 대기 상태가 깨끗할 것이라고 막연히 추측하지만 실제 대기 상태는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 다. 이는 무엇보다 북한에서 사용하는 연료에 기인하는데, 북한의 산업시설은 주로 석탄을 사용하며, 가정에서의 난방과 취사 시에는 석탄 혹은 나무 연료를 사용하고 있다. 북한의 에너지 부족은 잘 알려진 문제이다. 근래 들어 북한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자원을 활용한 발전을 강조하여 수력을 활용하는 정도가 늘어나기도 하였다. 지역 간에 차이가 있

(26)

으나 전반적으로 에너지가 부족하여 인근 산의 나무를 베어 땔감으로 활용하는 관행이 여전 히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북한지역 대기오염은 품질이 낮은 연료를 사용하는 점 과 연료가 연소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오염 저감에 필요한 집진시 설 등으로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지 않는 것이 주원인으로 추측된다. 평양지역 공업단지의 월별 입자상 먼지의 침적량에 관한 자료에 의하면 강수량이 낮은 기간 북한 공업지역의 먼지 농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림 2-1 참조). 자료: DPRK, UNEP(2012). <그림 2-1> 평양 공업지역 월별 입자상 먼지 침전량 이는 평양과 북한 전역을 비교한 결과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는데, 공업과 시민들의 생활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높은 평양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대기오염이 높은 수준이다.3) 북한은 제도적으로는 환경 관련 법규를 제정하여 국가 차원에서 전반적인 환경관리의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실질적으로는 환경오염을 줄이는 기술 개발 과 환경 질의 개선에 별다른 투자를 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결과 대기오염물질이 배출 될 때 이를 정화할 수 있는 방지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으며, 방지시설이 있다 하더라도 대기오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 수준 등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기오염 제어시설이 있다 하더라도 부품과 에너지 부족으로 시설을 가동하기 어려워 산업 3) 다음 2절 참고.

(27)

시설이나 가정 및 공공시설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반적 상황이 북한의 대기 상태가 악화되는 주된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수송되는 대기오염도 상당하다.4) 또한, 겨울이 춥고 긴 기후 특성으로 환

기를 잘 하지 않아 실내 공기질이 상당히 낮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따라 북한의 대기질은 일부 지역의 경우 주민들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는 수준일 것이다. 세계보건기구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 의하면 2012년 기준 북한은 실내 및 실외 대기오 염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이 인구 10만 명당 약 238명으로 172개국 중 1위였다(WHO, 2017). 이중 상당 부분은 실내 대기오염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이 약 207명으로 183개국 중 15위였으며, 남한에 비해 약 10배 높았다 (WHO, 2019)(그림 2-2 참조). 단위: 인구 100만 명당 사망자 수. 자료: WHO(2019)로부터 저자 작성. <그림 2-2> 실내 및 실외 대기오염에 의한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2016년) 4) 중앙일보(2018.8.4), “중국 오염에 자체 배출까지…북한 주민 미세먼지 큰 고통”, 검색일: 2020.9.20.

(28)

2016년 기준 북한은 인구 십만 명당 대기오염으로 사망하는 인구가 89명으로 나타났 다.5)6) 그 주요 원인으로 낙후된 화력발전시설과 인근 국가인 중국의 빠른 산업화 등이 지목 되고 있다. WHO가 제시한 2016년 기준 대기오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북한의 주요 사망 원인은 다음 <표 2-1>과 같다. <표 2-1> 대기오염에 기인한 질병별 북한의 인구 십만 명당 사망률(2016년) 질병명 전체 남성 여성 하기도 감염 16[13~20] 15[12~19] 17[13~21] 기관, 기관지, 폐암 1[0~1] 1[1~1] 0[1~1] 허혈성 심장병 21[18~24] 24[20~27] 18[15~21] 뇌졸증 8[7~9] 7[6~9] 9[7~10] 만성 폐쇄성 폐질환 4[2~5] 4[2~5] 3[2~4] 전체 49[45~55] 51[46~56] 48[43~53] 주: [ ]는 오차범위를 의미.

자료: WHO Global Health Observatory Data Repository, “Death by Country”, 검색일: 2020.10.1.

대기오염물질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인 대기질 수준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에서 전 세계 195개 도시를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주요 대기오염물질인 이산화질소의 농도 를 위성영상으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역별, 국가별 대기오염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이산화질소의 경우 주로 자동차에서 배출되므로 교통량과 연료소모량이 적은 북한 지역의 경우 양호한 상태를 보인다. 서울의 경우 중국 북경 및 일본 동경과 유럽 일부 지역과 더불 어 상당히 나쁜 수준의 대기 상태를 보이는 반면, 북한은 예상과 달리 오히려 깨끗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그림 2-3 참조).

5) WHO Global Health Observatory Data Repository, “Death by Country”, 검색일: 2020.10.1. 6) 남성은 96명, 여성은 82명으로 남성이 좀 더 높다.

(29)

자료: NASA, “New NASA Satellite Maps Show Human Fingerprint on Global Air Quality”, 검색일: 2020.10.1. <그림 2-3> 전 세계 NO2 농도 분포(2005~2014년) <그림 2-3>과 같은 대기오염 분포 자료는 북한의 대기오염은 자동차 운행보다는 산업활 동이나 난방 및 취사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7) 실제로 북한의 주 연료는 석탄과 나무로, 여기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주로 SO2, CO, 검댕 등이다. 그러 므로 북한에서 발생하는 스모그는 남한과 같은 LA형 스모그가 아니라 런던형 스모그일 것 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자료는 북한의 주된 대기오염원이 자동차와 같은 선오염원보다는 화력발전소나 가정에서 주로 배출하는 난방 및 취사 연료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확인해 주는 것이다. 가정의 난방 및 취사 시 에너지 효율이 낮은 시설과 품질이 낮은 연료의 사용은 겨울이 춥고 긴 북한의 기후적 특성과 함께 실내 공기 질을 떨어뜨려 주민 건강에 큰 위협이 될 것이다. 7) 이산화질소는 대기 중에서 포름알데히드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만나 햇빛을 받으면 광화학 반응을 일으킨 다. 광화학 반응 과정에서 오존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을 생성되는데, 이는 광화학 스모그의 주 유발 원인이 된다. 오존은 냄새가 자극적인 독성이 강한 갈색 기체로, 특정 국가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초미세먼지나 모래먼지와 같은 대기오염과는 달리 주로 특정 지역 내에서 발생하고 소멸하는데, 주로 자동차와 공장에서 연료 연소 시에 배출된다.

(30)

나. 북한의 지역별 대기질 추정

1) 주요 지역별 대기질 추정

북한의 대기질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OECD는 북한지역 11개 시도의 183개 시군구에

대해 1998~2013, 2015년 북한지역의 PM2.5 노출농도를 추정한 바 있다.8)9) 여민주와 김

용표(2019)는 이러한 자료와 세계질병부담(GBD: Global Burden of Disease) 2017 프로

젝트에서 추정(Shaddick et al., 2018)한 자료를 활용하여 북한지역의 PM2.5 노출농도를 추정한 바 있다.10) 북한 PM2.5 노출농도의 지역적 분포를 살펴보면 <그림 2-4>와 같이 북한의 서부지역이 동부지역 보다 또, 남부지역이 북부지역보다 농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북한의 지역별 농도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북한의 11개 시도 지역을 <표 2-2>와 같이 (a) 동부 및 서부지역, (b) 남부 및 북부지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c) 석탄화 력발전소가 있는 지역과 없는 지역으로도 구분하여 대기오염 농도를 비교하였다(여민주, 김용표, 2019). (a) 2000년(16~30㎍/m3) (b) 2012년(11~24㎍/m3) (c) 2015년(23~42㎍/m3) 단위: ㎍/m3 자료: 여민주, 김용표(2019), p.323. <그림 2-4> 2000, 2012, 2015년 북한의 지역별 PM2.5 노출농도 분포 8) OECD가 제시한 PM2.5 노출 추정 농도는 격자 기반의 인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구 가중치를 고려하였다.

9) OECD, “Exposure to PM2.5 in Countries and Regions”, 검색일: 2020.10.1.

10)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IHM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GBD 2017) Data Resources”, 검색일: 2018.11.11.

(31)

북한의 동부지역은 함경남북도와 양강도 및 강원도 지역이 해당되며, 나머지는 서부 지역 으로 분류하였다. 남부지역은 황해남북도와 강원도, 평안남도, 평양시와 개성시를 포함하고, 그 밖의 지역은 북부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석탄화력발전소가 소재한 지역은 함경남도와 함 경북도, 평안남도와 평안북도, 평양시, 그리고 황해남도의 6개 시도이며, 나머지 지역은 석탄화력발전소가 없는 지역으로 분류하였다(표 2-2 참조). 지역 분류에 따른 북한의 지역 별 연평균 PM2.5 노출농도를 정리한 <표 2-2>를 살펴보면, 1998년부터 2015년까지 (a) 북한 서부지역의 PM2.5 농도는 동부 지역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약 45%, (b) 남부지역은 북부지역과 비교하여 약 27% 높았다. 또한 (c) 석탄 화력발전소가 있는 지역은 발전소가 없는 지역에 비해 약 11% 농도를 나타내었다. 본 결과만으로 북한 서부지역이 동부지역보 다, 남부지역이 북부지역보다 PM2.5 노출농도가 높은 이유를 단정할 수는 없지만, 지리적 측면을 고려할 때 중국과 남한의 영향도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표 2-2> 지역 분류에 따른 북한의 지역별 연평균 PM2.5 노출농도 (단위: ㎍/m3) 연도 (a) 서부지역 vs. 동부지역 (b) 남부지역 vs. 북부지역 (c) 석탄화력발전소 유무 서부 동부 비(서/동) 남부 북부 비(남/북) 유 무 비(유/무) 1998 28.1 19.7 1.43 28.4 21.0 1.35 26.5 23.3 1.13 1999 21.5 15.7 1.37 21.6 16.7 1.30 20.1 18.5 1.08 2000 27.0 18.5 1.46 26.1 21.2 1.23 25.2 22.4 1.12 2001 30.7 18.6 1.65 30.6 21.1 1.45 27.6 24.7 1.11 2002 25.8 18.4 1.40 25.0 20.9 1.19 24.6 21.4 1.15 2003 29.7 21.9 1.36 29.2 24.1 1.22 28.3 25.2 1.12 2004 24.8 17.3 1.43 24.3 19.5 1.24 23.4 20.5 1.14 2005 26.0 18.4 1.41 25.7 20.2 1.27 24.3 21.9 1.11 2006 27.9 20.1 1.39 27.3 22.4 1.22 26.3 23.7 1.11 2007 25.9 17.7 1.46 25.5 19.9 1.28 23.9 21.7 1.10 2008 27.9 18.8 1.48 27.3 21.3 1.29 25.6 23.4 1.09 2009 29.2 21.5 1.36 28.8 23.5 1.23 27.2 25.4 1.07 2010 24.8 17.4 1.42 23.9 20.0 1.20 23.0 21.0 1.10 2011 23.0 15.3 1.50 22.3 17.6 1.27 21.5 18.6 1.16

(32)

<표 2-2>의 계속 연도 (a) 서부지역 vs. 동부지역 (b) 남부지역 vs. 북부지역 (c) 석탄화력발전소 유무 서부 동부 비(서/동) 남부 북부 비(남/북) 유 무 비(유/무) 2012 21.5 14.3 1.51 21.4 15.9 1.35 19.8 17.9 1.10 2013 28.5 19.4 1.47 28.6 21.1 1.36 25.9 24.2 1.07 2015 35.3 23.9 1.48 32.8 29.2 1.12 32.7 29.3 1.12 평균 26.9 18.6 1.45 26.4 20.9 1.27 25.0 22.5 1.11 자료: 여민주, 김용표(2019)로부터 저자 재구성. 2) 북한의 주요 지역별 시정 추이 북한의 대기질에 대한 연구는 북한지역 자료 획득의 한계로 주로 간접적으로 북한의 대기 질을 추정하는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최근 위성영상과 수치모형을 활용한 대기질 자료가 생성되어 북한의 대기질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북한에서 직접 측정된 현장 자 료가 부재함은 연구의 큰 한계가 된다. 본 절에서는 북한의 지역별 대기오염 현황을 간접적 으로나마 살펴보고자 북한의 시정 추이를 활용하여, 북한의 지역별 대기질을 비교하였다. 시정이란 수평 방향으로 대기가 혼탁한 정도를 가시거리로 나타낸 것으로 대기질을 나타내 는 대표적인 대리지표의 하나이다. 여민주 외(2019)은 세계기상기구(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가 제공하는 북한의 총 27개 기상관측 지점의 시정 관측자 료를 활용하여 북한의 지역별 대기질을 비교한 바 있다.11) 북한의 지역별 시정 수준과 공간 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측지점을 위치와 지역 특성에 따라 청정지역, 평양지역, 공업 지역, 자강도, 그리고 기타의 다섯 그룹으로 나누어 시정자료를 살펴보았다.12) 또한 서울과 평양의 시정을 비교하였는데, 서울과 평양의 40여 년간의 자료에 의하면 두 지역 모두 시정 거리가 10km에서 15km 사이로 그 범위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그림 2-5 참조). 11) 본 분석은 강수일의 시정 자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는데. 강수는 현상 자체로 심각한 시정 장애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강우 시 높은 상대습도가 안개를 발생시키는 등 대기오염이 아닌 기상 현상으로 인해 시정 저하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12) 다섯 개 그룹 중 1) 청정지역 그룹은 산업시설이 상대적으로 적은 동해안의 해안가 지역의 선봉, 신포, 장전 및 산간지역인 삼지연, 혜산, 풍산, 장진, 양덕을, 2) 평양지역 그룹에는 평양, 남포, 사리원, 신계, 용연 지점을, 3) 공업지역 그룹은 청진, 김책, 수풍, 신의주, 구성, 함흥, 원산 지점을, 4) 자강도 그룹은 중강, 강계, 희천, 5) 기타 그룹에는 안주, 해주, 개성, 평강을 포함하였다.

(33)

자료: 여민주 외(2019), p.729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그림 2-5> 서울과 평양의 시정 추이(1981~2018년) 두 지역의 연도별 시정 추이를 살펴보면, 서울은 1980년대 초 이후 전반적으로 시정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이는 반면, 평양의 경우 1980년대 초 시정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1980년대 후반 이후 다시 증가하였으며, 2000년부터 점차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고, 최근 에는 서울과 상반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경향성은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최근 북한의 교통량이 늘어난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림 2-6>은 북한의 지역별 평균 시정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1981년부터 2018년까지 시정 구간별 빈도분율을 3, 15, 20, 30km 이상인 구간을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북한 전체지역의 연도별 평균 시정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이는데, 1983년의 경우 모든 지역에 서, 2008년에는 일부 지역에서 불연속 구간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13) 13) 이는 일부 관측지점의 경우 시정을 측정하는 방법이 바뀌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여민주 외, 2019).

(34)

(a) 북한 전역 (b) 청정지역 (c) 평양지역 (d) 공업지역 (e) 자강도지역 (f) 기타 주: 붉은 선은 시정의 연평균을, 위에서부터 굵게 표시된 선이 각각 ≥ 3, ≥ 15, ≥ 20, and ≥ 30 km에 해당하는 빈도분율을 나타냄. 자료: 여민주 외(2019), p.731로부터 저자 정리. <그림 2-6> 북한의 지역 그룹별 연평균 시정과 시정 구간별 빈도분율 추이(1981~2018년) 1981년부터 2018년까지 지역별 시정의 경향성에는 차이가 있는데, 5개 그룹 가운데 청정지역 그룹의 평균 시정과 시정이 15km 이상인 경우의 빈도분율이 90% 내외로 높아 대기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추정된다. 연도별 경향성의 경우 평양 일대 지역이 분석 기간 내에 지속적인 감소 추이를 보이는 유일한 그룹이다.14) 공업지역의 경우 기간에 상관없이 시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인다. 이는 기상학적 요인 혹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의 변화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의 감소는 시정을 증가시킨 다. 만약 북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실제로 감소하였다면, 이는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감소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경우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감소 는 대기오염 제어에 대한 환경관리의 강화보다는 산업활동 저하에 따른 산업시설의 가동률 감소가 주원인일 것으로 추측된다. 14) 연도별 불연속 구간을 고려하여 전체 분석 기간인 1981~2018년을 시정이 급격히 감소 및 증가한 기간인 1982~1983년과 2007~2008년을 고려하여 1983~2018년, 1983~2007년, 2008~2018년의 연평균 시정을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그 기울기를 비교한 결과, 동일 그룹에 속하더라도 기간에 따라 기울기의 크기와 방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여민주 외, 2019).

(35)

평양지역의 경우 시정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평양 및 인근 지역의 시정을 악화 시키는 요인인 습도와 온도 및 안개 발생 빈도가 늘어났거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평양지역 그룹은 북한에서도 산업시설이 밀집하여 있어 경제활동 이 가장 활발한 지역의 하나이고, 대기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석탄화력발전소 등 대기오 염 다배출시설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타 지역에 비해 대기오염 부하량이 많다. 또한 서부에 위치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중국으로부터 이동하는 미세먼지와 중금속 같은 입자상 대기오염물질 부하량도 시정 감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측된다. 평양지역 그룹은 시정이 15km 미만인 경우 빈도분율 또한 증가하였는데, 기타 지역 그룹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결과 를 보였다. 청정지역 그룹과 더불어 기타 지역 그룹은 2008년 시정이 30km를 넘는 경우의 빈도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15) 북한지역 전체 평균과 구간별 빈도분율의 경우도 두 그룹 의 영향으로 2008년 크게 증가하였고, 시정이 30km 이상인 경우의 빈도분율이 크게 증가하 였으며, 1983년에는 5개 모든 그룹에서 시정이 20km 이상인 경우의 빈도분율이 급감하였 다(여민주 외, 2019). 이상에서 북한의 지역특성에 따른 그룹별 연평균 시정 추이와 구간별 시정 빈도분율 추이 는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북한의 시정 추이가 지역별로 다른 이유는 지역별 기상이 미치는 영향 외에 지역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차이 때문으로 추측된다.16)

2. 북한의 대기환경 관련 주요 이슈

가. 북한의 대기환경 관련 보도자료 대기질 개선을 위해 남북한의 대기분야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북한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대기 분야의 이슈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북한은 국내외 환경 문제를 주요 매체 에서 다루고 있으며, 매해 초 신년사를 통해 북한의 주요 이슈를 주민들에게 알리고 있다. 이에 북한 보도자료에 실린 대기오염에 대한 기사와 신년사의 관련 내용을 살펴본다. 15) 이는 앞서 언급된 것처럼 북한 일부 지역의 경우 시정 측정 방법이 변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16) 1983년 및 2008년에 나타난 시계열 불연속 현상의 경우 시정 측정 방법의 변화 등 기타 요인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36)

북한의 보도자료에는 대기오염에 대한 기사가 종종 실리는데, 이는 간접적으로 북한이 대기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대기오염과 관련된 북한의 보도 내용은 북한의 대기오염 상태를 전달하기보다는 주로 대기오염이 무엇인지를 소개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는 북한에서는 대기오염 상태를 별도로 모니터링하지 않아 대기오염 수준을 전달할 수 없으나 대기질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자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북한은 대기오염이 무엇인지, 국제사회의 관련 현황을 알려줌으로써 대기오염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을 제고하 고 자발적으로 오염을 저감하는 노력을 할 것을 권고하는 것으로 추측된다(표 2-3 참조). <표 2-3> 북한의 보도 매체에 실린 대기오염 관련 기사 출처 (보도 시기) 주요 관련 기사 내용 󰡔노동신문󰡕 (2016.10.18) - 명백한 것은 대기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사업이 결코 남을 위한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자기 자신을 위해서도 또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도 누구나 반드시 해야 할 공동의 과제이다. - 대기오염이 호흡뿐 아니라 혈관계통 질환 등 다른 질병도 발생시킨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안개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으로 하여 교통운수 부문이 마비 상태에 직면하 고 있으며 사람들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서는 바깥출입을 할 수 없을 정도에까지 이르고 있다. - 대기오염이 위험 수치를 초과하여 사람들의 생명 안전과 사회경제발전에 막대한 손실 을 주게 되는 주요 원인은 일부 나라들에서 지속적인 경제발전에만 치우쳐 석탄을 비롯 한 화석연료를 대량적으로 생산한 데 있다. - 대기를 정화하여 신선하고 깨끗한 환경을 보장해주던 산림자원의 황폐화 역시 스쳐 지나갈 수 없는 대기오염의 주되는 원인의 하나이다. - 지금 세계적으로 해마다 나무심기 사업이 광범하게 벌어지고 있다. 특히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도시들에서 가로수를 많이 심는 것과 함께 건물옥상은 물론 벽체를 록화하는 것이 하나의 추세로 되고 있다. - 깨끗한 환경 속에서 보다 문명한 생활을 마음껏 누리며 행복하게 오래오래 살려는 것은 이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공통된 지향이다. 모든 나라들은 눈앞의 경제적 리익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경제문화생활의 창조자이고 향유자인 인간의 생명안전을 첫 자리에 놓고 경제 전략을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노동신문󰡕 (2018.5.22) -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 인구의 90% 이상이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심각한 대기오염의 위협을 받고 있으며 그로 인해 해마다 600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고 있다 고 밝혔다. 󰡔노동신문󰡕 (2018.10.18) - 대기오염물질에는 폐와 심장혈관 계통에까지 침투하는 미세알갱이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뇌졸중, 폐암, 심장질환과 같은 각종 질병들을 일으켜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가 고 있다. - 일부 나라들에서는 지속적인 경제발전 추세에 맞게 태양열에네르기와 지열, 수력, 풍력 을 비롯한 재생에네르기 사용에 힘을 넣고 있다. 자료: 북한 매체 자료를 중심으로 저자 정리.

(37)

북한은 2013년부터 발표한 신년사에서 북한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석탄의 생산과 사용 량 증대, 전력 생산 증가와 신재생에너지 사용 증가에 대한 내용이 여러 차례 언급되었다. 그러나 2016년부터 최근까지 국토관리사업 차원에서의 환경보호와 환경오염 방지에 대해 계속하여 보도하였으나, 대기오염 예방이나 대기질 개선에 대한 보도는 없었다. <표 2-4>는 북한의 신년사에 실린 주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17) 연도 주요 내용 2014 ․ 전력 생산 증대 및 신재생 에너지 사용 장려․ 풍력, 지열, 태양열을 비롯한 자연에네르기를 이용, 보다 많은 전력을 생산할 필요성 강조 2015 ․ 전력 생산 증대 강조․ 석탄공업과 화력발전소에서의 혁신을 통한 전력 생산 증대 및 전기 절약 강조 2016 ․ 전력 생산 증대 강조 및 신재생에너지 사용 장려 ․ 화력발전소 및 여러 부문에 석탄 제공의 필요성 강조 ․ 자원 보호와 대기, 강하천, 바다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환경오염 방지 강조 2017 ․ 국가통합전력관리체계의 운영을 통한 전력 생산 증대 강조 ․ 양묘장과 산림 복구를 통한 국토관리사업 강조 ․ 환경보호사업을 통한 환경오염 방지 강조 2018 ․ 전력 생산 증대 강조 ․ 다양한 에너지원 사용 장려 ․ 중소형 수력발전소의 전력 생산과 지방 공업 부문의 전력 보장 ․ 산림 복원과 조성된 산림의 보호 관리 ․ 도로 기술 상태 개선 및 강하천 정리를 통한 환경보호 사업 2019 ․ 전력 생산 증대 강조 ․ 다양한 에너지원 사용 장려 ․ 자립경제를 위한 석탄 생산 증대 및 사용 장려 ․ 석탄공업과 화력발전소의 전력 생산 증진 강조 ․ 산림 복구를 통한 원림록화 및 도시 경영, 도로관리사업의 개선 ․ 환경오염 예방의 필요성 강조 2020 ․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를 줄여야 함을 강조 ․ 산림녹화의 중요성 언급 <표 2-4> 북한 신년사에서 언급된 대기 및 환경과 관련된 내용 자료: 신년사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17) 2020년의 경우 별다른 신년사 없이 노동당 전원회의로 대신하였다.

(38)

대기환경과 관련하여 북한의 주요 관심사는 대기오염이 건강에 영향과 깨끗한 환경의 중요성, 그리고 이러한 환경의 질 유지의 중요성을 비롯하여 재생에너지 등 주로 에너지 생산과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북한은 대기환경과 관련해서 1986년에 「환경보호법」을 채택하였으며, 2012년에는 「대기오염방지법」을 채택하여 대기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 를 보이기도 하였다. 북한은 유엔기후변화협약에 제출한 자발적 기여(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에서도 국제사회의 지원을 통한 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제시한 바 있다(DRPK, 2016). 또한, 2013년에는 「재생에네르기법」 을 채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대기오염과 관련하여 궁극적으로 청정한 에너 지 생산에 북한의 국가적 관심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나. 북한의 대기오염이 남한에 미치는 영향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남북환경협력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남북한의 대기오염이 서로에 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정학적으로 직접 닿아 있으므로 한 지역의 대기오 염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은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기 위한 미국 항공우주국의 중국과 한반도의 대기질에 대한 위성영상 분석 사례는 대기오 염이 인근 국가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그림 2-7 참조). 이는 대기환경의 개선을 위해서 는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노력뿐 아니라 주변 지역과 국가의 대기환경 개선 노력과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39)

자료: NASA Earth Observatory(2020.3.5), “How the Coronavirus Is (and Is Not) Affecting the Enviro nment”, 검색일: 2020.7.15. <그림 2-7> NASA의 수도권 대기질 영상 사례 우리나라는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질 저하가 심각해지자 국내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미국 항공우주국과 ‘한미 협력 국내 대기 질 공동조사(KORUS-AQ)’ 를 통해 공동 연구를 수행해 왔다.18) 국립환경과학원과 미국항공우주국이 수행한 제1차 한미 협력 대기질 공동조사에서는 2016년 서울에서 측정한 PM2.5 농도에 대한 북한의 기여 도를 9%로 제시한 바 있다(국립환경과학원, 미국항공우주국, 2017). 배민아 외(2018)는 수도권 연평균 PM2.5 농도에 대한 북한 배출량의 기여도를 14.7%로 제시한 바 있는데, 이는 3.89㎍/m3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추정치는 모델 분석 시 사용 한 입력 자료 등의 분석 조건에 따라 그 결과치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북한의 대기오염은 남한지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처럼 남한과 북한의 대기 상태는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대기질 개선을 위한 남북한 간 환경협력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18) 2016년 추진된 제1차 KORUS-AQ은 항공 관측 중심으로 진행되었는데, 2021년에 추진될 제2차 대기질 공동조사는 인공위성 관측이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40)

제3장

북한의 대기오염원 추정

제2장에서 북한의 전반적인 대기질 현황을 살펴보았다. 북한의 대기오염물질은 다른 국 가와 마찬가지로 주로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북한에서 연료의 연소는 산업시설을 비롯하여 가정의 난방과 취사과정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의 대기오염은 주로 연료 연소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하고 대기오염원을 추정하 였다. 본 장에서는 먼저 대표적인 대기오염원인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북한의 대기오염원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가정을 비롯한 그 밖의 대기오염원을 살펴본다.

1. 주요 대기오염원의 추정 - 점오염원

가. 북한지역 산업시설 자료의 수집과 구축 산업시설의 경우 오염이 배출되는 곳이 비교적 명확하여 점오염원에 해당한다. 반면, 주 거지역의 경우 개별 가정에서 소규모의 오염원이 넓은 지역에서 발생하므로 비점오염원이 자 면오염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19)20)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의 주요 대기오염원으로 산업시 설과 같은 점오염원과 그 밖의 오염원인 가정과 같은 면오염원으로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산업시설은 상대적으로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용이하므로, 본 연구는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19) 점 오염원은 대규모 공장이나 발전소 및 소각로와 같이 특정 시설이 다량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며 오염배출 지점이 비교적 명확할 경우를 의미한다. 면오염원은 개별 주택에서 배출되는 굴뚝 연기나 공사장의 비산먼지 와 같이 소규모의 오염원이 모여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20) 본 연구는 환경오염원에 대한 접근과 자료 획득의 한계로 대기오염원 중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지도화 작업을 추진하였다.

(41)

북한의 대기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지도로 나타내었다. 산업시설의 기초현황과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산업시설 관련 자료 를 수집하여 이를 대기오염원 DB로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북한의 산업시설을 공간정보화 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추정하여 이를 지도화하였다. 산업시설에 대한 정보 수집을 위해 본 연구는 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북한의 산업시설과 관련한 문헌 및 통계자료를 조사·분석하였다. 위치정보의 파악은 산업시설에 대한 문헌 자료와 Google earth 등 가용 자료의 참조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한 자료를 통합 및 정제하고, 보완하는 절차를 수행 하였다. 본 연구의 북한지역 대기오염원 자료 구축 절차를 도식화하면 다음 <그림 3-1>과 같다.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1> 대기오염원 자료 구축 절차 북한에 대한 자료는 많지 않으며, 있다 하더라도 불확실성이 높고 자료를 획득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는데, 산업시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21)22) 북한지역 산업시설의 경우 자료에 21) 북한 자료의 경우 자료를 보유한 기관이 매우 적고, 많은 경우 보안 자료에 해당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활용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북한의 환경 관련 자료는 자료 자체가 많지 않으며, 자료가 있다하더라 도 실제 취득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어려울 경우가 많다. 22) 북한지역의 산업에 대한 자료는 산업연구원에서 북한 매체 분석 등을 통해 자료를 축적하고 있으며, 관련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KDB산업은행에서도 북한의 산업 현황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으며, 통일연

(42)

따라 수록된 업종이 달라, 산업 업종 전반에 걸쳐 일관성 있는 품질을 갖춘 자료를 구하기 어렵다. 수집된 자료 중 산업연구원과 KDB산업은행 자료의 경우 주로 산업시설 목록 및 시설 관련 자료를 대기오염원의 속성자료인 업종정보 자료를 구축하는 데 활용하였다. 통일 연구원(2019) 자료의 경우 북한 서부지역의 산업시설에 관한 자료를 일부 포함하고 있어 대기오염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한 대기오염 원 파악에 활용한 주요 자료원은 <표 3-1>과 같다. <표 3-1>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북한 대기오염원(산업시설)에 대한 주요 자료 기관 자료명 출처 용도 산업연구원 북한 기업(광공업·전력) DB 콘텐츠 구축 및 산업·기업 동향 심완섭 외(2015) 오염원 DB 구축 북한의 기업(제조업 및 에너지기업 편람) 이석기 외(2014) 북한 산업DB 내부자료 KDB산업은행 북한의 산업 김경원 외(2015) 통일연구원 김정은 시대 서부 주요 도시의 기업 현황 및 가동률 결정 요인 분석 정은이 외(2019) 시설 위치 확인 자료: 저자 작성. 대기오염 관리에 있어 산업시설 현황에 대한 지도를 활용할 경우 오염원이 밀집하여 대기 오염 우심지역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오염의 영향이 큰 업종이 분포하는 지역을 선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오염원이 시각적으로 잘 나타나도록 대기오염원 현황 지도를 제작하 였다. 대기오염원인 산업시설의 현황 지도는 산업시설을 크게 경공업, 중공업, 그리고 발전 시설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각 유형별 북한 전역의 산업시설 유형별 분포를 지도화한 것은 그림 <그림 3-2>~<그림 3-4>와 같다.23) 구원에서도 연구 목적의 보고서를 제작한 바 있다. 그러나 연구 대상지의 특수성으로 일부 자료는 접근에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23) 발전시설에 대한 내용은 다음 2) 북한의 발전시설에서 다시 소개한다.

(43)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2> 경공업 업종의 오염원 분포

자료: 저자 작성.

(44)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4> 에너지(화력발전소) 업종의 오염원 분포

시도별 대기오염원의 분포 지도의 예시를 나타낸 것은 다음 <그림 3-5>와 같다.24)25)

24) 배경이 되는 바탕 지도는 DEM(Digital Elevation Map)과 하천도를 사용하였다. 25) 시도별 오염원 분포 지도는 부록에 수록하였다.

(45)

(a) 평양직할시 지역의 대기오염원 분포

(b) 함경남도 지역의 대기오염원 분포

(46)

(c) 평안남도 지역의 대기오염원 분포

(d) 평안북도 지역의 대기오염원 분포

자료: 저자 작성.

(47)

일반적으로 산업시설 중에서도 전력을 생산하는 에너지시설은 많은 양의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한다. 수자원과 석탄이 풍부한 북한에는 수력발전소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지만,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가 다수 있다(그림 3-4 참조). 그러나 이러한 발전시설에는 대 기오염 제어설비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고, 부품과 전기가 부족하여 제어설비 가동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연료의 연소 중 생성되는 대기오염물질이 처리되지 못 하고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북한에서의 주요 대기오염원이 되고 있는 발전시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북한 의 에너지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북한의 에너지 공급 현황을 살펴본다. 북한은 에너지원으로 주로 석탄, 석유, 기타 및 전력의 형태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북한의 에너지원 별 최종 에너지 공급의 추이를 정리한 것은 <그림 3-6>과 같다. (단위: 천TOE) 자료: 김경술 외(2020), p.22. <그림 3-6> 북한의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공급 추이 북한은 석탄과 같은 화력 외 수자원을 활용한 에너지 공급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화력 외 수력을 통한 발전량도 상당하다. 화력과 수력의 전원별 발전실적 추이는 <그림 3-7>과 같다.

(48)

(단위: 억kWh) 자료: 김경술 외(2020), p.20. <그림 3-7> 북한의 전원별 발전실적 추이 북한에서 2017년에 소비한 최종 에너지 소비는 5,545천TOE로 1990년 소비 실적의 32.96%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1990년 이후 27년 동안 연평균 4.0% 감소하였 으며, 석탄 공급 증가로 전년 대비 32.0% 증가하였다(김경술 외, 2020). 북한의 에너지원별 최종 에너지 소비 추이와 수요 부문별 최종 에너지 소비 구조 변화 추이를 나타낸 것은 <표 3-2> 및 <표 3-3>과 같다. 연도 석탄 석유 기타 전기 합계 1990 12431 1376 1120 1905 16,832 1995 8200 1026 795 1482 11503 2000 7875 1082 780 1168 10905 2005 8662 995 780 1292 11729 2010 6208 465 1260 1425 9359 2015 983 745 1,260 1,143 4,131 2016 599 905 1,260 1,436 4,201 2017 2,165 705 1,260 1,415 5,545 ’90~’17증가율(%) -6.3 -2.4 0.4 -1.1 -4.0 ’90~’10증가율(%) -3.4 -5.3 0.6 -1.4 -2.9 ’10~’17증가율(%) -14.0 6.1 0.0 -0.1 -7.2 <표 3-2> 북한의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소비 추이 (단위: 천TOE) 자료: 김경술 외(2020), p.21.

(49)

발전 과정에는 연료가 필요한데, 화력발전소의 경우 석탄을 사용한다. 따라서 화력발전소 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석탄을 제공하는 탄광이 인접할 필요가 있다. 발전시설뿐 아니라 탄 광과 가까운 지역에서는 가정에서도 나무보다는 석탄을 연료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 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북한은 에너지 효율이 낮고 대기오염을 제어하는 저감기술과 시설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석탄을 연소할 경우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된다. 그러므로 탄 광의 분포는 대기오염 우심지역과 직접 연결된다. <그림 3-8>은 북한의 탄광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북한 탄광의 분포 또한 화력발전소 밀집 지역과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자료: I-Renk 북한지하자원넷, “북한광산분포”, 검색일: 2020.10.15. <그림 3-8> 북한의 석탄자원 분포

참조

관련 문서

곧 직관적으로 옳은 것으로 판정되 었다 하더라도 그 증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아직 수학적 진리 라고 말할 수 없다는 수학의 성격이 여기에서 확정 되었다고 볼

현장 및 위성관측을 기반으로 하는 대기경계층 바람 환경의 관측 및 분석 기술과 초고해상도 유체역학 모델링의 지역규모 적용을 위한 계산 및 이론, 그리고

전국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활용한 도서관 분야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에 대한 요구사항 증대..

세계기상기구 (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지구 적 차원에서 에너지 자원의 분포와 소비 실태를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개인적 노력과 제도적 방안을 찾아 일부 설명할 수 있다. 지구적 차원에서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깊이 느끼고, 흥미와 관심을 가지며, 우리 사회와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자원의 문제 및 자원순환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꿈 과 포부를

아시아문화 전당을 중심으로 아시아 문화 네트워크

•웹사이트의 페이지뷰, 사용자별 페이지뷰, 접속장소 및 방식, 시간별 페이지뷰, 방문자수 등에 대한 현황 및 추세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