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UMMA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the elderly migration and draws up national territorial and regional policy agenda in order to cope with Aging society in the future.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extended life expectancy, low fertility, decrease of fertility and mortality leads to the aging of population.

Korea has already entered into aging society in 2000. Aged society and super-aged society is expected in 2018 and 2026 respectively. Under this rapid aging circumstance, the elderly migration seems to be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aging society in Korea in the overall level of happiness of the elderly population.

Moving in and out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a region results in a wide demographic changes. This demonstrates that is necessary to expected to analyze the status and determinants of the elderly migration and to draw up national territorial and regional policy agenda in order to cope with aging society.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ffects to national territory in a variety of dimensions, such as society, economy, 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leisure, and the passage. Demographic changes reduces the rate of economic growth, demand for new housing, and the overall development. Financial strength in province weakens due to the reduction of the revenue budget. According to the elderly’s preference on independent life, various services that support health, welfare, and

medical care will develop. Due to the deepening low birth rate, “Basic law of low birth and aging society” was established in September 2005. Basic plan for low birth and aging society was also made in 2006 and then revised in 2010.

However, we can hardly find appropriate policy or plan for the elderly migration closely related with the aging society.

Elderly population show different migration patterns from the young since they experience retirement from work, loss of a spouse, diseases occurred from aging. The rate of migration of the entire age group decreased from 19.9%

in 1995 to 16.5% in 2010. In contrast, the rate of the elderly migration constantly increased from 3.7% in 1995 to 6.1% in 2010. This overall migration rates show that the propensity of elderly migration may gradually increase in the future.

Furthermore total 531,000 elderly people moved between 2000 and 2006 and showed 38.6% increase of the movers for six years in contrast to the entire age group(3.7%). The elderly frequently move in and out of the same region(sigungu).

Especially, elderly migration was predominant in the capital region in 2010. In contrast, the elderly rarely move in and out from the border region of Gangwon Province and the capital region. Based on statistics of population movement in 2010, net in-migration was found in 112 sigungu among 230 sigungu corresponding to the half of the whole national territory. Compared to the elderly, the number of net in-migration of working age population was only 85 sigungu, which is around 37.0% of the whole nation. This proves that the migration of elderly is becoming widespread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e most prominent reason why the elderly move in 2010 was ‘housing’ (41.8%).

‘Family’ (23.1%) was also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elderly migration as well as ‘health’ (4.9%) and ‘work’ (3.5%). The primary reason for migration of all ages was ‘housing’. ‘Family’ and ‘Health’ are relatively significant as opposed to the working age population. In contrast, ‘work’ and ‘transportation’ were more

important reason for working age population. This shows that the reason for migration differ between the elderly and working age population.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elderly and working age migration using spatial econometrics. Economic and housing factors were the primary determinants of both age groups. This result shows that housing factor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elderly migration as statistics of population movement (2010) indicated.

In conclusion, main policy implication of the research is as followed:

Corresponding to active aging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adopt new institu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fter retirement. Responding to the disparity of age structure between regions, software-oriented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re required. Housing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enhance quality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A | P | P | E | N | D | I | X

부록

<부록 1> 인구이동 추이

□ 1년간 전입자수 및 전입률 추이(1995∼2010)

구분 1년간 전입자수 및 전입률

자료: 국가통계포털(KOSIS). 각 연도. 국내인구이동통계.

□ 1년간 이동자수 및 이동률 추이(1980∼2010)

구분 1년간 이동자수 및 이동률

자료: 국가통계포털(KOSIS). 각 연도. 인구주택총조사.

□ 5년간 이동자수 및 이동률 추이(1980∼2010)

구분 5년간 이동자수 및 이동률

자료: 국가통계포털(KOSIS). 각 연도. 인구주택총조사.

<부록 2> 시·군·구간 경제활동인구 인구이동

□ 시·군·구간 경제활동인구 전입자수(2010, 명)

상 · 하위 시·군·구 1 경기 수원시 145,709 2 경기 성남시 141,869 3 경기 용인시 132,567 4 경기 고양시 131,150 5 경남 창원시 124,953 6 경기 부천시 106,863 7 경기 안산시 94,897 8 서울 송파구 92,927 9 서울 강남구 89,008 10 서울 관악구 87,162 221 충북 보은군 2,426 222 충북 단양군 2,405 223 충남 청양군 2,274 224 전북 무주군 2,271 225 전남 구례군 2,184 226 경북 울릉군 2,040 227 전북 장수군 2,016 228 경북 청송군 1,950 229 경북 군위군 1,918 230 경북 영양군 1,203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 시·군·구간 경제활동인구 전출자수(2010, 명)

상 · 하위 시·군·구 1 경기 수원시 155,030 2 경기 성남시 141,698 3 경기 고양시 132,286 4 경남 창원시 128,792 5 경기 부천시 113,629 6 경기 용인시 111,828 7 서울 송파구 100,289 8 경기 안산시 95,936 9 서울 강남구 95,348 10 서울 관악구 91,954 221 충북 단양군 2,527 222 전북 무주군 2,425 223 충북 보은군 2,413 224 전남 구례군 2,352 225 충남 청양군 2,323 226 전북 장수군 2,075 227 경북 청송군 2,031 228 경북 군위군 1,951 229 경북 울릉군 1,761 230 경북 영양군 1,296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 시·군·구간 경제활동인구 순이동자수(2010, 명)

상 · 하위 시·군·구 1 경기 남양주시 22,327 2 경기 파주시 20,982 3 경기 용인시 20,739 4 경기 광명시 17,640 5 경기 오산시 15,107 6 광주 광산구 10,928 7 대전 유성구 9,170 8 서울 은평구 9,022 9 경기 양주시 8,492 10 부산 기장군 8,444 221 서울 도봉구 -5,793 222 대전 서구 -5,825 223 서울 강남구 -6,340 224 광주 북구 -6,479 225 경기 부천시 -6,766 226 서울 노원구 -7,030 227 서울 송파구 -7,362 228 서울 서대문구 -7,804 229 서울 양천구 -8,982 230 경기 수원시 -9,321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 시·군·구간 경제활동인구 주택사유 전입률(2010, %)

상 · 하위 시·군·구 1 서울 노원구 62.7 2 경기 광명시 62.4 3 부산 사상구 60.0 4 대구 서구 59.4 5 부산 기장군 58.6 6 서울 은평구 58.5 7 부산 북구 58.3 8 울산 북구 58.2 9 대구 수성구 57.6 10 부산 남구 57.1 221 전북 장수군 20.2 222 전북 고창군 20.1 223 인천 옹진군 19.6 224 경북 군위군 19.5 225 경북 칠곡군 19.4 226 강원 화천군 19.1 227 충남 연기군 16.1 228 전북 진안군 16.1 229 전북 무주군 15.3 230 전남 신안군 14.3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 시·군·구간 경제활동인구 가족사유 전입률(2010, %)

상 · 하위 시·군·구 1 전북 순창군 35.7 2 전남 강진군 32.4 3 전남 장흥군 32.2 4 전남 신안군 31.7 5 전북 임실군 31.2 6 전남 보성군 31.2 7 전남 진도군 31.0 8 전남 구례군 30.9 9 전남 고흥군 30.1 10 경남 의령군 29.9 221 서울 중구 12.4 222 충북 청주시 12.4 223 경기 안산시 12.3 224 인천 남동구 12.1 225 서울 광진구 11.4 226 서울 용산구 11.4 227 경기 양주시 11.0 228 충남 연기군 10.9 229 서울 관악구 10.8 230 경기 김포시 10.7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 시·군·구간 경제활동인구 건강사유 전입률(2010, %)

상 · 하위 시·군·구 1 경기 가평군 5.8 2 경남 함양군 4.2 3 충북 옥천군 3.9 4 경기 양평군 3.9 5 경남 산청군 3.9 6 전남 강진군 3.9 7 강원 평창군 3.8 8 강원 횡성군 3.8 9 충북 보은군 3.7 10 경북 군위군 3.4 221 서울 중구 0.3 222 서울 강동구 0.3 223 경기 오산시 0.3 224 경기 광명시 0.3 225 서울 강서구 0.3 226 서울 은평구 0.3 227 서울 용산구 0.3 228 서울 성북구 0.3 229 서울 송파구 0.3 230 서울 노원구 0.2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 시·군·구간 경제활동인구 직업사유 전입률(2010, %)

상 · 하위 시·군·구 1 인천 옹진군 48.7 2 강원 화천군 47.1 3 강원 인제군 46.0 4 경북 울릉군 44.2 5 강원 양구군 42.1 6 강원 철원군 40.3 7 강원 고성군 35.9 8 충북 진천군 34.2 9 충남 계룡시 33.6 10 인천 중구 33.6 221 광주 남구 8.0 222 서울 은평구 7.8 223 경기 동두천시 7.8 224 경기 의정부시 7.8 225 인천 남구 7.7 226 경기 구리시 7.6 227 전북 전주시 7.4 228 서울 중랑구 7.0 229 서울 도봉구 5.6 230 서울 노원구 4.8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부록 3> 고령자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모형 추정결과

□ 고령자의 전입모형 추정결과

항 목 변 인  SAC  SEM  SAR 

  Constant 0.458 0.594 * 0.261

경제환경 변인

실업률 -0.048 -0.049 -0.043

제조업 종사자수 -0.019 *** -0.019 *** -0.020 ***

서비스업 종사자수 0.005 ** 0.005 ** 0.005 **

주거환경 변인 

주택 변화량 0.051 *** 0.051 *** 0.053 ***

지가변화율 -0.011 -0.002 -0.027

의료환경 변인 

의사수 -0.010 -0.011 -0.001

병상수 0.007 0.006 0.007

재정환경 변인

복지예산 -0.004 -0.003 -0.005

재정자립도 0.002 0.004 0.000

사회환경 변인

인구수 0.009 *** 0.009 *** 0.009 ***

공원면적 -0.002 ** -0.002 ** -0.002 **

노인여가복지시설수 -0.010 -0.013 -0.005

문화기반시설수 -0.006 -0.007 -0.005

교육환경 변인

사설학원수 -0.017 -0.035 -0.028

보육시설수 0.007 0.006 0.013 *

rho  0.055 * 0.424 ***    

lambda  0.337 ***     0.094 ***

Obs  228   228      

R-Squared  0.966   0.966   0.963  

주: * p<0.10, ** p<0.05, *** p<0.01

□ 고령자의 전출모형 추정결과

항 목 변 인  SAC  SEM  SAR 

  Constant 0.607 ** 0.795 *** 0.538 **

경제환경 변인

실업률 -0.032 -0.034 -0.027

제조업 종사자수 -0.016 *** -0.016 *** -0.018 ***

서비스업 종사자수 0.009 *** 0.008 *** 0.009 ***

주거환경 변인 

주택 변화량 0.026 *** 0.027 *** 0.027 ***

지가변화율 -0.048 -0.028 -0.070

의료환경 변인 

의사수 0.020 0.018 0.026

병상수 0.004 0.003 0.004

재정환경 변인

복지예산 -0.005 -0.003 -0.006

재정자립도 -0.003 0.000 -0.004

사회환경 변인

인구수 0.009 *** 0.009 *** 0.009 ***

공원면적 -0.002 * -0.002 * -0.002 *

노인여가복지시설수 -0.009 -0.012 * -0.006 문화기반시설수 -0.007 -0.008 * -0.007

교육환경 변인

사설학원수 -0.088 -0.109 * -0.102 *

보육시설수 -0.001 -0.003 0.002

rho  0.088 *** 0.467 ***    

lambda  0.294 ***     0.116 ***

Obs  228   228      

R-Squared  0.972   0.972   0.970  

주: * p<0.10, ** p<0.05, *** p<0.01

□ 고령자의 순이동모형 추정결과

항 목 변 인  SAC  SEM  SAR 

  Constant -0.303 * -0.374 ** -0.275

경제환경 변인

실업률 -0.007 -0.014 -0.014

제조업 종사자수 -0.001 -0.001 -0.002 서비스업 종사자수 -0.005 *** -0.006 *** -0.004 ***

주거환경 변인 

주택 변화량 0.024 *** 0.026 *** 0.025 ***

지가변화율 0.034 0.055 * 0.040

의료환경 변인 

의사수 -0.020 * -0.026 ** -0.026 **

병상수 0.003 0.003 0.003

재정환경 변인

복지예산 0.001 0.000 0.000

재정자립도 0.003 0.003 0.003

사회환경 변인

인구수 0.000 * 0.000 * 0.000 **

공원면적 0.000 -0.001 -0.001

노인여가복지시설수 0.002 0.002 0.001

문화기반시설수 0.003 0.004 0.003

교육환경 변인

사설학원수 0.064 * 0.094 ** 0.085 **

보육시설수 0.011 *** 0.014 *** 0.011 **

rho  0.343 *** -0.255 **    

lambda  -0.602 ***     0.142

Obs  228   228      

R-Squared  0.527   0.463   0.467  

주: * p<0.10, ** p<0.05, *** p<0.01

□ 경제활동인구의 전입모형 추정결과

항 목 변 인  SAC  SEM  SAR 

  Constant 1.923 3.401 1.749

경제환경 변인

실업률 0.353 0.371 0.342

제조업 종사자수 -0.092 *** -0.101 *** -0.092 ***

서비스업 종사자수 0.069 *** 0.066 *** 0.070 ***

주거환경 변인 

주택 변화량 0.424 *** 0.426 *** 0.427 ***

지가변화율 -0.476 -0.323 -0.497

의료환경 변인 

의사수 -0.018 -0.025 -0.015

병상수 -0.029 -0.038 -0.030

재정환경 변인

복지예산 -0.125 *** -0.096 ** -0.126 ***

재정자립도 0.035 0.096 *** 0.033

사회환경 변인

인구수 0.120 *** 0.119 *** 0.120 ***

공원면적 -0.020 * -0.022 ** -0.019 *

노인여가복지시설수 -0.039 -0.070 -0.035 문화기반시설수 -0.011 -0.030 -0.010

교육환경 변인

사설학원수 0.291 -0.181 0.287

보육시설수 -0.089 -0.114 -0.082

rho  0.079 *** 0.240 **    

lambda  0.065     0.083 ***

Obs  228   228      

R-Squared  0.983   0.982   0.983  

주: * p<0.10, ** p<0.05, *** p<0.01

□ 경제활동인구의 전출모형 추정결과

항 목 변 인  SAC  SEM  SAR 

  Constant 2.249 4.010 2.295

경제환경 변인

실업률 0.327 0.344 0.309

제조업 종사자수 -0.063 *** -0.066 *** -0.068 ***

서비스업 종사자수 0.103 *** 0.096 *** 0.113 ***

주거환경 변인 

주택 변화량 0.012 0.013 0.032

지가변화율 -0.541 -0.385 -0.598

의료환경 변인 

의사수 0.169 0.201 0.158

병상수 -0.041 -0.049 -0.045

재정환경 변인

복지예산 -0.089 ** -0.056 -0.096 ***

재정자립도 -0.038 0.012 -0.042

사회환경 변인

인구수 0.131 *** 0.130 *** 0.130 ***

공원면적 -0.008 -0.010 -0.006

노인여가복지시설수 -0.042 -0.074 -0.038

문화기반시설수 -0.001 -0.019 -0.002

교육환경 변인

사설학원수 0.286 -0.196 0.289

보육시설수 -0.161 *** -0.177 *** -0.155 ***

rho 0.084 *** 0.440 ***    

lambda 0.228 **     0.091 ***

Obs 228   228      

R-Squared 0.983   0.982   0.983  

주: * p<0.10, ** p<0.05, *** p<0.01

□ 경제활동인구의 순이동모형 추정결과

항 목 변 인  SAC  SEM  SAR 

  Constant -1.348 -1.367 -1.028

경제환경 변인

실업률 -0.001 -0.002 0.001

제조업 종사자수 -0.020 * -0.020 * -0.023 * 서비스업 종사자수 -0.048 *** -0.048 *** -0.045 ***

주거환경 변인 

주택 변화량 0.383 *** 0.383 *** 0.390 ***

지가변화율 0.125 0.130 0.178

의료환경 변인 

의사수 -0.161 -0.162 -0.185

병상수 0.018 0.018 0.017

재정환경 변인

복지예산 -0.032 -0.032 -0.038

재정자립도 0.074 *** 0.075 *** 0.073 ***

사회환경 변인

인구수 -0.010 *** -0.010 *** -0.010 ***

공원면적 -0.013 -0.013 * -0.014 *

노인여가복지시설수 0.014 0.014 0.007

문화기반시설수 0.000 0.000 0.000

교육환경 변인

사설학원수 0.004 0.008 0.099

보육시설수 0.103 ** 0.104 ** 0.095 *

rho  0.009 -0.214 *    

lambda  -0.218     -0.070

Obs  228   228      

R-Squared  0.518   0.518   0.507  

주: * p<0.10, ** p<0.05, *** p<0.01

<부록 4> 자문회의 및 독서토론회

회의명 원내 전문가 자문회의 주제 고령자 인구이동 실태 분석과 국토 및 지역정책과제 도출 방향 논의 일시 2012. 7. 20(금) 16:00 참석자 강호제 연구위원, 박미선 책임연구원, 박세훈 연구위원, 주미진 책임연구원

내용

∘ 충분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기존 고령자 인구이동 관련 국내 연구에서 제시하지 못한 실태와 국토 및 지역정책과제 도출이 필요함

∘ 지금까지 논의되고 있거나 최근에 제기된 고령자 관련 사회적 이슈를 본 연구의 주요 가설과 연관 지어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배경 보완이 가능함

∘ 주요 용어의 개념을 정립함에 있어서 고령자의 인구이동 측면에서는 고령자의 연령 기준(만65세 이상)이 부적합할 수 있으므로, 인구이동 관점에서 고령자의 연령 기준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음

∘ 산업화 시대 이촌향도를 경험한 2012년 현재 고령자와 미래의 고령자는 성장 배경, 경제적 상황, 가치관 등이 상이하여 인구이동 결정요인도 다르게 도출될 것임

∘ 고령자 인구이동의 결정요인은 고령자 가구(1세대), 고령자와 자녀 가구(2세대), 고령자와 자녀 및 손자녀 가구(3세대) 가구로 유형 구분을 통해 가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고령자 인구이동의 결정요인을 면밀히 분석 가능함

∘ 고령자 인구이동에 대응한 정책과제 도출시, 2012년 현재 추진되고 있는 소형주택 위주의 주택공급 정책, 고령자 관련 인프라 공급정책, 실버산업 육성전략, 고령자 일자리 관련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행되고 있거나 제시된 정책을 종합 검토해야함

회의명 동료로부터 배우는

독서토론회 주제 회색 쇼크 – 고령화, 축복인가 쇼크인가 일시 2012. 10. 12(금) 16:00 참석자 민성희 책임연구원, 박정호 연구원 등

내용

∘ 인류의 가장 위대한 업적인 ‘장수’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고령화하는 세계가 지구에 수천억 년이라는 인간의 삶의 짐을 지울 것

∘ 인간의 수명을 늘리는 강력한 요인은 현대화된 도시임

∘ 농촌지역의 공동화 현상은 반세기 전에 시작되었는데, 여성들이 이 농촌 인구의 대이동을 이끌었음

∘ 일본은 65세 이상 인구가 21.5%, 70세 이상 인구가 10%인 일본은 이탈리아, 스페인, 한국, 대만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고령 인구가 많은 몇 안 되는 국가

∘ 미국 경제에서 가장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부문 중 하나가 바로 상품의 국내 혹은 해외 운송을 조정하고 관리하는 물류산업인데, 그로 인해 록퍼드가 더욱 고령화되는 역학관계가 형성됨

∘ 고령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찾는데는 어려움이 많고 임금도 적은 편이지만, 이들은 전통적인 은퇴연령을 훌쩍 넘긴 나이에도 기꺼이 일을 하려고 함

∘ 창조적 계층은 젊거나, 중년이거나 혹은 노년일 수 있음. 그러나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사람이라면 젊은이들은 노인들을, 노인들은 젊은이들을 매료시킬 수 있을 것임

∘ 전 세계의 조부모들은 사람들이 알아주지는 않지만 가정에서 폭넓은 안전망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조부모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함

∘ 중국은 고령화하는 세계에 글로벌 비즈니스가 갈망하는 젊은 노동력과 소비자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세계 어느 지역보다 빠르게 늙어가고 있음

문서에서 고령자 인구이동 실태 및 정책과제 (페이지 10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