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군·구간 사유별 고령자 인구이동

인구이동의 주된 요인으로 나타난 주택 관련 요인 측면에서 시·군·구 간 인구이동을 살펴보면, 고령자의 경우 국토 전반에 걸쳐 신규 주거지를 찾아 이동한 반면에, 경제활동인구의 경우에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및 광역시에 집중되어 대조를 이루고 있었다. 다만, 서울 은평구, 부산 기장군 및 남구, 광명시 등은 고령자와 경제활동인구 의 주택 관련 인구이동 비율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상 · 하위 시·군·구 1 경북 울진군 67.5 2 대구 서구 65.3 3 전남 고흥군 60.3 4 서울 은평구 59.9 5 부산 동구 59.8 6 경북 청도군 59.6 7 전남 화순군 59.4 8 경기 광명시 59.0 9 부산 기장군 58.9 10 부산 남구 58.6 221 광주 광산구 28.4 222 전남 곡성군 28.2 223 인천 연수구 28.2 224 인천 계양구 28.0 225 전북 전주시 27.7 226 서울 광진구 27.5 227 전북 장수군 25.6 228 서울 서초구 25.2 229 충남 연기군 22.7 230 경북 칠곡군 20.5

<그림 3-8> 고령자 주택사유 전입률(2010)

(단위: %)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전국 시·군·구 단위로 가족과 관련된 사유로 이동하는 비율을 살펴보면, 고령자의 경우 전반적으로 경제활동인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울산광역시 동구, 북구, 남구, 광주 서구 등에서 가족 구성원과 세대 구성, 세대 합가, 편입 등 가족과 관련된 요인으로 이동한 고령자들이 많았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경기도 양주시, 김포시, 포천시 등에서는 고령자 이주사유 중 가족관련 요인으로 이주한 비율이 낮았다.

상 · 하위 시·군·구 1 울산 동구 37.6 2 전남 구례군 35.5 3 전북 군산시 34.7 4 광주 서구 34.2 5 전북 순창군 34.0 6 울산 북구 33.7 7 울산 남구 33.2 8 전남 신안군 32.1 9 대전 서구 32.0 10 충북 영동군 32.0 221 대구 남구 15.5 222 서울 강북구 15.3 223 충남 연기군 15.2 224 서울 용산구 15.1 225 경기 양주시 14.8 226 경기 김포시 14.1 227 경기 포천시 13.9 228 경북 울진군 13.2 229 전북 진안군 9.9 230 충북 단양군 9.3

<그림 3-9> 고령자 가족사유 전입률(2010)

(단위: %)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전국 시·군·구 단위로 건강에 따른 이동비율을 살펴보면, 고령자와 경제활동인구 모두 전반적으로 강원권에 집중되어 있으나, 고령자의 비율이 경제활동인구의 비율보 다 높게 나타났다. 고령자 건강사유 전입률이 높은 상위 10개 지역은 모두 군으로 나타나 건강사유로 이주한 고령자들은 도시가 아니라 농촌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고령자 건강사유 전입률 하위 10개 지역은 대부분 서울특별시의 구로 나타나 대조를 이루었다.

상 · 하위 시·군·구 1 경북 영양군 17.0 2 경남 함양군 15.8 3 경북 울릉군 15.3 4 경북 군위군 13.7 5 강원 양구군 13.6 6 충북 옥천군 13.4 7 강원 양양군 13.3 8 충북 괴산군 13.3 9 전남 강진군 13.3 10 강원 홍천군 13.1 221 서울 관악구 2.5 222 서울 성북구 2.5 223 충북 청주시 2.5 224 경기 오산시 2.3 225 서울 은평구 2.2 226 서울 영등포구 2.2 227 서울 노원구 2.1 228 서울 성동구 2.1 229 서울 강동구 2.0 230 서울 중구 1.8

<그림 3-10> 고령자 건강사유 전입률(2010)

(단위: %)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전국 시·군·구 단위로 직업에 따른 이동비율을 살펴보면, 고령자의 경우 전반적으로 경제활동인구 보다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고령자의 전입사유 중 취업, 이직 등 직업 관련 요인으로 이주한 비율이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상북도 울릉군으로 16.1%

였으나, 경제활동인구의 경우 직업 관련 요인으로 이주한 비율이 가장 높은 시·군·구인 인천광역시 옹진군은 48.9%로 두 연령집단 간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 · 하위 시·군·구 1 경북 울릉군 16.1 2 서울 종로구 14.3 3 강원 인제군 10.9 4 강원 양구군 10.6 5 충남 태안군 10.5 6 인천 옹진군 9.7 7 전남 신안군 9.3 8 충남 계룡시 8.9 9 충남 당진군 8.8 10 부산 강서구 8.2 221 서울 은평구 1.6 222 인천 남구 1.6 223 대구 남구 1.6 224 충북 단양군 1.6 225 전북 전주시 1.6 226 서울 중랑구 1.6 227 대전 중구 1.5 228 서울 도봉구 1.3 229 대전 동구 1.3 230 서울 노원구 1.1

<그림 3-11> 고령자 직업사유 전입률(2010)

(단위: %)

자료: 통계청. 2010. 국내인구이동통계.

chapter 4

고령자 인구이동 결정요인

C | H | A | P | T | E | R | 0 4

고령자 인구이동 결정요인

제4장에서는 고령자와 경제활동인구의 인구이동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인구이 동 현상을 전입, 전출 및 순이동으로 구분하였으며,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2010)를 이용하여 1년간 인구이동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간계량모형의 변인 을 선정하고, 고령자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를 경제활동인구와 비교함으 로써 고령자 인구이동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1.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모형 및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