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patial Planning in the Early 21c Century- Century-Territorial Cohesion Among/Surrounding

문서에서 국토 (페이지 89-103)

the EU Member States

Choe(‘Choe’): Recently you were somewhat involved in the ESDP, the European Spatial Development

Perspective. Can you start by telling us about your opinion on this European spatial planning?

▶▶

Andreas Faludi(‘Faludi’): For the past fifteen years I have focused entirely on European Spatial

Planning(ESP), and recently, because of the developments in EU, this is sometimes described, and I describe it sometimes as Territorial Cohesion Policy(TCP) but to my mind the two are more or less the same.

15yrs ago when I started getting interested to this, 12 and subsequently 15 member states at that time were engaged in joint-exercise called ESDP. And it was done formally by the ministers responsible in the member states for spatial planning or Regional Planning or TCP or whatever it is called in their countries.

Under the ministers there were committees, handful of experts. 10yrs later this resulted with joint resolution adopted by the ministers, and commission of states, EU Commission in Potsdam. This was informal document of EU system of soft law or what is called ‘Self Commitment’. I have written together with Bas Waterhout sitting next door, a book about this process. It indicates my main interest, ... Process, Institutions, Cause of Engagement in this matter. My speciality is discussing, analyzing, interpreting this process and elaborate it. It relates to the question ‘what is EU?’ and relations within.

Now This brings you in to more deep water, because then you are immediately confronted with very controversial development of the EU, about integration, what is happening to their territory, their space.

This makes ESP or TCP into something interesting and indicative to currents and counter-currents that we

니다. 물론 딱히 반대하는 것도 아니며, 제가 이 프로젝트에 대해서 느끼는 공감(sympathy) 은 막대하다고 밝히고 싶지만, 그리고 공간계 획가로서 유럽공간계획에 관심도 많고 헌신하 고 싶지만, 일정한 비판적 거리 역시 유지하려 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통합에 대해서는 확실 히 일정한 미지의 영역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 고 있으며, 역동적인 프로젝트임이 틀림없지 만, 우리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오고 있는지를 우리가 모두 파악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 입니다. 우리는 사실 아는 게 없습니다.

유럽연합의 기원에서부터 지금까지 재정규 제, 보건, 인구이동의 자유, 보다 많은 상호 연 관성과 이를 다루는 데 있어서 각종 갈등의 최 후 조정자(arbiter) 역할을 하고 정당성을 확보 하는 근대민족국가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들에 변화가 오고 있는 것이죠. 사실 유럽연합 회원 국 중에서 가장 덩치가 큰 독일의 경우도 세계 적 차원에서 볼 때는 중규모 국가입니다. 유럽 연합 회원국들을 비롯한 이런 중소규모의 근대 민족국가가 기존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인데, “후퇴해 들어갈 수 있는 성채”가 더 이상 아닌 것은 확실하고, 이제 무엇으로 대체 할 것인지에 대해 우리가 모른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 무엇이 아닌지, 아니면 아니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제가 나름대로 답을 제시한 적이 있습니다. 바스 바터호트 씨와 함께 유럽 공간개발전망에 대한 책을 썼는데 그 책의 부 제가‘마스터플랜은 없다’입니다. 브뤼셀의 사

무실에서 계획안을 찍어내서 회원국에게 하달 하는 방식은 절대 아닌 것입니다.

▶최: 더 이상‘탑다운’의 하향식 방식은 아니 라는 말씀이겠지요?

▶▶ 팔루디: 물론입니다. 유럽공간개발전망은

‘바텀업’이라 할 수 있었는데, 이‘상향식’도 그 자체로 답은 아닙니다. 두 가지의 상호작용 과, 탑과 바텀 양단의‘역량’이 중요합니다. 제 가 학생들에게 자주 하는 질문이 있는데, 브뤼 셀에 계획가가 몇 명이나 있겠느냐는 거죠. 보 통 거대한 관료제적 기계를 연상하지만, 실제 로는 5명도 안 되는 사람들이 그것도 파트타임 으로 일할 뿐입니다. 회원국이라고 해서 별다 르지도 않고요. 그러므로 우리는 역량을 강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다 더 논의하고, 전략을 도출해야 합니다. 유럽통합의 모든 층위에서 공간과 영토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공간계획 에 대해 담론을 생성해야 한다는 제 주장은 이 런 문제의식에서 나온 것입니다.

▶최: ‘모든 층위’라고 하셨는데요, 이는 수직 적 지역체계, 즉 지역-국가-지방의 층위만을 이야기하시는 것인지요? 뭔가 염두에 두신 다 른 범주가 있는 것 같은데요?

▶▶팔루디: 유럽연합과 유럽공간계획과의 정책 적 결합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정책은 유럽연합과 회원국의 지방정부와 의 직접 교류를 활성화하고 있으며, 민간분야

face now. Let me say 2 more things.

Many people think I am fanatically Pro-EU. And ESP. I must admit I have a lot of sympathy about this project and of course being a spatial planner I am really interested and committed to this business of ESP, but I am trying to keep a critical distance. I recognize that a certain European Integration in a unknown quantity(domain), very interesting and dynamic project it is, but we do not know what has hit us in a literal sense! We do not know it!

From the origin of EU till now, Financial regulations, health, free movement of people, more inter-connectedness so our traditional concepts of dealing with these, the nation state as the last arbiter of conflicts and source of legitimacy are being questioned. Increasingly, small and medium size Nation States (all medium size in EU, even Germany is a globally medium size) are no longer able to fulfil the role, which we traditionally ascribed to them, which the NS arrogated themselves. “The Castle where you can withdraw” is no longer the case. But what replaces it- we do not know.

I know what it is not or it should not be. The title of the book we have written, Bas Waterhout and I, on the ESDP had a subtitle: “no master plan”. That indicates what it is not or should not be seen as. It is not the planning office in Brussels, which produces a planning document and descends it to the member states.

Choe: You mean no more ‘top-down’?

▶▶

Faludi:

It is certainly not Top-down. Well, ESDP was bottom-up. But I am not saying bottom-up is enough either. It must b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TD and BU, and there must be ‘capacity’ at the both ends. One of the things I always ask to students is to think how many planners are there in Brussels.

Because, generally people think Brussels is a huge Bureaucratic machine, but there are maybe 5 planners who work, part time. It is not a big planning office. And Member states are often very small as well. We need to increase capacity - capacity to discuss, to formulate strategies, and that would be sort of my idea for the future of ESP to have “Discourse on SP and meaning of Space and Territory in relationship to European integration in all levels.

Choe: When you say ‘all levels’, do you refer to Spatial levels such as Regional -Local?

▶▶

Faludi:

Increasingly, ESP is looked at with combination with other EU Policies, and they directly relate with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takeholders as well, which I meant by ‘all levels’. And they

의 이해관계자나 참여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말씀대로 공간체계만을 이야기한 것이 아닙니 다. ‘낙후지역(Least Developed Regions)’발 전 정책을 예로 들어볼까요? 여기서 낙후지역 이란 지역의 1인당 GDP가 유럽 전체 평균의 75%선 이하인 지역인데, 주로 중부 유럽지역 입니다. 이 국가들이 유럽연합에 가입할 때부 터 이 문제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 었기 때문에 이 정책에 필요한 재정은 충분히 배정되는 편입니다.

기본적으로 유럽집행위는 회원국의‘국가전 략기준체계(National Strategic Reference Framework)2)를 놓고 협의와 조정을 하게 되는 데, 회원국에 배정되는 액수는 유럽의회 차원 에서 그 총액이 정해지고, 회원국의 중앙정부 가 지방정부에 재정을 배정할 때 바로 이 프레 임워크, 즉‘체계’혹은‘뼈대’를 가지고 협의 를 하는 것입니다. 각 지방정부 역시 지역프로 그램을 수립하며, 구체적인 사업프로젝트는 이 지역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나오게 됩니다. 여기 서 눈여겨 볼 것은 사업기획은 상향식이고, 재 정에 대해서는 상호 공동으로 논의하고 부담한 다는 것입니다.

▶최: 상호 공동이라면 구체적으로 어떤 주체 들의 상호 공동인가요?

▶▶팔루디: 유럽연합이 일부, 그리고 나머지는

지역에서인데, 지역에서 부담해야 할 몫이 50%를 넘어야 한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이때 지역에서 부담하는 주체는 지방정부든 민간분 야든 상관없습니다. 즉, 기업 등 다양한 주체들 이 참여할 수 있지요. 일자리 창출, 투자 등을 위해서는 보조금이 책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 한 계약과 감독, 평가에 대해 복잡한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습니다. 이 결과 다양한 행위자들 이 서로 협력하는 능력과 기법이 발달하게 되 어, 그 유명한‘거버넌스’를 고양하게 되는 것 이죠.

새로운 회원국과‘낙후지역’의 거버넌스를 증진하기 위한 노력은 경제적 효과로도 나타날 것이고, 환경이나 관광 등의 차원에서도 선효 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몇몇 국가에서는 실제 로 국가프로젝트에 큰 도움이 되기도 하지요.

다만, 상한선은 있습니다. GDP의 4%를 넘어 서는 안 되는데, 이는‘흡수용량’을 넘어서는 자금투입이 가져올 부작용을 우려한 것이지요.

현실의 경우, 이 낙후지역에서 당면한 제일 큰 문제는 양질의 프로젝트를 충분히 수립, 집행 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집행 과정에서는 지나친 규제나 지침 등과 관련한‘자금미집행’

혹은‘과소집행’역시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 최: 개발과 생태문제같은‘전통적인’갈등 외에도 영토결속정책에서 갈등을 빚는 요소는

2) 국가전략기준체계(National Strategic Reference Framework)는 현재‘국가 총괄전략계획안’(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전략적 국가발전계 획’(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으로 번역되고 있으나, 현지에서의 맥락과 원문의 뜻을 최대한 살려서 새로 제시하였다.

want to promote development mostly in the ‘Least Developed Regions (LDR)’. They are regions that have GDP per capita 75% below average, mostly Central and Eastern Europe. This involves massive investment, funding, to CE Europe. This was understood when these countries joined, and it is a major European Project. Basically the European Commission negotiates with the member states about national program called <National Strategic Reference Framework>. The Financial envelopes, how much each members get, is fixed before hand at the top level of EU council. Now once the NSRF is out, then the National Gov. negotiates with the regions. In each member states the regions then formulate regional programs. And as part of these Regional Programs, the projects are being formulated. Now the formulation of these projects is very often ‘bottom-up’. What is important in all this is that this requires ‘co-financing’.

Choe: To be precise, between whom?

▶▶

Faludi:

Co-finance between EU who pays certain percentage, and rest found locally, which has to be more than 50%. This can be from the local Gov. but also the private enterprise. For instance, generating jobs, investments and requiring subsidies. These are all then agreed with contracts, monitored and evaluated. There is a complicated system for doing that. This requires the various partners to develop the skill and capacity to cooperate. It improves the ‘governance’, the famous concept.

Trying to improve the governance in the new member states, the “LDR”, as it self, will improve the Economic performance. It can be also about Environment, tourism or anything that might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se LDRs. It is a very wide program. And in some countries, it can b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National Project. However, there is a ceiling, all the project funds cannot exceed 4% of the GDP. It is feared that otherwise the ‘absorption capacity’ of that region can be exceeded, and under-spending also can be an issue with strict requirements on managements.

In the LDR the constant problem is to formulate enough projects that are of sufficient quality - so as to obtain those funds. Meanwhile, under spending is a notorious problem.

Choe: Any other values in conflict than the ‘tradition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this TC

planning?

▶▶

Faludi:

Notorious examples, well this is also Environment issue, in the Netherlands some housing projects were stopped by the court. I must explain to you how the EU regulations or directives, rather,

없나요?

▶▶팔루디: 아무래도 주로 환경문제가 심각하 죠. 네덜란드에서는 주택개발계획이 법원에 의 해 중단되었는데, 이는 미세 먼지와 관련한 유 럽연합의 정책이 개별국가에서 법제화되는 과 정에서, 환경부와 주택개발 관련 부서가 따로 일을 진행해서 생긴 문제였습니다. 주택개발이 궤도에 오른 상황에서 멈추게 되자 주택공급에 차질을 빚고, 그동안의 비용은 낭비가 된 셈이

▶▶팔루디: 아무래도 주로 환경문제가 심각하 죠. 네덜란드에서는 주택개발계획이 법원에 의 해 중단되었는데, 이는 미세 먼지와 관련한 유 럽연합의 정책이 개별국가에서 법제화되는 과 정에서, 환경부와 주택개발 관련 부서가 따로 일을 진행해서 생긴 문제였습니다. 주택개발이 궤도에 오른 상황에서 멈추게 되자 주택공급에 차질을 빚고, 그동안의 비용은 낭비가 된 셈이

문서에서 국토 (페이지 89-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