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에서의 선행연구

언론의 선거 여론조사 보도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주로 대통령 선거 와 관련한 주요 일간지의 여론조사 보도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 으며 국회의원 총선거와 관련한 일간지의 여론조사 보도에 관한 연구는 14 대 이후의 국회의원 총선거와 관련한 주요 일간지의 여론조사 보도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는 우리 언론의 역사에 있어서 선거와 관련한 여 론조사의 실시, 보도가 거의 13대 대통령 선거 이후 때부터 시작되었기 때 문에 이러한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역사와 흐름을 같이하여 그에 관한 연 구도 이 때 이후부터 시작되어 점차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 진다.

언론의 여론조사 보도에 관한 기존의 연구문헌중 일간지의 선거관련 여 론조사 보도에 관한 학위논문은 총 여덟 편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5 2) 이 중에서 대통령 선거와 관련된 언론의 여론조사 보도에 관한 논문이 총 일곱 편으로 대다수의 논문이 대통령 선거와 관련된 논문임을 알 수 있었

52) 이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회도서관 비치 문헌목록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다. 이 일곱편 중에서 13대, 14대 대통령 선거와 관련된 일간지의 여론조사 보도 내용 연구논문이 각각 한편씩이었으며, 15대 대통령 선거와 관련된 논문은 총 네 편으로서 15대 대통령 선거와 관련된 일간지의 여론조사 보 도 특성에 관한 논문, 일간지의 여론조사 보도 현황에 관한 논문, 일간지의 여론조사 보도 객관성에 관한 논문 및 일간지 여론조사의 문제점에 관한 논문이 각각 그 것이었고, 나머지 한편은 13대에서 15대까지의 역대 대통 령 선거 기간중 주요 일간지에 보도된 여론조사 보도 기사들의 기본적 정 보 제시 수준 개선 여부를 연구한 논문이었다. 대통령 선거와 관련한 일간 지의 선거 보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선거 여론조사 보도기사 내용의 분석 을 통해 여론조사 자체의 문제점과 여론조사 결과 보도에 있어서의 문제점 을 도출해 내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그 구체적인 연구내용을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영일은 중앙 5대 일간지의 13대 대통령 선거에 관한 여론조사 보도 내용의 분석을 통해 각 신문들이 선거관련 여론조사 보도를 통해 국민의 여론을 형성하고 반영할 수 있는 틀을 갖추는 데는 비교적 충실했지만 선 거여론조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선거입후보자에 대한 지지도를 사전 에 발표하지 않음으로서 언론이 갖는 사회적 기능의 중요 수단으로서의 역 할을 수행하지 못했다53 )고 평가하고 있으며, 장용규는 14대 대통령 선거기 간동안 이루어졌던 주요일간지의 여론조사 보도가 선거여론조사의 객관성 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기준 항목들의 명시를 정확하게 하지 않았고, 여론 조사 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선거결과 예측보 도에 대한 검증이 부족했다54 )고 분석하고 있으며, 안형선은 신문들이 15대 53 ) 정영일, 국내 언론사의 여론조사 보도내용에 관한 연구; 중앙 5대 일간지의 13대 대통령 선거에 관한 여론조사 보도를 중심으로 ,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1989.

54 ) 장용규, 대통령선거에 대한 언론의 선거여론조사의 분석연구;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대통령 선거 여론조사보도에 있어서 여론조사 보도의 틀을 갖추는 데는 비

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곽병건은 14대와 15대 국회의원 총선거와 관련된 신문의 선거보도 행태 에 관한 연구를 통해 선거기간 동안 각 신문들이 얼마만큼 정치사회화 기 능에 충실하였는가를 정치적 인식 , 정치적 효능감 , 정치적 행동 의 측면 에서 검토하였는데 각 신문들이 유권자의 역할을 일깨우는 데 극히 소극적 이었으며, 설 중심의 폭로 공방전 기사들로 인해 정치적 인식 기능을 제 대로 수행하지 못했고, 정치적 효능감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여론조사 기사에 있어서는 정확성과 객관성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60 )고 주장하 였으며,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는 15대 국회의원 선거 과정에서 보 여준 언론의 선거보도 행태에 관한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비교분석을 한 결 과 다양한 문제점들이 드러났다6 1)고 밝히면서 이 중 신문의 여론조사 보도 행태와 관련해서는 잘못된 여론조사와 잘못된 여론조사 결과보도를 사례를 들어가면서 제시해 주고 있다.

이상의 기존 연구문헌들은 선거와 관련한 일간지의 여론조사 실시 및 보도 내용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대통령선거와 관련된 내용들이 대부분이 며 국회의원 총선거와 관련된 내용들은 소수에 불과 하였으며, 기존의 연 구와 동일한 주제의 연구를 통해서 시기별로 혹은 주제별로 상호 비교하는 연구 논문과 국회의원 총선거 여론조사의 정확도 파악을 위해 총선결과와 자세히 비교 분석하는 연구 논문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도 위와 같이 기존 논문들에서 사용되었던 접근방법과 유사 한 방법을 통하여 중앙 4대 일간지의 선거 여론조사 보도내용을 여론조사 실시 부분과 그 결과의 보도 부문으로 나누어 각각의 현 실태와 문제점등

60) 곽병건, 신문의 선거보도 행태에 관한 연구; 14대・15대 총선보도를 중심으 로 , 국민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61)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제 15대 국회의원 선거 보도 분석Ⅰ; 연구보고 96 - 04 ,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1996.

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일간지들이 최종적으로 예측 보도했던 선거결과와 실제 선거결과를 비교함으로서 국회의원 총선거 여론조사의 정 확도를 검증해 보도록 하겠는데 이는 기존 연구들이 선거 여론조사의 보도 내용을 분석하면서도 그 정확성의 분석은 등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 와는 다른 본 연구의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한편 16대 국회의원 총선과 관련한 일간지의 여론조사 보도 내용을 사 례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16대 총선이 국민의 정부에 대한 중간 평 가라는 성격과 함께 새로운 지역주의 부상, 시민단체의 낙선운동 전개, 노 동자 및 청년 진보 세력의 대거 입후보, 선관위의 국회의원 입후보자 병 역・납세・신상 정보 공개등 새로운 선거이슈들의 대두로 말미암은 선거정 치 변화의 시험대라는 의의를 지니고 있었으며, 이러한 변화요소와 더불어 언론계 스스로의 선거보도 행태에 대한 변화 기대도 그 어느 때 보다 높음 으로서 이들을 대상으로 삼은 연구가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가치를 지 니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Ⅲ. 중앙 4대 일간지의 16대 총선관련 여론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