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Ⅳ. 결론 및 제언

4.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본 연구는 선거와 관련한 언론의 보도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16대 국 회의원 총선거와 관련한 중앙 4대 일간지의 선거 여론조사 보도 내용으로 연구 대상 범위를 설정하여 사례를 연구 분석한 것이다. 분석의 대상이 된 4대 일간지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등으로서 이들 일 간지는 14대와 15대 총선 시에도 선거 여론조사를 실시고 보도했던 언론사 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언론 중에서 중앙 4대 일간지의 선거 여 론조사 보도 실태에 관한 것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하겠다. 즉 본 연구 의 결과를 전 언론의 선거보도 행태로 확대 해석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연구의 대상이 된 4대 일간지가 중앙일간지로서 14대와 15대 총선 거 시에 선거 여론조사를 보도했던 점과 중앙 일간지들을 대표할 수 있는 언론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일간지의 선거 여론조사 보도 행태 연구에 대한 부분적 결과로서 간주하여도 될 듯 하다.

둘째, 일간지의 보도내용만을 대상으로 실태를 분석함으로서 기사화 되 지 않았던 신문사의 선거 여론조사는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본 연구가 일간지의 보도내용 실태에 중점을 둔 것이었기 때문이기는 하나 보도상의 기사내용 뿐만 아니라 일간지에서 실시했던 여론조사 1차 조사자료 전체를 확보하여 연구를 해야만 정확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었다 는 점에서 볼 때 그러한 자료의 확보 없이 보도 내용상의 자료만을 토대로 연구한 점도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볼 수 있겠다.

셋째, 중앙 4대 일간지의 16대 총선 여론조사 보도내용을 분석함에 있 어서 언론이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할 때에 지켜야할 기본적인 사항들의 보 도 여부 자체 및 이의 정보 제공 수준과 4대 일간지에서 최종적으로 예측 보도했던 정당별 예상의석수의 정확도를 분석하는데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언론이 선거 여론조사 결과 보도시에 지켜야할 고려사항 즉, 선정성 지양, 주관성의 배제, 여론의 변화추이 제공 여부등의 측면에서는 분석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넷째, 현행 선거법 상 법정선거운동 개시 일로부터 선거 실시일 까지 언론의 선거여론조사 결과 공표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일간지의 최종 선 거결과 예측을 실제 선거결과와 비교하여 실시한 정확도 조사는 여론조사 실시일과 실제 선거일까지의 공백 기간을 고려할 때 무리한 결과 해석을 낳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최종 조사 실시일까지의 여론조사에 의한 언론 사의 선거 예측은 정확한 것이었을 수 있으나 그 이후로부터 선거 실시일 까지의 기간동안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한 여론의 변화로 인하여 선거 결과

와 선거 예측과의 격차 발생이 당연히 발생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일간지의 보도내용을 통해서 그 공백 기간동안의 여론 변화 추 이를 확인할 수 없고 최종 보도일의 예측율 만을 비교기준으로 삼을 수밖 에 없는 현실이다.

또한 선거 여론조사의 정확성을 조사함에 있어서 신문보도내용의 제한 으로 말미암아 227개의 전 선거구를 대상으로 한 각 지역구마다의 선거 입 후보자별 최종지지율을 실제 선거 결과와 비교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였고, 또한 이로인해 판별분석을 실시하기에도 여건이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에 각 일간지가 최종적으로 보도하였던 정당별 예상 의석수만을 실제 선거 결과의 비교 대상으로 삼을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즉 일간지의 선 거여론조사 정확도 분석은 정확히 말하자면 각 일간지의 정당별 예상 의석 수에 대한 적중도만을 의미하고 있는 것일 뿐이며 각 일간지별로 최종 예 측 보도했던 정당별 예상 의석수의 차이는 왜 발생하였는지 혹은 각 일간 지의 동일 선거구에 대한 입후보자별 지지율의 차이가 왜 발생하였는지 등 에 관한 심도있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앙 4대 일간지의 16대 총선관련 여론조사 보도 의 현실태를 사례 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그 결과 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개선방안의 제시에는 소홀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고려하여 차후 관련 분야를 연구함에 있어서는 연구 대상의 범위를 4대 일간지에서 중앙・지방을 망라한 전 일간지로 확대시키 고, 연구내용에 있어서도 기사화 된 선거관련 여론조사 보도뿐만 아니라 기사화 되지 않은 여론조사 실시 내용, 특히 법적으로 공표가 금지된 기간 중에 언론사 자체적으로 혹은 타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한 조사내용 등 을 추가시키는 한편 언론사 실시 선거 여론조사의 1차 자료 확보를 통해 그 것을 보도한 기사 내용과의 비교분석을 첨가한다면 선거와 관련한 일간

지의 여론조사 실시 및 보도에 관하여 보다 전반적이고 총체적이면서도 심 도있는 연구분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그러한 연구의 결과는 언 론계의 올바른 선거 여론조사 보도 방향을 제시해 주는 데 있어서 뿐만 아 니라 학문적으로도 의미가 큰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