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1. 학습민첩성

가. 학습민첩성의 개념 1) 학습민첩성의 정의

일반적으로 높은 잠재력을 보유한 핵심인재(High Potential)는 현재 보유하 고 있거나, 미래에 보유해야 하는 역량 프로필에 맞는 인재를 뜻한다. 그동안은 이러한 접근법이 적절하게 여겨졌고, 이에 따라 오랜 기간 동안 지능이나 개인 특성 등이 높은 잠재력을 보유한 핵심인재의 자질로 알려져 왔다(Howard &

Bray, 1988; Bentz, 1986, 1990; Fiedler, 1996). 그러나 사람은 학습하고, 성장하고, 경험에 따라 변화하며, 특히나 성인의 경우에는 동일한 경험에도 다 른 학습효과를 보이게 되는데, 이는 개인마다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능력이 다 르기 때문이다(Knowles, Holton, & Swanson, 2005). McCall, Lombardo와 Morrison(1998)은 임원들을 대상으로 경험을 통한 학습에 관한 연구를 실시 하였는데, 성공적인 임원들은 핵심 직무나 과업을 통한 학습에 있어서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었으며, 오랜 기간 동안 같은 핵심 직무에서 성공적으로 직무 수행을 했으나, 어느 순간 도태하게 된 임원들은 직무를 통한 학습에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학습민첩성은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제시된 개념으로 Lombardo와 Eichinger(2000)는 학습민첩성을 난해하고, 처음 접하는 다른 환경 속에서 직 무를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역량들을 학습하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이라고 정의 하였다. 이들은 실패자들의 핵심요인 중 하나가 새로운 것을 학습하는 것을 멈 추는 것이라고 하면서, 조직 내부 조직구성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학습을 멈 춘 사람들은, 그들이 지금까지 틀린 적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들 스스로의 생각 에만 빠지게 되고, 결국 다른 직무나 수행방법으로의 이행이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실패자들은 새로운 상황이나 직무와 마주하게 되더라도 그것을 온전히

새로운 것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지금까지 해왔던 직무의 또 다른 형태라고 인식 하여 예전에 성공했던 방법만을 재활용한다는 것이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빠른 학습과 새로운 스킬의 습득은 필수적이며, 실패자들과 대조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첫째, 수행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알아내기 위하여 다른 사람들이나, 혹은 스스로에게도 지 속적으로 피드백을 요구한다. 둘째, 직무수행 상에 있어 직면했던 도전과제가 많았다. 셋째, 그러한 역경과 생소함을 새로운 스킬이나 사고 방법을 학습하여 대응하였다(Lombardo & Eichinger, 1989).

초기 학습민첩성은 새로운 직무나 상황에서 빠르게 새로운 기술, 방법, 사고 등을 학습하는 것으로 정의되었으나, 이후 De Meuse, Dai와 Hallenbeck(2010) 은 여기에 ‘성공적인 수행(Successfully Perform)’을 추가하여 학습민첩성 이란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으로, 학습한 것을 새롭고 처음 접하는 상황에서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적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들 의 학습민첩성 정의는 새로운 상황에서의 학습 의지와 능력이라는 이전의 개념 을 확장하여, 결과적으로 이어질 학습을 통한 적용까지 포함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경험을 통한 학습을 새로운 직무나 과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경험 간의 연결점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며, 경험들이 전혀 연관되지 않은 상황 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특히나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DeRue, Ashford와 Myers(2012)는 이러한 연결점을 만드는데 세 가지 인지적 프로세스가 중요하 다고 하였는데, 인지적 가정, 반사실적 사고, 그리고 패턴 인식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프로세스는 미래에 발생 가능한 상황을 예측하고 과거의 상황과 어떻 게 다른지 파악하여 과거와 미래의 상황을 연결시키는 접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DeRue 외(2012)는 상황을 빠르게 이해하고, 경험 내, 혹은 경험 간의 학습에서 아이디어를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학습민첩성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Russell과 Brent(2012)는 행 위식별이론(Action Identification Theory)을 이용하여, 행위식별(Action Identification)이 학습민첩성을 용이하게, 그리고 분명하게 만들어주는 필수적 인 인지과정임을 밝혔다. 행위식별은 구체성과 추상성 사이에서 위계에 따라, 개인이 어떤 상황의 행위를 이해하는 폭을 넓혀가는 것으로, 예를 들면, 회의에

서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긍정적 피드백을 제시했다고 할 때, 상사는 본인의 이러한 행동(피드백)이 다음 상황에 어떻게 이어질지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 야 한다는 것이다. 즉, 본인이 제공한 긍정적 피드백의 의도된 목적(부하직원의 신뢰향상, 상사-부하직원 관계 향상, 해당 회의에 참석한 다른 부하직원들의 동기부여 등)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행위식별 은 위계 수준이 존재하기 때문에 행위의 의미를 부여하는 관념적, 자기준거적, 장기적 목표는 위계상 위쪽에 존재하고, 반면에 구체적이고, 행동적이고, 단기 적 목표는 위계상 아래에 존재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학습민첩성은 사람들이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 높은 목표 위계 수준으로 식별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다 른 상황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고, 단순히 패턴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상황의 저변에 깔려있는 근본 의미를 해독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사한 관점에서 Vicki(2014)는 학습민첩성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 로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학습한 것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이라고 정 의하였는데, 경험을 지속해 나가면서, 각각의 경험에서 원리를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원리를 기반으로 한 학습민첩성이 현재까지 보지 못했던 문 제나 기회에 대처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하였다.

학자 정의

Lombardo와 Eichinger(2000) 난해하고, 처음 접하는 다른 환경 속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역량들을 학습하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

De Meuse 외(2010)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으로, 학습한 것을 새롭고 처음 접하는 상황에서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적용하는 능력

DeRue 외(2012) 상황을 빠르게 이해하고, 경험 내, 혹은 경험 간의 학습에서 아이디어를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는 능력

Vicki(2014)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학습한 것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

<표 Ⅱ-1> 학습민첩성의 개념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학자들의 학습민첩성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학습민첩성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새롭고, ‘처음 접하는 상황 이나 과업’으로 새로운 직무에 배치되거나, 승진을 하거나, 회사의 전략적 이 유로 이전과는 전혀 다른 과업을 만나게 되었을 때 학습민첩성이 필요하다. 오 늘날의 계속해서 변화하는 시장 상황속에서 전통적인 선발, 교육훈련, 역량으로 는 성과관리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변화하는 비즈니스 세계에서 학습민첩성이 중요하다는 것이다(De Meuse et al., 2010). 두 번째, ‘경험 간의 연결능력(connection)’으로, 예를 들면, 승진, 직무변경 등으로 새로운 과업을 맡게 되었을 때, 이전의 경험을 통해 보유하게 된 역량의 일부는 버리 고, 일부는 업데이트하며, 이것에 추가하여 새로운 역량도 습득하여야 하는데, 이는 경험 간의 연결능력이 있을 때 훨씬 효율적이고 능숙하게 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Freedman, 1998).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유연성(Flexibility)과 속 도(Speed)’로서, 유연성은 상황들 간에 학습한 것들을 얼마나 유연하게 잘 적용할 수 있느냐를 뜻하고, 속도는 경험으로부터 얼마나 빠르게 학습할 수 있 느냐를 뜻한다(Wang & Beier, 2012).

정리하여 보면, 학습민첩성(Learning Agility)이란 새롭고, 도전적인 환경에 서 자기인식 및 조직구성원과의 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상황을 빠르게 이해하 고, 경험을 통해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유연하게 적용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2) 학습민첩성 유사 개념

학습민첩성과 유사 개념을 고찰하여 학습민첩성의 범위와 개념, 그리고 특징 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학습민첩성 정의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학 습민첩성의 특징을 보면, 경험을 통한 체계적 학습, 여러 경험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인지적 능력, 직무수행상에서 개발 및 발현되는 맥락적 특성, 학습 한 내용의 유연한 적용 능력 등이 있다. 이러한 특성과 유사한 개념들을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 인지적 유연성 (Cognitive Flexibility), 무형식 학습(Informal Learning), 학습전이(Learning

Transfer) 등을 도출하였고, 이 개념들을 통해 학습민첩성 개념의 이해도를 제 고하고자 하였다.

가) 경험학습

경험학습이론은 개인의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는 학습과정에 대한 방식으 로 접근되고 발달되어 왔다. 경험(Experience)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가 자신이 실제로 해 보거나 겪어 보는 것, 또는 거기서 얻은 지식이나 기능을 뜻 하므로 경험이라는 단어 그 자체만으로도 학습의 개념이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경험학습은 이보다 더 구체성을 띄며, 단순한 활동, 혹은 해보는 것 을 넘어 의식이 관련되고, 성찰과정이 추가되는 학습과정을 말하기 때문에, 결 국 경험에 대해 개인이 투입하는 성찰의 질적 수준에 따라 경험학습의 가치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Merriam, Caffarella, & Baumgartner, 2007).

일반적으로 경험학습이란 경험을 통한 학습, 혹은 경험에 의한 학습을 의미 한다(김지자, 정지웅, 2001). 초기 경험학습의 모형을 제시한 Dewey(1938)는

일반적으로 경험학습이란 경험을 통한 학습, 혹은 경험에 의한 학습을 의미 한다(김지자, 정지웅, 2001). 초기 경험학습의 모형을 제시한 Dewey(1938)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