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조업 근로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민첩성 수준

IV. 연구결과

2. 제조업 근로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민첩성 수준

피드백추구

성찰

나. 연령에 따른 학습민첩성 수준

제조업 근로자의 연령에 따른 학습민첩성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 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5>와 같다. 제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수준은 연령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p<0.01). 사후검정 결과 3개로 구분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는데, 구체적으로 40세 이상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학습민첩성 수준 (134.3점)이 30세 이상 40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학습민첩성 수준(125.8점)과 30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학습민첩성 수준 (124.4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민첩성의 하위요인 중 제조업 근로자의 피드백추구 수준은 연령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사후검정 결과 3개 로 구분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30세 미만의 제조업 근 로자가 인식하는 피드백추구 수준(16.1점)이 30세 이상 40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피드백추구 수준(15.1점)과 40세 이상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피드백추구 수준(14.6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 근로자의 정보지향성 수준은 연령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사후검정 결과 3개로 구분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40세 이상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 식하는 정보지향성 수준(18.9점)이 30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정 보지향성수준(17.0점)과 30세 이상 40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정 보지향성 수준(17.5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근로자의 실험성 수준은 연령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사후검정 결과 3개로 구분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40세 이상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실험성 수준(47.1점)이 30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실험성 수준(42.6점) 과 30세 이상 40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실험성 수준(43.7점)보 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제조업 근로자의 유연성 수준은 연령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다. 학력에 따른 학습민첩성 수준

제조업 근로자의 학력에 따른 학습민첩성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 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6>과 같다. 제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수준은 학력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p<0.01). 사후검정 결과 4개로 구분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는데, 구체적으로 전문대졸 이하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학습민첩성 수 준(116.0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제조업 근 로자가 인식한 학습민첩성 수준(126.9점), 석사학위를 소지한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학습민첩성 수준(132.5점)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습민첩성의 하위요인 중 제조업 근로자의 피드백추구 수준은 학 력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사후검정 결과 4개로 구분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4년 제 대학을 졸업한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한 피드백추구 수준(15.8점)이 전문대 졸 이하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피드백추구 수준(13.8점) 보다 높게 나타 났다.

제조업 근로자의 정보지향성 수준은 학력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사후검정 결과 4개로 구분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박사학위를 소지한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 하는 정보지향성 수준(19.5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석사학위를 소 지한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정보지향성 수준(18.8점), 4년제 대학을 졸업 한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한 정보지향성 수준(17.5점). 전문대졸 이하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한 정보지향성 수준(15.8점) 순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한 성찰의 수준의 경우에도 학력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4개로 구분된 집단 간에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석사 학위를 소지한 제조업 근로자 가 인식한 성찰 수준(18.3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한 성찰 수준(17.4점), 전문대졸 이하의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한 성찰 수준(15.9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박사학위를 소지한 제

조업 근로자가 인식한 성찰 수준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성

1.전문대졸 이하 56 40.75 8.08

4.444**

2.4년제 대졸 262 43.80 7.99

3.석사 73 45.63 7.35 *

4.박사 15 45.60 5.22

유연성

1.전문대졸 이하 56 31.71 6.49

3.691**

2.4년제 대졸 262 34.17 6.32

3.석사 73 34.84 5.84 *

4.박사 15 36.20 3.38

1) *p<0.05,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