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V. 연구결과

4. 직무변인과 학습민첩성의 비선형적 관계

직무변인과 학습민첩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직무, 연령, 학력을 통제변 수로, 직무변인(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을 독립변인으로, 학습민첩성 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만, 직무변인(직무 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과 학습민첩성의 관계는 비선형적 관계를 가설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1단계에 통제변인을 투입하고, 2단계에서 선행변인인 직무 변인(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을 투입하였으며, 마지막 3단계에서 직 무변인(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의 제곱항을 투입하였다. 제곱항은 중심화 값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Ⅳ-10>과 같다.

투입변인

종속변인: 학습민첩성

모형1 모형2 모형3

β t β t β t

직무 -0.117 -2.379* -0.063 -1.323 -0.064 -1.369

연령 0.103 2.083* 0.065 1.374 0.053 1.143

학력 0.143 2.857** 0.090 1.887 0.082 1.752

직무도전성 0.212 3.527* 0.142 2.337*

직무자율성 0.111 2.251* 0.100 2.081*

직무부담 0.295 6.038*** 0.262 5.382***

직무도전성2 -0.129 -2.550**

직무자율성2 -0.224 -4.771***

직무부담2 -0.149 -2.069***

F 8.263*** 14.149*** 12.042***

R2 0.058 0.175 0.215

R2adj 0.051 0.163 0.197

1) *p<0.05, **p<0.01, ***p<0.001

<표 Ⅳ-10>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변인과 학습민첩성의 회귀분석 결과

위의 <표 Ⅳ-10>에서 살펴보듯이, 직무, 연령, 학력을 통제한 뒤 학습민첩성 에 직무변인(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을 회귀시켜 분석한 결과, 제조 업 근로자의 직무변인(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은 21.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수준 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다(F=12.042, p<0.001).

H 3-1.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도전성은 학습민첩성에 대해 역U자형 관계를 가질 것이다.

H 3-2.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자율성은 학습민첩성에 대해 역U자형 관계를 가질 것이다.

H 3-3.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부담은 학습민첩성에 대해 역U자형 관계를 가질 것이다.

위의 <표 Ⅳ-10>에서 살펴보듯이, 직무, 연령, 학력을 통제한 뒤 학습민첩성 에 직무변인(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을 회귀시켜 분석한 결과, 3단 계 직무변인(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 제곱항을 투입하였을 때, 회귀 모형의 설명량(ΔR²=0.040, p<.001)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직무변 인인 직무도전성 2차항의 회귀계수(β=-0.129, p<0.01), 직무자율성 2차항의 회귀계수(β=-0.224, p<0.001), 직무부담 2차항의 회귀계수(β=-0.149, p<0.001)에 따라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변인(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 담)과 학습민첩성의 관계가 역U자형임을 알 수 있다.

[그림 Ⅳ-1]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도전성과 학습민첩성의 관계

[그림 Ⅳ-1]은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도전성과 학습민첩성의 비선형적 관계 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Ⅳ-1]에서 보이듯이, 직무도전성 13.7점(5 점 환산점수 3.43) 수준에서 학습민첩성의 방향이 달라지는 변곡점(Point of Inflection)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도전성과 학습민첩성 은 역U자형 관계를 가질 것이라는 연구가설 3-1은 채택되었다.

[그림 Ⅳ-2]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자율성과 학습민첩성의 관계

[그림 Ⅳ-2]는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자율성과 학습민첩성의 비선형적 관계 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Ⅳ-2]에서 보이듯이, 직무자율성 17.9점(5 점 환산점수 2.99) 수준에서 학습민첩성의 방향이 달라지는 변곡점(Point of Inflection)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자율성과 학습민첩성 은 역U자형 관계를 가질 것이라는 연구가설 3-2는 채택되었다.

[그림 Ⅳ-3]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부담과 학습민첩성의 관계

[그림 Ⅳ-3]은 기업근로자의 직무부담과 학습민첩성의 비선형적 관계를 그 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Ⅳ-3]에서 보이듯이, 직무부담 11.3점(5점 환산점 수 3.76) 수준에서 학습민첩성의 방향이 달라지는 변곡점(Point of Inflection)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부담과 학습민첩성은 역U자형 관계 를 가질 것이라는 연구가설 3-3은 채택되었다.

5. 개인 및 직무변인과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실책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