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방법

5. 자료분석

가. 분석수준의 확인

이 연구에서는 국내 제조업 기업의 긍정적 실책관리 문화에 대한 기업구성원 의 개별 인식들을 조직수준으로 변환하여 분석하는 것이 타당한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수준 연구에서 평가자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평가자간 동의도(Agreement)평가와 신뢰도(Reliability)평가가 있으며, 측정목적이 평가 자간의 상호교환 가능성 정도를 평가하고자 할 때는 동의도를 측정하는 지표를 사용하고, 평가자들이 평가한 값들간의 일관성 정도를 평가할 때는 신뢰도를 측 정하는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차종석, 김영배, 1994). 또한, 동의도의 경우 에는 이분법이 적용되어 서열척도나 등간척도의 경우에 본질적 문제를 내포하기 때 문에(Kozlowski & Hattrup, 1992), 서열척도와 등간척도로 평가된 평가자간 신뢰 도 측정은 ICC가 적절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ICC(1)과 ICC(2)를 활용하여 기 업구성원의 개별 인식을 기업수준으로 변환하여 분석하는 것이 타당한지 검토하였다.

ICC(1)은 단일측정(Single Measure) 방식으로 하나의 변인에 대해 조직 내 응답자들의 동질성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Dansereau & Yammarino, 2006; 김진희, 2007). ICC(1)은 조직수준의 변량이 개별 응답의 변량을 설명하 는 비율을 나타내며(Bliese, 2000), 0부터 1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0.20 이상이 면 만족할 만한 수준이다(James, 1982). 또한, ICC(2)는 표본 내 집단의 측정 평균(Average Measure)에 대한 신뢰도를 의미하며, 크론바흐 α값과 유사하다 (Dansereau & Yammarino, 2006; 김진희, 2007). ICC(2)는 조직수준의 전체 평균값의 유의미성, 즉 조직구성원 간의 합치도(Agreement)를 의미하여, 조직구 성원들의 평균값이 해당 조직의 의미 있는 값으로 해석하게 된다(James et al., 1984; McGraw & Wong, 1996; Ostroff, 1992). ICC(2)는 집단 간 이질성과 집단 내의 동질성을 측정하는 값으로서 무선효과 ANOVA(Random-Effect ANOVA)에 의해 산출되며 1에 가까울수록 집단 간의 차이에 대한 신뢰도가 높 아지게 된다(Bliese, 2000). 일반적으로 0.60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해석한다 (Erdogan et al., 2006; Glick, 1985; Ostroff, 1993).

이 연구에서 조직구성원들의 응답자료를 토대로 ICC(1)과 ICC(2)를 분석한 결과는 <표 Ⅲ-11>과 같다.

변인 F ICC(1) ICC(2)

긍정적 실책관리 문화 8.675*** 0.485 0.884

주1) 평균 집단 크기: 8.12명 주2) ***p<0.001

주3) 임계값: ICC(1)≧0.20, ICC(2)≧0.60

<표 Ⅲ-11> 측정변인의 ICC(1)과 ICC(2)에 대한 검증결과

먼저 ICC(1)의 결과는 0.2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ICC(2)의 검증결과 역시 0.6보다 크게 나타나 조직수준으로 분석될 수 있는 변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 라서 이 연구에서는 긍정적 실책관리 문화 변인에 대한 기업구성원들의 응답자료 를 조직수준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성원들이 응답한 자료의 평균점수를 활용하였다.

나. 동일방법편의에 대한 검증

이 연구에서는 Harman의 단일요인 검증(Single Factor Test)을 실시하여 동 일방법편의에 대한 가능성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이 방법은 Podsakoff와 Organ(1986)이 제시한 방법으로, 동일방법편의가 심각할 경우 모든 변수들을 대 상으로 한 요인분석에서 고유치가 1 이상인 요인이 1개만 도출되거나, 여러 개의 요인이 도출되더라도 설명력이 한 요인에 집중되게 된다. <표 Ⅲ-12>에서 알 수

있듯이, 첫 번째 요인의 설명력이 29.8%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기준인

38 .346 .462 90.284      

다. 가설 검증 방법

이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및 계층적 회귀분석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을 활용하였다.

먼저 응답자의 개인 특성, 학습민첩성, 경험개방성, 경력다양성, 변화몰입, 직무 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 긍정적 실책관리 문화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는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를 활용하였다. 그 외 연구의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 방법 중 계층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먼저 통제변수를 조절하며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계층적 회귀분석 방 법을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통제변수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단, 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은 비선형 관계를 가설로 설정하였으므로 제곱 값을 변수로 투입하였다.

또한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절변인 분석 모형(Moderator Model)에 근거하여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 통제변인을 투입하고, 2단계 에 독립변인을 투입한다. 마지막 3단계에 독립변인과 조절변인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한다. 단 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직무부담은 비선형 관계를 가설로 설정함 에 따라 3단계로 독립변인의 제곱항을 투입하며, 마지막 4단계에서 독립변인과 조절변인의 상호작용항, 독립변인 제곱항과 조절변인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 다. 위의 내용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SPSS 23.0을 사용하였다.

모든 연구 가설은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하였으며, 설정된 연구 가설별로 적 용할 자료 분석방법을 제시하면 <표 Ⅲ-13>과 같다.

연구 가설 분석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