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V. 연구결과

3. 개인변인과 학습민첩성의 관계

개인변인과 학습민첩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직무, 연령, 학력을 통제변 수로, 경험개방성, 경력다양성, 변화몰입을 독립변인으로, 학습민첩성을 종속변 인으로 설정하여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Ⅳ-7>과 같 다.

투입변인

종속변인: 학습민첩성

모형1 모형2

β t β t

직무 -0.117 -2.379* -0.091 -2.439

연령 0.103 2.083* 0.014 0.370

학력 0.143 2.857** 0.109 2.859

경험개방성 0.550 14.480***

경력다양성 0.021 0.570

변화몰입 0.262 6.930***

F 8.263*** 70.673***

R2 0.058 0.515

R2adj 0.051 0.508

1) *p<0.05, **p<0.01, ***p<0.001

<표 Ⅳ-7> 제조업 근로자의 개인변인과 학습민첩성의 회귀분석 결과

위의 <표 Ⅳ-7>에서 살펴보듯이, 직무, 연령, 학력을 통제한 뒤 학습민첩성 에 개인변인(경험개방성, 경력다양성, 변화몰입)을 회귀시켜 분석한 결과, 제조 업 근로자의 개인변인인 경험개방성(β=0.550, p<0.001), 변화몰입(β=0.262, p<0.001)은 학습민첩성을 51.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수준 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70.673, p<0.001).

H 2-1. 제조업 근로자의 경험개방성은 학습민첩성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다.

H 2-2. 제조업 근로자의 경력다양성은 학습민첩성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다.

H 2-3. 제조업 근로자의 변화몰입은 학습민첩성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제조업 근로자의 경험개방성이 학습민첩성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 2-1과 제조업 근로자의 변화몰입은 학습민첩성에 정적인 직접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 2-3은 채택되었다.

그러나 위의 <표 Ⅳ-7>에서 살펴보듯이, 제조업 근로자의 경력다양성은 학 습민첩성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조 업 근로자의 경력다양성은 학습민첩성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연 구가설 2-2는 기각되었다.

그러나 학습민첩성이 다양한 경험을 통한 학습을 바탕으로 형성된다는 점과, 학습민첩성과 경력다양성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관리자급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 행하였다는 점을 고려하여, 연구대상 중 관리자급 기업근로자의 경력다양성과 학습민첩성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업 내에서 관리자급을 구분하 는 기준은 기업 내 직급구조에 의한 것인데, 관리자의 경력과 관련한 선행연구 에서 관리자급은 대부분 과장급 이상이 관리자급으로 제시되었고(고민화, 2007;

조미영, 2005; 한우섭, 2008),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과장급 이상을 관 리자급으로 하였다. 먼저 과장급 이상의 관리자급과 사원, 대리급의 경력다양성 이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는데(<표 Ⅵ -8>), 관리자급(8.9점)이 사원, 대리급(7.1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변인 빈도 평균 표준편차 F t

경력다양성

사원, 대리급 229 3.5633 1.82614 14.254 -4.404***

관리자급(과장이상) 177 4.4661 2.30402 ) ***p<0.001

<표 Ⅳ-8> 제조업 근로자의 직급에 따른 경력다양성 수준(t-test)

따라서 과장급 이상을 관리자급으로 설정하여 경력다양성과 학습민첩성의 관 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Ⅳ-9>와 같다.

투입변인

종속변인: 학습민첩성

모형1 모형2

β t β t

직무 -0.222 -2.954** -0.211 -3.186**

연령 0.109 1.495 0.092 1.429

학력 0.093 1.246 0.065 0.982

경력다양성 0.454 7.026***

F 5.270** 17.398***

R2 0.084 0.288

R2adj 0.068 0.272

1) **p<0.01, ***p<0.001

<표 Ⅳ-9> 제조업 관리자급 기업근로자의 경력다양성과 학습민첩성의 회귀분석 결과

위의 <표 Ⅳ-9>에서 살펴보듯이, 직무, 연령, 학력을 통제한 뒤 학습민첩성 에 경력다양성을 회귀시켜 분석한 결과, 제조업 관리자급 기업근로자의 경력다 양성은 학습민첩성을 28.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수준 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β=0.454, F=17.398, p<0.001). 따라서 제조업 관리자급 기업근로자의 경력다양성은 학습민첩성에 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