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5절 학교사회사업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우리나라의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는 학교사회사업 도입의 초기이니 만큼 대부분이 개입전략을 위한 욕구조사차원의 연 구였다. 교사의 학교사회사업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더라도 학교사회 사업 인식보다는 학교행정의 통괄을 말고 있는 학교장의 학교사회사 업에 관한 연구(계헌근, 2000)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본 연구의 대상 이 되는 진로상담교사의 학교사회사업에 관한 의견을 묻는 논문은 아 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시범사업과 연구사업으로 학교사회사업이 실시되었던 학교에서의 교사의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간략한 인식을 묻는 보고회 자료가 있으며, 1999년에 학생·교사·학교사회사업가를 대상으로 하여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 있다(최 정호. 전게서, 1999).

학교사회사업에 관한 진로상담교사의 인식과 관련하여 본 연구와 관련 있는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수혜욕구에 관한 연구(김민영, 1998)는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사정내용을 조사하였는데 교사들은 학생들 이 일반적으로 당면하는 진로 및 성적에 대한 고민에 대해서는 인식 을 같이 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응답한 욕구나 문제와 다르게 응답한 부분이 있으며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개별 상담자의 필 요성이나 개별 상담기법의 훈련에 대한 욕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 연구는 학생과 교사간에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학교사회사 업 서비스 수혜에 대한 욕구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학생들이 성적 및 진로문제, 외모와 체격, 건전한 문화공간과 기회의 부족, 부모의 지나친 간섭 또는 기대, 성격문제 순으로 문제의 우선 순위를 정한 반면, 교사들은 성적 및 진로문제, 학교 친구와의 관계, 이성교제, 부모의 지나친 간섭 또는 기대, 외모와 체격 순으로 문제의 우선 순위를 정하였다. 또 학생들은 청소년 문화 프로그램, 진 로 및 적성 검사, 학업부진에 대한 지도, 성교육을 통한 정보제공, 학 교주변 유해환경 정화를 위한 활동 순으로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서비 스 수혜욕구를 나타낸 반면, 교사들은 학업부진에 대한 지도, 고민이 나 문제에 대한 개별상담, 청소년 문화 프로그램, 학교주변 유해환경 정화를 위한 활동, 성교육을 통한 정보제공 순으로 욕구를 나타내었 다. 이와 같은 학생 문제에 대한 시각과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수혜욕 구에 있어서 학생과 교사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사회사업이 실시된 후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 서 보다 실제적인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인식을 볼 수 있다. 먼저

1997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실시한 3개 학교의 학교사회사업에 대해서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교사들의 평가를 살펴보면(김 상균 외, 1997)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의 유용성에 대하여 96%가 도 움이 되었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학교사회사업 전문인력 배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90%가 학생상담에 대한 전문적 원조 관 계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사회사 업가의 주요 원조대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서는 가족문제에 대해 서는 46.6%, 가출학생에 대해서는 42.5%, 신체 및 심리적 장애에 대 해서는 34.2%, 규율위반 학생에 대해서는 12.3%의 교사들이 동의하 였는데, 가족문제와 가출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학교사회사업의 주요 대상으로 응답한 것은 학교사회사업이 지향하는 학교와 가정의 연계 라는 역할과 일치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학생상담 이외의 중점활동 영역에 대한 교사인식에서는 외부기관과의 연결에 39.7%, 예방프로 그램에 34.2%, 부모상담 및 가정방문에 13.7%, 교사상담교육에 11%, 자원봉사관리에 1.4%가 응답함으로써 앞으로의 학교사회사업이 외부 체계 자원에 대한 개발 및 동원에 관련된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될 것 과 문제를 예방하고 심각한 문제로의 진전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모색해야 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학교사회사업이 제도화 및 활성화가 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교사 회사업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고 고려하여 서울시내 중등학교의 교 사를 대상으로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인식을 연구한 논문(유은주, 2000)에서 학교사회사업에 대해 알고 있느냐의 질문에 연구대상자의

반 이상이 전혀 모른다고 대답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들을 제외 한 학교사회사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의 대부분이 학생문 제 해결을 위해 학교사회사업가나 외부 전문인력이 필요하다고 응답 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