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절 학교사회사업 변천 과정

1. 미국의 학교사회사업

오늘날 미국의 학교사회사업은 전문적으로 학생들을 돕는 사회사업의 한 분야로써, 학생들이 학교에 만족스럽게 적응하도록 하기 위해 학교와 가족, 지역사회의 노력 등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노력들의 목적을 달성하 도록 돕는 활동으로 이해된다. 학교사회사업가는 학교체계에서 사회적 퇴행, 공격적인 행동, 반사회적 행동, 육체적이거나 정서적인 문제 혹은 경 제적인 문제들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과 가족, 교사들을 돕고 예

방하는 역할을 한다(성민선 외, 1998: 6). 이러한 학교사회사업의 기능과 역할은 정적인 것이 아니고, 시대에 따른 학교·지역사회·가정 그리고 학 생들의 변화하는 다양한 욕구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미국의 학교사회사업 의 변천시기를 크게 방문교사시기, 전문화시기, 통합적 복지서비스시기로 나누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C초반의 방문교사시기로서, 이때의 미국사회는 유럽에서 건너온 이민자와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하는 이농민의 급증으로 저교육, 빈곤, 열 악한 노동환경, 주택부족, 범죄증가 등의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던 시 기였다.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이주민들의 사회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19세기 후반에 자선조직단체와 인보관(settlement house)이 설립 되었고, 이러한 기관에 근무하던 사회사업가들은 그 지역의 학교를 방문하 여 이민자 아동들이나 빈곤아동들에게 사회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 교사의 역할을 시작하면서 학교사회사업이 태동하게 되었다(김상균 외, 1997: 23).

1920년대부터 일기 시작한 정신위생운동과 학생의 심리. 정서적 문제에 관한 관심으로부터,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은 가정과 학교를 연계하던 연 계자의 역할에서부터 전문심리치료사로서의 역할로 변화되었고, 이는 학교 사회사업가의 역할이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여 변화함을 시사한다.

둘째, 194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의 전문화시기로, 가족의 많은 기본적 인 욕구를 위해 제공되는 연방정부 프로그램의 급증이 일어났다. 이 기간 동안 학교사회사업은 학교체계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고, 그 초점은 부정

적인 학교와 지역사회의 조건으로부터 임상중심으로 옮겨졌다(성민선 외, 1998: 6). 임상적인 심리치료사의 역할을 수행하였던 학교사회사업가의 역 할은 1960년대 들어 나타난 인권운동, 장애인 교육권 보장, 통합교육 등의 사회변화로 인해 보다 포괄적이고 팀 접근적인 방법을 요구하게 되었다.

더욱이 1970년대에 등장한 체계이론과 생태학적 관점은 학교를 사회체계 내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으며, 이로 인해 학교사회사 업가는 학생의 학교부적응과 학습부진의 원인을 학생 개인의 심리·정서 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환경이나 학교환경에서도 파악하게 되었다(김 상균 외, 1997: 24-25).

셋째, 1980년대 이후의 통합적 복지서비스 시기로, 1983년에 미국의 교 육제도를 분석한 '국가적 위기(A Nation at RisK)'란 연구보고서는 학생 의 학업 실패가 개인적인 원인보다는 사회적, 경제적, 가족적인 요인이 상 호작용 함으로써 학생의 학업성취를 저해하고 학교 부적응을 유발한다고 보고하고 있다(김상균 외, 1997: 6). 즉, 빈곤가정이나 이혼가정의 학생들 은 비록 학업성취능력이 있다 하더라도 자신들의 가정환경으로 인해 학교 생활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이들 학생들은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에 실패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1980년대에 일어난 이러한 교육개 혁운동은 학교사회사업의 역할과 기능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 치게 되었다. 다양하고 복잡한 학생문제를 해결하고 사회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교가 교육서비스 외에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사회복지 서비스 를 필요로 하며, 학교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으로서 가장 바람 직하다고 여겨졌다.

학교연계 통합적 복지서비스는 학교가 지역사회의 복지관, 정신건강소, 의료보건기관과 같은 사회복지기관과 연계하여 학교 내에서 혹은 학교부 근에서 학생과 그의 가족들에게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방 법이다. 학교가 중심이 되어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이러한 방법은 혁신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이며, 학교사회사업의 새로운 모델이라 고 할 수 있다(김상균 외, 199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