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제2장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논문은 심리적 계약의 조직의무에 대한 척도를 사용함 에 있어 별도의 사전조사를 통해 확인된 항목과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항목을 추가 또 는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모집단인 사회복지조직의 특성과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변화 때문이다. 사회복지기관은 하나의 조직으로서 목적 달성을 위해 존 재하는 부분은 사기업체와 같지만 비영리조직의 하나로 문화 또는 목적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종사자의 직업관, 가치관 등이 타 조직의 구성원들과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항상 존재하는 사실이지만 근래의 사회복지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

경제⋅정치적 영향이 어느때보다 크다 하겠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기업체를 대상으로 개발된 범주의 것을 항목으로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정확한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 라서 하나의 조직으로서 표준화된 측정과 더불어 사회복지조직의 심리적 계약의 내용 에 대한 해석을 돕기 위해 질적인 측정이 필요하였다.

사전조사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전조사 기간은 2011년 9월 26일부터 2011년 10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조사과정 은 2단계에 거쳐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사회복지시설 관리자 및 종사자 20명을 대 상으로 “귀하의 소속기관이 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는 내용으로는 어떤 것이 있 습니까?”에 대해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내용분석을 통해 심리적 계약의 내용 을 추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추출된 내용을 문항화하여 다른 그룹의 시설종사자 20명 을 대상으로 “귀하의 소속기관이 종사자들에게 제공해야 할 의무에 관한 내용입니다.

귀하가 생각하기에 각 문항의 내용에 대해 소속기관의 의무라고 생각되는 정도는 어 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두 차례에 거친 설 문조사를 통해 조직의 의무로 인지하는 정도가 높은 문항들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사전조사에서 채택된 항목과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정리하여 본조사를 위한 설 문지를 작성하고, 시설종사자 10명으로부터 설문항목 중 이해에 어려움이 있거나, 부자 연스러운 표현 또는 내용에 대하여 의견을 받아 사회복지기관의 실정에 맞도록 문항을 변경하여 최종설문지로 사용하였다. 사전조사에 사용한 설문지는 박영석(1991)의 것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부록Ⅰ⋅Ⅱ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Nunnally(1978) 가 제시한 측정타당화과정(measure validation process)을 이용하였다. 측정타당화과정 은 <그림 3-2>와 같다. Nunnally의 측정타당화과정은 정화과정과 단일차원성 확보를 통해 얻어진 항목을 이용하여 신뢰성 검증과 타당성 검증 절차를 거치게 된다.

1단계 정화절차

(purification process)

신뢰성 분석

(Correted item-to-tatal correlation 지표 이용) ⇩

2단계 단일차원성 확보 요인 분석

(비회전 방식 이용, 구성개념별 실시)

3단계 신뢰성 검증 신뢰성 검증

(Cronbach's α 계수 이용)

4단계 타당성 검증 요인분석

(회전방식 이용, 전체개념을 일괄처리 실시)

<그림 3-2> Nunnally의 측정도구타당화 검증과정 및 통계기법

1) 정화절차

먼저 신뢰성의 확보를 위해 정화절차를 거쳤다. 정화절차는 측정항목이 동일한 모집 단에서 추출된 것이라면 항목들간의 상관관계가 높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한 항목모 집단 추출모형(Domain Sampling Model: DSM)에 근거한다. 정화절차는 수정된 측정-항목모집단 상관계수(Corrected item-to-total correlation) 지표를 통해 살펴볼 수 있 다. 이는 특정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특정항목과 그 항목을 제외한 여타 항목들 사이의 상관계수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상관계수가 .3 이상이면 측정문항이 특정개념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된 모집단에서 추출된 것으로 간주하고, 이에 위반되는 항목들 은 제거한다. 또한 측정항목이 삭제된 경우 Cronbach's ⍺값이 신뢰도 계수보다 높게 나타나면 이 또한 신뢰도를 저해하게 되므로 고려하여야 한다.

심리적 계약의 기대 지각 심리적 계약의 이행 지각 심리적 계약의 기대-이행차이 지각

심리적 계약의 기대 지각 심리적 계약의 이행 지각 심리적 계약의 기대-이행차이

심리적 계약의 기대 지각 심리적 계약의 이행 지각 심리적 계약의 기대-이행차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측정변수

심리적 계약의 기대 지각 심리적 계약의 이행 지각

문11 .035 .088 .083 .694 .334 .384 .176 -.020 -.079

value 4.028 1.942 8.922 1.415 1.560 12.367 2.520 1.030 1.203 분산

(%) 8.571 4.132 18.983 3.010 3.319 26.312 5.361 2.191 2.559 누적분산

(%) 53.867 63.360 45.296 69.689 66.679 26.312 59.228 74.439 72.248

심리적 계약의 기대-이행차이 지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