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취학 전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표현의 특성

취학 전 아동의 성장 발달은 각 개인 나름대로 다양한 특성을 지니며 일정한 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특성은 정신적인 면에서나 육체적인 면 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언어나 다른 전달 수단에 의한 의사 소통이 비교 적 자유롭지 못한 취학 전 아동들은 끄적 거려 놓은 낙서나 그림을 통하 여 자신의 내면적인 감정이나 갈등 등의 마음 상태를 솔직하게 반영한다.

또한 그들은 자신의 그림 속에서 사물이나 사실을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 로 나타내기보다는 사물에 대한 자신의 경험이나 주관적인 느낌을 주로 표현하기도 한다.17 ) 그러므로 취학 전 아동들의 미술 세계는 성장 발달 과정 속의 내면세계와 취학 전 아동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반영하는 거울이라 할 수 있다. 성장함에 따라 변화됨을 보여주는 아동의 미술표 현에 대한 연구는 주로 평면표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데 비해 입체표현 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형편이다. 그 이유는 자료수집이 쉽지 않고 보관이 어렵기 때문이며, 기준설정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분석이 어려 운 이유도 있다. 평면적, 입체적 표현은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단계화 되고 있다. 대표적인 발달단계를 제시한 로웬펠드(V . Low enfeld)18 ), 시릴 버트(Cyril Burt ), 골롬브(C. Golomb ), 김정의 연구를 통해 4- 7세 취학 전 아동의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 로 웬 펠 드 (V . Lo w e n f el d )의 연 구

19) ( 1 ) 난 화 기 (S t a g e o f S c rib b l e : 2 - 5 세 )

난화란 미성숙자 내지는 유아들에 의해서 나타나는 묘화의 상태를 뜻한 다. 이 단계에서는 무엇인가를 그린다는 목적보다는 손의 근육 운동과

17 ) 김 정, 아동의 미술교육 연구, 창지사, 1989, p .47.

18 ) Vikt or Low en feld (1903- 1960) : 미술교육학자, 심리학자, 아동 중심・창의성 중심・과정 중심 미술교육의 큰 흐름을 형성하는 바탕이 되었다.

19 ) 권상구, 아동미술교육, 미진사, 1991, pp .46 - 48.

그 결과로 생긴 선들을 발견하고 즐기는 것이며 그것이 발전되면서 회전 형태가 나타나게 된다. 이 회전운동은 좌우, 상하로 연결되면서 자유로 운 율동으로 진행된다. 또한 유아들은 단순한 근육 운동으로 이루어지 던 난화를 점차 생각할 수 있는 이미지 표현으로 의미를 부여하려는 상징 적 활동을 하기 시작하게 된다. 이 시기의 그림은 미분화 상태의 표현 이다.

(2 ) 전 도 식 기 (P re - S y m b o li c S t a g e : 5 - 7 세 )

무의식적인 표현과정으로부터 점차 의식적인 표현과정으로 옮겨지는 상 징적 도식의 기초 단계이다. 이 시기의 특징은 대상에 대해 그들이 가 지고 있는 어떤 이미지 또는 대상의 감정을 상징적으로 묘사한다. 인물 을 주로 많이 그리는데, 처음에는 원형과 팔, 다리, 몸통, 발등이 그려지다 가 점차 발전하여 웬만한 사람의 형태는 풍부하게 잘 그린다. 입체적 표현양식이 끊임없이 변화되고 세부에서 시작하여 자신들의 의식에 다른 부분들을 첨가시켜 그것들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작품을 만든다. 세부 적인 표현까기 들어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3 ) 도 식 기 (S y m b o li c S t a g e : 7 - 9세 )

사물의 개념을 습득하는 시기로 그림에 대한 도식이 생기는 시기이다.

자신과 대상과의 관계를 공식화하고 그것을 도식화하여 표현한다. 또 한 중요한 부분을 과장하고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생략하며 주관적인 인 물과 공간 개념을 표현한다. 기저선(base line)이 나타나 바닥이나 땅을 나타낸다.

이 시기의 아동은 색에 대한 도식이 형성되어 사물의 색을 느낌이나 주 관만으로 선택하지는 않는다. 입체적 표현을 전체로부터 세부로 들어가 는 방법(분석적인 방법)과 하나 하나의 재현적 상징들로 전체를 구성하는 방법(종합적인 방법)으로 작업한다. 분석적인 방법은 나중에 시각형과 연결되고, 종합적인 방법은 나중에 촉각형과 연결된다.

(4 ) 또 래 집 단 기 (G an g A g e : 9 - 1 1세 )

또래 집단의 의사를 존중하고 도식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며 세부 표 현이 나타난다. 중첩과 기저선 사이에 공간을 인식하게 되며 위해서 본 모습을 표현한다. 자신의 능력을 인식하고 집단과 자신과의 관계를 발 전시키기 위해 자기자신을 찾으려 한다.

(5 ) 의 사 실 시 (P e s u do n a t u ra li s t i c S t a g e : 12 - 14 세 )

합리적이며 사실적으로 표현하려고 애쓰며, 시각형과 비 시각형인 경향 이 나타난다. 또한 배경과 원근감, 비례 등을 표현하며 모든 묘사는 운 동감이 풍부해지며 3차원적인 입체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무의적으로 소조하는 단계에서 의식적으로 조작하는 단계로 넘어가는 시기이다. 시 각형(객관적인 형)과 비 시각형(주관적인 형)으로 구분되어 나타난다.

(6 ) 결 정 기 (P e ri o d o f D e c i s i o n : 13 - 17 세 )

창의적 활동의 위기, 환경을 창의적으로 받아들이며 그 표현 유형이 촉 각형, 시각형, 중간형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시각형은 외관과 비례, 명 암, 배경, 원근 등을 중시한다. 촉각형은 내면 정서의 표현, 색채나 공간 표현이 주관적 표현이다. 입체적 표현은 시각형과 비 시각형(촉각형)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시각형은 세부에 대한 인식없이 전체를 보고 전체 적인 인상에 견주어 부분적인 인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나서 이런 부분 들을 새로운 전체로 종합한다. 촉각형은 근육감각이나 촉각적인 인상에 의하며, 자신의 정서적인 가치로 부분의 크기와 중요도를 결정하여 매우 주관적인 작업을 한다.

2 ) 시 릴 버 트 (Cy ril B urt )

20) ( 1 ) 난 화 기 (S c rib b l e : 2 - 5 세 )

유아기 그리는 난화는 유아 개개인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다.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20) 김 정, 앞의 책, pp .114 - 115.

① 맹목적 난화 : 목적 없이 근육운동에서 비롯된 끄적 거린다.

② 유목적 난화 : 자신이 그려 놓은 흔적에 의미를 부여하며, 주제를 생각 한다.

③ 모방적 난화 : 근육운동에서 팔의 운동으로 옮겨가며 손가락 운동으로 점차 발전한다. 의식적으로 사물을 묘사한다.

④ 부분적 난화 : 관심 있는 대상의 특정 부분을 묘사하려는 의도를 보인 다.

(2 ) 선 화 기 (L in e : 4 세 )

시각조절이 어느정도 진보되는 시기이며, 사람의 형태를 주로 그린다.

이때 사람의 모습은 머리를 원으로, 눈은 점으로, 다리는 두 개의 선으로 표현되며 가끔 몸체를 나타내는 두 번째 원이 표현되기도 하고 팔을 나타 내는 두 개의 수평선이 나타나기도 한다. 각 부위가 완전하지 못하며 굳이 표현하려고 하지 않는다.

(3 ) 서 술 적 상 징 기 (D e s c ript iv e S y m b o li s m : 5 - 6 세 )

점차 정돈 되어가는 소박한 상징적 낙서를 하며 인물묘사를 정확하게 할 수 있으나 미숙한 상징적 도식(schema)으로 혼란한 묘사에 그친다.

개인마다 도식의 형태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며, 유아는 자기가 아는 것, 기억하는 것, 흥미로운 것을 주관대로 전달하고 표현하려는 경향이 나타 난다.

개성의 표현보다는 일반적인 개념을 그리며 표현은 정밀해지며 좋아하 는 형을 장기간 반복하여 표현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4 ) 서 술 적 사 실 기 (D e s c ript iv e R e a li s m : 7 - 8 세 )

시각적인 그림보다는 주관적인 지식에 의한 개념적인 그림을 그린다.

유아 자신이 본 실제의 사실보다는 이미 경험하여 알 고 있는 개념과 느 낌을 그린다. 세부적인 묘사가 가능해지며 정면과 측면의 인물이 한 화 면에 나타나기 시작하며 장식적인 표현에 흥미를 가지게 되는 시기이다.

(5 ) 시 각 적 사 실 기 (V i s u a l R e a li s m : 9 - 10세 )

사물에 관한 관찰력이 민감해 지는 시기로 주위 환경 및 자연 현상에 관심을 갖고 이를 그리려는 단계로 접어든다. 입체적인 면을 표현하면 서 중복과 투시법을 사용한다. 또한 명암의 의미를 알게 되어 풍경화를 즐겨 그리게 된다.

(6 ) 억 제 기 (R e pre s s i o n : 1 1 - 14 세 )

객관적인 사실을 추구하는 시기로 표현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대상의 표 현이 미숙하여 질 때 실망하여 그림에 흥미를 잃어 미술표현이 침체된다.

또한 인물 위주의 표현보다는 자연 풍경이나 과학 기구의 표현등으로 소 재가 다양해진다.

(7 ) 예 술 기 ( 14 세 이 후 )

예술적 재능을 꽃피울 수 있는 시기이며, 남녀 성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여아는 색깔이 다양해지고 우아한 형태를 즐기며 장식적 인 그림을 그린다.

3 ) 골 롬 브 (C . Golom b )의 연 구

21) ( 1 ) 탐 색 기 (2 - 4 세 )

찰흙을 가지고 탐색하거나 실제놀이에 이용하면서 납작한 떡 모양이나 둥글게 뭉치거나 길게 늘인 모양의 것을 만들기 시작한다. 재료의 형태 적 상징성을 탐색하는 시기이다.

(2 ) 분 화 기 (4 - 5 세 )

두족류(頭足類)표현이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두족류의 3차원적 변형들 은 큰 원반이나 구형에 다리를 붙여 연장한 형태에서부터 작은 원반에 아 주 긴 다리를 붙인 형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대체로 세부적인 표현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며 자연적인 비례는 거 의 무시한다. 앞모습 표현에 집중되어있다.

21) 김 정, 앞의 책, p .116.

(3 ) 완 성 기 (6 세 이 후 )

크기, 부분과의 관계, 위치 등 공간관계와 비례가 자연스러워지는 자연 적 표현 의 초기 단계이다. 몸의 주요한 골격 부분들이 균형 있게 형성 되고 그 위에 상세화된 부분들이 표현된다. 인체의 전체적인 모양과 세 부에 신경을 쓰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4 ) 김 정 의 연 구

22) ( 1 ) 신 생 아 기 (0 - 3세 )

무엇이든지 입에 갖다 대는 시늉을 많이 하지만, 연필이나 기타 물건을 가지면 흔들어 대기도 한다.

우리 나라 아동은 상당히 빠른 편이다.

(2 ) 난 화 기 (3 - 5 세 )

낙서 같은 그림 뒤죽박죽으로 섞인 형태의 그림을 그린다. 유아에게 는 대단히 중요한 시기이다. 그림을 그리려는 시간이 차츰 늘어나면서 관심을 보이게 된다.

(3 ) 전 도 식 기 (5 - 7 세 )

그림에 대한 흥미와 감정이 최고조에 도달할 정도로 묘화에 접근한다.

그림의 특징도 이 시기에 나타나게 된다. 가장 좋은 그림을 즐겁게 그 리며 또 자주 그리려고 한다.

(4 ) 도 식 기 (7 - 9세 )

사물의 형태를 자세히 관찰하면서 그림에 대한 객관적 표현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유치한 듯한 표현이 나타나면서도 청소년의 작품 같은 그림 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사물의 형태를 자세히 관찰하면서 그림에 대한 객관적 표현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유치한 듯한 표현이 나타나면서도 청소년의 작품 같은 그림 이 나타나기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