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흥미롭고 즐거운 마음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내용과 방법이 학생들에게 제시되어야 하며, 결과보다는 과정에 중심을 두어 창의적이며 아름다운 정서를 지닌 인성 교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즉, 취학 전 아동 의 흥미와 경험에 맞는 체험과 표현의 자유를 주어 각자 독특한 개성과 사물에 대한 일정하게 고정된 틀이 아니라 그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표 현 방법과 내용, 재료의 체험을 제공하여 미적 정서와 창의성을 지닌 인 간으로 육성해야 할 것이다. 학생의 표현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그들 의 생각을 넓히고 그들의 경험을 다양하게 하는 데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이런 교사는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표현능력을 갖게 한다.

1 ) 프 로 그 램 의 구 성 원 리

다음에서 제시하는 꾸미기와 만들기 프로그램은 그 활동 내용이나 수준 을 취학 전 어린이(4- 7세)를 중심으로 적용하여 활동할 수 있도록 내용과 방법, 재료들을 설정했으며 어린이들 수준에 따라 교사가 융통성 있게 프 로그램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 프로그램 제시의 주안점은 첫째로 건강 생활 영역에 있어서 다양한 근육의 조절이나 시각과 근육의 협응을 요구하고 발달시키는 프로그램을 신체 발달 영역의 측면으로, 둘째로 사회 생활 영역의 측면으로 개개인 혹은 단체의 구성원으로 활동하도록, 셋째로 표현 생활 영역은 외부세계 를 느끼고 체험하며 이해할 수 있도록, 넷째로 언어 생활 영역에 있어서 는 자신이 그린 그림들, 선들에 대해 말하고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 는 프로그램으로 마지막으로 탐구 생활 영역은 인지 교육 활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을기본으로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영역을 바탕으로 꾸미기와 만들기 활동 중심의 수업

37 ) 김상랑, 미술교육학개론, 미진사, 1994, p .149.

프로그램으로 각 영역별, 교육과정 관련요소 내용, 활동명, 교육과정 관련 요소 내용 목표, 활동목표, 준비물(교사, 아동), 주의점, 활동과정(도입, 전 개, 정리), 평가, 발전활동, 참고작품으로 구성된다.

2 ) 프 로 그 램 의 개 발 절 차

( 1 ) 작 업 내 용 의 선 정

교육의 효과 및 목표 달성은 작업 내용이 무엇이냐에 의해 좌우되므로 유아의 환경과 생활에 알맞는 작업내용을 선정해야 한다. 내용선정은 각 유아의 개성과 특성을 존중하고 창의성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더욱 치밀하고 신중을 기해야 한다38 ). 기본적으로 전체 유치원 교육과정에 부 합되는 내용으로 본 연구자는 꾸미기와 만들기 활동 프로그램을 생활영역 별로 작성하였다.

(2 ) 환 경 및 재 료 의 준 비

재료가 취학 전 아동에게 위험한 경우에는 사전에 손을 봐 놓도록 하였 고 작업환경은 실내로 한정 지었다.

(3 ) 동 기 유 발

동기 유발의 방법으로는 동화나 공상적인 이야기 들려주기, 취학 전 아 동의 경험과 생활을 이야기 하기, 취학 전 아동에게 여러 가지 소재를 끄 어내기 위해 질문하는 방법, 교사와 취학 전 아동과의 토의 등을 들 수 있다.

(4 ) 지 도

작업활동을 통하여 유아는 창의력, 자기 표현력, 사고력, 지적능력 등의 발달된다. 작업활동을 지도할 때 교사는 유아에게 기술이나 기교를 가르 치기보다 유아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많은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39 )

38 ) 허혜경, 유아를 위한 창작 공예, 학문사, 1996, p .50.

39 ) 허혜경, 앞의 책, p .52.

(5 ) 평 가

평가 방법으로는 개인적 평가와 집단 평가가 있다. 개인적 평가는 작 업이 끝나는 대로 개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때에 따라 작품의 제목을 붙여 보게 하는 것도 좋다. 집단 평가란 작업작품이 완성되면 교사가 전체 유아를 한 자리에 앉도록 한 후 개인 혹은 소그룹으로 앞에 나와 작품을 보여주고, 어떤 작품을 한 것인지, 왜 이런 작품을 했는지 드 을 말하게 하는 것이다. 이런 평가 방법은 다른 사람의 표현 방법을 봄 으로써 작업에 필요한 기본적 지식을 배우고, 다른 사람의 작품을 보고 감상할 기회를 가지며, 다른 사람의 작품과 자신의 것을 비교함으로써 성 취감이나 판단력을 기르게 된다.40 ) 본 연구자는 개인적 평가방식으로 개 인별 작업활동 평가표를 작성이용하였다.

40) 허혜경, 앞의 책, p .55.

3 . 꾸 미 기 와 만 들 기 활 동 프 로 그 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