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금지‧노성윤‧류혜숙‧이혜숙‧최성숙(2008). 쉽게 배우는 영양판정, 수학사.

국민생활체육회(2009). 2009 생활체육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 매뉴얼.

김소연‧윤미은‧승정자(2002). 케어복지사를 위한 노인영양, 교육과학사.

대한민국정부(2012).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박영란‧홍백의(2011). 베이비부머 은퇴 후 생활지원을 위한 신복지모형 개발 연 구, 보건복지부.

박혜련(1996). 연령층별 영양상태, 지역사회영향학회지. 1(2), pp.301~332.

100세 시대 대비 저출산고령사회포럼‧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

인생 백세시대 대응 전략.

보건복지부(2011). 2011년 노인복지시설 현황.

보건복지부(2012). 2012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보건의료미래위원회‧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 2020 한국 의료 의 비전과 정책방향.

보건복지부(2012). 방문건강관리사업‧건강생활실천사업 연계 건강검진결과상담 매 뉴얼, 한국건강증진재단.

보건복지부(2010). 2009 국민건강통계.

선우덕‧오영희‧이수형‧오지선‧이석구(2009). 노인건강정책의 현황과 향후 추진 과제-일상생활기능의 자립향상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성혜영‧조희선(2005).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 26(1). pp.105~123.

146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신선정‧장세환(2011). 강원도 일부 노인에서의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OHAI) 의 타당도와 신뢰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5(2). pp.187~195.

오영희‧선우덕‧김혜련‧윤종률‧양찬미(2011). 예방적 관점에서의 효과적인 노인 건강관리서비스의 개발 연구- M시 종적연구기반(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상영‧서미경‧김동진‧홍미영 외(2009),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총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정원‧김경아‧이미숙(1998). 무료점심급식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노인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중류층 노인과의 비교. 지역사회영양학회지, 3(4), pp.594~608.

장남수‧강명희‧정혜경(2009). 지역사회영양학, 교문사.

정기혜‧김용하‧이지현(2012),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경희‧이소정‧이윤경‧이수연(2011). 선진국의 고령화 대응정책 동향, 한국보 건사회연구원.

정경희‧한경혜‧김정석‧임정기(2006). 노인문화의 현황과 정책적 함의, 한국보 건사회연구원.

최혜미‧김경원‧김창임‧김희선‧손정민‧최경숙‧현태선(2011). 지역사회영양학, 파워북.

통계청(2011), 2010년 생명표.

통계청(2012), 2012 고령자통계.

한국건강증진재단(2012). 건강증진총서 3호. 세계보건기구(WHO) 신체활동 권장지침.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부(2011).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 2011년도 고령사회대책. 정책참고자료

Dahlgren, G. and Whitehead, M. (1991)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ocial Equity in Health. Stockholm: Institute for Futures Studies.

Fried. P. F., Tangen, C. M., Walston, J., Newman, A. B., Hirsch, C., Gottdiener, J., Seeman, T., Tracy, R., Kop, W. J., Burke, G., and Mcburnie. (2001).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56A(3).

참고문헌

147

Jun BH‧Lee HG(2000). An investigation of the intake of the health food among the salarymen in Seoul. Kor J Soc Food Sci 16(1), pp.9∼16.

Kang MH(1994).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people. Korean

J of Nutr, 24(6), pp.616∼636.

Lee YA‧Lee HJ‧Lee HS‧Jang YA‧Kim CI (2007). Nutritional status and its improvement strateg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11, pp.16∼34.

Munro H‧Schlief G (1992). Nutrition of the elderly: Nestle nutrition

Workshop Series. 29, Raven Press.

Nagi. S. Z,. (1976). An epidemiology of disability amo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54, pp. 439∼467 Rowe, J. W.‧Kahn, R. L.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Son SM‧Park YJ‧Koo JO‧Lee YN‧Yoon HY (1996).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th status -

Ⅴ. The effect of meal service for one ter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 Korean J Community Nutr. 2(1), pp.63∼73.

Verbrugge, L. M. & Jette, A. M. (1994). The disablement process,

Social Science and Medicines, 38(1).

Colin D. Mathers, Doris Ma Fat, J. T. Boerma,(2004).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World Health Organization

Yoo HJ (1994). Nutritional problems in the Elderly patients. The

Korean J of Nutr. 27(6), pp.666∼674.

Yoon HJ‧Lee HK‧Lee SK (2007). The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female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 pp.50∼57.

148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葛谷 雅文, 吉田 貞夫, 宮澤 靖 (2011). 高齡者の栄養スクリーニングツー ルMNA GUIDE BOOK, 医歯薬出版株式会社.

介護予防マニュアル改訂委員会 (2012). 介護予防マニュアル改訂版, 厚生労動省.

鳥羽 研二 (2010). 高齡者の生活機能の綜合的評価, 新興医学出版社.

K I H A S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