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2011년과 2012년 연속응답자의 기능상태 변화

〈표 3-51〉 2011년과 2012년 연속 응답자의 신체적 기능상태 변화

(단위: %, 명)

2011년 신체적 기능상태 2012년 신체적 기능상태 비율 빈도

전체 100.0 224

ADL 정상 + IADL 정상 ADL 정상 + IADL 정상 46.0 103 ADL 장애 또는 IADL 장애 25.5 57

소계 71.5 160

ADL 장애 또는 IADL 장애 ADL 정상 + IADL 정상 15.6 35 ADL 장애 또는 IADL 장애 12.9 29

소계 28.5 64

2. 2011년과 2012년 연속응답자의 기능상태 변화

2011년과 2012년 연속적으로 조사에 응답한 224명 중 2011년 분석 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ADL과 IADL)에 제한이 없었던 160명(71.5%) 를 대상으로 2012년에도 계속 기능상태를 정상으로 유지한 그룹과 기능 장애가 발생한 그룹을 구분하여 Chi-square 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 이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노인 일반특성별 신체적 기능상태 변화 분석 결과, 남자일 때, 교육수 준이 높을수록, 노인만 사는 가구일 때, 기능상태를 정상으로 유지한 집 단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111

다음 <표 3-53>은 만성질환, 우울증상, 인지기능상태별 신체적 기능 변화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만성질환이 2개 이하인 집단(67.2%)이 3개 이상(50.0%)보다 정상 유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1), 우울증상의 경우 정상인 집단(67.4%)이 우울증상이 있는 집단(42.1%) 보다 정상유지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지기능상태별로는 집 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표 3-53〉 만성질환, 우울증상, 인지기능 상태별 기능상태 변화

(단위: %, 명)

구분 정상유지 기능장애발생 전체 (명) χ2-test

전체 64.4 35.6 100.0 (160)

만성질환 수 2.797†

2개 이하 67.2 32.8 100.0 (134) 3개 이상 50.0 50.0 100.0 ( 26)

우울증상 4.662*

정상 67.4 32.6 100.0 (141)

우울증상 있음 42.1 57.9 100.0 ( 19)

인지기능상태 0.145

정상 63.9 36.1 100.0 (147)

치매증상 있음 69.2 30.8 100.0 ( 13)

주: †p<.1, * p<.05, ** p<.01, *** p<.001

다음은 신체기능 상태별 기능상태변화에 대하여 교차분석한 결과이다.

신체기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악력과 한쪽다리 들고서기, 30초 동안 의자에서 일어나 앉기를 실시한 결과, 정상을 유지한 집단과 기능장애가 발생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112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113

신체기능상태로써 시력, 청력, 씹기 상태에 따른 기능상태 변화 집단간 차이에서는 청력과 씹기 상태에 따라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상유지 집단의 비율을 비교하면 청력이 좋은 노인은 67.7%, 나쁜 노인 50.0%로 나타났고, 씹기 상태가 좋은 경우 75.3%, 나쁜 경우 53.2%로 나타나서, 청력이 좋을수록, 씹기상태가 좋을수록 기능상태를 정상 유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3-56〉 시력‧청력‧씹기 상태별 기능상태 변화

(단위: %, 명)

구분 정상유지 기능장애발생 전체 (명) χ2-test

전체 64.4 35.6 100.0 (160)

시력 1.218

좋음 66.7 33.3 100.0 (123)

나쁨 56.8 43.2 100.0 ( 37)

청력 3.327

좋음 67.7 32.3 100.0 (130)

나쁨 50.0 50.0 100.0 ( 30)

씹기상태 8.551**

좋음 75.3 24.7 100.0 ( 81)

나쁨 53.2 46.8 100.0 ( 79)

주: * p<.05, ** p<.01, *** p<.001

신체적 기능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로 낙상 경험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 이를 분석한 결과, 기능상태 변화와 관련 있는 변수는 낙상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낙상 두려움에 대하여 두렵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의 정상유지 비율은 73.0%로, 두렵다고 느끼는 집단 57.0%에 비해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었 다(p<0.05).

114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표 3-57〉 낙상 경험에 따른 기능상태 변화

(단위: %, 명)

구분 정상유지 기능장애발생 전체 (명) χ2-test

전체 64.4 35.6 100.0 (160)

지난 1년간 낙상경험1) 0.774

예(있음) 57.1 42.9 100.0 ( 28)

아니오(없음) 65.9 34.1 100.0 (132)

치료가 필요한 낙상 경험2) 0.050

예(있음) 58.8 41.2 100.0 ( 17)

아니오(없음) 54.5 45.5 100.0 ( 11)

낙상으로 인한 골절여부3) 0.084

예(있음) 55.6 44.4 100.0 ( 9)

아니오(없음) 62.5 37.5 100.0 ( 8)

낙상 두려움 4.438*

두려움 57.0 43.0 100.0 ( 86)

두렵지 않음 73.0 27.0 100.0 ( 74)

주: 1) 노인의 기억에 의존하여 응답을 이끌어 내었으므로, 비교적 기억에 남는 낙상만 보고되었을 가능성 있음.

2) 지난 1년간 낙상경험에 ‘예’로 응답한 사람에 대하여 분석 3) 치료가 필요한 낙상 경험에 ‘예’로 응답한 사람에 대하여 분석 4) * p<.05, ** p<.01, *** p<.001

다음은 건강실천행위 관련 변수(흡연, 음주, 정기적 운동, 2km걷기, 독 감예방접종 및 건강검진, 수면, 영양)와 기능상태변화 집단간 교차분석 결 과이다.

<표 3-58>에서는 지난 3년간 독감 예방접종 변수만이 유의미한 수준 에서 기능상태 변화 차이를 보였는데, 예방접종을 한 집단이 66.0%로, 안한 집단 28.6%보다 정상유지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115

116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117

K I H A S

4장

A

신체적 건강수준별 노인집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