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영양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간이영양평가(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도구를 이용하였다(부표 5 참조). MNA 는 노인의 영양상태 평가에 활용되는 도구로 노인의 영양불량을 선별하 기 위해 신체계측과 식생활 및 생활습관과 건강상태를 기초로 해서 개 발되었다.

<표 3-14>에서는 MNA 문항 중 노인의 영양과 식생활 행태와 관련

62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63

식품 종류별로 섭취상태를 보면 전반적으로 생선과 육류의 섭취가 매 우 낮았으며, 특히 여자노인은 남자노인에 비하여 생선과 육류의 섭취 뿐 아니라 과일채소의 섭취, 콩‧계란류의 섭취율이 낮았다. 단, 유제품의 섭취율은 여자노인에서 높았다. 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식품의 섭취율은 감소하였다.

주관적으로 본인이 인식하는 영양상태는 여자노인이 남자노인에 비해 불량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불량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간이영양상태(MNA)를 구성하는 기타 변수에 대한 성 및 연령별 교 차분석 결과는 <표 3-15>와 같다.

체중감소에 있어 남성은 90.5%가 줄지 않았다고 응답했으나, 여성의 경우 84.5%가 줄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이 다소 체중감소가 많았 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 밖으로 외출하기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외출할 수 있음의 비율이 약 간 낮았으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비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지난 3개월간 스트레스 여부로는 예로 응답한 비율이 여성일 때, 연 령대가 높아질수록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해서는 여성이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좋지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매일 복용하는 처방약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있다고 응답한 노인이 여성이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복용 약의 개수로 는 5개 이상 먹고 있다는 노인이 전체의 30.7%로 가장 많았고, 그 비율 은 여자일 때, 연령대가 높을 때 조금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64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65

66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67

<표 3-19>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노인구강건강 평가지수(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문항3)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12개의 문항은 3개의 긍정적인 문항과 9개의 부정적인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로 조사 후, ‘항상’(1점),

‘자주’(2점), ‘가끔’(3점), ‘아주 가끔’(4점), ‘전혀 없음’(5점)으로 산출하 였다. 3개의 긍정적인 문항은 점수를 역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표 3-19>에서 GOHAI점수는 60점을 만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긍 정적인 구강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점 의 평균을 기준으로 평균 이상을 ‘구강상태 양호군’, 평균 미만을 ‘구강 상태 불량군’으로 구분하여 성 및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GOHAI 전체 평균은 53.32점이었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유의미한 수 준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나, 구강건강상태가 좋은 것이 확인되었다. 한 편 <표 3-20>은 각 세부 문항별 평균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3-19〉 노인의 성 및 연령별 구강건강상태(GOHAI)

(단위: 점, 명)

구분 연령

남자 여자 60∼64세 65∼74세 75∼84세 전체 GOHAI점수

평균 53.90 52.97 54.88 54.58 51.39 53.32

표준오차 0.50 0.39 0.93 0.40 0.50 0.31

t or F 2.154 14.004***

(대상자수) (200) (332) ( 48) (268) (215) (532)

주: * p<.05, ** p<.01, *** p<.001

3) GOHAI는 노년층의 구강질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씹기, 말하기 등의 구강기능 요인과 통 증과 불편함, 그리고 정신사회적 요인 등 건강결정요인을 포괄할 수 있는 12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효과적인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로 평가되고 있다(신선정‧정세환, 2011).

68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