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특정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수준별 건강실태 분석결과

특정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수준별 건강실태 분석을 위하여 교차분석 을 실시하고, Chi-square test를 통하여 집단 간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 하였다.

교차분석의 대상은 일상생활 동작(ADL, IADL) 수행에 있어 전혀 어 려움이 없는 노인 339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 중 신체기능제한 지표 20점 총점의 지표에서 17점을 절단점으로 고려하여, 18점 이상은 건강노인, 17점 이하는 (가칭)허약의심노인에 포함되는 것으로 개념을 설정하였다.

먼저 일반특성별 건강수준 분석 결과, 남자일 때, 연령대가 낮을수록, 유배우 상태일때,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의미한 수준에서 건강수준이 더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자(73.4%)가 여자(47.4%)보다 18 점 이상의 건강노인 비율이 많이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여성이 허약의심 노인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성별 건강수준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별로는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18점 이상 건강한 집단의 비율이 높 아지고, 반대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17점 이하 허약의심노인 비율이 유의 한 수준에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결혼상태로는 유배우노인(62.8%)의 경우 무배우노인(49.1%)보다 18 점 이상 건강노인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별로는 80만원 이상인 집단에서 건강노인 비율이 73.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소득이 낮은 집단일수록 건강노인 비 율이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가구유형에 따라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86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87

88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89

EQ-5D에 포함되는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불안/우 울 등 5개 문항에 모두 문제가 없이 정상이라고 응답한 집단은 18점 이 상 건강한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이 93.1%로 대단히 높게 나타났다. 반 면 1개 이상 지장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은 67.2%가 17점 이하 허약의 심노인으로 나타나 건강수준이 떨어지는 결과가 매우 유의미한 수준에서 확인되었다.

〈표 3-36〉 전반적 건강상태(EQ-5D)별 건강수준

(단위: %, 명)

구분 18점 이상 (건강)

17점 이하

(허약의심) 전체 (명) χ2-test

(t-test)

전체 58.4 41.6 100.0 (339)

EQ-5D 123.712***

모두 정상 93.1 6.8 100.0 (144)

1개 이상 문제 있음 32.8 67.2 100.0 (195)

(평균) (0.57) (2.59) (1.41) (17.048***)

주: * p<.05, ** p<.01, *** p<.001

신체기능상태로써 시력, 청력, 씹기 상태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이를 나타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건강수준에 있어 시력, 청력, 씹기상태의 좋고‧나쁨은 모두 유 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시력이 좋음으로 응답한 집단의 경우 18점 이상 건강한 집단에 포함 된 비율이 65.9%로 나쁜 집단 35.7%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청력의 경우 좋음으로 응답한 집단이 62.2%, 씹기상태가 좋은 집단이 65.4%로 나쁘다고 응답한 집단에 비하여 18점 이상 건강집단 속하는 비율이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90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표 3-37〉 시력‧ 청력‧씹기 상태별 건강수준

(단위: %, 명)

구분 18점 이상 (건강)

17점 이하

(허약의심) 전체 (명) χ2-test

전체 58.4 41.6 100.0 (339)

시력 23.672***

좋음 65.9 34.1 100.0 (255)

나쁨 35.7 64.3 100.0 ( 84)

청력 7.948**

좋음 62.2 37.8 100.0 (270)

나쁨 43.5 56.5 100.0 ( 69)

씹기 11.751***

좋음 65.4 34.6 100.0 (214)

나쁨 46.4 53.6 100.0 (125)

주: * p<.05, ** p<.01, *** p<.001

신체적 기능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로 낙상 경험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3-38>과 같다. 지난 1년간 낙상 경험, 치 료가 필요한 낙상 경험, 낙상으로 인한 골절 여부, 낙상 두려움에 대한 질문 중, 건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낙상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1년 조사의 건강수준 분류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 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낙상 두려움에 있어 두렵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이 18점 이상 건강노 인으로 나타난 비율은 74.5%로, 두렵다고 느끼는 집단 38.4%에 비해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91

92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93

94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

〈표 3-41〉 영양상태별 건강수준

(단위: %, 명)

구분 18점 이상 (건강)

17점 이하

(허약의심) 전체 (명) χ2-test

전체 58.4 41.6 100.0 (339)

간이영양평가 42.459***

영양상태 양호 72.8 27.2 100.0 (202)

영양불량+영양불량 위험 37.2 62.8 100.0 (137)

(평균) (25.68) (23.21) (24.65) (-7.411***)

주: * p<.05, ** p<.01, *** p<.001

〈표 3-42〉 구강상태별 건강수준

(단위: %, 명)

구분 18점 이상 (건강)

17점 이하

(허약의심) 전체 (명) χ2-test

전체 58.4 41.6 100.0 (339)

구강상태평가(GOHAI) 22.401***

평균이상 67.0 33.0 100.0 (233)

평균미만 39.6 60.4 100.0 (106)

(평균) (56.06) (52.61) (54.63) (-5.277***)

주: * p<.05, ** p<.01, *** p<.001

<표 3-43>은 사회적 관계별 건강수준에 대한 분석결과이다. 가까운 친구‧이웃이 있는 경우(63.4%), 일주일간 외출을 하는 경우(62.5%), 친 척‧친구‧이웃과 전화 연락을 주 1회 이상 하는 경우(59.9%), 단체 모임 에 가입하고 있으면서(69.9%),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경우(74.5%) 유의 미한 수준에서 18점 이상의 건강집단에 포함되어 건강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3장 노인건강실태조사의 결과분석: 특정 농촌지역 사례

95

96

∙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의 양상과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