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 개발 - 생태관광

문서에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사업모델 (페이지 51-55)

5.1. 사업 개요

사회적과제

지역개발과 관련해서는 도농교류, 체험관광, 전통문화 복원 및 공연 등 다양한 사업이 있으나 여기에서는 생태관광과 귀촌지원 사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생태관광은 단순한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 위주의 여행을 벗어나 대

안적인 여행문화 활성화와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대체로 다음과 같 은 활동을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문화와 생태를 주 내용으로 한 여행문 화 상품을 개발하여 여행객을 모집한다. 둘째, 차별화된 지역의 숙소, 식당 을 네트워킹하고 공정한 비용을 지불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문화해설사, 숲해설사 등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활용한다.

생태관광의 사회적가치는 공정여행을 통한 지역민과 여행객 쌍방의 상 호 사회·문화적 교류의 확대로 농촌의 문화, 생태가치의 재발견함으로써 농촌지역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특히 낙후된 지역의 경제·사회·문화·환경 적 지속성을 위한 노력을 유인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시장여건과 관련 정책

기존 형태의 국내관광 수요가 주춤하면서 생태와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대안관광에 대한 욕구가 많으나 이를 체계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은 취약 하다.

이 분야의 업체들은 대부분 개인 또는 비영리기관의 프로그램 단계이며 전문 여행기업은 거의 없어 잠재적 수요의 개발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인증 사회적기업은 3개이다(2011년 4월 기준).

관련된 정책으로는 취약계층의 국내 여행을 지원하는 여행바우처 제도 가 있는데, 지원 내용은 <표 2-8>과 같다. 2011년의 총 예산은 61억원이며 국고보조율은 70%이다. 지원단가가 적고 대상이 취약계층에 제한되어 이 용률이 50% 미만에 그치고 있다.

표 2-8. 여행바우처 제도의 지원 대상과 내용

이용자 소개를 통한 고객 창출율이 30~40%에 달하고 있어 성장목표가 달

인증연도(설립) 2010 (2004) 2007 (2001)

주요 사업

5.3. 사업모델의 개선과 정책 방향

대안관광 사업은 민간시장을 주로 하되 일정한 규모의 공공시장으로 보 완하는 모델이 적합할 것이다. 특히, 초기의 시장확보를 위해서는 타 지역 사회적경제와의 네트워크와 함께 지자체의 적극적 협력을 이끌어낼 필요 가 있다. 예를들어 지자체에서 지역 문화·생태자원의 발굴과 해설을 담당 한 전문인력의 교육과 활동비 보조 등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또한, ‘여행바우처’ 지원 대상에 대안관광을 포함하여 공공시장을 적극 조성하여야 한다. 이 경우 대안관광에 대한 법적 규정이 필요할 것이다.

문서에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사업모델 (페이지 5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