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 검토

문서에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사업모델 (페이지 19-23)

사업모델 분야

사업모델은 기업이 어떠한 가치를 어떻게 생산해서 어떤 방식으로 사회 에 제공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라준영, 2010). 사회적기업의 경우도 마찬가 지이다. 단지 사회적기업은 경제적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가치도 생산하며 양자를 균형있게 달성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적합한 사업모델을 갖추 지 못한 기업이 성공하기 어렵듯이, 사회적 목적과 경제적 지속성을 동시 에 확보할 사업모델의 유무는 사회적기업의 성패를 가름하게 된다.

Borzaga(2001, 박대석 외 역)는 유럽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경영모델이 영리조직, 전통적 비영리조직, 공공섹터와 달라 야 하는 점을 지적하고 다음과 같은 발전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많은 나라에서 아직 사회적기업이 가진 사회적 성격에 대한 인식 과 제도적 지원이 미흡하다. 둘째, 새로운 조직형태에 걸맞는 리더와 전문 적 자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나아가 노동자와 봉사자를 잘 조직하고 훈련 하는 등 일하는 사람의 기술향상 프로그램에 매진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 적기업에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품질 유지에 필요한 투자를 위한 자금 조 달의 애로를 해결해야 한다. 넷째, 사회적기업군 안에서 지역적, 국제적 협 력을 통한 지식의 공유, 자원의 획득 등 규모의 이점을 획득하여야 한다.

기업의 운영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인정하고 민주적이고 지역과 연결 한 적절한 협치구조의 확립도 중요하다.

김봉화·김재호(2010)는 외국의 사회적기업 유형을 노동통합형, 사회통합

형, 혼합방식형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참조하여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의 모형을 예비사회적기업형, 일자리 중심형, 서비스 중심형, 통합형, 네트워 크형 등 5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는데, 사회적 기업의 발전단계 구분에 가깝다.

이광우(2008)는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영리적인 것과 공익적인 부문으로 나누고 그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모델은 전략적 요인, 사회 적기업가 정신, 경영역량, 조직적 요인, 사업환경, 사회적네트워크의 6개 요인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국내 사회적기업 128개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 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기업가 정신은 양쪽 모두 특히 공익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자 의 경영역량은 영리적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공익적 성과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상품의 우수성, 판로 확보, 사전 시장조사와 같은 전략적 요소도 영리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직요인은 통계적으로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환경적 요인 특히 정부와 지자체의 지 원이 영리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네트워크가 공익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준영(2010)은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을 일반기업과 마찬가지로 가치제 안, 가치창출, 가치확보로 구분하되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념틀 을 재구성하였다. 실증을 위해 성공한 사회적기업 6곳과 실패한 4곳의 사 례를 분석하여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보완하였다. 사회적 기업의 역량과 혁신성의 구성 요소를 잘 추출하였으나 혁신기업으로서의 요구가 지나치게 강조된 편으로 평가할 수 있다. 모델 구성요소는 다음

<표 1-1>과 같다.

사회적경제의 현장활동가인 김정원(2009)은 사회적기업이 기업으로서의 존속과 성장을 앞세워 핵심가치인 참여와 책임, 지역 기반, 연대 방식 등이 가려지는 것을 비판하고, 사회적기업의 주체가 해결해야 할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활동이 지역의 문제를 다루며 해 결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지역으로부터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 둘째, 자신들의 활동을 중심에 놓지 말고 지역의 주체들이 연대할 수 있는 매개

요 소 내 용

이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되어야 할 사회적기업의 영역으로 로컬푸드, 도농교류, 대안여행 등을 꼽았다. 경제적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 스로의 노력을 통한 시장 창출·확보와 함께, 사회적 목적 활동을 위한 비 용 보전, 보호시장 비용, 바우처 확대 등 정부의 다양한 정책지원이 필요함 을 주장하였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역량을 진단하고 처방을 할 컨설팅의 강화와 중간지원 조직의 육성도 강조하였다.

표 1-2.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실태와 발전과제

분 야 분석 결과와 과제

사회적 목적 달성 - 농촌지역 개발

∙지역 산업과의 전후방 연계가 높지만, 다른 사회적기 업이나 일반 기업과의 네트워크가 약함

∙농촌지역 특성에 기반한 로컬푸드, 도농교류, 대안여행, 환경·산림·경관 등 사업영역이 적극 개발되어야 함

경제적 지속가능성

∙사회적기업이 경제적 자립을 이룰 필요는 없지만, 사 업을 지속할 수 있는 안정적 수입구조를 확보해야 함

∙재정자립도(총수입 중 매출액 비중)는 평균 70%로 낮 지 않으나, 외부 수입의 대부분(88%)이 정부지원(한 시적인 인건비 중심)으로 정책의 변화에 기업의 지속 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취약한 구조임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목적 활동이 적극적으로 평가되 고 이와 연계하여 비용 직접 보전, 보호시장 제공, 바 우처 확대 등 다양한 정책지원과 민간의 기부를 확보 하여야 함

기업·조직의 역량

∙조직구조와 시스템, 조직 문화 역량은 어느 정도 갖추 었으나, 현장직원의 역량개발을 위한 기회 적음

∙컨설팅의 강화와 중간지원 조직의 육성 필요

문서에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사업모델 (페이지 1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