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속 가능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5권 제4호 (페이지 142-145)

2016년

3. 사람과 지구를 위한 식량체계 구축

3.4. 지속 가능

지속 가능한 식량체계는 고갈 천연자원의 공급을 위협하지 않으면서 현재와 미래의 식량수요를 효율적으로 충족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는 농업의 자원 사용이

지속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면, 지구 전체 물의 85%가 농업 관개용으로 투입되고 있고 그 가운데 13-35%가 지속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지구 전 체 토지의 1/4가량이 환경의 저하(environmental degradation)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그림 9>은 토양 저하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연간 비용을 지역별로 표기한 것이 다. 2001-09년에 2007년 달러 기준으로 그 비용이 연간 751-2,000억 달러에 이 르는 지역은 북미, 브라질, 러시아, 중국, 호주 등으로 알려졌다. 반면에 유럽대륙 과 북아프리카, 한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의 비용은 연간 160억 미만으로 제시되 었다.

그림 9. 토지 저하에 따른 세계의 연간 비용: 2001-09년

자료: IFPRI(2016)

식량안보와 영양을 위해 환경을 희생해야 하는 상황을 피하려면 지속 가능한 집 약(intensification), 곧 식량생산 증대와, 더욱 효율적인 천연자원 사용 및 환경 영향의 감축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 이에 해당하는 용어 혹은 개념들은 질소 사 용 효율, 내열 및 한발 내성 작물, 정밀 농업, 점적 관수 등이다. 또한, 지속 가능 한 집약 전략은 건강한 토양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토지 관리를 가져와, 그 안에 서 지속 가능한 식량공급, 유용 곤충을 위한 서식지와 같은 환경체제(ecosystem) 서비스의 확보, 인간의 건강한 삶의 촉진 등이 가능하게 된다.

농업에서 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이미 존재한다. 예를 들면, 라

이닝(lining) 관개 수로는 물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점적 또는 스프링클러 관개체 제는 작물에 대한 물의 적용을 개선할 수 있다. 가격, 조세, 보조, 쿼터 등을 통한 효과적인 물 관리는 농가로 하여금 자원 효율적인 기술을 채택하는 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지속 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영농하는 농가에 불이익을 주는 것을 포함한다.

작물과 가축 및 어류의 생산, 식량의 가공과 보관 및 분배, 식품의 보관 및 보존 등 식량체계 전 분야에 걸쳐 에너지가 필요하다. 지속 가능하려면 식량체계가 현 대적 에너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러 도전과제들이 있지만, 수력 발전 과 태양 에너지 등 재생한 형태의 에너지 사용 증대, 제대로 관리한 바이오연료, 더욱 효율적인 조리용 스토브 등이 그 기회요소가 될 수 있다.

지구 전체의 식량 섭취(diet)도 지속 가능하지 않은 경로에 놓여 있다. 우려할 3가지 추이를 지적하면, ① 건강하고 활동적인 삶을 위해 필요한 수준 이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칼로리를 소비하고 있는 것<그림 10 참조>, ② 더 많은 사람들이 필 요 이상으로 단백질을 소비하고, 동물성 단백질로 소비를 전환하고 있는 것<그림 11 참조>, ③ 효율적이지 못하고 자원 집약적인 식품이라고 할 수 있는 소고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 등이다.

이러한 추이는 사람들의 건강과 영양 측면뿐만 아니라 토지이용과 온실가스 배 출을 통한 환경 측면에서도 높은 비용을 부과하고 있다. 지금까지 사람들의 식생 활을 전환하기 위한 노력은 주로 식품 표시제와 소비자 교육을 통해 이뤄지고 있 는데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고 있을 뿐이다. 지금은 전략이 필요할 때이고, 사람들이 식생활에 관한 결정을 어떻게 내리고 있는지에 따른 대응을 늘려야 할 적기이다.

그림 10. 일인당 하루 평균 에너지 요구량: 2009년 기준

205개국과 지역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

하루 평균 에너지 요구량 kcal/인/일

자료: IFPRI(2016)

그림 11. 일인당 하루 평균 단백질 소비량: 2009년 기준

205개국과 지역 120

100 80 60

40 20 0 g/인/일

하루 평균 단백질 요구량

동물성 단백질 식물성 단백질

자료: IFPRI(2016)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5권 제4호 (페이지 142-145)

관련 문서